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102B1 -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102B1
KR101056102B1 KR1020087018252A KR20087018252A KR101056102B1 KR 101056102 B1 KR101056102 B1 KR 101056102B1 KR 1020087018252 A KR1020087018252 A KR 1020087018252A KR 20087018252 A KR20087018252 A KR 20087018252A KR 101056102 B1 KR101056102 B1 KR 101056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er
server
equipment
service
side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8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8613A (ko
Inventor
요시히코 도쿠나가
도모유키 하타나카
도모히로 오다
요시유키 고모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89600A external-priority patent/JP40791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00489A external-priority patent/JP4079176B2/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88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5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30Types of network names
    • H04L2101/365Application layer names, e.g. buddy names, unstructured names chosen by a user or home appliance name

Abstract

설비 기기의 원격 제어나 원격 감시에 적절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 서버에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이 요구되면, 서버는 설비 기기에 대하여 설비 측 오브젝트의 실행을 요구한다.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의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는, 그 서버 측 오브젝트에 부여된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행해지고, 설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는 그 설비 측 오브젝트에 부여된 제2 식별자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서버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를 설정하는 식별자 설정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의 부담을 경감하고, IP 어드레스 등의 설비 기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도,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설비 기기의 변경이나 증설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시스템{NETWORK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설비 기기를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 서버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 및 감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IPv6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 기기(terminal device)로부터, 비-IP(non-IP)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설비 기기를 제어/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비-IP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설비 기기의 인터페이스 ID와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IPv6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ID를 취득하고, 이들 ID로부터 IPv6 어드레스를 생성하며, 이 생성한 어드레스와 식별 정보의 대응 관계를 관리함으로써, 비-IP 네트워크의 설비 기기와 IPv6 네트워크의 단말 기기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게이트웨이(gateway)를 포함한다. 이러한 게이트웨이를 사용함으로써, 기기의 제어나 감시를 단말 기기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종류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일본특허 공개번호 제2003-6066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비-IPv6의 설비 기기를 사용하는 이러한 시스템에서, IPv6 네트워크의 단말 기기는 송신처의 IPv6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헤더(header)를 가진 패킷(packet)을 전송한다. 게이트웨이에서, IPv6 어드레스는 비-IPv6 설비 기기에 할당된다. 따라서, 단말 기기가 복수의 설비 기기에 액세스 를 행하는 경우, 설비 기기의 각각에 대응하는 IPv6 어드레스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 즉, IPv6 어드레스를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동일한 동작을 행하는 설비 기기를 추가하는 경우라도, 추가되는 설비 기기에 대응하는 IPv6 어드레스가 별도로 필요하다. 따라서, 하나의 식별자로 복수 개의 설비 기기를 제어 또는 감시하는 조작은 불편하며, 하나의 설비 기기에 복수 개의 식별자를 할당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또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설비 기기의 증설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비 기기의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하는 IP 어드레스 등과 같은 고유의 식별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도,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설비 기기의 증설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동시에,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에 제공하는 서비스를 설비 기기의 변경 없이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설비 기기의 제어나 감시에 적합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설비 기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 및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와 설비 기기의 사이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서버를 포함하고,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가 서버에 대하여 서버 측 오브젝트(server-side object)의 실행을 요구하고, 그 결과 서버가 설비 기기에 대하여 설비 측 오브젝트(equipment-side object)의 실행을 요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의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는 서버 측 오브젝트에 부여된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행해지고, 서버로부터의 설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는 설비 측 오브젝트에 부여된 제2 식별자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제2 식별자는,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 제1 식별자를 사용하는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에 의해 설비 측 오브젝트를 실행하는 설비 기기의 기능에 따라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서버는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를 설정하는 식별자 설정부(identifier setting portion)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면, 클라이언트(즉, 사용자)는 설비 기기의 네트워크 통신에 사용하는 IP 어드레스 등과 같은 고유의 식별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도 설비 기기의 제어나 감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복수 개의 설비 기기의 오브젝트에 동일한 제2 식별자를 부여함으로써 복수 개의 설비 기기로부터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단일의 설비 기기가 상이한 제2 식별자를 갖는 복수 개의 오브젝트를 구비하는 경우, 특정한 설비 기기에 의해 특정한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와 서버 사이의 통신량(communication traffic)을 변경하지 않고도, 설비 기기로부터 매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설비 기기의 증가, 감소, 또는 변경이 있는 경우에도,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그리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복수 개의 설비 측 오브젝트에 대응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 측의 부담을 경감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에 의해 설비 기기가 설비 측 오브젝트를 실행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서버 측 오브젝트의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설비 측 오브젝트의 제2 식별자의 수, 즉 서버 측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설비 측 오브젝트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2 식별자는 설비 측 오브젝트의 고유 식별자와 설비 기기의 기능에 따라 정의되는 인터페이스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식별자 설정부에는,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구성하는 고유 식별자 및 인터페이스 식별자 중 적어도 한쪽 간의 대응 관계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식별자로서 고유 식별자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정의 설비 기기가 설비 측 오브젝트를 실행하여 얻어지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식별자로서 인터페이스 식별자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서비스 기능을 갖는 복수 개의 설비 기기가 설비 측 오브젝트를 실행하여 얻어지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식별자는 서버 측 오브젝트의 고유 식별자(OID)와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의 내용에 따라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식별자(IID)를 포함하고, 제2 식별자는 설비 측 오브젝트의 고유 식별자(OID)와 설비 기기의 기능에 따라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식별자(IID)를 포함한다. 또한, 식별자 설정부에는, 제1 식별자를 구성하는 고유 식별자 및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식별자의 조합과, 제2 식별자를 구성하는 고유 식별자 및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식별자의 조합 간의 대응 관계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설비 측 오브젝트에 부여되는 제2 식별자의 인터페이스 식별자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특정한 설비 기기가 가지는 복수 개의 기능을 실행시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측 오브젝트에 부여되는 제1 식별자의 인터페이스 식별자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설비 기기의 변경에 의하지 않고도,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에 제공되는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설비 기기가 상이한 제2 식별자가 부여된 설비 측 오브젝트를 갖는 복수 개의 설비 기기를 포함하는 경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 제1 식별자를 사용하는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에 따라, 서버가 상이한 제2 식별자를 사용하여 설비 기기에 대하여 설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를 행하도록,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를 식별자 설정부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설비 기기는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 단일의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이한 종류의 설비 기기를 한번에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설비 기기가 상이한 제2 식별자가 부여된 복수 개의 설비 측 오브젝트를 갖는 설비 기기를 포함하는 경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 제1 식별자를 사용하는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에 따라, 서버가 상이한 제2 식별자를 사용하여 설비 기기에 대하여 설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를 행하도록,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를 식별자 설정부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 단일의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에 따라, 단일의 설비 기기에 대하여 복수 개의 설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를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해 설비 기기의 원격 감시를 행하는 경우, 서버는, 설비 측 오브젝트를 설비 기기가 실행한 결과로서 얻은 데이터를 설비 기기로부터 취득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데이터 수신부에 의해 취득한 데이터에 따라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를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에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버는,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에 따라, 설비 기기가 설비 측 오브젝트를 실행하여 얻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서버 측 오브젝트에 따라 정의되는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로 변환하여,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는, 데이터 수신부에 의해 취득한 데이터로부터, 미리 결정된 조건에 따라,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한 후,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로서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에 제공되는 정보를 감소시킴으로써, 클라이언트가 희망하는 서비스에 부합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식별자는 서버 측 오브젝트의 고유 식별자와,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의 내용에 따라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식별자를 포함하고, 서버는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에서의 인터페이스 식별자의 수를,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가 요구하는 내용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서버 측 오브젝트에 부여되는 제1 식별자의 인터페이스 식별자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설비 기기 측의 변경에 의하지 않고도,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에 송신되는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의 증가 또는 감소에 대응할 수 있다. 요컨대,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의 증가 또는 감소에 대응하여,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의 정보를 정의하는 오브젝트의 입출력 정의 기능(인터페이스 식별자)의 수가 변경된다.
또한, 제1 식별자는 서버 측 오브젝트의 고유 식별자와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의 내용에 따라 정의되는 인터페이스 식별자를 포함하고, 서버는 인터페이스 식별자가 가지는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의 정의(definition)의 수를,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가 요구하는 내용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에 송신되는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의 증가 또는 감소에 대해, 설비 기기 측의 변경에 의하지 않고 대응할 수 있다. 요컨대, 서버 측 오브젝트의 입출력 정의 기능(인터페이스 식별자)에 의해 정의한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의 정보의 수가,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의 증가 또는 감소에 대응하여 변경된다.
또한, 설비 기기의 원격 감시에 적합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비 기기는, 설비 기기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기능부와, 설비 측 오브젝트에서 정의되어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정보의 송수신을 기능부에서 행하도록 하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한다. 서버는,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를 수신하는 서비스 제공 기능부와, 제2 식별자를 사용하여 설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를 설비 기기에 대해 네트워크를 통해 행하는 동시에,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의 송수신을 설비 기기에 대해 행하는 서비스 요구 기능부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는, 정보를 사용하여 작성한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를 서비스 요구 기능부로부터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기능부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오브젝트에서 정의되는 정보로서, 설비 측 오브젝트가 서버의 요구에 따라 액세스 되었을 때 서버에 회신하는 기능부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변수, 설비 측 오브젝트가 서버에 의해 미리 액세스되어 있는 경우, 기능부의 상태가 변화되었을 때 서버에 송신되는 이벤트 정보, 또는 설비 측 오브젝트가 서버로부터 액세스 되었을 때 기능부에 대하여 정보 처리부로부터 주어지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동작 지시용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기능부는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한 정의를 가지며, 서비스 요구 기능부는, 설비 기기로부터 취득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와 서비스 제공 기능부의 정의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컨대, 설비 기기에 요구된 서비스의 정보와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에 사용하는 정보 사이의 변환이,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에 사용하는 정보의 정의에 따라 실행된다. 이 경우, 설비 기기 측의 변경에 의하지 않고, 서버 측 오브젝트와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변경만으로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를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설비 기기,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 및 서버를 포함하며, 서버는,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 설비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요구를 받으면, 이 요구에 대응하여 설비 기기에 대하여 서비스의 제공 실행의 요구를 행하는 동시에, 설비 기기에 의해 실행된 서비스에 따라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에 대하여 요구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하여, 설비 기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 및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설비 기기는, 설비 기기의 제공 서비스의 처리를 행하는 기능부와, 제공 서비스에 사용하는 정보를 정의하고, 정의에 따라 정보의 송수신을 기능부에 대하여 실행하기 위한 오브젝트를 가지며, 또한 오브젝트 식별자를 오브젝트에 부여하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한다. 서버는, 설비 기기의 정보 처리부가 갖는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자를 사용하여 오브젝트의 실행의 요구를 서비스 요구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설비 기기에 대해 행하는 동시에, 요구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의 송수신을 설비 기기에 대해 행하는 서비스 요구 기능부와, 서비스 요구 기능부에 대하여, 요구한 서비스의 정보의 송수신을 실행하는 오브젝트를 가지고, 또한 오브젝트에 서버 오브젝트 식별자를 부여하며, 서버 오브젝트 식별자를 사용하여 오브젝트의 실행의 요구를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 수신하면, 오브젝트를 실행하는 서비스 제공 기능부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는, 서버의 서비스 제공 기능부가 가지는 오브젝트의 서버 측 오브젝트 식별자를 사용하여 오브젝트의 실행의 요구를 서비스 요구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대해 행하는 동시에, 오브젝트의 실행에 의해 획득한 정보에 따라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기능을 갖는다. 서버의 서비스 제공 기능부는,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의 증가 또는 감소에 대응하여,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의 정보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앞서 언급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면, 서버의 서비스 제공 기능부에서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의 정보의 수를 변경함으로써, 설비 기기의 변경 없이,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에 제공되는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의 증가 또는 감소가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설비 기기,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 및 설비 기기와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제공된 서버를 포함한다. 설비 기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 및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설비 기기는,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부와, 제어 정보를 정의하고 이러한 정의에 따라 제어 정보를 기능부에 제공하는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설비 측 오브젝트를 갖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한다. 설비 측 오브젝트에 부여된 식별자를 사용하여 설비 측 오브젝트에 대한 실행 요구가 서버로부터 수행되면, 정보 처리부는 설비 측 오브젝트의 실행에 의해 제어 정보를 기능부에 제공한다. 서버는 설비 측 오브젝트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서버 측 오브젝트를 가진다.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 서버 측 오브젝트에 대한 실행 요구가 있으면, 서버의 서비스 기능부는 대응하는 식별자를 사용하여 설비 측 오브젝트에 대한 실행 요구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설비 기기에 대해 수행한다.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는, 서버 측 오브젝트에 대한 실행 요구를 서버 측 오브젝트에 부여되어 있는 식별자를 사용하여 행하는 기능과, 서버로부터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기능을 가진다. 서버의 서비스 기능부는,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 서버 측 오브젝트에 대한 실행 요구에 의해 동작되는 설비 기기의 서비스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서버 측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설비 측 오브젝트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면,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가 서버의 서버 측 오브젝트에 대한 하나의 실행 요구를 수행하는 경우, 서버 측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설비 측 오브젝트에 대한 실행 요구가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와 서버 측 사이의 통신량을 변경하지 않고도, 설비 측 오브젝트의 실행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서비스가 복수 개의 설비 기기로부터 동시에 제공되는 경우라도,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복수 개의 설비 측 오브젝트에 대한 대응을 행할 필요도 없다. 또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의 증설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로운 특징 및 이에 의해 생기는 효과는, 이하에 설명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및 실시예로부터 더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사용되는 센터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사용되는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의 개략도이며, 도 2B는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의 클라이언트 플랫폼의 구성도이다.
도 3A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사용되는 설비 기기의 개략도이며, 도 3B는 설비 기기에 탑재된 M0S의 구성도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6A는 제2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사용되는 설비 기기의 기본 구성도이며, 도 6B는 설비 기기에 탑재된 M0S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사용된는 게이트웨이의 구성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사용된는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의 개략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제2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제1 실시형태에서는, 설비 기기를 원격 감시하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2 실시형태 및 제3 실시형태에서는, 설비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A는 제1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 네트워크 시스템은, 오픈 네트워크인 인터넷(1)에 접속되어 있는 퍼스널 컴퓨터 또는 인터넷(1)에 접속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모바일 통신 단말 기기 등의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와, 인터넷(1)에 접속되어 있는 후술하는 오브젝트 액세스 서버(object access server)[이하, "OAS"라고 함](7)의 기능을 갖는 센터 서버(3)와, 사용자 영역 A 내의 LAN(local area network)(4)과 인터넷(1) 사이에 접속되고 인터넷(1)과 LAN(4) 사이의 프로토콜 변환 기능 등을 포함하는 OAS(7)의 기능을 갖는 게이트웨이(5)와, 사용자 영역 A 내의 빌딩이나 주택 등에 설치되고 LAN(4)에 의해 접속되는 각종 설비 기기(6)[도시한 예에서는, 3개의 설비 기기(6a~6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는, 네트워크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부(20)와, 연산 처리부(21)와, 키보드나 디스플레이 등의 입출력부(22)와, 네트워크 시스템에 제공되는 서비스를 받기 위한 클라이언트용 소프트웨어[즉, 오브젝트 액세스 라이브러리(Object Access Library), 이하 "OAL"이라고 함] 또는 클라이언트용 애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 등을 설치하고 데이터의 일시 기억에 사용하는 기억부(23)를 포함한다. 연산 처리부(21)는, OAL을 실행함으로써 인터넷(1)과 LAN(4) 상의 노드 검출을 실행한다. 또한, 연산 처리부(21)는 후술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액세스를 행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는 센터 서버(3)에 탑재되는 OAS(7)의 클라이언 트 제공용 서비스를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가 원하는 형태로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A에는 버스(24)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는, 후술하는 식별자를 개별적으로 지정하는 식별자 지정부(identifier specifying portion)(26)(식별자 지정 기능)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가 입출력부(22)를 통해 입력한 서비스 요구를 위한 정보에 따라 소정의 식별자가 지정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 클라이언트용 애플리케이션과 OAL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플랫폼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OAL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4)과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 기능(10), 네트워크 상에 오브젝트를 설치하는 설비 기기를 검출하기 위한 노드 검출 기능(11), 오브젝트 요구 기능(12),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프로바이더 기능(13), 및 OAL 플랫폼에 대한 전송 조건(15)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되는 설비 기기(6: 6a~6c)는 사용자 영역 A 내의 주택이나 빌딩에 배치될 수 있다. 빌딩에 배치되는 설비 기기로는, 조명 설비나 공기 조화 설비 등의 환경 설비, 재난 방지 설비, 이들 설비에 사용하는 온도 센서, 휘도 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 화재 감지 센서 등의 센서 장치가 있다. 이들 설비 기기와 장치들은 주택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설비 기기(6)는, 기본적으로 설비 기기(6)에 대해 고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부(60), 정보 처리부(63),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통신부(64), 및 정보 처리부(63) 내에 설치되는 기억부(65)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설비 기기가 공기 조화 설비(air conditioning equipment)인 경 우, 기능부(60)는 공기 조화 수단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에 해당한다. 또한, 설비 기기가 조명 설비(lighting equipment)인 경우, 기능부(60)는 조명 부하의 점등과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조명 수단에 해당한다. 다양한 유형의 센서 장치에서, 기능부(60)는 검출을 위한 헤더와, 헤더에 의해 검출된 검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에 해당한다. 정보 처리부(63)는 인터페이스부(61)와 버스(62)를 통해 기능부(60)에 대해 동작 지시(동작 제어)를 하기 위한 함수를 부여하거나, 기능부(60)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변수를 취득하거나, 또한 기능부(60)의 상태 변환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65)에는,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서버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이하, "MOS"(Micro Object Server)라고 함]이 내장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OS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모듈인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부(application software section)(40), 후술하는 OSI 7-계층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통신 모듈(41), 및 통신부(64)와 인터페이스부(61) 사이의 통신을 위한 하드웨어 통신 모듈(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게이트웨이(5) 및 센터 서버(3)에 설치되는 앞서 설명한 OAS(7)는, 네트워크의 연결 방법을 은폐하기 위한 오브젝트 라우터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 설비 기기(6)의 오브젝트하에서 입출력 정의 기능(이하, "인터페이스"라고 함)을 액세스함으로써, 설비 기기(6)의 기능부(6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사용자[클라이언 트용 단말 기기(2)]가 받도록 하기 위해 실행되는 다양한 유형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또한 프로토콜 변환(protocol conversion)을 통해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해 심리스 연결(seamless connection)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로토콜 브리지 서비스(protocol bridge service)와 OAS-7 간의 프로토콜을 SOAP(Simple Object Acess Protocol)로 변환해서 방화벽(firewall)을 통과하기 위한 방화벽 브리지 서비스(firewall bride service) 등의 추가의 서비스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프로토콜에는 OSI 7-계층 모델이 사용된다. 또한, 최상위 계층의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 layer)으로서는, 설비 기기(6)의 정보 처리부(63)의 MOS와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 사이에서 변수, 이벤트 정보, 및 함수 등의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해 고유의 오브젝트 액세스 프로토콜(OAP: object access protocol)이 사용된다.
MOS의 소프트웨어 통신 모듈(41)은, OSI 7-계층의 네트워크층(network layer)으로부터 프리젠테이션층(presentation layer)까지의 프로토콜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OAP의 정의와 TCPUDP의 통합을 수행할 수 있다.
각 설비 기기(6)는, 기능부(60)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처리를 행할 때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정보 처리부(63)의 MOS에서 가진다. 또한, 오브젝트는 제공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변수, 함수, 이벤트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오브젝트에는 고유 식별자(이하, "OID"라고 함)가 부여되고, 인터페이스에는 인터페이스 식별자(또는, 입출 력 정의 식별자, 이하 "IID"라고 함)가 부여된다. 정의 내용이 동일한 인터페이스, 즉 같은 IID가 부여된 인터페이스는, 복수 개의 오브젝트하에서 할당될 수 있다. 특정한 설비 기기(6)를 지정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에서는, 동일한 OID를 복수 개의 설비 기기(6)의 오브젝트에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비 기기(6)의 특정 오브젝트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액세스의 경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의 서비스 요구는 센터 서버(30)와 게이트웨이(5)를 통해 설비 기기(6)에 대해 수행된다. 인터넷 통신에서 설비 기기(6)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게이트웨이(5)의 라우터 기능에 의해 관리되는 로컬 IP 어드레스가 사용된다. 따라서, 각각의 설비 기기(6)는 로컬 IP 어드레스를 갖는다.
게이트웨이(5)의 OAS(7)는, 프로토콜 변환 기능과 라우팅 기능을 갖는다. 이 라우팅 기능은 게이트웨이(5) 내의 CPU부(도시하지 않음)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공된다. 라우팅 기능은, LAN(4)에 접속되어 있는 설비 기기(6)가 탑재하고 있는 MOS가 가지는 오브젝트의 OID와 인터페이스의 IID와의 조합 정보와, 각 설비 기기(6: 6a, 6b, 6c)의 IP 어드레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라우팅 테이블(접속된 설비 기기 의 식별용 테이블)을 작성하는 동시에, 라우팅 처리를 행하는 라우팅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초기 작동시에, 네트워크에 접속된 설비 기기(6: 6a, 6b, 6c)는 OAP를 사용한 멀티캐스팅에 의해 판독되고, 그 응답의 유무에 따라 노드 검출을 행하여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그 후, 설비 기기(6: 6a, 6b, 6c)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MOS의 오브젝트의 OID와 인터페이스의 IID와의 조합 정보와 IP 어드레스에 의해 앞서 설명한 라우팅 테이블을 작성한다. 또한 오브젝트의 OID와 인터페 이스의 IID와의 조합 정보를 인터넷(1) 상의 서버로 전송한다. 도 1A의 경우에는, 이 조합 정보가 센터 서버(3)로 전송된다.
한편,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서버(3)는,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통신부(30)와, OAS(7)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는 연산 처리부(31)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센터 서버(3)의 OAS(7)는, 라우팅 기능부(31c), 서비스 요구 기능부(31a), 및 서비스 제공 기능부(31b)를 포함한다. 라우팅 기능부(31c)는, 게이트웨이(5)로부터 제공되는 OID 및 IID의 조합 정보와 게이트웨이(5)의 IP 어드레스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라우팅 테이블(접속된 OAS 식별용 테이블)을 작성하고, 라우팅 처리를 수행한다. 서비스 요구 기능부(31a)는, 설비 기기(6)의 정보 처리부(63)의 MOS에 대한 오브젝트의 OID, 오브젝트하에서의 인터페이스의 IID, 또는 OID 및 IID의 조합 정보를 사용하여, 오브젝트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정의되는 정보의 송수신의 요구를, 서비스 요구로서 게이트웨이(5)를 통하여 설비 기기(6)에 대하여 수행한다. 또한, 서비스 요구 기능부(31a)는, 요구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의 송수신을 게이트웨이(5)를 통하여 설비 기기(6)와의 사이에서 수행한다. 서비스 제공 기능부(31b)는,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에 사용하는 정보를 정의하는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이 인터페이스의 정의에 따라, 요구한 서비스의 정보의 송수신을 서비스 요구 기능부(31a)에 대해 수행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 기능부(31b)는, 요구한 서비스의 정보와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에 사용하는 정보 간의 변환을, 정의에 따라 실행하기 위한 오브젝트를 갖는다. 오브젝트에는 OID가 부여되고, 오브젝트하에서의 인터페이스에는 IID가 부여된다. 오브젝트 의 고유 식별자, 오브젝트하의 인터페이스의 IID, 또는 OID 및 IID의 조합을 사용하여, 오브젝트의 실행의 요구를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로부터 수신하면, 서비스 제공 기능부(31b)는 오브젝트를 실행한다. 노드 검출 기능(11)을 사용하여, 오브젝트의 OID 및 IID의 조합 정보가 인터넷(1)을 통해 센터 서버(3)의 OAS(7)에 접속된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에 부여된다.
다음에, 게이트웨이(5) 및 센터 서버(3)의 OAS(7)의 라우팅 테이블이 앞서 설명한 순서에 따라 미리 작성되고, 설비 기기(6), 센터 서버(3), 및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경우에,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작동 상태에 있는 설비 기기(6)의 기능부(60)는 온도 센서이다. "온도 센서"라는 IID를 갖는 인터페이스에 의해 기능부(60)의 제공 서비스로서 취급하는 정보를 "현재 온도"라는 이름의 변수로서 정의한다. 정보 처리부(63)는, 이 변수의 기능부(60)로부터의 수신을 실행하며, "xxx"라는 OID가 부여된 오브젝트를 가진다.
한편, 센터 서버(3)의 OAS(7)의 서비스 제공 기능부(31b)에서는, "온도 센서 계측"이라는 IID를 갖는 인터페이스에 의한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로서 취급하는 정보를 "현재 온도 계측값"이라는 이름의 변수로서 정의한다.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로부터의 서비스 요구에 의해 센터 서버가 액세스 되면, 네트워크 상의 대응하는 설비 기기(6)의 오브젝트에 부여된 "xxx"라는 OID와 오브젝트하의 인터페이스의 "온도 센서"라는 IID를 사용하여 서비스 요구가 행해진다. 이 서비스 요구 의 결과로서, 서비스 요구 기능부(31a)는 설비 기기(6)로부터 제공되는 "현재 온도"라는 변수를 취득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 기능부(31b)는, 서비스 요구 기능부(31a)에 의해 취득된 "현재 온도"라는 변수가 서비스 요구를 행한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에 전송되도록,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로서 프로그램된 오브젝트를 가진다.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에 대응하여,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의 OAL은, "yyy"라는 OID와 "온도 센서 계측"이라는 IID를 사용하여, 센터 서버(3)에 서비스 요구를 행하는 동시에, 이 서비스 요구의 결과로서 센터 서버(3)로부터 제공되는 "현재 온도 계측값"이라는 변수를 기록하도록 프로그램된 애플리케이션을 갖는다.
이와 같은 설비 기기(6), 센터 서버(3), 및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로 구성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가 "yyy"라는 OID와 "온도 센서 계측"이라는 IID를 사용하여 센터 서버(3)의 OAS(7)에 서비스 요구를 행하면, OAS(7)의 서비스 제공 기능부(31b)는 미리 정해진 오브젝트를 실행하고, 서비스 요구 기능부(31a)는 "xxx"라는 OID와 "온도 센서"라는 IID를 사용하여 대응하는 설비 기기(6)에 서비스 요구를 정기적으로 수행한다. 이 서비스 요구에 의해, 서비스 요구 기능부(31a)가 설비 기기(6)로부터 "현재 온도"라는 변수를 취득하면, "현재 온도"라는 변수는 이 변수를 취득할 때마다 "현재 온도 계측값"이라는 변수로 변환되어,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에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로서 전송된다.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가 "현재 온도 계측값"이라는 변수를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로서 수신하면, 기억부(도시하지 않음)에 기록이 행해진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사용자)가 센터 서버(3)에 대해 서비스 요구를 행하면, 설비 기기(6)의 기능부(60)인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현재 온도와, 기록된 데이터로부터 검출 온도의 이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현재 온도 외에, 5분간의 평균 온도를 기록하는 서비스를 새로운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로서 추가할 필요가 생긴 경우나,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다른 서비스를 추가하는 경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가 갖는 OAL의 애플리케이션에 새로운 서비스에 대응하는 확장 프로그램을 추가하는 동시에, 센터 서버(3)가 갖는 OAS(7)의 서비스 제공 기능부(31b)에서의 오브젝트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정보와 새로운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조합시키거나, 또는 새로운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정의하는 인터페이스를 추가하는 것으로 대처하도록 되어 있다. 즉, 설비 기기 측의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서버 측 오브젝트의 OID 및 IID의 조합 정보와 설비 측 오브젝트의 OID 및 IID의 조합 정보 간의 관계는, 센터 서버(3)의 OAS(7)의 대응 관계 설정 기능(식별자 설정부)에 의해 테이블 형식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대응 관계 설정 기능에 의해 설정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실행 요구가 행해진다.
다음에, 서비스를 추가하는 동작에 대하여 이하의 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현재의 오브젝트의 인터페이스에 새로운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 스를 정의하는 정보를 추가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센터 서버(3)가 갖는 OAS(7)에서의 서비스 제공 기능부(31b)의 OID가 "yyy"라는 현재의 오브젝트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정의된 정보로서, "현재 온도 계측값"이라는 변수에 더하여, 새로운 서비스에 대응하는 "5분간의 평균 온도"라는 변수가 사용된다. 또한, 새로운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오브젝트에 추가된다. 이 프로그램은, 설비 기기(6)로부터 정기적으로 취득하는 "현재 온도"라는 변수를 일시적으로 기록하여 그 5분간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평균값을 "5분간의 평균 온도"라는 변수로서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에 전송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의 OAL에서는, 현재의 "yyy"라는 OID와 "온도 센서 계측"이라는 IID를 사용하여 센터 서버(3)에 서비스 요구를 행하는 동시에, 이 서비스 요구의 결과로서 센터 서버(3)로부터 제공되는 "현재 온도 계측값"이라는 변수(데이터)를 기록하도록 프로그램된 애플리케이션에, "5분간의 평균 온도"라는 변수를 기록하기 위한 확장 프로그램을 추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yyy"라는 OID와 "온도 센서 계측"이라는 IID를 사용하여 센터 서버(3)의 OAS(7)에 서비스 요구를 행하면, OAS(7)의 서비스 제공 기능부(31b)는 미리 정해진 오브젝트를 실행한다. 한편, 서비스 요구 기능부(31a)는 "xxx"라는 OID와 "온도 센서"라는 IID를 사용하여 대응하는 설비 기기(6)에 서비스 요구를 정기적으로 행한다. 서비스 요구 기능부(31a)가 이 서비스 요구의 결과로서 설비 기기(6)로부터 "현재 온도"라는 변수를 취득하는 경우, 이러한 변수를 취득할 때마 다, "현재 온도"라는 변수를 "현재 온도 계측값"이라는 변수로 변환해서,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에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로서 전송하는 처리와, "현재 온도"의 변수를 5분마다 기록하는 동시에 기록한 "현재 온도"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처리를 행하고, 그 계산 결과를 "5분간의 평균 온도"라는 변수를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로서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에 전송하는 처리를 행한다.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에서는, "현재 온도 계측값"과 "5분간의 평균 온도"라는 변수를 받으면, 기억부(도시하지 않음)에 기록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로써, 클라이언트(사용자)는 설비 기기(6)의 기능부(60)인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현재 온도와, 검출된 온도의 이력과, 5분마다 계산된 평균값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오브젝트가 가지는 현재의 인터페이스에, 새로운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정의하는 인터페이스(인터페이스 식별자)를 추가하는 경우의 예에 관한 것이다.
센터 서버(3)가 갖는 OAS(7)에서의 서비스 제공 기능부(31b)의 "yyy"라는 OID를 갖는 오브젝트에서, "현재 온도 계측값"이라는 변수에 대응하는 "온도 센서 계측"이라는 IID의 인터페이스 외에, "5분간의 평균 온도"라는 변수를 정의하고, "온도 센서 평균값 계산"이라는 IID를 갖는 인터페이스가 새로운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에 대하여 사용된다. 또한, 새로운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새로운 오브젝트에 대해 추가된다. 이 프로그램은, 설비 기기(6)로부터 정기적으로 취득하는 "현재 온도"라는 변수를 일시적으로 기록하여 그 5분간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평균값을 "5분간의 평균 온도"라는 변수(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로서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에 전송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의 OAL에서는, 현재의 "yyy"라는 OID와 "온도 센서 계측"이라는 IID를 사용하여 센터 서버(3)에 서비스 요구를 행하는 기능에 더하여, "yyy"라는 OID와 "온도 센서 평균값 계산"이라는 IID를 사용하여 센터 서버(3)에 서비스 요구를 행하는 기능이 추가된다. 또한, 서비스 요구의 결과로서 센터 서버(3)로부터 제공되는 "현재 온도 계측값"이라는 변수를 기록하도록 프로그램된 애플리케이션에, "5분간의 평균 온도"라는 변수를 기록하는 확장 프로그램이 추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가 "yyy"라는 OID와 "온도 센서 계측"이라는 IID를 사용하여 센터 서버(3)의 OAS(7)에 서비스 요구를 행하면, OAS(7)의 서비스 제공 기능부(31b)는 미리 정해진 오브젝트를 실행한다. 한편, 서비스 요구 기능부(31a)는 "xxx"라는 OID와 "온도 센서"라는 IID를 사용하여 대응하는 설비 기기(6)에 서비스 요구를 정기적으로 수행한다. 이 서비스 요구의 결과로서 설비 기기(6)로부터 "현재 온도"라는 변수를 서비스 요구 기능부(31a)가 취득하면, 취득시마다, "현재 온도"라는 변수를 "현재 온도 계측값"이라는 변수로 변환해서,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에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로서 전달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는 "yyy"라는 OID와 "온도 센서 평균값 계산"이라는 IID를 사용하여 센터 서버(3)의 OAS(7)에 서비스 요 구를 행하면, OAS(7)의 서비스 제공 기능부(31b)는 미리 정해진 오브젝트를 실행한다. 이 실행으로부터 5분간의 "현재 온도"의 변수가 기록되고, 그 평균값이 계산된다. 그 계산 결과인 "5분간의 평균 온도"라는 변수를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로서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에 전달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에서는, "현재 온도 계측값"과 "5분간의 평균 온도"라는 변수를 수신하면, 기억부(도시하지 않음)에 기록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로써, 클라이언트(사용자)는 설비 기기(6)의 기능부(60)인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현재의 온도를 얻을 수 있으며, 검출된 온도 이력과 5분마다 계산된 평균 온도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인터페이스에 의해 정의된 정보는 변수이다. 이와 달리, 설비 기기(6)의 기능부(60)를 제공 서비스로서 제어하는 경우에는, 함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발생을 알 수 있도록 한 제공 서비스의 경우에는 이벤트 정보가 사용되고, 제공 서비스의 내용에 따라, 함수, 변수, 및 이벤트 정보의 임의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는,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를 추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정의 정보의 수나 인터페이스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제공 서비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설비 기기(6)가 갖는 오브젝트하에서 서버가 동일한 정보를 정의하는 인터페이스를 액세스하는 경우에는, 오브젝트의 OID를 사용하지 않고 인터페이스의 IID만을 사용하여 액세스함으로써, 설비 기기(6)로부터 동일한 제공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 의 OID만을 사용해서 액세스하면, 오브젝트하에서의 모든 인터페이스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설비 기기(6)가 구식이어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로부터 센터 서버(3)의 OAS(7)의 오브젝트가 액세스되어 그 실행 결과를 센터 서버(3)의 OAS(7)가 설비 기기로부터 받는 경우라도, OAS(7)는,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2)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중단하도록 프로그램된 애플리케이션을 가질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사용하여 사용자 영역 A인 가정에 설비 기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을 구성한 것이다. 각 설비 기기(103)는 가정 내에 설치된 LAN 케이블(106)에 접속되어 있다. 설비 기기(103)는, 조명 장치(101a), 공기 조화 장치(101b) 및 전기 잠금 장치(101c) 등의 JEMA(Japan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규격(일본 전기 공업회 규격)에 부합하는, 전기 기기(101)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집중 제어 컨트롤러(103a, 103b), 경보 감시 장치(103c), 및 녹화 영상 전송 장치(103d)를 포함한다. 경보 감시 장치(103c)는 방범 센서나 방재 센서 등의 비정상 발생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104)의 상태를 무선으로 모니터링해서, 비정상 발생이 검출되었을 때 경보 정보를 출력한다. 녹화 영상 전송 장치(103d)는 인터폰 시스템(105)의 텔레비전 카메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파악한 방문자의 녹화 영상을 외부나 가정 내에 설치된 모니터로 전달한다. LAN(10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108)의 허 브부(hub portion)(180)에 접속되어 있다. 게이트웨이(108)는 서버로서도 작용할 수 있다. 즉, 게이트웨이(108)는 후술하는 오브젝트 액세스 서버에 해당하는 서비스 기능부(OAS)를 갖는다. 이 OAS는 주 차단기(main circuit breaker) 분기회로 차단기(branch circuit breaker) 등의 가정용 차단기(102)를 갖는 분전반(distributiohn board)(107) 내에 제공된다. 게이트웨이(108)는, 또한 라우터부(181)와, ADSL 또는 광섬유 통신망 등의 접속 서비스업자가 제공하는 인터넷 접속 네트워크용의 모뎀부(182)를 통하여 인터넷(109)에 접속되어 있다.
게이트웨이(108)의 허브부(180)에는 LAN(10)을 통해 전용의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0a)와 개인용 컴퓨터(111)가 접속된다. 한편, 인터넷(109)에는, 센터 서버(112)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휴대 전화기 등의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Ob)가 접속된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설비 기기(103)는, 기본적으로 설비 기기에 고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부(130), 정보 처리부(133), 네트워크 통신[예를 들면, 이더넷(Ethernet: 등록상표) 규격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34), 및 기억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정보 처리부(133)는 인터페이스부(131)와 버스(132)를 통해 기능부(130)에 동작 지시(동작 제어) 함수를 부여하거나, 기능부(130)의 현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변수를 취득하거나, 또는 기능부(130)의 상태 변환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기억부(135)에는, 제2 실시형태의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의 오브젝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모듈부 M0S(Micro Object Server)가 내장되어 있 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듈부 MOS는, 설비 기기(103)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부(150), 후술하는 OSI 7-계층 모델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통신 모듈(151), 및 기능부(130)와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통신 모듈(152)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모듈부 MOS를 탑재하고 있는 설비 기기인 집중 제어 컨트롤러(103a, 103b)는, 신호선(113)을 통해 조명 장치(101a), 공기 조화 장치(101b), 전기 잠금 장치(101c)에 대해 JEMA 규격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동작 신호를 감시 정보로서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집중 제어 컨트롤러는 이들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정보 처리부(133)와 주고받는 기능부를 앞서 설명한 기능부(130)로서 구비하고 있다.
모듈부 MOS를 탑재하고 있는 설비 기기인 경보 감시 장치(103c)는, 비정상 발생 검출을 위한 센서(104)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와, 무선 수신부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비정상 검출시에 경보를 발령하거나 경보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기능부를 구비한다. 이 기능부는 앞서 설명한 기능부(130)에 대응하며, 정보 처리부(133)에 경보 정보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모듈부 MOS를 탑재하고 있는 설비 기기인 녹화 영상 전송 장치(103d)는, 녹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녹화부를 기능부(130)로서 포함한다. 기능부(130)에 녹화 보존되어 있는 녹화 영상 데이터는 정보 처리부(133)로 전달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108)는, 허브부(180), 라우터부(181), 및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뎀부(182)를 포함한다. 게이트웨이(108)는, 이들 구성요소 외에, 설비 기기(103)의 네트워크 접속을 은폐하기 위한 오브젝트 라우터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각 설비 기기(103)의 설비 측 오브젝트의 입출력 정의 기능(즉, 인터페이스)을 액세스함으로써 설비 기기(103)의 기능부(13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사용자로 하여금 받도록 하는 다양한 유형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및 프로토콜 변환을 통해 제2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심리스 연결(seamless connection)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로토콜 브리지 서비스와, 방화벽을 통과하도록 후술하는 센터 서버(112)와 통신하는 데에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변환하기 위한 방화벽 브리지 서비스 등의 추가의 서비스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서비스 기능부 OAS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원격 제어 시스템에 대한 프로토콜로서, OSI 7-계층 모델이 사용된다. 설비 기기(103)의 정보 처리부(133)의 모듈부 MOS는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Oa, 11Ob)에 변수 또는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거나, 함수를 수취하는 등의 특유의 프로토콜(이하, "OAP"라고 함)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층을 구성한다. 이 OAP를 사용함으로써, 서비스 기능부 OAS와 설비 기기(103)의 모듈부 MOS 사이에서 정보가 교환된다.
또한, 모듈부 MOS의 소프트웨어 통신 모듈(151)은, OSI 7-계층 모델의 네트워크층에서 프리젠테이션층까지의 프로토콜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OAP의 정의와 TCP 및 UDP의 통합을 수행한다.
센터 서버(112)는, 인터넷(109) 상에 설치되어, 게이트웨이(108)와 마찬가지 로, 서비스 기능부 OAS를 포함한다. 센터 서버의 서비스 기능부 OAS는 앞서 설명한 SOAP에 의해 다른 서비스 기능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시스템에 사용되는 각 설비 기기(103)는, 기능부(130)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처리를 행할 때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설비 측 오브젝트를, 정보 처리부(133) 내에 내장된 모듈부 M0S에서 구비한다. 설비 측 오브젝트는 제공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기능부(130)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변수, 기능부(130)에 제공하는 제어를 위한 함수, 기능부(130)에서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에 의해 정의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각각의 오브젝트에는 고유 식별자(이하, "OID"라고 함)가 부여되고, 각 인터페이스에는 인터페이스 식별자(이하, "IID"라고 함)가 부여되어 있다.
동일한 정의 내용을 갖는 인터페이스, 즉 동일한 IID를 갖는 인터페이스는, 복수 개의 설비 측 오브젝트에 할당될 수 있다. 설비 측 오브젝트는, 정보 처리부(133)가 설비 측 오브젝트의 OID, 인터페이스의 IID, 또는 OID 및 IID의 조합을 사용해서 실행 요구를 게이트웨이(108) 내의 서비스 기능부 OAS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행된다. 이 실행 요구가 특정의 설비 측 오브젝트 하의 특정한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행해지면, OID 및 IID의 조합이 사용된다. 동일한 정의 내용을 갖는 인터페이스가 복수 개의 설비 기기(103)의 설비 측 오브젝트 하에서 또는 설비 기기(103)의 복수 개의 설비 측 오브젝트 하에서 제공되면, 실행 요구를 행하기 위해 인터페이스의 IID만이 사용된다.
한편, 사용자 영역인 가정에 설치된 게이트웨이(108)의 서비스 기능부 OAS 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처리를 행할 때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서버 측 오브젝트를 구비한다. 서버 측 오브젝트는 정보(변수, 함수, 이벤트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정의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게이트웨이(108)의 서비스 기능부 OAS는, 서버 측 오브젝트의 OID와 서버 측 오브젝트 하의 인터페이스의 IID 간의 조합 정보와, 대응하는 설비 측 오브젝트의 OID와 설비 측 오브젝트 하의 인터페이스의 IID 간의 조합 정보와의 대응 관계를 설정하고, 이 대응 관계를 대응 관계 설정 테이블에 저장하는 대응 관계 설정 기능을 갖는다. 또한, 서버 측 오브젝트는,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Oa) 또는 센터 서버(12)를 통해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0b)로부터 서비스 기능부 OAS의 OID 및 IID를 사용한 실행 요구가 있으면, 미리 대응시킨 설비 기기(3)의 모듈부 MOS의 특정한 설비 측 오브젝트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실행 요구가 OID 및 IID를 사용하여 행해지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O: 11Oa, 11Ob)는, 네트워크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부(140), 연산 처리부(141), 키보드나 디스플레이 등의 입출력부(142),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공 서비스를 향유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라이언트용 소프트웨어[이하, "OAL"(Object Access Library)라고 함] 또는 클라이언트용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기억부(143)를 포함한다. 기억부(143)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연산 처리부(141)는 OAL을 실행함으로써 인터넷(109)이나 LAN(106) 상의 후술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실행 요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0)는, 클라이언트용 애플리케이 션을 실행함으로써, 설비 기기(103)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즉 설비 기기(103)에 대한 제어 요구나 설비 기기(103)로부터 감시 정보(변수, 이벤트 정보)를 원하는 형태로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서, 도면 부호 144는 버스를 나타낸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시스템이 작동할 때에, 게이트웨이(108)의 서비스 기능부 OAS는, LAN(106)에 접속되어 있는 모듈부 MOS가 탑재된 설비 기기(103: 103a~103d)의 검출 처리를 행하여, LAN(106) 상의 설비 기기(103: 103a~103d)의 IP 어드레스 등과 같은 네트워크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접속 처리를 완료한 후, 각 설비 기기(103: 103a~103d)의 모듈부 MOS는, 자신의 모듈부 MOS 상의 설비 측 오브젝트의 OID와 이 설비 측 오브젝트 하의 인터페이스의 IID의 모든 조합 정보를 게이트웨이(108)의 서비스 기능부 OAS에 전달하는 처리를 행한다.
한편, 게이트웨이(108)의 서비스 기능부 OAS에서는, 설비 기기(103: 103a~103d)로부터 수취한 설비 측 오브젝트의 OID 및 IID의 조합 정보와, 설비 기기(103: 103a~103d)의 네트워크 통신(TCP/IP 베이스)을 위한 식별자인 IP 어드레스 간의 대응 관계를, 접속된 설비 정보 테이블에 미리 저장해 둔다. 저장한 조합 정보와 IP 어드레스 간의 대응 관계에 대한 정보는 설비 기기(103)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갱신된다.
또한, 게이트웨이(108)는, 자신의 제어를 받는 LAN(106)에 접속되어 있는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0a)에 대하여, 자신의 서비스 기능부 OAS의 서버 측 오브젝트의 OID와 인터페이스의 IID를 전달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처리는, OID와 IID의 조합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실행된다. 또한, 설비 기기(103: 103a~103d)의 설비 측 오브젝트의 OID와 그 오브젝트 하의 인터페이스의 IID의 조합 정보가 게이트웨이(108)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108)는, 자신의 제어를 받는 설비 기기(103: 103a~103d)의 설비 측 오브젝트 OID와 그 오브젝트하의 인터페이스 IID의 정보를, 인터넷(109) 상의 서비스 기능부 OAS를 탑재하는 서버,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센터 서버(112)에 전달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는, OID 및 IID의 조합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실행된다. 또한, 게이트웨이(108)는, 자신의 서비스 기능부 OAS의 서버 측 오브젝트의 OID와 인터페이스의 IID를 센터 서버(112)에 미리 전달한다.
이와 같이 구축된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0a 또는 110b)로부터 설비 기기(103)의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한 요구의 동작을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9A에서, 집중 제어 컨트롤러(103a)의 정보 처리부(133)에 있는 모듈부 MOS는 전기 잠금 장치(101c)의 제어에 사용되는 "전기 잠금 장치"라는 OID와 공기 조화 장치(101b)의 제어에 사용되는 "공기 조화 장치"라는 OID가 부여된 2개의 설비 측 오브젝트를 갖는다. 전기 잠금 장치(101c)의 제어에 사용되는 "전기 잠금 장치"라는 OID가 부여된 설비 측 오브젝트는 잠금을 위한 함수를 정의하는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잠금"이라는 IID가 인터페이스에 할당된다. 공기 조화 장치(101b)의 제어에 사용되는 "공기 조화 장치"라는 OID가 부여된 설비 측 오브젝트 는, 공기 조화의 동작을 중단시키기 위한 함수를 정의하는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공기 조화"라는 IID가 인터페이스에 할당된다. OID와 IID를 사용하여 실행 요구가 행해지면, 정보 처리부(133)는, 모듈부 MOS를 통해 집중 제어 컨트롤러(103a)의 기능부(130)에, 공기 조화 장치(101b)의 동작 정지를 위한 제어 정보 또는 전기 잠금 장치(101c)의 잠금을 위한 제어 정보를 함수로서 전달하는 처리를 행한다. 수신된 제어 정보에 따라, 기능부(130)는 공기 조화 장치(101b)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 신호 또는 전기 잠금 장치(101c)를 잠그기 위한 제어 신호를, 대응하는 신호선(113)을 통해 전달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게이트웨이(108)의 서비스 기능부 OAS가 가지는 서버 측 오브젝트에는 "외출"이라는 OID가 부여된다. 이 서버 측 오브젝트는, 전기 잠금 장치(101c)의 잠금을 행하는 함수를 정의하는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잠금"이라는 IID가 할당된다. 서버 측 오브젝트는, 이러한 IID를 사용하는 실행 요구가 있으면, 앞서 설명한 대응 관계 설정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OID 및 IID로 이루어지는 조합 정보에 따라 미리 대응시킨 집중 제어 컨트롤러(103a)의 정보 처리부(133)의 모듈부 MOS에서 "전기 잠금 장치"라는 OID를 가진 설비 측 오브젝트의 "잠금"이라는 IID와 "공기 조화 장치"라는 OID의 설비 측 오브젝트의 "공기 조화"라는 IID에 대하여 실행 요구가 행해지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즉, 서비스 기능부 OAS는, 서버 측 오브젝트의 OID 및 IID의 조합 정보와 설비 측 오브젝트의 OID 및 IID의 조합 정보와의 대응 관계를 테이블 형식으로 미리 설정하기 위한 식별자 설정부(대응 관계 설정 기능)를 갖는다. 이 대응 관계 설정 기능에 의해 설정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실행 요구가 행해진다. 이하의 표 1은 대응 관계 설정 테이블의 일례이다.
[표 1]
서버 측 오브젝트 설비 측 오브젝트
OID "외출", IID "잠금" OID "전기 잠금 장치"
IID "잠금"
OID "공기 조화 장치"
IID "공기 조화"
사용자가 외출할 때 전기 잠금 장치(101c)를 잠금으로 하고 공기 조화 장치(101b)의 동작을 정지시키려고 하는 경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Oa)로부터, 서버 측 오브젝트의 "외출"이라는 OID와 "잠금"이라는 IID를 사용하여,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을 게이트웨이(108)의 서비스 기능부 OAS에 대하여 요구된다. 이러한 실행 요구의 결과로서, 공기 조화 장치(101b)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서비스와 전기 잠금 장치(101c)를 잠금으로 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즉, 게이트웨이(108)의 서비스 기능부 OAS는,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0a)로부터의 실행 요구에 따라, "전기 잠금 장치"라는 OID의 설비 측 오브젝트의 "잠금"이라는 IID와 "공기 조화 장치"라는 OID의 설비 측 오브젝트의 "공기 조화"라는 IID를 사용하여, 각각의 설비 측 오브젝트에 대한 실행 요구가 집중 제어 컨트롤러(103a)의 모듈부 MOS에 대하여 행해지도록 서버 측 오브젝트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집중 제어 컨트롤러(103a)의 모듈부 MOS는 설비 측 오브젝트의 실행을 행하고, 기능부(130)는 공기 조화 장치(101b)의 동작 정지를 위한 제어 신호와, 전기 잠금 장치(101c)의 잠금을 위한 제어 신호를 각각에 대응하는 신호선(113)을 통해 공기 조화 장치(101b)와 전기 잠금 장치(101c)에 전달한다. 따라서, 공기 조화 장치(101b)의 동작 정지와 전기 잠금 장치(101c)의 잠금이라는 2개의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109) 상의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Ob)로부터도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가 게이트웨이(108)에 대해 행해지면, 이 실행 요구는 인터넷(109) 상의 센터 서버(112)를 통해 게이트웨이(108)로 전송되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0a 또는 110b)로부터 서비스 기능부 OAS 상의 하나의 서버 측 오브젝트에 대한 실행 요구에 의하면, 게이트웨이(108)는 서버 측 오브젝트에 미리 대응시킨, 설비 기기(103)의 복수 개의 설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를 행한다. 그 결과, 복수 개의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경우에는, 하나의 설비 기기(103)가 가지는 복수 개의 설비 측 오브젝트에 대하여, 게이트웨이(108)로부터 실행 요구를 행하도록 되어 있지만, 실시예 2는, 게이트웨이(108)가 복수 개의 설비 기기, 예를 들면 집중 제어 컨트롤러(103a, 103b)의 각각에 대해 설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108)의 서비스 기능부 OAS는, 집중 제어 컨트롤러(103a)의 정보 처리부(133)의 모듈부 MOS에서의 인터페이스의 "잠금"이라는 IID와 "전기 잠금 장치"라는 OID를 갖는 설비 측 오브젝트와, 집중 제어 컨트롤러(103b)의 정보 처리부(133)의 모듈부 MOS에서의 인터페이스의 "공기 조화"라는 IID와 "공기 조화 장치"라는 OID를 갖는 설비 측 오브젝트 모두에 실행 요구를 동시에 행한다.
즉, 앞서 설명한 경우에, 게이트웨이(108)의 서비스 기능부 OAS는 OID가 "외출"이라고 부여된 서버 측 오브젝트를 가지며, 서버 측 오브젝트는 전기 잠금 장치(101c)의 잠금을 행하기 위한 함수를 정의하는 "잠금"이라는 IID가 부여된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이러한 IID를 사용해서 실행 요구를 수신하면, 게이트웨이(108)는 "전기 잠금 장치"라는 OID를 갖는 미리 관련시킨 설비 측 오브젝트의 "잠금"이라는 IID에 대해 실행 요구를 행하는 동시에, "공기 조화 장치"라는 OID를 갖는 미리 관련시킨 설비 측 오브젝트의 "공조"라는 IID에 대하여 실행 요구를 행한다.
이 경우, 요구된 설비 측 오브젝트가 집중 제어 컨트롤러(103a, 103b)에 있지만, 게이트웨이(108)의 서비스 기능부 OAS에서는 설비 측 오브젝트의 OID와 이 오브젝트 하의 인터페이스의 IID를 조합한 정보와, 서버 측 오브젝트의 OID와 IID를 조합한 정보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앞서 설명한 테이블(표 1 참조) 및 접속 설비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기 때문에, 각각의 집중 제어 컨트롤러(103a, 103b)의 모듈부 MOS의 설비 측 오브젝트에 대한 실행 요구를 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 1에서는, 복수 개의 상이한 설비 기기가 집중 제어 컨트롤러(103a)에 의해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 2에서는, 복수 개의 상이한 설비 기기가 집중 제어 컨트롤러(103a, 103b)의 각각에 의해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0a 또는 110b)로부터 게이트웨이(108)의 서비스 기능부 OAS에 대해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가 행해짐으로써, 집중 제어 컨트롤러(103a 및/또는 103b)의 제어 하에서 조명 장치(101a)의 조도를 저하시키는 동시에, LAN(106) 상의 감시 장치(도시 안 됨)에의 녹화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녹화 영상 전송 장치(103d)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녹화 영상 전송 장치(103d)의 모듈부 MOS의 설비 측 오브젝트는, 녹화된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램되고, 집중 제어 컨트롤러(103a, 103b)의 모듈부 MOS의 설비 측 오브젝트는, 조명 장치(101a)의 조명 조절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램된다. 게이트웨이(108)의 서비스 기능부의 서버 측 오브젝트는, 관련된 설비 측 오브젝트의 OID 및 IID에 대한 실행 요구가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0a, 110b)로부터 실행 요구를 수신할 때에 수행되도록 프로그램된다. 이에 의하면,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Oa, 11Ob)로부터 서버 측 오브젝트에 대한 하나의 실행 요구에 따라, 앞서 설명한 복합의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1 및 2에서, 서버 측 오브젝트는 단일의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하지만, 서버 측 오브젝트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설비 측 오브젝트는 각각의 인터페이스(IID)와 관련된다.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가 OID와 인터페이스 중의 원하는 하나(IID)와의 조합 정보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0a, 110b)로부터 행해지면, 다양한 설비 기기 중의 하나가 제어될 설비 기기로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이라는 고유의 식별자(OID)를 갖는 서버 측 오브젝트는, 서버 측 오브젝트의 서비스 내용 "α"에 따라 정의된 인터페이스 식별자(IID)와 서버 측 오브젝트의 다른 서비스 내용 "β"에 따라 정의된 인터페이스 식별자(IID)를 갖는다. 이 경우, 서버 측 오브젝트의 각각의 인터페이스와, 설비 측 오브젝트를 실행하는 설비 기기의 기능에 따라 정의된 인터페이스 식별자와 설비 측 오브젝트의 고유 식별 자(OID)의 조합 정보 간의 대응 관계가 대응 관계 설정 테이블에 설정된다.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대응 관계 설정 테이블은 서비스 기능부 OAS의 식별자 설정부에 기억된다.
[표 2]
서버 측 오브젝트 설비 측 오브젝트
OID "1"
"IID "서비스 내용 α"
OID "A", IID " 기능 A1"
OID "B", IID " 기능 B1"
OID "1"
IID "서비스 내용 β"
OID "A", IID " 기능 A2"
OID "C", IID " 기능 C1"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비 기기가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0a, 110b)와 게이트웨이(108) 사이의 통신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대상이 되는 설비 기기(103)의 수가 증가 또는 감소되었을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대응 관계 설정 기능에 의해, 게이트웨이(108)의 서비스 기능부 OAS로부터 실행 요구를 행하는, 설비 기기의 설비 측 오브젝트의 OID 및 IID의 조합 정보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이러한 경우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108)의 서비스 기능부 OAS에서 오브젝트를 실행함으로써 실행 요구를 행하는, 설비 기기의 설비 측 오브젝트와 서버 측 오브젝트 간의 대응 관계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하나의 실행 요구에 따라 복수의 서비스가 동시에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동시에 변경하는 경우라도, 설비 기기(103)의 정보 처리부(133)의 모듈부 M0S 또는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0a, 110b)에서 프로그램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제3 실시형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조명 장 치(101a), 공기 조화 장치(101b), 전기 잠금 장치(101c)가 집중 제어 컨트롤러(103a, 103b)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설비 기기로서 필요한 도 6A의 구성이 조명 장치(101a), 공기 조화 장치(101b), 전기 잠금 장치(101c)의 각각에 탑재된다는 점에서 제2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따라서, 이들 설비 기기는 오브젝트 탑재 타입의 설비 기기이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조명 장치(101a), 공기 조화 장치(101b), 또는 전기 잠금 장치(101c) 등의 설비 기기에 탑재되는, 정보 처리부(133)의 모듈부 MOS의 설비 측 오브젝트로서, 설비 기기에 고유한 기능부(130)에 소정의 제어 정보를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된 오브젝트를 사용한다.
한편, 게이트웨이(108)의 서비스 기능부 OAS는, 이들 설비 기기의 모듈부 MOS의 설비 측 오브젝트의 OID와 그 오브젝트 하의 인터페이스의 IID로 이루어지는 조합 정보와, 설비 기기의 IP 어드레스와의 대응 관계를, 접속 설비 정보 테이블에 미리 설정한다.
미리 관련시킨 설비 기기의 모듈부 MOS의 설비 측 오브젝트의 OID 및 IID에 대해 실행 요구가 행해지도록 프로그램된 오브젝트는, 서비스 기능부 OAS의 서버 측 오브젝트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0a 또는 110b)로부터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를 수신하면,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 측 오브젝트를 실행함으로써 미리 관련시킨 설비 기기의 모듈부 MOS의 설비 측 오브젝트의 OID 및 IID에 대해 실행 요구가 행해진다. 그 결과, 이들 설비 기기에 의해 미리 정해진 서비스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터넷(109) 상의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0b)로부터 게이트웨이(108)의 오브젝트에 대해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실행 요구가 행해지는 경우, 이 실행 요구는 인터넷(109)에 접속된 센터 서버(112)를 통해 게이트웨이(108)로 전송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따라서, 서비스 기능부 OAS 상의 서버 측 오브젝트 중 하나에 대한 실행 요구가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Oa, 11Ob)로부터 행해지면, 서버 측 오브젝트와 미리 관련시킨 복수 개의 설비 측 오브젝트에 대해 실행 요구가 행해진다. 이에 따라, 설비 기기의 미리 정해진 복수의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Oa, 11Ob)와 게이트웨이(108) 사이의 통신량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복수 개의 설비 기기를 동시에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 대상이 되는 설비 기기(103)의 수가 증가 또는 감소되는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대응 관계 설정 기능에 의해, 게이트웨이(108)의 서비스 기능부 OAS로부터 실행 요구를 행하는, 설비 기기(103)의 설비 측 오브젝트의 OID와 IID의 조합 정보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이러한 경우에 간단히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108)의 서비스 기능부 OAS의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시에 실행 요구를 행하는 설비 기기의 설비 측 오브젝트와 서버 측 오브젝트 간의 대응 관계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하나의 실행 요구에 따라 복수의 서비스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를 동시에 변경하는 경우에도, 설비 기기(103)의 정보 처리부(133)의 모듈부 MOS 또는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110a, 110b)에서 프로그램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또한, 앞서 설명한 제2 및 제3 실시형태와 같이, 게이트웨이(108)의 서비스 기능부 OAS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서버 측 오브젝트를 갖는다. 이와 달리, 센터 서버(112)와 같이 인터넷(109)의 서버에 탑재되는 서비스 기능부 OAS가 서버 측 오브젝트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제2 및 제3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설비 기기가 제어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다. 상이한 정보(변수와 함수 또는 함수와 이벤트 정보)를 정의한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오브젝트에 대해 상이한 실행 요구를 동시에 행하도록 하면, 제어 서비스와 감시 서비스라는 상이한 종류의 서비스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의 원격 감시 시스템의 구성과, 제2 또는 제3 실시형태의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의 모두를 구비하는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을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따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면, IP 어드레스 등의 설비 기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도, 설비 기기의 일괄 제어나 개별 감시를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설비 기기의 수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도,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원격 제어 시스템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와 서버 사이의 통신량을 변경하지 않고도, 설비 기기의 다양한 제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원격 감시 시스템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가 취득을 요구하는 정보량에 따라, 설비 기기의 변경 없이, 서 버 측에서 클라이언트 단말 기기에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형 네트워크 설비 기기, 개인용 컴퓨터 등을 사용해서, 이격된 위치로부터 설비 기기를 제어/감시함으로써 쾌적하고 안전한 생활 공간이나 작업 공간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차세대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그 광범위한 실용화가 기대된다.

Claims (16)

  1.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설비 기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 및
    상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와 상기 설비 기기 사이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가 상기 서버에 대하여 서버 측 오브젝트(server-side object)의 실행을 요구하고, 그 결과 상기 서버가 상기 설비 기기에 대하여 설비 측 오브젝트(equipment-side object)의 실행을 요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의 상기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는 상기 서버 측 오브젝트에 부여된 제1 식별자를 사용하여 행해지고, 상기 서버로부터의 상기 설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는 상기 설비 측 오브젝트에 부여된 제2 식별자를 사용하여 행해지며,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의 상기 제1 식별자를 사용하는 상기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설비 측 오브젝트를 실행하는 상기 설비 기기의 기능에 의해 정의되는 하나 이상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설비 기기는, 상기 설비 기기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부와, 상기 기능부가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할 때에 이용하는, 상기 설비 측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제2 식별자를 이용한 상기 설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를 받으면, 상기 제2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설비 측 오브젝트를 실행하고, 상기 설비 측 오브젝트에 대해 정의되고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기능부와 주고 받으며,
    상기 서버는, 서비스 제공 기능부; 서비스 요구 기능부; 및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를 설정하는 식별자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기능부는, 상기 서버 측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 상기 제1 식별자를 이용한 상기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를 받으면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서버 측 오브젝트를 실행하고,
    상기 서비스 요구 기능부는, 상기 서버 측 오브젝트가 실행되면, 상기 식별자 설정부에서 설정된 상기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식별자를 이용한 상기 설비 측 오브젝트의 실행을 상기 설비 기기에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서 요구하고,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설비 기기와 주고 받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 기능부는,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로 변환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의(definition)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기능부는, 상기 정의에 근거하여, 상기 서비스 요구 기능부가 상기 설비 기기로부터 취득한 상기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로 변환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는 상기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를 상기 서비스 제공 기능부로부터 받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의 상기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에 따라 상기 설비 기기가 상기 설비 측 오브젝트를 실행하는 경우, 상기 서버 측 오브젝트의 상기 제1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설비 측 오브젝트의 상기 제2 식별자의 수는, 제공되는 서비스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설비 측 오브젝트의 고유 식별자와, 상기 설비 기기의 기능에 따라 정의되는 인터페이스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 설정부에는,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의 상기 인터페이스 식별자 및 상기 고유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의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가 설정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서버 측 오브젝트의 고유 식별자와,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의 내용에 따라 정의되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자는, 상기 설비 측 오브젝트의 고유 식별자와, 상기 설비 기기의 기능에 따라 정의되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자 설정부에는, 상기 고유 식별자와 상기 제1 식별자의 상기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식별자와의 조합과, 상기 고유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의 상기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식별자와의 조합 간의 대응 관계가 설정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 기기는, 상이한 제2 식별자가 부여된 설비 측 오브젝트를 갖는 복수 개의 설비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의 상기 제1 식별자를 사용하는 상기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에 따라, 상기 서버가 상기 상이한 제2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설비 기기에 대하여 상기 설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를 행하도록,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가 상기 식별자 설정부에 설정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 기기는, 상이한 제2 식별자가 부여된 복수 개의 설비 측 오브젝트를 갖는 설비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 상기 제1 식별자를 사용하는 상기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에 따라 상기 서버가 상기 상이한 제2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설비 기기에 대하여 상기 설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를 행하도록,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가 상기 식별자 설정부에 설정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설비 기기가 상기 설비 측 오브젝트를 실행한 결과 얻어지는 데이터를 상기 설비 기기로부터 취득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가 취득한 데이터에 따라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를 상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에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로부터 상기 서버 측 오브젝트의 실행 요구에 따라, 상기 설비 기기가 상기 설비 측 오브젝트를 실행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서버 측 오브젝트에 따라 정의되는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로 변환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데이터 수신부가 취득한 데이터로부터, 미리 정 해진 조건에 따라,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해서, 상기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로서 상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서버 측 오브젝트의 고유 식별자와,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의 내용에 따라 정의되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 간의 대응 관계에서의 상기 인터페이스 식별자의 수를, 상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가 요구하는 내용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서버 측 오브젝트의 고유 식별자와,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의 내용에 따라 정의되는 인터페이스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인터페이스 식별자가 갖는 클라이언트 제공용 서비스의 정의(definition)의 수를, 상기 클라이언트용 단말 기기가 요구하는 내용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네트워크 시스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측 오브젝트에서 정의되는 정보는, 상기 설비 측 오브젝트가 상기 서버의 요구에 의해 액세스 될 때 상기 서버로 회신되는 상기 기능부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변수(variable)인, 네트워크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측 오브젝트에서 정의되는 정보는, 상기 설비 측 오브젝트가 상기 서버에 의해 미리 액세스되는 경우에, 상기 기능부의 상태 변화가 발생했을 때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이벤트 정보인, 네트워크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측 오브젝트에서 정의되는 정보는, 상기 설비 측 오브젝트가 상기 서버로부터 액세스 되었을 때 상기 기능부에 대하여 상기 정보 처리부로부터 주어지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동작 지시용 함수(operation instruction function)인, 네트워크 시스템.
  16. 삭제
KR1020087018252A 2006-03-28 2007-03-28 네트워크 시스템 KR101056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89600A JP4079175B2 (ja) 2006-03-28 2006-03-28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JP-P-2006-00089600 2006-03-28
JP2006100489A JP4079176B2 (ja) 2006-03-31 2006-03-31 遠隔制御システム
JPJP-P-2006-00100489 2006-03-31
PCT/JP2007/056639 WO2007114164A1 (ja) 2006-03-28 2007-03-28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1234A Division KR101046739B1 (ko) 2006-03-28 2007-03-28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613A KR20080088613A (ko) 2008-10-02
KR101056102B1 true KR101056102B1 (ko) 2011-08-10

Family

ID=385634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1234A KR101046739B1 (ko) 2006-03-28 2007-03-28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087018252A KR101056102B1 (ko) 2006-03-28 2007-03-28 네트워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1234A KR101046739B1 (ko) 2006-03-28 2007-03-28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219658B2 (ko)
EP (2) EP2000921B1 (ko)
KR (2) KR101046739B1 (ko)
CN (1) CN101873350B (ko)
ES (1) ES2394621T3 (ko)
RU (1) RU2419845C2 (ko)
WO (1) WO20071141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49342U (zh) * 2009-10-26 2011-02-16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控制装置及控制系统
US9608903B2 (en) 2010-11-30 2017-03-28 Donald E. Eastlake, III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y from network changes
JP6115097B2 (ja) * 2012-11-20 2017-04-19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9704389B2 (en) * 2013-06-07 2017-07-11 Hitachi Maxell, Ltd. Terminal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US10878323B2 (en) 2014-02-28 2020-12-29 Tyco Fire & Security Gmbh Rules engine combined with message routing
US11747430B2 (en) 2014-02-28 2023-09-05 Tyco Fire & Security Gmbh Correlation of sensory inputs to identify unauthorized persons
WO2015138255A1 (en) * 2014-03-08 2015-09-17 Exosite LLC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smart object and application provider
CN105516373A (zh) * 2014-09-23 2016-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对象信息处理方法、装置及ors应用网关
TWI611379B (zh) * 2015-03-27 2018-01-11 寶貝安科技股份有限公司 遙控燈具方法
US10841121B1 (en) * 2019-09-30 2020-11-17 Hilton International Holding Llc Hospitality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8642A (ja) * 1997-01-09 1998-07-31 Fujitsu Ltd サー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1559B1 (fr) * 1992-05-25 1997-01-03 Cegelec Systeme logiciel a objets repliques exploitant une messagerie dynamique, notamment pour installation de controle/commande a architecture redondante.
JP2885123B2 (ja) 1995-02-24 1999-04-19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名前変換方式
US5920705A (en) * 1996-01-31 1999-07-06 Nokia I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shifting between routing and switching packets in a transmission network
US5892924A (en) * 1996-01-31 1999-04-06 Ipsilon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shifting between routing and switching packets in a transmission network
JP3087642B2 (ja) 1996-02-14 2000-09-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共有システム
US6085236A (en) * 1998-01-06 2000-07-04 Sony Corporation Of Japan Home audio video network with device control modules for incorporating legacy devices
US8400946B2 (en) 2000-01-19 2013-03-19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ommon location-related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US20080062893A1 (en) 2000-01-19 2008-03-1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event-based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conditioned on personal calendar information
US20070226240A1 (en) 2000-01-19 2007-09-2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echnique for providing data objects prior to call establishment
US20070129074A1 (en) 2000-01-19 2007-06-07 Bloebaum L S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condary Information To A Communication Device
US6922721B1 (en) 2000-10-17 2005-07-26 The Phonepages Of Sweden Ab Exchange of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248862B2 (en) * 2000-01-19 2007-07-2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ieving calling party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20070230678A1 (en) 2000-01-19 2007-10-0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echnique for providing caller-originated alert signals
US20070230676A1 (en) 2000-01-19 2007-10-0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echnique for delivering caller-originated alert signals in ip-based communication sessions
US6996072B1 (en) 2000-01-19 2006-02-07 The Phonepages Of Sweden Ab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8548010B2 (en) 2000-01-19 2013-10-01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vent-based synchronization of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US20070127645A1 (en) 2000-01-19 2007-06-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echnique for providing secondary information to a user equipment
US9781257B2 (en) 2000-01-19 2017-10-03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Technique for obtaining caller-originated alert signals in IP-based communication sessions
US6977909B2 (en) * 2000-01-19 2005-12-20 Phonepages Of Swede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4834362B2 (ja) 2005-09-16 2011-12-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メモリ制御装置。
US20070124481A1 (en) 2000-01-19 2007-05-3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event-triggered, location-related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RU2271615C2 (ru) 2000-01-19 2006-03-10 Де Фоун Пэйджиз Ов Суиден Аб Обмен информацией в системах связи
US20070237320A1 (en) 2000-01-19 2007-10-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Nya Vattentornet Technique for providing caller-originated alert signalsin circuit-switched communications
CN1339746A (zh) * 2000-08-28 2002-03-13 金网专线通有限公司 网站连接方法及系统
US20020083172A1 (en) * 2000-12-21 2002-06-27 Knowles Gregory T.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responding to client requests directed to networked embedded devices via proxy services
JP4019666B2 (ja) 2001-08-21 2007-1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情報機器
US8219608B2 (en) * 2002-06-20 2012-07-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calable architecture for web services
JP2005149456A (ja) * 2003-10-24 2005-06-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群管理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提供装置
KR20060008423A (ko) 2004-07-22 2006-01-26 (주)와이즈그램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판매기 상품 판매 방법및 시스템
TW200608256A (en) * 2004-08-31 2006-03-01 Xiao-Peng Li Real-time reservation method and system with electronic docu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8642A (ja) * 1997-01-09 1998-07-31 Fujitsu Ltd サー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32292B2 (en) 2014-05-20
EP2000921B1 (en) 2018-08-22
US20090055524A1 (en) 2009-02-26
WO2007114164A1 (ja) 2007-10-11
CN101873350B (zh) 2012-10-10
KR101046739B1 (ko) 2011-07-05
ES2394621T3 (es) 2013-02-04
EP2000921A4 (en) 2010-11-03
US8219658B2 (en) 2012-07-10
CN101873350A (zh) 2010-10-27
EP2348419B1 (en) 2012-11-14
US20120150937A1 (en) 2012-06-14
EP2000921A1 (en) 2008-12-10
RU2008131535A (ru) 2010-02-10
EP2348419A1 (en) 2011-07-27
KR20080088613A (ko) 2008-10-02
RU2419845C2 (ru) 2011-05-27
KR20100072360A (ko) 201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102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0960586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0555809B1 (ko) 네트워크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제어 방법
JP4595438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並びに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センタサーバ、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機器監視制御装置及び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通信方法
Lee et al. A home cloud-based home network auto-configuration using SDN
KR100978332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048613B1 (ko)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UPnP기반 RG 시스템
KR20080082971A (ko) 네트워크 시스템
JP4473836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8034983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4079176B2 (ja) 遠隔制御システム
WO2016163584A1 (ko) 위치기반 전력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41736B1 (ko)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
JP4079175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10206712A (ja) 宅内機器制御システム
WO2009107220A1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JP2007041905A (ja) サーバー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