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381B1 - 안테나 장치 및 휴대 무선기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및 휴대 무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381B1
KR101055381B1 KR1020030098897A KR20030098897A KR101055381B1 KR 101055381 B1 KR101055381 B1 KR 101055381B1 KR 1020030098897 A KR1020030098897 A KR 1020030098897A KR 20030098897 A KR20030098897 A KR 20030098897A KR 101055381 B1 KR101055381 B1 KR 101055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ntenna device
opening
external force
bear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7826A (ko
Inventor
사이토유이치로
이토켄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40067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Abstract

휴대 무선기의 몸체(筐體; housing) 내에 수납 및 상기 몸체 밖으로 전개 자재인(展開自在; 자유롭게 전개가능한) 회전식의 안테나 장치에서, 상기 안테나 장치를 전개한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 장치에 기준값 이상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안테나 장치를 상기 몸체로부터 이탈시키는 안테나 이탈 수단을 설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몸체에 돌설(突設)된 회전축을 삽통(揷通; inserting)하여 파지(把持; holding)하고 상기 몸체에 대해 안테나 장치를 회동 자재하게(回動自在; 자유롭게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와, 상기 축받이부의 일부를 바깥쪽으로 절결(切缺; cutting)하여 형성한 개구부로 안테나 이탈 수단을 구성하고, 안테나 장치에 과대한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외력에 의해 개구부의 폭 넓이(間口)가 넓어짐으로써, 회전축의 파지를 개방하여 안테나 장치를 이탈시키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안테나를 전개시킨 상태에서도, 안테나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상기 안테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를 실현한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 및 휴대 무선기 {AN ANTENNA DEVICE AND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 전화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약선도(略線圖).
도 2는, 몸체(筐體; housing)를 닫은 상태의 휴대 전화기를 도시하는 약선도.
도 3은, 안테나부 및 안테나 수납축의 설명에 제공되는 약선도.
도 4는, 안테나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약선도.
도 5는, 안테나부의 이탈을 도시하는 약선도.
도 6은, 안테나부의 재장착을 도시하는 약선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 전화기 2 : 표시부 몸체
3 : 조작부 몸체 4 : 몸체 회전축
5 : 표시부 6 : 스피커
7 : 죠그 다이얼 8 : 조작부
9 : 마이크로폰 10 : 안테나부
11 : 안테나 수납부 12 : 안테나 회전축
13 : 회로 기판 14 : 안테나 소자
15 : 접촉자 16 : 캡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 및 휴대 무선기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에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것이다.
종래, 휴대 전화기에서, 통화시(時)의 안테나 이득(利得)과 비(非) 통화시의 휴대성의 양립(兩立)을 도모하기 위해, 안테나를 휴대 전화기 본체 내에 수납 가능하게 한 것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휴대 전화기의 안테나 수납 방법으로서, 안테나의 근원부에 회동(回動) 기구를 설치하여, 상기 안테나를 기도(起倒; 세우거나 쓰러뜨림) 자재(自在)하게 구성한 회전식 안테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아래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8-298406호 공보
여기서, 이러한 회전식 안테나에서는, 안테나를 전개시킨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에 대해 횡(橫) 방향 등으로부터 과대한 외력(外力)이 가해지면, 안테나 자체나 안테나의 회동 기구, 혹은 휴대 전화기의 몸체(筐體; housing)가 파손되는 일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개한 안테나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상기 안테나나 몸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 및 휴대 무선기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 무선기의 몸체에 회동 자재하게(回動自在; 자유롭게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몸체 내에 수납 및 상기 몸체 밖으로 전개 자재인(展開自在; 자유롭게 전개가능한) 회전식의 안테나 장치에서, 안테나 장치를 몸체에 대해 회동 자재하게 지지(支持)하는 안테나 지지 수단에, 상기 안테나 장치를 몸체 밖으로 전개한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 장치에 기준값 이상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안테나 장치를 상기 몸체로부터 이탈시키는 안테나 이탈 수단을 설치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몸체에 돌설(突設; 돌출하여 설치)된 회전축을 삽통(揷通; inserting)하여 파지(把持; holding)하고 상기 몸체에 대해 안테나 장치를 회동 자재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와, 상기 축받이부의 일부를 바깥쪽으로 절결(切缺; cutting)하여 형성한 개구부(開口部)로 안테나 이탈 수단을 구성하고, 안테나 장치에 기준값 이상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외력에 의해 개구부의 폭 넓이(間口)가 넓어짐으로써, 상기 회전축의 파지를 개방하여 안테나 장치를 몸체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외력에 의한 안테나 장치나 몸체의 파손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안테나 장치에서, 안테나 소자를 내장한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의 일단(一端)에 설치되어, 상기 안테나부를 휴대 무선기의 몸체에 대해 회동 자재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부를 절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부를 상기 몸체에 대해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부 혹은 상기 몸체에 기준값 이상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안테나부 및 상기 지지부를 상기 몸체로부터 이탈시키는 개구부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이것으로 인해, 외력에 의한 안테나 장치나 몸체의 파손을 억제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대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한다.
(1) 휴대 전화기의 전체 구성
도 1에서,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 무선기로서의 휴대 전화기를 전체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표시부 몸체(筐體; housing)(2)와 조작부 몸체(3)가, 상기 조작부 몸체(3)의 일단에 설치된 몸체 회전축(4)을 통해 회동 자재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도 1에 도시하는 열린 상태로부터, 표시부 몸체(2)와 조작부 몸체(3)가 중합(重合)된 닫힌 상태(도 2)까지 자재하게(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표시부 몸체(2)의 정면에는, 그 중앙 부분에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5)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표시부(5)의 상방(上方)에는 스피커(6), 하방(下方)에는 회전 및 압압(押壓; 눌러 압력을 가함) 조작 가능한 죠그(jog) 다이얼(7)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조작부 몸체(3)에는, 그 중앙 부분에 복수의 조작 버튼(button)을 가지는 조작부(8)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조작부(8)의 하방에는 마이크로폰(9)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휴대 전화기(1)에서는, 표시부 몸체(2)와 조작부 몸체(3)가 회동 자재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 도시하는 닫힌 상태에서, 표시부 몸체(2)로 조작부(8)(도 1)를 피복(被覆; cover)하여 보호함과 동시에 오(誤)조작을 방지하고, 또한 휴대 전화기(1) 전체의 치수를 소형화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또), 이 휴대 전화기(1)에서는, 닫힌 상태에서도 표시부(5) 및 죠그 다이얼(7)이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상기 닫힌 상태에서도 표시부(5)를 시인(視認; view; 보면서 인식)하면서 죠그 다이얼(7)을 통해(거쳐서) 휴대 전화기(1)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이 휴대 전화기(1)에서는, 조작부 몸체(3)의 하단에 회전식의 안테나부(10)가 안테나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회동 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통신 시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부(10)를 회전시켜 기립시킴으로써, 그 안테나 이득을 최대로 하여 양호한 통신 상태를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휴대 시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부(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작부 몸체(3)의 하단에 절결하여 설치된 안테나 수납부(11) 내에 상기 안테나부(10)를 수납함으로써, 조작부 몸체(3)로부터의 안테나부(10)의 돌출량을 최소로 하여 휴대성이나 내(耐) 파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2) 안테나부 및 안테나 수납부
이어서, 안테나부(10) 및 안테나 수납부(11)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 수납부(11)에서는, 조작부 몸체(3)의 하측 반체 (半體)(3A) 내면에, 금속 원기둥으로 이루어지는 안테나 회전축(12)이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안테나 회전축(12)을 안테나부(10)의 일단에 천설(穿設; 구멍뚫어 설치)된 원통 형상의 축받이부(10A)에 삽통시킨 후, 상기 안테나부(10)를 조작부 몸체(3)의 하측 반체(3A) 및 상측 반체(3B)로 협지함으로써, 축받이부(10A)로 안테 나 회전축(12)을 파지하여, 상기 안테나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하여 안테나부(10)를 회동 자재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안테나 회전축(12)의 일단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급전(給電) 용수철(14)을 통해 회로 기판(13)의 안테나 급전점(點)(1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부(10)에는 금속선을 나선 형상으로 형성한 나선형(helical) 안테나로 이루어지는 안테나 소자(素子) (14)가 내장되어 있음과 동시에, 축받이부(10A) 내주면에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접촉자(15)가 설치되어 있고, 안테나 소자(14)의 일단이 접촉자 (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안테나 회전축(12)을 축받이부(10A)에 삽통시키면, 상기 안테나 회전축(12)에 접촉자(15)가 접촉하고, 그것으로 인해 안테나 소자(14)와 안테나 급전점(13A)(도 3)이 접촉자(15), 안테나 회전축(12) 및 급전 용수철(14)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이렇게 하여 안테나 소자(14)를 임의의 각도로 회동하더라도 상기 안테나 소자(14)에 항상 급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이 안테나부(10)에서는,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 지지 수단 및 안테나 이탈 수단으로서의 축받이부(10A)의 일부가 바깥쪽{상기 축받이부(10A)의 반경(半徑) 방향}으로 절결되어 개구되고, 안테나 이탈 수단으로서의 개구부(10B)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10B)에 캡 (cap)(16)이 감합(嵌合; fitting; 끼워맞춤)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10B) 내면에는 골짜기 형상(谷型)의 감합 오목부(凹部)(10C)가 2개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캡(16)에서의 감합 오목부(10C)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산 형상(山型)의 감합 볼록부(16A)가 설치되어 있으며, 감합 오목부(10C)와 감합 볼록부 (16A)가 감합함으로써, 개구부(10B)와 캡(16)과의 감합력을 적절히 설정하여, 상기 캡(16)이 용이하게 탈락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3) 안테나부의 이탈 및 재장착
상술한 것처럼, 휴대 전화기(1)의 안테나부(10)에서는, 축받이부(10A)의 일부가 바깥쪽으로 절결되어 개구부(10B)가 형성되고, 이것에 캡(16)이 감합되어 있다. 그리고,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부(10)를 기립(起立)시킨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부(10)를 더 한층 일으키는 힘(화살표 a 방향)이나 횡 방향으로의 무리한 힘, 혹은 휴대 전화기(1)의 낙하에 의한 충격 등의, 통상의 안테나 회전 조작을 상정(想定)하여 설정된 기준값을 넘는 과대한 외력이 안테나부(10)에 가해졌을 경우, 상기 외력에 의해 개구부(10B)의 폭 넓이가 넓어지고, 이로 인해 상기 개구부(10B)와 캡(16)과의 감합이 벗겨짐(분리됨)과 동시에, 축받이부(10A)에 의한 안테나 회전축(12)의 파지가 개방된다.
그 때문에,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부(10)는 휴대 전화기(1)로부터 이탈하고, 이로 인해, 과대한 외력에 의한 안테나부(10)나 안테나 회전축(12), 조작부 몸체(3) 등의 파괴를 회피할 수가 있다. 이 때, 캡(16)은, 안테나 회전축 (12)과 수납부(11)의 내주면(11A)과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있기 때문에, 상기 캡 (16)은 탈락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분리한 안테나부(10)를 재장착하는 경우에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 와 같이 캡(16)과 개구부(10B)의 방향을 합치시킨 후, 안테나부(10)를 안테나 회전축(12)을 향해 압압하는 것만으로, 축받이부(10A)가 안테나 회전축(12)을 파지함과 동시에 캡(16)이 개구부(10B)에 감합되며, 이로 인해 안테나부(10)가 휴대 전화기 (1)에 재장착된다(도 6b).
여기서, 상술한 안테나부(10)의 이탈 및 재장착에 필요한 힘은, 감합 오목부 (10C) 및 감합 볼록부(16A)의 형상을 바꿈으로써 적절히 설정할 수가 있다.
(4) 동작 및 효과
이상의 구성에서, 조작부 몸체(3)의 안테나 수납부(11)에 돌설한 안테나 회전축(12)을, 안테나부(10)의 일단에 천설한 원통 형상의 축받이부(10A)에 삽통시킴으로써, 상기 축받이부(10A)를 중심으로 하여 안테나부(10)를 회동 자재하게 지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축받이부(10A)의 일부를 바깥쪽으로 절결하여 개구부(10B)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10B)에 캡(16)을 감합하도록 하였다.
그 때문에, 통상의 안테나부(10)의 기도 조작에서는 안테나부(10)와 캡(16)은 일체로 되어 회동함에 대해서, 상기 안테나부(10)를 기립시킨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부(10)에 대해 기준값 이상의 과대한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 상기 외력에 의해 개구부(10B)의 폭 넓이가 넓어지고, 이로 인해 개구부(10B)와 캡(16)과의 감합이 벗겨져서 안테나부(10)는 휴대 전화기(1)로부터 이탈하며, 이렇게 하여 과대한 외력에 의한 안테나부(10)나 안테나 회전축(12), 조작부 몸체(3)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안테나부(10)로부터 분리한 캡(16)은, 탈락하는 일 없이 안테나 회전축(12)과 수납부(11)의 내주면(11A)과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있기 때문에, 안테나부(10)의 개구부(10B)와 캡(16)의 방향을 합치시키고, 안테나부(10)를 안테나 회전축(12)을 향해 압압하는 것만으로, 분리한 안테나부(10)를 휴대 전화기(1)에 용이하게 재장착할 수가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축받이부(10A)를 절결하여 개구부(10B)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10B)에 캡(16)을 감합하도록 함으로써, 전개 상태의 안테나부 (10)에 과대한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 상기 안테나부(10)가 휴대 전화기(1)로부터 이탈하고, 이것으로 인해 안테나부(10)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5) 기타 실시예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안테나부(10)의 내부에 나선형 안테나로 이루어지는 안테나 소자(14)를 내장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기판 위에 곡류(meander) 형상의 도체(導體) 패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안테나 소자나 금속판을 요철(凹凸)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안테나 소자 등, 여러 종류의 안테나 소자를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축받이부(10A)의 일부를 절결하여 개구부(10B)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10B)에 캡(16)을 감합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개구부(10B)의 폭 넓이를 적절히 설정하여 축받이부(10A)만으로 적절한 파지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면, 캡(16)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표시부 몸체(2)와 조작부 몸체(3)가 별체(別體) 로 구성된 휴대 전화기(1)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표시부와 조작부가 하나의 몸체에 설치된 일체형의 휴대 전화기 등, 여러 종류의 휴대 무선기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테나를 전개시킨 상태에서도 안테나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상기 안테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 및 휴대 무선기를 실현하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10)

  1. 휴대 무선기의 몸체(筐體; housing)에 회동 자유롭게(回動自在; rotatably) 설치되고, 상기 몸체 내에 수납 및 상기 몸체 밖으로 전개 자유로운(展開自在; 자유롭게 전개가능한) 회전식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돌출하여 설치된 회전축을 삽입관통해서 파지(把持; holding)하고, 상기 몸체에 대해서 상기 안테나 장치를 회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받이부와,
    상기 축받이부의 일부를 바깥쪽으로 절결(切缺; cutting)해서 형성된 개구부(開口部)와,
    상기 축받이부의 내주에 설치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접촉자(接觸子)와,
    상기 접촉자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안테나 소자
    를 구비하고,
    상기 축받이부에 상기 회전축을 삽입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축받이부 및 상기 접촉자를 거쳐서 휴대 무선기의 급전점과 상기 안테나 소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축받이부는, 상기 안테나 장치에 기준값 이상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개구부의 폭이 넓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파지를 개방해서 상기 안테나 장치를 상기 몸체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감합(嵌合; fitting; 끼워맞춤)하는 캡(cap)을 구비하며,
    상기 안테나 장치에 상기 기준값 이상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개구부의 폭이 넓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부와 상기 캡의 감합이 벗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안테나 장치가 이탈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몸체와의 사이에 보존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4. 휴대 무선기에 있어서,
    몸체와,
    상기 몸체 내에 수납 및 상기 몸체 밖으로 전개자유로운 회전식의 안테나 장치
    를 가지고,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몸체에 돌출해서 설치된 회전축을 삽입관통해서 파지하고, 상기 몸체에 대해서 상기 안테나 장치를 회동자유롭게 지지하는 축받이부와,
    상기 축받이부의 일부를 바깥쪽으로 절결해서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축받이부의 내주에 설치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접촉자와,
    상기 접촉자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안테나 소자
    를 구비하고,
    상기 축받이부에 상기 회전축을 삽입관통한 상태에서, 해당 축받이부 및 상기 접촉자를 거쳐서 휴대 무선기의 급전점과 상기 안테나 소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축받이부는, 상기 안테나 장치에 기준값 이상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해당 외력에 의해서 상기 개구부의 폭이 넓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파지를 개방해서 상기 안테나 장치를 상기 몸체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감합하는 캡을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에 상기 기준값 이상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외력에 의해서 상기 개구부의 폭이 넓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부와 상기 캡의 감합이 벗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안테나 장치가 이탈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몸체 사이에 보존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30098897A 2003-01-21 2003-12-29 안테나 장치 및 휴대 무선기 KR1010553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12603 2003-01-21
JP2003012603A JP3906465B2 (ja) 2003-01-21 2003-01-21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無線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826A KR20040067826A (ko) 2004-07-30
KR101055381B1 true KR101055381B1 (ko) 2011-08-09

Family

ID=3258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8897A KR101055381B1 (ko) 2003-01-21 2003-12-29 안테나 장치 및 휴대 무선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50008B2 (ko)
EP (1) EP1441411B1 (ko)
JP (1) JP3906465B2 (ko)
KR (1) KR101055381B1 (ko)
DE (1) DE60200400551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6735B2 (ja) * 2004-07-08 2009-07-01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JP4372158B2 (ja) * 2004-10-28 2009-1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放送用受信機付き携帯電話
US7148852B2 (en) * 2005-04-05 2006-12-12 Kyocera Wireless Corp.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tenna systems and methods
JP4626398B2 (ja) * 2005-05-20 2011-02-09 ソニー株式会社 携帯型無線端末装置
JP3936956B2 (ja) 2005-05-23 2007-06-2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US7428431B2 (en) * 2005-07-06 2008-09-23 Kyocera Wireless Corp. Extendable antenna and speaker box
US7388544B2 (en) * 2005-10-31 2008-06-17 Motorola, Inc. Antenna with a split radiator element
TW200929686A (en) * 2007-12-31 2009-07-01 High Tech Comp Corp Antenna module, speake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911397B2 (en) * 2008-04-02 2011-03-22 Apple Inc. Antennas for electronic devices
US8238238B2 (en) 2008-05-16 2012-08-07 Microsoft Corporation Performing networking tasks based on destination networks
JP5286975B2 (ja) 2008-06-27 2013-09-11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JP5125810B2 (ja) * 2008-06-27 2013-01-23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JP5102170B2 (ja) * 2008-10-09 2012-12-19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10061642A1 (ja) * 2008-11-26 2010-06-0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8309A (ja) * 1997-05-21 2000-04-07 Hemaris Gmbh 眼鏡のヒンジ
KR20010072411A (ko) * 1998-08-14 2001-07-31 찰스 엘 무어 쥬니어 분리 부품용 분리가능한 래치장치
JP2002216898A (ja) 2001-01-23 2002-08-02 Yazaki Corp コネクタの破損防止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8369A (en) * 1991-07-24 1993-06-08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Antenna quick release
US5576720A (en) * 1995-02-03 1996-11-19 Motorola, Inc. Assembly for mounting a radio frequency antenna to a communication device
US5617106A (en) * 1995-04-20 1997-04-01 Sierra Wireless, Inc. Pivotable antenna and electrical device having a pivotable antenna
JPH0969714A (ja) 1995-08-30 1997-03-11 Nippon Antenna Co Ltd 取り外し可能なアンテナ
US5973645A (en) * 1996-12-19 1999-10-26 Intermec Ip Corporation Snap-on antenna and protective connector mounting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3243218B2 (ja) 1998-05-27 2002-01-07 能充 須田 携帯電話機および携帯電話機用アンテナ
US6064342A (en) * 1998-07-13 2000-05-16 3Com Corporation Antenna detachment mechanisms and methods
US6317085B1 (en) * 1998-07-13 2001-11-13 Palm, Inc. Smart antenna connect mechanism to achieve signal integrity without affecting voltage standing wave ratio
US20020025827A1 (en) * 2000-08-21 2002-02-28 Song Chang June Extendable antenna for wireless telephones
US6653979B2 (en) * 2001-10-02 2003-11-25 Sierra Wireless, Inc. Antenna for a PC car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8309A (ja) * 1997-05-21 2000-04-07 Hemaris Gmbh 眼鏡のヒンジ
KR20010072411A (ko) * 1998-08-14 2001-07-31 찰스 엘 무어 쥬니어 분리 부품용 분리가능한 래치장치
JP2002216898A (ja) 2001-01-23 2002-08-02 Yazaki Corp コネクタの破損防止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41411B1 (en) 2007-03-28
KR20040067826A (ko) 2004-07-30
EP1441411A1 (en) 2004-07-28
DE602004005510T2 (de) 2008-01-03
US20040207558A1 (en) 2004-10-21
US7050008B2 (en) 2006-05-23
JP2004228790A (ja) 2004-08-12
JP3906465B2 (ja) 2007-04-18
DE602004005510D1 (de)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381B1 (ko) 안테나 장치 및 휴대 무선기
EP0661824B1 (en) Foldable portable telephone with improved antenna gain
CA2494649C (en) Folding mobile station with dual-movement hinge
KR20010024946A (ko) 전자 장치용 힌지 어셈블리
US20070275772A1 (en) Mobile phone having decoration cover used as key input means
JP4209917B2 (ja) 引き出し可能な端末用のキーパッド
EP1531603B1 (en) Hinge device including a switch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EP1473842B1 (en) a clamshell-type mobile phone with a flat external antenna
KR100498956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금속성 커버 로킹 장치
JPH09130460A (ja) 携帯通信装置
JP2002279856A (ja) 開閉検出装置
KR100821140B1 (ko) 다단형 이동 통신 기기
KR100342538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장치
KR10045631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장치
KR100640457B1 (ko) 와치 타입 텔레폰
KR100575921B1 (ko) 안테나 하우징의 착탈장치
KR20010103976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184578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플립 커버 개폐에 따른 모드 변환장치
KR200225107Y1 (ko) 휴대폰의 배터리 록킹 장치
KR100545652B1 (ko) 자체 조작키를 갖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JP2908338B2 (ja) 無線機
KR20020067163A (ko) 폴더 타입 휴대폰의 플립 개폐장치
KR20060078079A (ko) 무정전 상태에서 카드의 교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59001Y1 (ko) 휴대폰의 포토 플립커버
JPH10163723A (ja) 携帯無線機のアンテ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