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436B1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436B1
KR101056436B1 KR1020090086547A KR20090086547A KR101056436B1 KR 101056436 B1 KR101056436 B1 KR 101056436B1 KR 1020090086547 A KR1020090086547 A KR 1020090086547A KR 20090086547 A KR20090086547 A KR 20090086547A KR 101056436 B1 KR101056436 B1 KR 101056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area
red
pixe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8910A (ko
Inventor
김창수
함윤식
정영로
정병화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6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436B1/ko
Publication of KR20110028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8Transparent cathodes, e.g. comprising thin metal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적색발광영역, 녹색발광영역 및 청색발광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적색발광영역 상에 제 1 층, 제 2 층 및 제 3 층을 포함하는 적색화소전극; 상기 기판 상의 녹색발광영역 상에 제 1 층 및 제 2 층을 포함하는 녹색화소전극; 상기 기판 상의 청색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 1 층을 포함하는 청색화소전극; 및 상기 기판 전면에 위치하는 대향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적색화소전극, 녹색화소전극 및 청색화소전극과 상기 대향전극 사이에는 각각 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적색발광영역 및 녹색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 1 층 가장자리영역은 절연층이 둘러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적색발광영역, 녹색발광영역 및 청색발광영역을 포함하는 기판을 제공하고, 상기 적색발광영역 및 녹색발광영역 상에 제 1 층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적색발광영역 및 녹색발광영역의 제 1 층 상에 각각 제 2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적색발광영역 상의 제 2 층 상에 제 3 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의 청색발광영역 상에 제 1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적색발광영역의 제 3 층, 상기 녹색발광영역의 제 2 층 및 상기 청색발광영역의 제 1 층 상에는 각각 발광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 전면에 걸쳐 대향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적색발광영역 및 녹색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 1 층 가장자리 영역은 절연층이 둘러싸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90086547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화소전극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the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적색발광영역, 녹색발광영역, 청색발광영역을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적색, 녹색, 청색 발광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각 발광영역의 화소전극의 차등두께 적용시 화소전극의 식각공정에서 발생하는 화소전극의 부식에 의한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특히 청색발광영역의 화소전극을 식각공정없이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공정으로 화소전극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발광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제 1전극, 상기 제 1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1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 1전극과 상기 제 2전극 간에 전압을 인가하면 정공은 상기 제1전극으로부터 상기 유기발광층 내로 주입되고, 전자는 상기 제 2전극으로부터 상기 유기발광층 내로 주입된다. 상기 유기발광층 내로 주입된 정공과 전자는 상기 유기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exiton)을 생성하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 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전이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된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 1전극은 반사형 즉, 빛을 반사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 2전극은 투과형 즉, 빛을 투과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유기발광층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상기 제 2전극 방향으로 방출시키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형 제 1전극으로는 반사특성이 우수하고 적절한 일함수를 가지는 도전물질이 적당하나, 이러한 특성들을 동시에 만족하고 적용가능한 단일물질은 현재 없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현재 상기 반사형 제 1전극을 다층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특성들을 만족시키고 있다.
종래의 기술은 제 1전극 물질로 은(Ag)을 증착하는데, ITO(indium tin oxide)막을 적층하여 형성하기도 한다. 이러한 제 1전극에 있어서, 상기 ITO막은 높은 일함수를 가질 뿐 아니라 투명하며, 은(Ag)은 반사특성이 우수한 막이다. 따라서, 상기 제 1전극은 유기발광층으로 정공을 수월하게 주입할 뿐 아니라, 상기 유기발광층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효율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하부 ITO막, 은(Ag) 및 상부 ITO막으로 적층된 제 1전극은 인산, 질산, 초산 등으로 된에천트(etchant)로 상기 제 1전극을 식각함에 있어서, 상기 ITO막(12a,12b)과 은(Ag)의 식각 속도의 차이가 있고, 특히 은(Ag)의 경우는 아주 짧은 시간에 식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적색, 녹색 및 청색발광영역을 구비하는 풀칼라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있어서,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의 발광효율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를 해 결하고자 제 1 전극을 발광영역별로 차등두께로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차등두께로 전극형성시 상기와 같은 식각에 의한 전극 손상의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적색발광영역, 녹색발광영역, 청색발광영역을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적색, 녹색, 청색 발광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각 발광영역의 화소전극의 차등두께 적용시 화소전극의 식각공정에서 발생하는 화소전극의 부식에 의한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간단한 공정으로 화소전극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발광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적색발광영역, 녹색발광영역 및 청색발광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적색발광영역 상에 제 1 층, 제 2 층 및 제 3 층을 포함하는 적색화소전극; 상기 기판 상의 녹색발광영역 상에 제 1 층 및 제 2 층을 포함하는 녹색화소전극; 상기 기판 상의 청색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 1 층을 포함하는 청색화소전극; 상기 기판 전면에 위치하는 대향전극; 상기 적색화소전극, 녹색화소전극 및 청색화소전극과 상기 대향전극 사이에는 각각 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적색발광영역 및 녹색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 1 층 가장자리영역은 절연층이 둘러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적색발광영역, 녹색발광영역 및 청색발광영역을 포함하는 기판을 제공하고, 상기 적색발광영역 및 녹색발광영역 상에 제 1 층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적 색발광영역 및 녹색발광영역의 제 1 층 상에 각각 제 2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적색발광영역 상의 제 2 층 상에 제 3 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의 청색발광영역 상에 제 1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적색발광영역의 제 3 층, 상기 녹색발광영역의 제 2 층 및 상기 청색발광영역의 제 1 층 상에는 각각 발광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 전면에 걸쳐 대향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적색발광영역 및 녹색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 1 층 가장자리 영역은 절연층이 둘러싸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적색발광영역, 녹색발광영역 및 청색발광영역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발광효율을 최대화 시키기 위하여, 적색발광영역, 녹색발광영역 및 청색발광영역의 화소전극의 두께를 각각 다르게하며, 상기 화소전극 형성에 있어서, 식각공정을 최소화 하여 손실을 감소시킴으로써 불량율의 저감과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실시예1)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적색발광영역(a), 녹색발광영역(b) 및 청색발광영역(c)를 구비하는 기판(100)을 제공하고, 상기 기판의 적색발광영역(a) 및 녹색발광영역(b) 상에 각각 제 1 층(101a, 101b)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층은 투명전도막과 반사금속막이 적층된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하부투명전도막/반사금속막/상부투명전도막의 3층막 구조이다.
상기 제 1 층의 하부투명전도막은 소정의 소자가 구비된 상기 기판(100) 상의 물질, 예를 들면 평탄화막(도시하지 않음)과 제 1전극에 포함되어 있는 은(Ag)같은 반사금속막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평탄화막과 Ag사이에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은(Ag)이 직접 평탄화막 등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접촉특성이 좋지 않아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이때, 하부투명전도막으로 사용 가능한 물질은 ITO,IZO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투과성 전도막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층을 구성하는 반사금속막으로써 사용가능한 물질로는, 일함수가 낮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 alloy), 은(Ag) 및 은 합금(Ag alloy)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투명전도막은 전도성이 있고, 일함수가 높은 투명전도막으로써, ITO, IZO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투과성 전도막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ITO는 식각공정시 은(Ag)의 표면을 보호하여,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100) 상의 적색발광영역(a)과 녹색발광영역 상에 절연층(102)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절연층(102)은 폴리 이미드계 수지나, 폴리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상기 적색발광영역 및 녹색발광 영역의 제 1 층(101a, 101b)의 가장자리를 덮는 형태로 형성한다. 그 이유는 이후 상부에 형성될 제 2 층 및 제 3 층을 패터닝시 사용되는 에천트가 제 1 층에 포함된 반사금속막인, 예를 들어, Ag과 접촉하게 되면 갈바닉반응을 일으켜 부식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에,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100) 상의 적색발광영역(a) 녹색발광영역(b)의 제 1 층(101a, 101b) 상에 제 2 층(103a, 103b)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층은 전도성이 있고, 일함수가 높은 투명전도막으로써, ITO 또는 IZO를 사용하여 제 1 층(101a, 101b) 상에 대응되게 패터닝하여 형성하며, 본 발명에서는 ITO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나서, 상기 도 1d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100)의 적색발광영역(a) 상에 제 3 층(104a)을 형성한다. 상기 제 3 층(104a)은 전도성을 갖으며, 일함수가 높은 투명전도막으로써, ITO 또는 IZO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ITO를 사용하였다.
그 후에, 도 1e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100) 상에 청색발광영역(c)에 위치하는 제 1 층(105)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층은 상기 적색발광영역(a) 및 녹색발광영역(b)에 위치하는 제 1 층(101a,101b)과 동일하게 투명전도막과 반사금속막이 적층된 구조로, 본원발명에서는 하부투명전도막/반사금속막/상부투명전도막의 3층막으로 형성한다. 이때, 하부투명전도막으로 사용 가능한 물질은 ITO,IZO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투과성 전도막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층을 구성하는 반사금속막으로써 사용가능한 물질로는, 일 함수가 낮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 alloy), 은(Ag) 및 은 합금(Ag alloy)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투명전도막은 전도성을 있고, 일함수가 높은 투명전도막으로써, ITO, IZO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투과성 전도막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ITO는 식각공정시 은(Ag)의 표면을 보호하여,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적색발광영역(a)에는 제 1 층(101a), 제 2 층(103a) 및 제 3 층(104a)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형성한 적색화소전극(10), 녹색발광영역(b)에는 제 1 층(101b) 및 제 2 층(103b)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형성한 녹색화소전극(20), 청색발광영역(b)에는 제 1 층(105)으로 형성한 청색화소전극(30)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적색발광영역, 녹색발광영역 및 청색발광영역의 화소전극을 일괄적으로 패터닝한 후, 식각공정을 통하여 전극의 두께를 조절하는 방법과는 상이하게,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청색발광영역의 화소전극을 가장 늦게 형성함으로써, 청색발광영역의 화소전극을 식각공정 없이 적색발광영역 및 녹색발광영역의 화소전극과 상이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으며, 화소전극의 식각공정을 최소화 하였기에 불량이 낮은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f를 참조하면, 그리고 나서, 상기 기판(100)에 각 화소를 정의하는 화소정의막(106)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100) 전면에 걸쳐 정공주입층(107)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정공주입층(107) 상에 정공수송층(108)을 형성하고, 상기 적색발광영역(a), 녹색발광영역(b) 및 청색발광영역(c)에 각각 대 응하는 적색발광층(109a), 녹색발광층(109b) 및 청색발광층(109c)를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기판(100) 전면에 걸쳐 전자 수송층(110)를 형성하고, 상기 기판(100) 전면에 걸쳐 대향전극(111) 을 형성한다. 상기 대향전극(111)은 반투과성금속막이며, 마그네슘(Mg)막, 은(Ag)막, 마그네슘막과 은막의 혼합막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1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완성한다.
(실시예 2)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적색발광영역(a), 녹색발광영역(b) 및 청색발광영역(c)를 구비하는 기판(200)을 제공하고, 상기 기판의 적색발광영역(a) 및 녹색발광영역(b) 상에 각각 제 1 층(201a, 201b)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층은 투명전도막과 반사금속막이 적층된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하부투명전도막/반사금속막/상부투명전도막의 3층막 구조이다.
상기 제 1 층의 하부투명전도막은 소정의 소자가 구비된 상기 기판(100) 상의 물질, 예를 들면 평탄화막(도시하지 않음)과 제 1전극에 포함되어 있는 은(Ag)같은 반사금속막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평탄화막과 Ag사이에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은(Ag)이 직접 평탄화막 등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접촉특성이 좋지 않아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 이때, 하부투명전도막으로 사용 가능한 물질은 ITO,IZO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투과성 전도막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층을 구성하는 반사금속막으로써 사용가능한 물질로는, 일함수가 낮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 alloy), 은(Ag) 및 은 합금(Ag alloy)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투명전도막은 전도성이 있고, 일함수가 높은 투명전도막으로써, ITO, IZO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투과성 전도막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ITO는 식각공정시 은(Ag)의 표면을 보호하여,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200) 상의 적색발광영역(a)과 녹색발광영역 상에 절연층(202)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절연층(202)은 폴리 이미드계 수지나, 폴리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상기 적색발광영역 및 녹색발광영역의 제 1 층(201a, 201b)의 가장자리를 덮는 형태로 형성한다. 그 이유는 이후 상부에 형성될 제 2 층 및 제 3 층을 패터닝시 사용되는 에천트가 제 1 층에 포함된 반사금속막인, 예를 들어, Ag과 접촉하게 되면 갈바닉반응을 일으켜 부식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연층을 형성할 때 적색발광영역(a)의 제 1층(201a) 상부에는 절연층 패턴(202a)이 남도록 한다. 그 이유는 적색발광영역의 화소전극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발광효율개선을 위한 추가적인 전극형성 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층을 형성할 때 적색발광영역(a)의 제 1층(201a) 상부에는 절연층 패턴(202a)이 남도록 한다. 그 이유는 적색발광영역의 화소전극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발광효율개선을 위한 추가적인 전극형성 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 는 효과가 있다.
이후에,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200) 상의 적색발광영역(a) 녹색발광영역(b)의 제 1 층(201a, 201b) 상에 제 2 층(203a, 203b)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층은 전도성이 있고, 일함수가 높은 투명전도막으로써, ITO 또는 IZO를 사용하여 제 1 층(201a, 201b) 상에 대응되게 패터닝하여 형성하며, 본 발명에서는 ITO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나서,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200) 상에 청색발광영역(c)에 위치하는 제 1 층(204)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층은 상기 적색발광영역(a) 및 녹색발광영역(b)에 위치하는 제 1 층(201a,201b)과 동일하게 투명전도막과 반사금속막이 적층된 구조로, 본원발명에서는 하부투명전도막/반사금속막/상부투명전도막의 3층막으로 형성한다. 이때, 하부투명전도막으로 사용 가능한 물질은 ITO, IZO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투과성 전도막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층을 구성하는 반사금속막으로써 사용가능한 물질로는, 일함수가 낮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 alloy), 은(Ag) 및 은 합금(Ag alloy)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투명전도막은 전도성을 있고, 일함수가 높은 투명전도막으로써, ITO, IZO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투과성 전도막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ITO는 식각공정시 은(Ag)의 표면을 보호하여,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적색발광영역(a)에는 제 1 층(101a) 및 제 2 층(103a)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형성한 적색화소전극(10), 녹색발광영역(b)에는 제 1 층(201b) 및 제 2 층(203b)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형성한 녹색화소전극(20), 청색발광영역(b)에는 제 1 층(204)으로 형성한 청색화소전극(30)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적색발광영역, 녹색발광영역 및 청색발광영역의 화소전극을 일괄적으로 패터닝한 후, 식각공정을 통하여 전극의 두께를 조절하는 방법과는 상이하게,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청색발광영역의 화소전극을 가장 늦게 형성함으로써, 청색발광영역의 화소전극을 식각공정 없이 적색발광영역 및 녹색발광영역의 화소전극과 상이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으며, 화소전극의 식각공정을 최소화 하였기에 불량이 낮은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2e를 참조하면, 그리고 나서, 상기 기판(200)에 각 화소를 정의하는 화소정의막(205)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200) 전면에 걸쳐 정공주입층(206)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정공주입층(206) 상에 정공수송층(207)을 형성하고, 상기 적색발광영역(a), 녹색발광영역(b) 및 청색발광영역(c)에 각각 대응하는 적색발광층(108a), 녹색발광층(108b) 및 청색발광층(108c)를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기판(200) 전면에 걸쳐 전자 수송층(209)를 형성하고, 상기 기판(200) 전면에 걸쳐 대향전극(210) 을 형성한다. 상기 대향전극(210)은 반투과성금속막이며, 마그네슘(Mg)막, 은(Ag)막, 마그네슘막과 은막의 혼합막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 2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완성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형성하면, 적색, 녹색, 청색발광영역의 화소전극의 두께를 손상없이 차등화 시켜 각 발광층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공정에서 청색발광영역의 화소전극을 여러 차례 식각하여 전극에 손상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청색발광영역의 화소전극을 식각공정 없이 간단한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고, 불량없이 발광효율을 최대화 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완성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Claims (18)

  1. 적색발광영역, 녹색발광영역 및 청색발광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적색발광영역 상에 제 1 층, 제 2 층 및 제 3 층을 포함하는 적색화소전극;
    상기 기판 상의 녹색발광영역 상에 제 1 층 및 제 2 층을 포함하는 녹색화소전극;
    상기 기판 상의 청색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 1 층을 포함하는 청색화소전극; 및
    상기 기판 전면에 위치하는 대향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적색화소전극, 녹색화소전극 및 청색화소전극과 상기 대향전극 사이에는 각각 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적색발광영역 및 녹색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 1 층 가장자리영역은 절연층이 둘러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화소전극, 녹색화소전극 및 청색화소전극은 동일한 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발광영역, 녹색발광영역 및 청색발광영역의 제 1 층은 동일한 구조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발광영역, 녹색발광영역의 및 청색발광영역의 제 1 층은 투명전도막과 반사금속막이 적층되어진 복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발광영역 및 녹색발광영역 상의 제 2 층은 투명전도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6. 적색발광영역, 녹색발광영역 및 청색발광영역을 포함하는 기판을 제공하고,
    상기 적색발광영역 및 녹색발광영역 상에 제 1 층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적색발광영역 및 녹색발광영역의 제 1 층 상에 각각 제 2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적색발광영역 상의 제 2 층 상에 제 3 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의 청색발광영역 상에 제 1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적색발광영역의 제 3 층, 상기 녹색발광영역의 제 2 층 및 상기 청색발광영역의 제 1 층 상에는 각각 발광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 전면에 걸쳐 대향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적색발광 영역 및 녹색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 1 층 가장자리 영역은 절연층이 둘러싸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발광영역, 녹색발광영역 및 청색발광영역의 제 1 층은 동일한 면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발광영역, 녹색발광영역 및 청색발광영역의 제 1 층은 투명전도막과 반사금속막을 적층하여 복층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발광영역 및 상기 녹색발광영역의 제 2 층 및 상기 녹색발광영역의 제 3층은 투명전도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0. 적색발광영역, 녹색발광영역 및 청색발광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적색발광영역 상에 제 1 층 및 제 2 층으로 이루어진 적색화소전극;
    상기 기판 상의 녹색발광영역 상에 제 1 층 및 제 2 층으로 이루어진 녹색화소전극;
    상기 기판 상의 청색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 1 층으로 이루어진 청색화소전극; 및
    상기 기판 전면에 걸쳐 위치하는 대향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적색화소전극, 녹색화소전극 및 청색화소전극과 상기 대향전극 사이에는 각각 발광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색화소전극 및 녹색화소전극의 제 1 층의 가장자리영역은 절연층이 둘러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적색화소전극의 제 1 층과 제 2 층 사이에는 절연층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화소전극의 제 1 층, 녹색화소전극의 제 1 층 및 청색발화소전극의 제 1 층은 동일한 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화소전극, 녹색화소전극 및 청색화소전극의 제 1층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화소전극, 녹색화소전극 및 청색화소전극의 제 1층은 투명전도막과 반사금속막이 적층된 복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발광영역 및 녹색발광영역 상의 제 2 층은 투명전도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15. 적색발광영역, 녹색발광영역 및 청색발광영역을 포함하는 기판을 제공하고,
    상기 적색발광영역 및 녹색발광영역 상에 제 1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적색발광영역 및 녹색발광영역의 제 1 층 상에 제 2 층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기판의 청색발광영역 상에 제 1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적색발광영역의 제 2 층, 상기 녹색발광영역의 제 2 층 및 상기 청색발광영역의 제 3 층 상에는 각각 발광층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 전면에 걸쳐 대향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적색발광영역 상기 적색발광영역 및 녹색발광영역 상에 위치하는 제 1 층 가장자리영역은 절연층이 둘러싸고 있도록 형성하며, 상기 적색발광영역의 제 1 층 및 제 2 층 사이에는 절연층 패턴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발광영역, 녹색발광영역 및 청색발광영역의 제 1층은 동일한 면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발광영역, 녹색발광영역 및 청색발광영역의 제 1 층은 투명전도막과 반사금속막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발광영역 및 상기 녹색발광영역의 제 2 층 및 상기 녹색발광영역의 제 3층은 투명전도막으로 단일층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90086547A 2009-09-14 2009-09-14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56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547A KR101056436B1 (ko) 2009-09-14 2009-09-14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547A KR101056436B1 (ko) 2009-09-14 2009-09-14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910A KR20110028910A (ko) 2011-03-22
KR101056436B1 true KR101056436B1 (ko) 2011-08-11

Family

ID=4393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547A KR101056436B1 (ko) 2009-09-14 2009-09-14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4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0507A (zh) * 2019-01-09 2019-05-3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Oled显示基板及制备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323356B (zh) * 2019-05-08 2021-11-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基板及制造方法、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614A (ko) * 2003-04-08 2004-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50014437A (ko) * 2003-07-31 2005-0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와, 이를 이용한 평판 표시 장치와,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614A (ko) * 2003-04-08 2004-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50014437A (ko) * 2003-07-31 2005-0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와, 이를 이용한 평판 표시 장치와,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910A (ko) 201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1165C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0454570C (zh) 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100782458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23641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electrodes of subpixels with different thickness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02430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35054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KR101349143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US20150214510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67081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0233284A1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20130071823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473590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KR2012000321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54339B1 (ko)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37272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5183209A (ja) 有機el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92384A (ja) 有機el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KR101056436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9244260B (zh) 一种显示面板的制备方法
JP2010010111A (ja) 有機el表示装置及び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1034931A (ja) 有機el表示装置
JP2010153171A (ja) 有機el装置
JP5313769B2 (ja) 積層基板および発光素子の製造方法
JP4789737B2 (ja) 有機el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023544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