KR101057443B1 -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및 이를 이용한 준설토 투기장의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 - Google Patents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및 이를 이용한 준설토 투기장의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443B1
KR101057443B1 KR1020100028129A KR20100028129A KR101057443B1 KR 101057443 B1 KR101057443 B1 KR 101057443B1 KR 1020100028129 A KR1020100028129 A KR 1020100028129A KR 20100028129 A KR20100028129 A KR 20100028129A KR 101057443 B1 KR101057443 B1 KR 101057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dredged
cover
unit
re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명학
권오순
권오정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28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07PV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15HD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및 이를 이용한 준설토 투기장의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은, 준설토 투기장의 지반으로부터 지지되며 준설토 투기장 내의 해수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불 투수성 재질로 마련되는 중공형 제1 컬럼; 제1 컬럼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해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투수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1 커버; 제1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되 제1 커버를 거치며 유입된 해수가 하측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컬럼의 하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불 투수성 재질의 중공형 제2 컬럼; 제1 커버 및 제2 컬럼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며 해수 내의 오염물질이 정화될 수 있도록 오염물질에 대한 반응성을 갖는 제1 오염물질 반응부; 및 제2 컬럼 내부의 중공 부분에 충진되며 제2 컬럼의 하단부로부터 유입되어 상측으로 이동하는 해수 내의 오염물질이 정화될 수 있도록 오염물질에 대한 반응성을 갖는 제2 오염물질 반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준설토 투기장에 자립형으로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준설토의 매립 진행 단계에 맞추어 매립층의 배수를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및 이를 이용한 준설토 투기장의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Vertical drain pile containing reactive column for soft ground improvement of dredged soil field and soft ground improv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및 이를 이용한 준설토 투기장의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준설토 투기장에 자립형으로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준설토의 매립 진행 단계에 맞추어 매립층의 배수를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및 이를 이용한 준설토 투기장의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준설토 투기장은 항만공사 및 수심확보를 통한 수로유지 등을 위해 해안 및 하천바닥을 준설한 후 준설된 물질을 투기하여 매립지반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일정 면적의 지역을 의미한다. 준설물질의 경우 대부분 세립질 토사로 다량의 물과 함께 투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투기 후 물속에서의 침하압밀(sedimentation-consolidation) 과정을 거쳐 매립지반을 형성시킨다.
도 1은 종래의 준설토 투기장의 준설토 매립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준설토 투기장의 준설토 매립방법은 해안에 호안 사석(10)을 설치하여 준설토 투기장을 조성하고, 펌프 준설선을 이용하여 해저의 준설토를 투기장 내에 투기한 뒤 장기간 동안 자연방치하여 준설토의 침출수 등을 자연 건조한 후 부지사용목적과 시기에 맞추어 연약지반 개량공사를 시행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준설토 투기장의 준설토 매립방법은 자연적인 침하압밀 만을 유도하기 때문에 실제 해상 준설 매립 시 매립지를 다른 용도로 활용하기 위한 지반지지력을 확보하는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원지반과 매립토사가 양질이 아닐 경우에는 지반의 침하압밀이 장기간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일반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처리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이용계획이 수립된 매립지의 조기 활용지역은 사질토나 경질토로 매립하고, 사용시기가 늦을 경우 연질토로 매립하고 사용 시기에 맞게 매립토질을 개량한다.
2) 준설토의 대부분이 점성토인 경우 매립지표층은 차후 지반처리용 장비의 출입 등 작업이 가능한 수준의 지지력을 갖도록 우선 처리하거나 적정두께를 양질토로 매립한다.
3) 매립지 표층의 연약점성토를 적정두께의 양질토사로 환토한다.
4) 배수공법 등의 지반처리공법을 적절하게 시행하며, 매립공사 중 매립토사가 구역 외로 유출될 염려가 있는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매립 외곽호안에 차수공이나 필터공을 설치한다.
그러나, 종래의 준설토 투기장의 준설토 매립방법은 사용 시기에 따라 매립되는 준설물질을 변경 또는 개량하기 어렵고, 양질의 토사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우며, 샌드드레인 등의 배수공법 활용은 매립지반 조성 이후 시행될 수 있는 사후적 방법이므로 적용되기 어렵고, 샌드드레인 등의 배수공법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반의추가적인 굴착 및 시공이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와 함께, 종래의 준설토 투기장의 준설토 매립방법은 준설토의 표층을 건조하기 위해서 약 4~5년의 방치기간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때 생활 오폐수 등과 같은 유기물이 포함되어 있는 준설토는 장기간 동안 방치할 경우 악취가 발생함은 물론 모기, 파리, 깔따구(Midge) 등과 같은 해충(害蟲)이 산란 및 서식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인근주민의 경제적인 활동 및 개인생활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피부병과 같은 병원균을 전염시키게 되므로 결국 인근주민의 민원으로 인한 시공지연 및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준설토의 투기장에 방제약품을 살포하는 것은 환경오염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특히 살포된 약품이 강우시 빗물과 함께 그대로 해양으로 배출되므로 결국 해양생물을 폐사(弊社)시키거나 해양생물의 서식환경을 파괴하게 된다.
따라서, 준설토 투기장에 쉽게 적용될 수 있으면서도, 준설토 투기장 내의 오염물질을 간편하게 정화할 수 있는 준설토 투기장의 매립방법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준설토 투기장에 자립형으로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준설토의 매립 진행 단계에 맞추어 매립층의 배수를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및 이를 이용한 준설토 투기장의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준설토 투기장의 지반으로부터 지지되며 준설토 투기장 내의 해수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불 투수성 재질로 마련되는 중공형 제1 컬럼; 상기 제1 컬럼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해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투수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1 커버; 상기 제1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커버를 거치며 유입된 상기 해수가 하측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컬럼의 하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불 투수성 재질의 중공형 제2 컬럼;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컬럼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며 상기 해수 내의 오염물질이 정화될 수 있도록 오염물질에 대한 반응성을 갖는 제1 오염물질 반응부; 및 상기 제2 컬럼 내부의 중공 부분에 충진되며 상기 제2 컬럼의 하단부로부터 유입되어 상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해수 내의 오염물질이 정화될 수 있도록 오염물질에 대한 반응성을 갖는 제2 오염물질 반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1 컬럼은, 준설토 투기장에 매립되는 준설토의 매립 진행 단계에 따라 상부 단으로부터 차례로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단위 컬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컬럼은, 제1 단위 컬럼; 및 상기 제1 단위 컬럼의 하단부에서 상기 제1 단위 컬럼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단위 컬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위 컬럼은, 하단부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위 컬럼은, 상단부 둘레를 따라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선홈이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컬럼은, 상기 제1 단위 컬럼과 상기 제2 단위 컬럼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밀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은, 상기 제1 컬럼이 준설토 투기장의 지반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준설토 투기장의 지반에 관입되며 내부에 상기 제1 컬럼이 수용되는 컬럼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컬럼지지부는, 상기 제1 컬럼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관입부재; 및 상기 관입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은, 상기 제1 오염물질 반응부의 상단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불 투수성 재질의 제1 덮개; 및 상기 제2 오염물질 반응부의 하단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투수성 재질의 제2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은, 상기 제2 오염물질 반응부의 상단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투수성 재질의 제3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컬럼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커버는 투수성 토목섬유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컬럼은 HDPE(High Densitity Polyethelene) 파이프 또는 PVC 파이프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오염물질 반응부는, 투수계수 10-3 ~ 10-1 cm/sec 범위를 만족하는 제강슬래그, 제올라이트 및 모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오염물질 반응부는, 투수계수 10-3 ~ 10-1 cm/sec 범위를 만족하는 제강슬래그 또는 제올라이트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불 투수성 재질로 마련되며 준설토의 매립 진행 단계에 따라 상단부로부터 차례로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는 중공형 제1 컬럼과, 상기 제1 컬럼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준설토 투기장 내의 해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투수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1 커버와, 상기 제1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커버를 거치며 유입된 상기 해수가 하측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컬럼의 하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불 투수성 재질의 중공형 제2 컬럼과,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컬럼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며 상기 해수 내의 오염물질이 정화될 수 있도록 오염물질에 대한 반응성을 갖는 제1 오염물질 반응부와, 상기 제2 컬럼 내부의 중공 부분에 충진되며 상기 제2 컬럼의 하단부로부터 유입되어 상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해수 내의 오염물질이 정화될 수 있도록 오염물질에 대한 반응성을 갖는 제2 오염물질 반응부를 포함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을 준설토 투기장의 지반에 설치하는 단계; 준설토 투기장 내의 해수가 상기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며 정화될 수 있도록 준설토 투기장에 준설토를 단계별로 매립시키는 단계; 및 매립된 준설토의 침하압밀 진행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컬럼을 상측으로 들어올리고 상부 단을 제거함으로써 배수 표면적을 확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을 이용한 준설토 투기장의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단위 컬럼으로 구성되는 제1 컬럼과, 준설토 투기장 내에서 제1 컬럼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컬럼지지부에 의하여 준설토 투기장에 자립형으로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준설토의 매립 진행 단계에 맞추어 매립층의 배수를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준설토 투기장의 준설토 매립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의 제1 컬럼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투기장의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의 제1 컬럼의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투기장의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은(100, 이하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100)'이라 함) 중공형 제1 컬럼(110)과, 제1 컬럼(110)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커버(120)와, 제1 커버(120)의 내측에 배치되는 중공형 제2 컬럼(130)과, 제1 커버(120) 및 제2 컬럼(130) 사이에 충진되는 제1 오염물질 반응부(140)와, 제2 컬럼(130) 내부에 충진되는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와, 제1 컬럼(110)을 지지하는 컬럼지지부(160)와, 제1 오염물질 반응부(140)의 상단부를 덮는 제1 덮개(170)와,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의 하단부를 덮는 제2 덮개(180)와,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의 상단부를 덮는 제3 덮개(190)를 포함한다.
제1 컬럼(110)은 준설토 투기장의 지반으로부터 지지되며 준설토 투기장 내의 해수(R)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불 투수성 재질로 마련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컬럼(110)은 내식성이 우수한 SUS 306 등의 스테인리스 스틸로 마련된다.
한편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컬럼(110)은 준설토 투기장에 매립되는 준설토의 매립 진행 단계에 따라 상부 단으로부터 차례로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단위 컬럼을 포함하며, 단위 컬럼은 제1 단위 컬럼(111)과, 제1 단위 컬럼(111)의 하단부에서 제1 단위 컬럼(111)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단위 컬럼(112)을 포함한다.
즉, 제1 컬럼(110)은 제1 단위 컬럼(111)과 제2 단위 컬럼(112)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반복적으로 채택함으로써 하나의 컬럼으로 완성된다.
제1 단위 컬럼(111)은 하단부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삽입부(111a)를 포함하며, 삽입부(111a)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서는 나사산(111b)이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2 단위 컬럼(112)은 상단부 둘레를 따라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수용부(112a)를 포함하며, 수용부(112a)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서는 나선홈(112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제1 단위 컬럼(111)의 하단부를 제2 단위 컬럼(112)의 상단부에 배치하고, 삽입부(111a)의 일단을 수용부(112a)에 삽입시킨 뒤 제1 단위 컬럼(111)을 회전시키면, 삽입부(111a)의 나사산(111b)이 수용부(112a)의 나선홈(112b)에 맞물리며 제1 단위 컬럼(111)과 제2 단위 컬럼(112)이 나사결합하게 된다. 제2 단위 컬럼(112)으로부터 제1 단위 컬럼(111)을 분리하는 작업은 전술한 결합방법의 역순을 따르면 되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단위 컬럼(111) 및 제2 단위 컬럼(112)은 제1 단위 컬럼(111)에 마련된 고리(미도시)를 제2 단위 컬럼(112)에 마련된 고리홈(미도시)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즉, 필요에 따라 제1 단위 컬럼(111)과 제2 단위 컬럼(112)의 결합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전술한 나사결합식의 제1 단위 컬럼(111)과 제2 단위 컬럼(112)의 결합방법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제1 컬럼(110)은 제1 단위 컬럼(111) 및 제2 단위 컬럼(112) 사이에 개재되는 기밀 패킹(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기밀 패킹은 제1 단위 컬럼(111) 및 제2 단위 컬럼(112)의 연결지점에 개재되어 제1 단위 컬럼(111)과 제2 단위 컬럼(112)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구성이다. 기밀 패킹은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마련되어 제1 단위 컬럼(111)의 하단부 또는 제2 단위 컬럼(112)의 상단부에 처음부터 일체로 결합되거나, 제1 단위 컬럼(111) 및 제2 단위 컬럼(112)과는 분리되도록 마련되어 제1 단위 컬럼(111)과 제2 단위 컬럼(112)을 결합하는 경우 제1 단위 컬럼(111) 및 제2 단위 컬럼(112)의 사이에 넣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제1 커버(120)는 제1 컬럼(110)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구성이다. 제1 커버(120)는 준설토 투기장 내의 해수(R)가 통과할 수 있는 투수성 토목섬유로 마련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커버(12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아크릴니트릴(Polyacrynitril) 또는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를 직조하여 형성된 다공성 투수성 제품인 지오텍스타일(Geotextile)로 마련된다.
제2 컬럼(130)은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가 충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제1 커버(12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 커버(120)의 내측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제2 컬럼(130)은 제1 커버(120)를 거치며 유입된 해수(R)가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의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불 투수성 재질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컬럼(130)은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재질의 HDPE 파이프 또는 PVC(Polyvinyl Chloride) 재질의 PVC 파이프로 마련된다.
제1 오염물질 반응부(140)는 제1 커버(120) 및 제2 컬럼(130)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며 제1 커버(120)를 거치며 유입된 해수(R) 내의 오염물질이 정화될 수 있도록 오염물질에 대한 반응성을 갖는 구성이다. 즉, 제1 커버(120)를 거치며 유입된 해수(R) 내의 오염물질은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오염물질 반응부(140)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정화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오염물질 반응부(140)는 오염물질에 대한 반응성을 갖는 입경 0.074 ~ 4.75 mm 범위 및 투수계수 10-3 ~ 10-1 cm/sec 범위를 만족하는 제강슬래그, 제올라이트, 굴패각 및 모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제강슬래그는 광석으로부터 금속을 빼내고 남은 찌거기를 말하며, 제올라이트는 결정질 알루미늄 규산염광물을 말한다.
다만, 제1 오염물질 반응부(140)는 제강슬래그, 제올라이트 또는 굴패각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강슬래그와 모래를 혼합하거나 제올라이트와 모래를 혼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오염물질 반응부(140)는 다양한 구성물질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는 제2 컬럼(130) 내부의 중공 부분에 충진되며 제2 컬럼(130)의 하단부로부터 유입되어 상측으로 이동하는 해수(R) 내의 오염물질이 정화도리 수 있도록 오염물질에 대한 반응성을 갖는 구성이다. 제1 커버(120)를 거치며 유입된 해수(R)는 제1 오염물질 반응부(140)를 거치며 일차적으로 정화된 상태로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의 하측으로 이동되며,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의 하측으로부터 유입된 해수(R)는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의 상측으로 이동하며 이차적으로 정화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는 입경 0.074 ~ 4.75 mm 범위 및 투수계수 10-3 ~ 10-1 cm/sec 범위를 만족하는 제강슬래그 또는 제올라이트로 마련된다. 다만,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는 필요에 따라 제강슬래그 또는 제올라이트와 유사한 입경 및 투수계수를 갖는 굴패각 등을 사용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컬럼지지부(160)는 제1 컬럼(110)이 준설토 투기장의 지반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도록 제1 컬럼(110)을 내부에 수용하는 구성이다.
컬럼지지부(160)는 준설토 투기장의 지반에 관입되는 다수의 관입부재(161)와, 다수의 관입부재(16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162)를 포함한다.
관입부재(161)는 제1 컬럼(1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내부에 제1 컬럼(110)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이며, 연결부재(162)는 다수의 관입부재(161)의 외주면 둘레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다수의 관입부재(161)를 일체로 결합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100)은 준설토 투기장의 지반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컬럼(110)은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마련되는바 스스로 자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컬럼지지부(160)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컬럼지지부(160)는 철망 등을 사용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덮개(170)는 제1 오염물질 반응부(140)의 상단부를 덮도록 불 투수성 재질로 마련되는 구성이며, 제2 덮개(180)는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의 하단부를 덮도록 투수성 재질로 마련되는 구성이고, 제3 덮개(190)는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의 상단부를 덮도록 투수성 재질로 마련되는 구성이다.
불 투수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1 덮개(170) 및 제2 컬럼(130)에 의하여 제1 커버(120)를 거치며 유입된 해수(R)는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의 하측으로 이동된 해수(R)는 투수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2 덮개(180)에 의해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 측으로 유입된 후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의 상측으로 이동하며 정화된 해수(R)는 투수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3 덮개(19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제3 덮개(190)에는 별도의 펌프(미도시) 등의 장치가 연결되며, 이에 따라 정화된 해수(R)를 다시 준설토 투기장 내로 공급함으로써 재정화를 유도하거나, 정화된 해수(R)를 준설토 투기장으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100)의 사용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호안 사석을 설치하여 준설토 투기장의 환경을 조성한 뒤에는 준설토 투기장 내의 해수(R) 속으로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100)을 다수 개 설치함으로써 해수(R)의 배수를 촉진시키고 해수(R)의 오염정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100)은, 컬럼지지부(160)를 먼저 준설토 투기장의 지반에 관입시킨 뒤 제1 커버(120) 및 제2 컬럼(130)이 배치된 제1 컬럼(110)을 컬럼지지부(160)의 관입부재(161) 내부의 수용공간에 삽입하거나, 아니면 컬럼지지부(160)를 생략하고 제1 커버(120) 및 제2 컬럼(130)이 배치된 제1 컬럼(110)을 준설토 투기장의 지반으로부터 자립시킴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어느 경우에나 본 실시예의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100)은 기존의 샌드드레인 공법 등에서 요구하는 드레인홀을 천공함이 없이 설치될 수 있게 되므로 경제적이며 시공의 편의성이 도모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100)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준설토를 준설하고 이를 준설토 투기장 내부로 투기한다. 준설토의 매립이 어느 정도 진행된 후에는 제1 컬럼(110)을 상측으로 일정 정도 들어올림으로써 준설토 투기장 내부의 해수(R)가 제1 커버(12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도 6 참조).
투수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1 커버(120) 측으로 유입된 해수(R)는 제1 오염물질 반응부(140)를 거치며 일차적으로 정화가 이루어지게 되며, 정화된 해수(R)는 상단부를 덮도록 불 투수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1 덮개(170) 및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불 투수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2 컬럼(130)에 의해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의 하측으로 강제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의 하측으로 이동된 해수(R)는 투수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2 덮개(180)의 특성에 따라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의 내부로 유입되며,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이차적으로 정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의 상측으로 이동하며 정화된 해수(R)는 제2 오염물질 반응부(150)의 상단부를 덮도록 투수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3 덮개(190)에 의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되며, 제3 덮개(190)에는 펌프 등의 별도의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정화된 해수(R)를 다시 준설토 투기장 내부로 재순환시킴으로써 재정화를 유도하거나 또는 외부로 완전히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매립된 준설토는 전술한 과정을 거치며 침하압밀이 이루어지는데(도 7 참조), 준설토의 침하압밀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다시 준설토를 준설하여 준설토 투기장의 내부로 투기한다(도 8 참조).
한편, 작업자는 준설토의 매립 진행 단계에 맞추어 해수(R)의 배수 단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제1 컬럼(110)을 점차 상측으로 들어올린다. 제1 컬럼(110)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 컬럼(110)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커버(120)와 해수(R)가 접촉하는 표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준설토 투기장 내의 해수(R)의 배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컬럼(110)을 구성하는 제1 단위 컬럼(111)이 해수면으로부터 완전히 이격될 정도로 제1 컬럼(110)을 들어올린 뒤에는 제2 단위 컬럼(112)으로부터 제1 단위 컬럼(111)을 분리시킴으로써(도 8 참조) 준설토의 매립 진행단계에 맞추어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100)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도록 한다.
제2 단위 컬럼(112)으로부터 제1 단위 컬럼(111)을 분리시킨 뒤에는 다시 준설토를 준설하여 준설토 투기장 내부로 투기하고,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해수(R)의 정화와 준설토의 침하압밀 과정을 계속 진행하도록 한다(도 9 참조).
본 실시예의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100)은 드레인홀을 천공함이 없이 자립설치가 가능하며, 준설토 투기장의 준설토 매립 진행 단계에 맞추어 효율적으로 파일(100)을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110 : 제1 컬럼
120 : 제1 커버 130 : 제2 컬럼
140 : 제1 오염물질 반응부 150 ; 제2 오염물질 반응부
160 : 컬럼지지부 170 : 제1 덮개
180 : 제2 덮개 190 : 제3 덮개

Claims (13)

  1. 준설토 투기장의 지반으로부터 지지되며 준설토 투기장 내의 해수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불 투수성 재질로 마련되는 중공형 제1 컬럼;
    상기 제1 컬럼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해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투수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1 커버;
    상기 제1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커버를 거치며 유입된 상기 해수가 하측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컬럼의 하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불 투수성 재질의 중공형 제2 컬럼;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컬럼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며 상기 해수 내의 오염물질이 정화될 수 있도록 오염물질에 대한 반응성을 갖는 제1 오염물질 반응부; 및
    상기 제2 컬럼 내부의 중공 부분에 충진되며 상기 제2 컬럼의 하단부로부터 유입되어 상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해수 내의 오염물질이 정화될 수 있도록 오염물질에 대한 반응성을 갖는 제2 오염물질 반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럼은,
    준설토 투기장에 매립되는 준설토의 매립 진행 단계에 따라 상부 단으로부터 차례로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단위 컬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컬럼은,
    제1 단위 컬럼; 및
    상기 제1 단위 컬럼의 하단부에서 상기 제1 단위 컬럼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단위 컬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컬럼은,
    하단부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위 컬럼은,
    상단부 둘레를 따라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선홈이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럼은,
    상기 제1 단위 컬럼과 상기 제2 단위 컬럼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밀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럼이 준설토 투기장의 지반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준설토 투기장의 지반에 관입되며 내부에 상기 제1 컬럼이 수용되는 컬럼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지지부는,
    상기 제1 컬럼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관입부재; 및
    상기 관입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염물질 반응부의 상단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불 투수성 재질의 제1 덮개; 및
    상기 제2 오염물질 반응부의 하단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투수성 재질의 제2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염물질 반응부의 상단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투수성 재질의 제3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럼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커버는 투수성 토목섬유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컬럼은 HDPE(High Densitity Polyethelene) 파이프 또는 PVC 파이프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염물질 반응부는,
    투수계수 10-3 ~ 10-1 cm/sec 범위를 만족하는 제강슬래그, 제올라이트 및 모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염물질 반응부는,
    투수계수 10-3 ~ 10-1 cm/sec 범위를 만족하는 제강슬래그 또는 제올라이트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13. 불 투수성 재질로 마련되며 준설토의 매립 진행 단계에 따라 상단부로부터 차례로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는 중공형 제1 컬럼과, 상기 제1 컬럼의 내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준설토 투기장 내의 해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투수성 재질로 마련되는 제1 커버와, 상기 제1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커버를 거치며 유입된 상기 해수가 하측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컬럼의 하단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불 투수성 재질의 중공형 제2 컬럼과,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컬럼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며 상기 해수 내의 오염물질이 정화될 수 있도록 오염물질에 대한 반응성을 갖는 제1 오염물질 반응부와, 상기 제2 컬럼 내부의 중공 부분에 충진되며 상기 제2 컬럼의 하단부로부터 유입되어 상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해수 내의 오염물질이 정화될 수 있도록 오염물질에 대한 반응성을 갖는 제2 오염물질 반응부를 포함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을 준설토 투기장의 지반에 설치하는 단계;
    준설토 투기장 내의 해수가 상기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며 정화될 수 있도록 준설토 투기장에 준설토를 단계별로 매립시키는 단계; 및
    매립된 준설토의 침하압밀 진행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컬럼을 상측으로 들어올리고 상부 단을 제거함으로써 배수 표면적을 확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을 이용한 준설토 투기장의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
KR1020100028129A 2010-03-29 2010-03-29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및 이를 이용한 준설토 투기장의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 KR101057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129A KR101057443B1 (ko) 2010-03-29 2010-03-29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및 이를 이용한 준설토 투기장의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129A KR101057443B1 (ko) 2010-03-29 2010-03-29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및 이를 이용한 준설토 투기장의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443B1 true KR101057443B1 (ko) 2011-08-17

Family

ID=4493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129A KR101057443B1 (ko) 2010-03-29 2010-03-29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및 이를 이용한 준설토 투기장의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4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933A (ko) * 2019-01-18 2020-07-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불포화대 지반모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802B1 (en) 2002-08-30 2003-10-08 Hyundai Engineering Co Ltd Double pile for purifying low permeable contaminated ground and method for purifying low permeable contaminated ground by using the same
KR100872463B1 (ko) 2007-10-15 2008-12-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반응성 복합투수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802B1 (en) 2002-08-30 2003-10-08 Hyundai Engineering Co Ltd Double pile for purifying low permeable contaminated ground and method for purifying low permeable contaminated ground by using the same
KR100872463B1 (ko) 2007-10-15 2008-12-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반응성 복합투수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933A (ko) * 2019-01-18 2020-07-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불포화대 지반모사장치
KR102238320B1 (ko) 2019-01-18 2021-04-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불포화대 지반모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2492B2 (en) Situ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dewatering and stabilization of waste material deposits in waste impoundments
CN1108883C (zh) 用潜埋式逆流池盛装沥滤液的系统和方法
Chu et al. Land reclamation using clay slurry or in deep water: challenges and solutions
US8926221B2 (en) Concurrent disposal and consolidation of dredged sediment using horizontal drains and vacuum loading
JP2006138197A (ja) 浸透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US9649675B2 (en) In-situ capping with no loss of water depth
JP2007231734A (ja) 浸透構造体
KR100932091B1 (ko) 방조제 내의 간척지 조성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설 구조
CN110080169A (zh) 一种基于地下室利用的围海造地的施工方法
US20100200516A1 (en) Concurrent disposal and consolidation of dredged sediment using horizontal drains and vacuum loading
US20070048088A1 (en) Method and assembly for withdrawing or supplying substances from/to a soil body
CN208219685U (zh) 一种石油烃污染土壤生物修复防渗结构
JP2006336434A (ja) 構造物の浮上沈下防止工法
JP2003261930A (ja) 水底軟弱地盤の圧密改良工法
KR101057443B1 (ko) 준설토 투기장에 사용되는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용 파일 및 이를 이용한 준설토 투기장의 반응성 컬럼 배수공법
WO2016114951A1 (en) In-situ capping with no loss of water depth
KR101459703B1 (ko) 준설토 투기장의 표층수 건조 및 표층 보강 공법
KR20100012273A (ko) 폐타이어 칩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배수구조
KR101080088B1 (ko) 생태환경을 고려한 저류지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RU2275457C2 (ru) Пойменный гидроотвал отходов предприятий
RU77619U1 (ru) Дренажная завеса
JP2007105618A (ja) 廃棄物処分場の遮水構造
KR101318368B1 (ko) 물이 배출되는 토목섬유저장튜브를 이용한 호안 매립용 가호안 구축 및 오염토 정화방법
Břenek et al. Decontamination of a waste dumpside of sp DIAMO.
RU2465076C1 (ru) Хранилище отходов заглубленного типа и способ его созд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