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823B1 - 락업 클러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락업 클러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823B1
KR101055823B1 KR1020050077323A KR20050077323A KR101055823B1 KR 101055823 B1 KR101055823 B1 KR 101055823B1 KR 1020050077323 A KR1020050077323 A KR 1020050077323A KR 20050077323 A KR20050077323 A KR 20050077323A KR 101055823 B1 KR101055823 B1 KR 101055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ntrol
valve
solenoid
contro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3113A (ko
Inventor
박진모
임기빈
신병관
박종술
이혁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7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823B1/ko
Publication of KR20070023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4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 F16H61/141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using means only actuated by centrifugal force
    • F16H61/142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using means only actuated by centrifugal force the means being hydraulic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2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throttle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21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 F16H2061/0034Accumulators for fluid pressure supply; Control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락업 클러치 제어 시스템은, 제1 솔레노이드 제어압을 출력하는 라인압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제2 솔레노이드 제어압을 출력하는 락업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라인압을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제어압에 따라 제1 제어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레귤레이터 밸브; 공급된 제1 제어압을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제어압에 따라 제2 제어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레귤레이터 밸브; 공급된 제2 제어압을 상기 제2 솔레노이드 제어압에 따라 제3 제어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2 제어압 및 상기 제3 제어압을 검출압으로 이용하여 작동하는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 및 상기 제2 솔레노이드 제어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 제어압을 락업 클러치 작동압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3 제어압을 락업 클러치 해제압으로 공급하도록 작동하거나, 상기 제2 제어압을 락업 클러치 해제압으로 공급하고 상기 공급된 락업 클러치 해제압이 락업 클러치를 경유하여 배출되도록 작동하는 락업 스위치 밸브를 포함한다.
유압, 락업 클러치, 작동, 해제, 락업 스위치 밸브,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Description

락업 클러치 제어 시스템{LOCK-UP CLUTCH CONTROL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락업 클러치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락업 클러치 제어 시스템에서 락업 클러치 해제 상태에서의 락업 스위치 밸브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라인압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120: 락업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130: 제1 레귤레이터 밸브 140: 제2 레귤레이터 밸브
150: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 160: 락업 스위치 밸브
170: 토크 컨버터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토크 컨버터(torque converter)의 락업 클러치(lock-up clutch)를 제어하는 락업 클러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에 사용되는 토크 컨버터는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이며 임펠러(impeller), 터빈(turbine), 및 스테이터(stator) 를 포함한다.
토크 컨버터는 유체를 매개로 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자동변속기를 구비하는 차량의 연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토크 컨버터에는 락업 클러치(lock-up clutch)가 사용된다. 락업 클러치는 차량 구동조건(예를 들어, 엔진회전수와 스로틀 개도(throttle opening))에 따라 임펠러와 터빈이 기계적으로 연결되도록 작동한다. 차량 구동조건에 따라 락업 클러치의 해제 및 작동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락업 클러치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락업 클러치의 해제 및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한편, 최근에는 락업 클러치 작동압(lock-up clutch apply pressure)은 일정하게 두고 토크 컨버터 작동압(torque converter operating pressure)(즉, 락업 클러치 해제압(lock-up clutch release pressure))을 제어하는 새로운 락업 클러치 제어 방법이 소개된 바 있다. 락업 클러치의 해제 상태(즉, 토크 컨버터 상태)에서는, 어떤 압력을 토크 컨버터 작동압으로 공급하고 락업 클러치 작동압 측은 쿨러(cooler) 등에 연결된다. 이때, 토크 컨버터 작동압 측으로부터 락업 클러치 작동압 측으로의 유체 흐름이 형성된다. 한편, 락업 클러치 작동 제어 또는 미소 슬립(slip) 제어 상태에서는, 목표하는 슬립량(엔진회전수와 터빈회전수의 차이)을 제어하기 위하여 락업 클러치 작동압에 어떤 압을 연결하고 토크 컨버터 작동압을 제어한다. 그리고, 락업 클러치 완전 직결 상태에서는, 락업 클러치 작동압에 어떤 압이 있고 토크 컨버터 작동압 측은 섬프(sump)와 연결된다.
이하에서, 이러한 방식을 채택하는 종래의 락업 클러치 제어 시스템의 예를 설명한다.
먼저, 종래의 락업 클러치 제어 시스템의 일예는, 락업 클러치 작동압과 토크 컨버터 작동압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락업 스위치 밸브(lock-up switch valve)를 포함한다. 락업 스위치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 출력압과 그 내부에 있는 스프링의 힘에 따라, 락업 클러치의 작동 및 해제를 제어한다. 우선, 솔레노이드 밸브압 출력압이 스프링 힘 보다 작으면, 락업 클러치의 해제 상태, 즉 토크 컨버터 상태가 된다. 이때,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torque converter control valve)에 의해 제어된 압력이 락업 클러치의 해제 상태인 토크 컨버터로 유입되고, 락업 클러치 작동압을 쿨러에 연결된다. 한편, 솔레노이드 밸브 출력압이 스프링 힘 보다 크면, 락업 스위치 밸브는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에 의해 제어된 압력이 락업 클러치 작동압으로 공급되고 락업 클러치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제어된 압력이 토크 컨버터 작동압으로 공급되도록 작동한다. 이때, 락업 클러치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여 토크 컨버터의 락업 클러치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락업 클러치 제어 시스템에서는 토크 컨버터 작동압이 락업 클러치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어압에 의해 제어되므로, 락업 클러치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가 많은 유량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락업 클러치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용량 및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을 채택하는 락업 클러치 제어 시스템의 다른 예도, 락업 클러치 작동압과 토크 컨버터 작동압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락업 스위치 밸브(lock-up switch valve)를 포함한다. 락업 스위치 밸브는, 락업 클러치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인가되는 락업 클러치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압과 그 내부에 있는 스프링의 힘에 따라, 락업 클러치의 작동 및 해제를 제어한다. 우선, 락업 클러치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압이 스프링 힘 보다 작으면, 락업 클러치 해제 상태(즉, 토크 컨버터 상태)가 된다. 이때, 제1압력제어밸브의 출력압이 토크 컨버터 작동압으로 토크 컨버터로 공급되고, 락업 클러치 작동압은 쿨러(cooler)에 연결된다. 제1압력제어밸브의 출력압은 제2압력제어밸브에서 라인압 제어 밸브의 제어압에 의해 스로틀 개도에 따라 변하는 압력이다. 한편, 락업 클러치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압이 스프링 힘 보다 크면, 제1압력제어밸브의 출력압이 락업 클러치 작동압으로 공급되고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의 제어압이 토크 컨버터 작동압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의 제어압은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에서 락업 클러치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압에 의해 제어된 압력이며,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의 검출압은 락업 스위치 밸브를 통과한 락업 클러치 작동압 및 토크 컨버터 작동압이다. 락업 스위치 밸브를 통과한 락업 클러치 작동압 및 토크 컨버터 작동압이 검출압으로 사용되므로, 유로의 길이가 길어지고 응답성 및 제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서, 라인압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용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의 작동 제어를 위한 구조가 간단한 락업 클러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락업 클러치 제어 시스템은, 솔레노이드 공급압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솔레노이드 공급압을 스로틀 개도에 따라 제1 솔레노이드 제어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라인압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솔레노이드 공급압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솔레노이드 공급압을 제2 솔레노이드 제어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락업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라인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공급된 라인압을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제어압에 따라 제1 제어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레귤레이터 밸브; 상기 제1 제어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공급된 제1 제어압을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제어압에 따라 제2 제어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레귤레이터 밸브; 상기 제2 제어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공급된 제2 제어압을 상기 제2 솔레노이드 제어압에 따라 제3 제어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2 제어압 및 상기 제3 제어압을 검출압으로 이용하여 작동하는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 및 상기 제2 솔레노이드 제어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 제어압을 락업 클러치 작동압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3 제어압을 락업 클러치 해제압으로 공급하도록 작동하거나, 상기 제2 제어압을 락업 클러치 해제압으로 공급하고 상기 공급된 락업 클러치 해제압이 락업 클러치를 경유하여 배출되도록 작동하는 락업 스위치 밸브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락업 클러치 제어 시스템(lock-up clutch control system)(100)은, 라인압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line pressure control solenoid valve)(110), 락업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lock-up control solenoid valve)(120), 제1 레귤레이터 밸브(first regulator valve)(130), 제2 레귤레이터 밸브(second regulator valve)(140),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torque converter control valve)(150), 및 락업 스위치 밸브(lock-up switch valve)(160)를 포함한다.
라인압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110)는 솔레노이드 공급압(Ps)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솔레노이드 공급압(Ps)을 스로틀 개도(throttle opening)에 따라 제1 솔레노이드 제어압(Psc1)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솔레노이드 공급압(Ps)은 참조번호 201로 지시된 유압 라인을 통해서 라인압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110)로 공급된다. 한편, 라인압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110)로부터 출력된 제1 솔레노이드 제어압(Psc1)은 참조번호 203의 유압 라인을 통해서 제1 레귤레이터 밸브(130)로 공급된다. 또한, 제1 솔레노이드 제어압(Psc1)은 유압 라인(203)으로부터 분기되는 참조번호 205의 유압 라인을 통해서 제2 레귤레이터 밸브(140)로 공급된다.
라인압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110)는 스로틀 개도에 따라 라인압이 적절히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솔레노이드 제어압(Psc1)을 출력하는 것이다. 이때, 주지된 바와 같이, 스로틀 개도는 스로틀 포지션 센서(throttle position sensor)의 신호를 기초로 검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라인압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110)는 스로틀 개도에 비례하는 제1 솔레노이드 제어압(Psc1)을 생성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락업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120)도 유압 라인(201)을 통하여 역시 솔레노이드 공급압(Ps)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솔레노이드 공급압(Ps)을 제2 솔레노이드 제어압(Psc2)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락업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120)로부터 출력되는 제2 솔레노이드 제어압(Psc2)은 참조번호 207의 유압 라인을 통하여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150)로 공급된다. 또한, 제2 솔레노이드 제어압(Psc2)은 유압 라인(207)으로부터 분기되는 참조번호 209의 유압 라인을 통하여 락업 스위치 밸브(160)로 공급된다.
락업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120)는 스로틀 개도와 엔진 회전수에 기초하여 적절한 제2 솔레노이드 제어압(Psc2)을 생성한다. 즉, 락업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120)는 스로틀 개도와 엔진 회전수에 기초하여 락업 클러치가 적절히 작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2 솔레노이드 제어압(Psc2)을 생성한다. 스로틀 개도와 엔진 회전수에 기초하는 락업 클러치 제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임의의 방법 중 어느 하나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라인압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110)와 락업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120)는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는 통상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WM(pulse width modulation)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가변압 솔레노이드 밸브(VFS; Variable Force Solenoid valve)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공급압은 자동변속기의 유압장치의 파일럿 밸브(pilot valve)나 리듀싱 밸브(reducing valve)로부터 공급되는 압력으로 할 수 있다.
제1 레귤레이터 밸브(130)는 라인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공급된 라인압을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제어압(Psc1)에 따라 제1 제어압(Pc1)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라인압은 참조번호 211의 유압 라인을 통하여 제1 레귤레이터 밸브(130)로 공급되며, 제1 레귤레이터 밸브(13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제어압(Pc1)은 참조번호 213의 유압 라인을 통하여 제2 레귤레이터 밸브(140)로 공급된다.
오일 펌프(oil pump)(215)는 오일 팬(oil pan)(217)의 오일을 펌핑(pumping)하여 배출함으로써 라인압을 형성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라인압은 참조번호 219의 유압 라인을 통하여 오일 펌프(215)로부터 배출되며, 라인압은 유압 라인(211)을 통하여 제1 레귤레이터 밸브(130)로 공급된다. 또한, 라인압은 유압 라인(219)으로부터 분기되는 참조번호 221의 유압 라인을 통하여 제1 레귤레이터 밸브(130)의 검출압으로 공급된다. 즉, 제1 레귤레이터 밸브(130)의 작동은 유압 라인(221)을 통하여 공급되는 유압의 크기에 영향을 받게 된다.
참조번호 214의 유압 라인은 유압을 오일 팬(217)으로 리턴(return)시키기 위한 라인이다.
제1 레귤레이터 밸브(130)는 밸브 스풀(valve spool)(131)과 이 밸브 스풀(131)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133)을 포함한다. 제1 레귤레이터 밸브(130)의 밸브 스풀(131)의 위치는, 코일 스프링(133)에 의한 힘, 유 압 라인(203)을 통해서 공급되는 제1 솔레노이드 제어압(Psc1)에 의한 힘, 및 유압 라인(211)을 통해서 공급되는 검출압에 의한 힘에 따라 결정된다. 제1 제어압(Pc1)은 제1 레귤레이터 밸브(130)의 밸브 스풀(131)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어된다.
제2 레귤레이터 밸브(140)는 제1 제어압(Pc1)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공급된 제1 제어압(Pc1)을 제1 솔레노이드 제어압(Psc1)에 따라 제2 제어압(Pc2)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1을 참조하면, 제2 레귤레이터 밸브(140)로부터 출력되는 제2 제어압(Pc2)은 참조번호 223의 유압 라인을 통하여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150)로 공급된다.
한편, 제2 레귤레이터 밸브(140)는 공급된 제1 제어압(Pc1)을 이용하여 오일 쿨러 공급압(Po)을 생성하여 참조번호 225의 유압 라인을 통해서 배출한다. 유압 라인(225)는 락업 스위치 밸브(160)로 연결되며, 오일 쿨러 공급압(Po)은 락업 스위치 밸브(160)의 작동에 따라 참조번호 227의 유압 라인을 경유하여 오일 쿨러(oil cooler)(229)로 공급된다.
참조번호 224의 유압 라인은 유압을 오일 팬(217)으로 리턴(return)시키기 위한 라인이다.
제2 레귤레이터 밸브(140)는 제1 솔레노이드 제어압(Psc1)과 제2 제어압(Pc2)을 검출압으로 이용하여 작동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솔레노이드 제어압(Psc1)은 유압 라인(205)를 통하여 제2 레귤레이터 밸브(140)의 검출압으로 공급되고, 제2 제어압(Pc2)은 유압 라인(223)에서 분기되는 참조번호 231의 유압 라인을 통하여 제2 레귤레이터 밸브(140)의 검출압으로 공급된다. 즉, 제2 레귤레이터 밸 브(140)의 작동은 유압 라인(205,231)을 통하여 공급되는 유압의 크기에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다.
제2 레귤레이터 밸브(140)는 밸브 스풀(141)과 이 밸브 스풀(141)에 탄성력을 가하는 코일 스프링(143)을 포함한다. 제2 레귤레이터 밸브(140)의 밸브 스풀(141)의 위치는, 코일 스프링(143)에 의한 힘, 제1 솔레노이드 제어압(Psc1)에 따른 검출압에 의한 힘, 제2 제어압(Pc2)에 따른 검출압에 의한 힘에 따라 결정된다. 제2 제어압(Pc2)과 오일 쿨러 공급압(Po)은 제2 레귤레이터 밸브(140)의 밸브 스풀(141)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어된다.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150)는 제2 제어압(Pc2)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공급된 제2 제어압(Pc2)을 제2 솔레노이드 제어압(Psc2)에 따라 제3 제어압(Pc3)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150)는 제2 제어압(Pc2) 및 제3 제어압(Pc3)을 검출압으로 이용하여 작동한다. 즉,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150)의 작동은 유압 라인(237,207)을 통하여 공급되는 유압의 크기에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제2 제어압(Pc2)은 유압 라인(223)을 통하여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150)로 공급된다. 한편, 유압 라인(223)으로부터 분기되는 참조번호 231의 유압 라인이 형성되며, 유압 라인(231)은 오일 쿨러(229)로 연결된다.
제3 제어압(Pc3)은 참조번호 233의 유압 라인을 통하여 락업 스위치 밸브(160)로 공급되며, 제3 제어압(Pc3)은 유압 라인(233)으로부터 분기되는 참조번호 235의 유압 라인을 통하여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150)의 검출압으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솔레노이드 제어압(Psc2)은 유압 라인(207)을 통하여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150)의 검출압으로 공급되며, 제2 제어압(Pc2)은 유압 라인(223)으로부터 분기되는 참조번호 237의 유압 라인을 통하여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150)로 공급된다.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150)는 밸브 스풀(151)와 이 밸브 스풀(151)을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153)을 포함한다.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150)의 밸브 스풀(151)의 위치는, 코일 스프링(153)에 의한 힘, 제2 제어압(Pc2)에 따른 검출압에 의한 힘, 제2 솔레노이드 제어압(Psc2)에 따른 검출압에 의한 힘, 및 제3 제어압(Pc3)에 따른 검출압에 의한 힘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제3 제어압(Pc3)은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150)의 밸브 스풀(151)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150)가 락업 스위치 밸브(160)의 출력압과는 상관없는 제2 제어압(Pc2) 및 제3 제어압(Pc3)을 검출압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15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유로가 짧아진다. 따라서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150)를 제어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해 질 수 있고, 그 결과 유압 제어의 효율성 및 응답성이 향상된다.
락업 스위치 밸브(160)는 제2 제어압(Pc2) 및 제3 제어압(Pc3)이 선택적으로 토크 컨버터(torque converter)(170)로 공급되거나 배출되도록 작동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토크 컨버터(170)는 유체 커플링(hydraulic coupling)을 통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이며 기계적 연결을 위한 락업 클러치(171)를 포함한다.
도1을 참조하면, 락업 스위치 밸브(160)는 두 개의 유압 라인(241,243)을 통 하여 토크 컨버터(170)에 연결된다. 참조번호 241의 유압 라인은 락업 클러치 해제압(lock-clutch release pressure)을 공급하기 위한 라인이고, 참조번호 243의 유압 라인은 락업 클러치 작동압(lock-up clutch apply pressure)을 공급하기 위한 라인이다. 락업 클러치 해제압이 유압 라인(241)을 통하여 공급되어 토크 컨버터(170)를 경유하여 유압 라인(243)을 통하여 배출되는 경우에는, 락업 클러치(171)가 해제 상태에 있게 된다. 반면, 락업 클러치 작동압이 유압 라인(243)을 통해서 토크 컨버터(170)로 공급되고 락업 클러치 해제압이 유압 라인(241)을 통해서 토크 컨버터(170)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락업 클러치(171)가 작동 제어되는 상태에 있게 된다. 락업 클러치(171)가 해제되는 경우 토크 컨버터가 유체 커플링으로 작동하게 되므로, 락업 클러치 해제압을 토크 컨버터 작동압(torque converter operation pressure)라고도 한다.
락업 스위치 밸브(160)는, 제2 솔레노이드 제어압(Psc2)의 크기에 따라, 제2 제어압(Pc2)을 락업 클러치 작동압으로 공급하고 제3 제어압(Pc3)을 락업 클러치 해제압으로 공급하도록 작동하거나, 제2 제어압(Pc2)을 락업 클러치 해제압으로 공급하고 공급된 락업 클러치 해제압이 락업 클러치(171)를 경유하여 배출되도록 작동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락업 스위치 밸브(160)는, 유압 라인(233)으로부터 분기되는 참조번호 245의 유압 라인을 통하여 제2 제어압(Pc2)을 공급받을 수 있고, 유압 라인(233)을 통해서 제3 제어압(Pc3)을 공급받을 수 있다.
락업 스위치 밸브(160)는 밸브 스풀(161)과 이 밸브 스풀(161)에 탄성력을 가하는 코일 스프링(163)을 포함한다. 락업 스위치 밸브(160)의 밸브 랜드(161)의 위치는, 유압 라인(209)를 통하여 유입되는 제2 솔레노이드 제어압(Psc2)에 의한 힘과 코일 스프링(613)에 의한 힘에 따라 결정된다. 제2 제어압(Pc2) 및 제3 제어압(Pc3)은 락업 스위치 밸브(160)의 밸브 스풀(161)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토크 컨버터(170)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락업 클러치(171)의 작동 시와 해제 시의 유압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락업 클러치(171)의 작동 시의 유압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솔레노이드 제어압(Psc2)에 의한 힘이 코일 스프링(163)에 의한 힘 보다 큰 경우, 락업 스위치 밸브(160)의 밸브 스풀(16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유압 라인(245)은 유압 라인(243)에 연결되고, 유압 라인(233)은 유압 라인(241)에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유압 라인(245)을 통해서 공급되는 제2 제어압(Pc2)은 유압 라인(243)을 통하여 락업 클러치 작동압으로 공급되고, 유압 라인(233)을 통해서 공급되는 제3 제어압(Pc3)은 유압 라인(241)을 통해서 락업 클러치 해제압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락업 클러치 작동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유압 라인(225)을 통해서 공급된 오일 쿨러 공급압(Po)은 유압 라인(227)을 경유하여 오일 쿨러(229)로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락업 클러치 해제압(즉, 토크 컨버터 작동압)으로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150)에서 출력되는 제3 제어압(Pc3)을 이용하기 때문에, 라인압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출 력 제어압을 토크 컨버터 작동압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라인압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용량과 크기가 클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제2 솔레노이드 제어압(Psc2)에 의한 힘이 코일 스프링(163)에 의한 힘 보다 작은 경우, 락업 스위치 밸브(160)의 밸브 스풀(16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유압 라인(245)은 유압 라인(241)에 연결되고, 유압 라인(227)은 유압 라인(243)에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유압 라인(245)를 통해서 공급되는 제2 제어압(Pc2)이 유압 라인(241)을 통하여 락업 클러치 해제압으로 공급되고, 공급된 락업 클러치 해제압은 댐퍼 클러치(170)를 경유한 후에 유압 라인(243) 및 유압 라인(227)을 통하여 오일 쿨러(229)로 배출된다. 따라서 락업 클러치(171)가 해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또는 수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가 락업 스위치 밸브의 출력압과는 상관없는 제2 레귤레이터 밸브의 출력 제어압(즉, 제2 제어압) 및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의 출력 제어압(즉, 제3 제어압)을 검출압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해지고 그 결과 유압 제어의 효율성 및 응답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락업 클러치 해제압(즉, 토크 컨버터 작동압)으로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의 출력 제어압(즉, 제3 제어압)을 이용하기 때문에, 라인압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출력 제어압을 토크 컨버터 작동압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라인압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용량과 크기가 클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솔레노이드 공급압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솔레노이드 공급압을 스로틀 개도에 따라 제1 솔레노이드 제어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라인압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솔레노이드 공급압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솔레노이드 공급압을 제2 솔레노이드 제어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락업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라인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공급된 라인압을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제어압에 따라 제1 제어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레귤레이터 밸브;
    상기 제1 제어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공급된 제1 제어압을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제어압에 따라 제2 제어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레귤레이터 밸브;
    상기 제2 제어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공급된 제2 제어압을 상기 제2 솔레노이드 제어압에 따라 제3 제어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2 제어압 및 상기 제3 제어압을 검출압으로 이용하여 작동하는 토크 컨버터 제어 밸브; 및
    상기 제2 솔레노이드 제어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 제어압을 락업 클러치 작동압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3 제어압을 락업 클러치 해제압으로 공급하도록 작동하거나, 상기 제2 제어압을 락업 클러치 해제압으로 공급하고 상기 공급된 락업 클러치 해제압이 락업 클러치를 경유하여 배출되도록 작동하는 락업 스위치 밸브;
    를 포함하는 락업 클러치 제어 시스템.
KR1020050077323A 2005-08-23 2005-08-23 락업 클러치 제어 시스템 KR101055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323A KR101055823B1 (ko) 2005-08-23 2005-08-23 락업 클러치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323A KR101055823B1 (ko) 2005-08-23 2005-08-23 락업 클러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113A KR20070023113A (ko) 2007-02-28
KR101055823B1 true KR101055823B1 (ko) 2011-08-09

Family

ID=43654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323A KR101055823B1 (ko) 2005-08-23 2005-08-23 락업 클러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8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169B1 (ko) * 2017-01-02 2017-03-03 김선홍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록업 클러치 컨트롤 시스템
US10119610B2 (en) 2015-11-05 2018-11-06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line pressure of automatic transmiss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232B1 (ko) * 2013-06-18 2015-01-1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토크 컨버터의 유압제어회로
KR102383240B1 (ko) * 2017-10-19 2022-04-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2417341B1 (ko) * 2017-10-19 2022-07-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2417339B1 (ko) * 2017-10-19 2022-07-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2417342B1 (ko) * 2017-10-19 2022-07-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2417337B1 (ko) * 2017-10-19 2022-07-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2417338B1 (ko) * 2017-10-19 2022-07-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2451903B1 (ko) * 2017-12-28 2022-10-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2156014B1 (ko) * 2018-11-30 2020-09-15 현대파워텍 주식회사 락업클러치의 제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3083A (ja) * 1998-12-28 2000-07-14 Toyota Motor Corp 流体継手またはトルクコンバ―タ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3083A (ja) * 1998-12-28 2000-07-14 Toyota Motor Corp 流体継手またはトルクコンバ―タの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9610B2 (en) 2015-11-05 2018-11-06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line pressure of automatic transmission
KR101712169B1 (ko) * 2017-01-02 2017-03-03 김선홍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록업 클러치 컨트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113A (ko)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823B1 (ko) 락업 클러치 제어 시스템
KR101339230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JP4760060B2 (ja) 車両用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付流体式伝動装置の油圧制御装置
US20110269583A1 (en) Hydraulic control apparatus and hydraulic control method
US20070186981A1 (en) Hydraulic control apparatus for vehicular fluid- actuated power transmitting device provided with lock-up clutch
KR100665462B1 (ko) 복수의 유압모터와 클러치의 제어장치
JP4238916B2 (ja)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油圧供給装置
EP1235005B1 (en) Self-diagnosing pressure regulator apparatus
JP2009243640A (ja) 発進装置の油圧制御装置
JP3969330B2 (ja) 車両用直結クラッチの制御装置
KR101712169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록업 클러치 컨트롤 시스템
US20070220879A1 (en) Pressure regulation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KR100957163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장치
US6591958B1 (en)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a torque-transmitting mechanism
KR940001731B1 (ko) 로크-업 클러치 압력 제어 장치
KR101055824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KR101393952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 회로
JP4534652B2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EP0537810B1 (en) Accumulator and relay valve
JP3239694B2 (ja)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スリップ制御装置
KR101091656B1 (ko) 록업 클러치 제어 시스템
JPH07269690A (ja) 油圧クラッチの切換制御装置
KR100376858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JP2018537634A (ja) 油圧システム及び油圧システム内の圧力を制御する方法
EP0229853B1 (en) Hydraulic pressure regulating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