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542B1 - 광어 속성 양식방법 - Google Patents

광어 속성 양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542B1
KR101054542B1 KR1020090087366A KR20090087366A KR101054542B1 KR 101054542 B1 KR101054542 B1 KR 101054542B1 KR 1020090087366 A KR1020090087366 A KR 1020090087366A KR 20090087366 A KR20090087366 A KR 20090087366A KR 101054542 B1 KR101054542 B1 KR 101054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under
music
selenium
flatfish
month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9612A (ko
Inventor
오기수
Original Assignee
행복한광어영어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행복한광어영어조합법인 filed Critical 행복한광어영어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090087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5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29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어 양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규칙적으로 음악을 들려주고, 항생제 대체 사료를 주며, 일정기간 동안 셀레늄을 사료에 첨가해 공급해줌으로써 광어를 건강한 상태로 속성으로 양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중스피커가 설치된 양식장에서 광어를 양식하는 방법으로서, 양식장 내 해수를 13~16℃로 맞추고, 상기 수중스피커에서는 20~3700Hz 범위의 고른 파동을 갖는 음악이 30~50dB로 30~60분씩 1일 3회 흘러나오도록 통제하며, 광어 입식 후 11~14개월간 단백질 60~61w%, 지방 16~17w%, 탄수화물 12~13w% 및 광물미립자 9~10w%로 구성된 천연사료를 공급하여 출하하되, 출하 전 3개월간은 상기 천연사료 1㎏ 당 셀레늄을 3.0~4.0㎎ 포함시켜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어 속성 양식방법을 제공한다.
광어, 양식, 셀레늄, 음악, 수중스피커, 호르몬, 스트레스

Description

광어 속성 양식방법{Rapid breeding method for flatfish}
본 발명은 광어 양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규칙적으로 음악을 들려주고, 항생제 대체 사료를 주며, 일정기간 동안 셀레늄을 사료에 첨가해 공급해줌으로써 광어를 건강한 상태로 속성으로 양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어는 횟감으로 유명한 가자미목 넙치과의 바닷물고기이다. 두 눈이 비대칭적으로 머리의 왼쪽에 쏠려 있고 몸이 납작한 이 물고기는 넙적한 물고기라는 의미로 광어(廣魚)라고 불리고 있다. 보통 깊이가 200m를 넘지 않는 바다 밑 모래바닥에서 생활하는 저서어종으로 생선회로 가장 인기가 많은 생선이다. 예전엔 12~3월 사이에 주로 주낙이나 저층 트롤어업을 통해 잡았지만, 최근에는 양식기술이 발달하여 시중에서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으며 연중 내내 광어를 먹을 수 있게 됐다. 때문에, 광어양식은 양식업계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인기산업이고 광어양식에 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다.
광어는 해저 바닥에서 서식하는 저서어종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양식방법인 해상의 가두리 양식의 방법으로 양식할 경우에는 어종들이 가두리망의 그물코 사이로 파고들어 그물에 걸리거나 혹은 해적생물인 독가시치가 그물코 사이로 노출된 광어의 배를 뜯어먹어 어종의 폐사율이 높다는 점 때문에 대부분 육상에서 양식할 수 밖에 없는 데, 이러한 육상 양식은 해상 양식에 비해 해수의 교환이 용이하지 못함에 따라 전염병이 발생할 경우 집단적으로 폐사할 수 있는 관계로 해수를 여과시키는 장비와 함께 항생제등의 약품을 사용할 수 밖에 없고, 따라서 해상 양식에 비해 많은 경비가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항생제는 사용할수록 바이러스에 대한 내성을 높여 더욱 강력한 성능의 항생제를 사용하게 하는 악순환을 겪게 되며 항생제가 주입된 광어를 생식하는 인간에게도 악역향을 미쳐 최근 세계적으로 항생제를 사용하는 양식어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비좁고 해수의 교환도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육상의 수조에서 자라기 때문에 양식장소의 밀집도가 높아 스트레스가 심해 성장이 느리거나 피부병이나 전염병류의 질병이 쉽게 옮아 어류의 폐사율이 높아지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항생제 사용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안전하며 성장이 빠르고 육질이 좋은 광어의 생산을 위한 양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수중청음기를 사용한 클래식음악과 항생제를 대체하는 천연물과 셀레늄을 사용한 사료 첨가제를 사용한 양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동식물에 음악을 들려주어 생육을 촉진하려는 시도는 1860년경 진화론을 주장한 찰스 다윈에 의해 최초로 시도된 이래, 1950년 인도의 싱 교수가 인도의 전통음악인 라가를 벼, 땅콩 및 담배에 들려주어 수확량증가를 이룬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이는 음파가 식물세포에 공명현상을 일으켜 신진대사를 자극하고 음향에너지가 세포분자 및 원형질의 운동을 촉진시킴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동식물에 음악이나 음파를 이용한 성장촉진, 질병억제, 병충해 방지 등의 실험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중청음기를 사용한 클래식음악이 양식되는 광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최적의 양식환경을 만드는 방법에 초점을 맞췄다.
한편, 셀레늄은 원소 주기율표상 Ⅵ B족에 속하는 산소족 원소로서, 돼지나 소의 콩팥, 버터, 굴, 새우, 우유, 현미 또는 마늘 등에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인체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미량 원소이다. 셀레늄은 산소를 소비하는 물질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는 자유 라디칼(free radical)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항산화효소의 중요한 구성요소이고, 또한 면역체계와 갑상선의 정상적인 기능 작동에 필수적인 성분이다. 또한, 셀레늄은 노화방지, 전립선암과 같은 암 발생율 감소, 심장혈관질환 감소,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 방지 및 남성의 생식력 증강의 효과가 있으며, 특히, 셀레늄의 결핍은 심장질환인 케산(Keshan) 병이나 관절질환인 카신-벡(Kashin-Beck) 병을 초래한다. 한국의 경우 토양의 70%가 셀레늄 함량이 낮은 화강암과 현무암으로 구성되어 있어 잠재적으로 셀레늄 결핍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광물상태의 셀레늄은 무기물이기 때문에 바로 섭취할 수 없으므로 무기상태의 셀레늄을 사료로 첨가하여 유기화 과정을 거친 후 광어에 농축시켜 인체에 필요한 유효농도의 셀레늄을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셀레늄의 자체적인 면역효과와 항생효과로 광어에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고도 병원균에 강한 광어가 생산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방법을 사용하면 광어의 성장속도도 빨라져 생산성도 높아진다.
이에, 본 발명은 수중스피커가 설치된 양식장에서 광어를 양식하는 방법으로서, 양식장 내 해수를 13~16℃로 맞추고, 상기 수중스피커에서는 20~3700Hz 범위의 고른 파동을 갖는 음악이 30~50dB로 30~60분씩 1일 3회 흘러나오도록 통제하며, 광어 입식 후 11~14개월간 단백질 60~61w%, 지방 16~17w%, 탄수화물 12~13w% 및 광물미립자 9~10w%로 구성된 천연사료를 공급하여 출하하되, 출하 전 3개월간은 상기 천연사료 1㎏ 당 셀레늄을 3.0~4.0㎎ 포함시켜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어 속성 양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식장 내에서 12시간 간격으로 명주기와 암주기를 반복해주며, 상기 수중스피커에서 음악이 흘러나오는 시간은 상기 명주기 내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어 속성 양식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중스피커를 컴퓨터와 연동시키고, 상기 양식장 내에는 수중청음기를 더 설치하여 음파의 변화를 오실로스코프로 매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어 속성 양식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식장의 해수를 1일에 30~35vol%씩 갈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어 속성 양식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식한 광어 중에서 무작위 표본을 추출하여, 성장률 측정, 광어 조직 내 지방량 측정, 셀레늄 축적량 측정, 성장 호르몬 양 측정, 코르티솔량 측정 및 질병검사를 병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어 속성 양식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양식장 내의 질병 발생 요인을 없애 항생제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2. 광어에게 규칙적으로 음악을 들려 줌으로써 스트레스 지표 물질인 코르티솔량을 줄여, 광어 생장발달 속도를 향상시킨다.
3. 광어에 셀레늄이 농축되어 셀레늄의 자체적인 면역효과와 항생효과로 광어에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고도 병원균에 강한 광어가 생산된다.
4. 광어가 사료와 함께 섭취하여 유기화된 셀레늄은 인체에 필요한 유효농도의 셀레늄을 제공할 수 있다.
5. 광어 생장에 필요한 영양소가 고루 배합된 천연사료의 공급과 양식장의 수질 개선, 광어의 스트레스 감소 및 면역력 강화가 함께 이루어져 광어의 성장속도도 빨라져 생산성도 높아진다.
이에, 본 발명은 수중스피커가 설치된 양식장에서 광어를 양식하는 방법으로서, 양식장 내 해수를 13~16℃로 맞추고, 상기 수중스피커에서는 20~3700Hz 범위의 고른 파동을 갖는 음악이 30~50dB로 30~60분씩 1일 3회 흘러나오도록 통제하며, 광어 입식 후 11~14개월간 단백질 60~61w%, 지방 16~17w%, 탄수화물 12~13w% 및 광물미립자 9~10w%로 구성된 천연사료를 공급하여 출하하되, 출하 전 3개월간은 상기 천연사료 1㎏ 당 셀레늄을 3.0~4.0㎎ 포함시켜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어 속성 양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연상태에서의 광어 서식환경에 근접한 환경 조성함으로써 광어의 스트레스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양식장 내 해수의 온도를 13~16℃로 맞추었다. 또한, 광어의 생육 발달을 위해 음악을 활용하였다. 어류의 가청주파수는 16 ∼ 5,000Hz 범위이다. 수중 가청음은 어군의 행동을 제어하는 방법과 바다목장에서 음향순치 기술로 많이 응용되나, 본 발명에서는 양식되는 광어의 생장촉진을 위해 수중스피커를 통해 20~3700Hz 범위의 고른 파동을 갖는 음악을 30~50dB로 들려주고, 이러한 음악은 30~60분씩 1일 3회 흘러나오도록 통제한다. 여기서 '고른 파동'이라 함은 음악의 규칙성과는 무관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격한 파형의 변화가 없이 특정 범위 내에서 안정적 형태의 파형의 변화를 갖는 것을 말한다. '고른 파동'을 갖는 음악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클래식 음악을 들 수 있으며, 헤비메탈 음악 등과 같은 급격한 파동의 변화를 보이는 음악은 배제되어야 한다.
한편, 광어는 얕은 바다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자연상태에서 밤낮의 변화를 체험하는데, 양식장 내부도 12시간 간격으로 명주기와 암주기가 반복되도록 함으로써, 밤낮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어두운 양식장에서 음악을 들려준 광어의 여러 가지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며, [표 2]는 양식장 내부를 12시간 간격으로 명주기와 암주기가 반복되도록 한 상태에서 음악을 들려준 광어의 여러 가지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표 1]과 [표 2] 실험 모두 음악 외에 다른 조건은 동일한 상태에서 12주 사 육한 광어 중 5마리씩을 무작위로 포획하여 측정한 결과이며, 음악은 모짜리트의 "Eine Kleine Nacht Musik 2악장 Romanze-Adante"를 사용하였다. [표 1]과 [표 2]는 모두 음악을 들려주지 않은 실험군(C), 위 음악을 9시 30분, 11시 30분, 13시 30분으로 나누어 매일 30분씩 들려준 실험군(M30)과 60분씩 들려준 실험군(M60)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표 2]에서 음악을 들려주는 시간은 모두 명주기 내이다.
[표 1] 어두운 상태에서 음악을 들려준 광어의 여러 가지 변화
Figure 112009056878591-pat00001
[표 2] 명주기와 암주기를 반복시킨 상태에서 음악을 들려준 광어의 여러 가지 변화
Figure 112009056878591-pat00002
해메이토크리트(Haematocrit)는 전체혈액에 대한 적혈구의 용량비율을 뜻하는데, [표 1]과 [표 2]의 6가지 실험군에서 주목할 만한 차이점은 없었다.
글루코스(glucose)는 세포호흡을 통해 분해되어 에너지를 생산하고, 그 에너지는 ATP의 형태로 저장는 탄수화물 대사의 중심적 화합물이다. [표 1]과 [표 2]의 경우 공히 음악을 30분 들려준 실험군에서 글루코스량이 증가하였으며, 어두운 상 태보다는 명주기와 암주기를 반복한 경우에 그 양이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르티솔(cortisol)은 이른바 스트레스 호르몬이다. 혈중 코르티솔량을 측정함으로써 광어의 스트레스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코르티솔은 외부의 스트레스와 같은 자극에 맞서 몸이 최대의 에너지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하는 과정에서 분비되어 혈압과 포도당 수치를 높이는 것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분비된 코르티솔은 스트레스와 같은 외부 자극에 맞서 신체가 대항할 수 있도록 신체 각 기관으로 더 많은 혈액을 방출시킨다. 스트레스를 지나치게 받으면 코르티솔의 혈중농도가 높아지고 지방의 축적을 가져온다. 또한 혈압이 오르고, 근조직의 손상도 야기될 수 있다. 불안과 초조 상태가 이어질 수 있고 면역 기능이 약화되어 감기와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에 쉽게 노출될 우려도 있다.
[표 1]과 [표 2]에서는 다소 의외의 측정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데, 어두운 상태에서 음악을 들려주는 경우에는 광어의 혈중 코르티솔양이 오히려 급격히 증가하였다. 다만, 명주기와 암주기를 반복한 경우에는 음악을 들려주지 않은 경우와 30분씩 3번으로 나누어 음악을 들려준 경우 모두 높은 코르티솔 수치가 나타났는데, 60분씩 3번으로 나누어 음악을 들려준 경우에는 코리트솔 수치가 급격히 떨어져 어두운 상태에서 음악을 들려주지 않은 경우의 1/2수준, 명주기와 암주기를 반복하고 음악을 들려주지 않은 경우의 1/3수준으로 크게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5-HT(세로토닌, serotonin)은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호르몬이며, 그 대사산물(代謝産物)은 5-HIAA(5-히드록시인돌아세트산, 5-hydroxyindoleacetic acid)인데, 이것이 만들어지는 데는 효소의 일종인 모노아민옥시다아제가 관여한다. 위 실험결과 다소간의 차이는 있으나 5-HT와 5-HIAA 분비량을 종합해보면, 음악을 들려주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그 양이 증가하고, 명주기와 암주기를 반복시키는 경우가 어두운 상태를 지속시키는 경우보다 그 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NA(노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는 교감 신경계의 신경 전달 작용을 하는 부신수질에서 에피네프린과 함께 추출되는 호르몬으로써,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e)이라고도 한다. 즉, NA는 기쁨을 느끼게 해주는 신경전달물질이라 할 수 있는데, 이 역시 음악을 들려주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그 양이 증가하고, 명주기와 암주기를 반복시키는 경우가 어두운 상태를 지속시키는 경우보다 그 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A(도파민, dopamine)은 노르에피네프린과 에피네프린 합성체의 전구물질(前驅物質)이다. 동식물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의 하나이며 뇌신경 세포의 흥분 전달 역할을 한다. 사람의 경우 파킨슨병일 때는 뇌 속의 도파민의 양이 감소된 것이 밝혀졌고, 뇌간(腦幹)의 선상체(線狀體)에는 노르에피네프린보다 도파민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도파민 자체가 중추신경계에서 뉴런의 신경 전달물질로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사람의 파킨슨병 치료에 쓰인다. 광어를 대상으로 한 본 실험결과를 보면 DA수치는 음악을 들려주었는지 여부 보다는 명주기와 암주기를 반복시켜 주었는지가 그 수치 변화에 주요 요소인 것으로 판단된다.
DOPAC(디히드로페닐초산, 3,4 dihydroxyphenylacetic acid) 역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면역성을 높이는 호르몬이다. 이는 전반적으로 음악을 많이 들려주는 경우에 많이 분비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명주기와 암주기를 반복시키며 음악을 들려주는 경우보다 어두운 상태에서 음악을 들려주는 경우가 오히려 그 분비수치가 높았다.
HVA(호모바닐산, Homovanillic acid)은 DA(도파민, dopamine)의 대사산물로서, 신경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명주기와 암주기를 반복하는 경우보다 어두운 상태를 지속시키는 경우에 전반적으로 더 많이 분비되었으며, 명주기와 암주기를 반복하는 경우에서는 음악을 30분씩 들려주는 경우에 그 분비량이 가장 적었다.
위 [표 1]과 [표 2]에서는 위와 같이 6가지 실험군의 호르몬 분비량 측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데, 호르몬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따라 그 분비량도 달라지므로 완전한 규칙성은 파악할 수 없으나, 전반적으로 볼 때 명주기와 암주기를 반복해주 고, 음악을 60분간 3번씩 들려준 실험군에서 광어의 스트레스가 가장 적고, 면역력이 가장 높은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중스피커를 컴퓨터와 연동시켜, 규칙적으로 음악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양식장 내에는 수중청음기를 더 설치하여 음파의 변화를 오실로스코프로 매일 체크할 수도 있다.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는 시간에 따른 입력전압의 변화를 화면에 출력하는 장치로서, 전기진동이나 펄스처럼 시간적 변화가 빠른 신호를 관측할 수 있는데, 보통 브라운관에 녹색점으로 영상을 나타내지만, 액정화면을 사용하는 전자식도 활용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컴퓨터와 연동된 수중스피커와 수중청음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광어 입식 후 11~14개월간 단백질 60~61w%, 지방 16~17w%, 탄수화물 12~13w% 및 광물미립자 9~10w%로 구성된 천연사료를 공급한다.
상기 천연사료는 광어 생장에 필요한 영양 성분을 분석하여 배합한 것이고, 그 재료는 모두 자연에서 수득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광물미립자로는 황토, 고령토, 고토, 석회, 벤토나이트 (bentonite),제오라이트(zeolite) 및 규토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적용할 수 있으며, 위에서 예시된 광물미립자들은 그 표면적이 용적에 비하여 매우 넓어서 사육수에 현탁된 미립자는 생물여과재로서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하므로 별도의 생물여과시설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광물미립자는 광범위한 흡착력으로 양식장 내 해수 중의 고형유기물, 용해유기물, 병원생물, 암모니아 등의 노폐물을 흡착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는 양식장에는 포말분리장치를 설치하여 온갖 유해성분을 흡착한 광물미립자와 광어의 배설물, 먹다 남은 사료 등을 걸러내어 주면, 항상 깨끗한 수질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상기 양식장의 해수를 1일에 30~35vol%씩 갈아주면, 양식장 내의 해수를 연안 바닷물보다 더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양식 광어의 질병 발생이 억제되어 항생제 등의 약품을 쓰지 않거나 그 사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광어 출하 전 3개월간은 상기 천연사료 1㎏ 당 셀레늄을 3.0~4.0㎎ 포함시켜 공급함을 특징으로 한다. 셀레늄의 작용과 효과는 위의 [과제 해결 수단]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3]은 천연사료에 포함시키는 셀레늄 양에 따른 광어의 체내에 축적되는 셀레늄 양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의 그래프에서는 천연사료 1㎏ 당 셀레늄을 3.1㎎ 포함시켜 제공한 경우 광어 체내에 축적되는 셀레늄양이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여러 차례의 실험결과 천연사료 1㎏ 당 셀레늄을 3.0~4.0㎎ 포함시켜 공급시키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은 입식한 광어 중에서 무작위 표본을 추출하여, 성장률 측정, 광어 조직 내 지방량 측정, 셀레늄 축적량 측정, 성장 호르몬 양 측정, 코르티솔량 측정 및 질병검사를 병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어 속성 양식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각종 호르몬 측정과 질병검사에 관한 구체적인 시기는 다음과 같다.
[항목 1] 성장율 측정(월 1회);
[항목 2] 광어 조직 내 지방량 측정(4개월 간격으로 2회);
[항목 3] 셀레늄 축적량 측정(4개월 간격으로 2회);
[항목 4] 성장 호르몬 양 측정(4개월 간격으로 2회);
[항목 5] 코르티솔량 측정(4개월 간격으로 2회);
[항목 6] 질병검사(수시);
위와 같은 측정 또는 검사를 통해 광어 양식 기간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으며, 위 데이터 축적 결과는 광어의 발육, 질병상태, 품질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더 나은 양식 방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음악 중 하나의 파동변화를 나타낸 예이다.
[도 2]는 양식장에 설치되는 수중스피커와 수중청음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천연사료에 포함시키는 셀레늄 양에 따른 광어의 체내에 축적되는 셀레늄 양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5)

  1. 수중스피커가 설치된 양식장에서 광어를 양식하는 방법으로서,
    양식장 내 해수를 13~16℃로 맞추고,
    상기 수중스피커에서는 20~3700Hz 범위의 고른 파동을 갖는 음악이 30~50dB로 30~60분씩 1일 3회 흘러나오도록 통제하며,
    광어 입식 후 11~14개월간 단백질 60~61w%, 지방 16~17w%, 탄수화물 12~13w% 및 광물미립자 9~10w%로 구성된 천연사료를 공급하여 출하하되,
    출하 전 3개월간은 상기 천연사료 1㎏ 당 셀레늄을 3.0~4.0㎎ 포함시켜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어 속성 양식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양식장 내에서 12시간 간격으로 명주기와 암주기를 반복해주며,
    상기 수중스피커에서 음악이 흘러나오는 시간은 상기 명주기 내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어 속성 양식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수중스피커는 컴퓨터와 연동시키고,
    상기 양식장 내에는 수중청음기를 더 설치하여 음파의 변화를 오실로스코프로 매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어 속성 양식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양식장의 해수는 1일에 30~35vol%씩 갈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어 속성 양식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입식한 광어 중에서 무작위 표본을 추출하여, 다음 각 항목의 측정 또는 검사를 병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어 속성 양식방법.
    [항목 1] 성장율 측정(월 1회);
    [항목 2] 광어 조직 내 지방량 측정(4개월 간격으로 2회);
    [항목 3] 셀레늄 축적량 측정(4개월 간격으로 2회);
    [항목 4] 성장 호르몬 양 측정(4개월 간격으로 2회);
    [항목 5] 코르티솔량 측정(4개월 간격으로 2회);
    [항목 6] 질병검사(수시);
KR1020090087366A 2009-09-16 2009-09-16 광어 속성 양식방법 KR101054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366A KR101054542B1 (ko) 2009-09-16 2009-09-16 광어 속성 양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366A KR101054542B1 (ko) 2009-09-16 2009-09-16 광어 속성 양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612A KR20110029612A (ko) 2011-03-23
KR101054542B1 true KR101054542B1 (ko) 2011-08-04

Family

ID=4393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366A KR101054542B1 (ko) 2009-09-16 2009-09-16 광어 속성 양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5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8785A (zh) * 2014-12-09 2015-04-08 兴化市科兴水产养殖专业合作社 一种富硒蟹的饲养方法
CN111543356A (zh) * 2020-04-09 2020-08-18 刘登冉 一种野生黄鳝的抗应激性及饵料驯化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272B1 (ko) 2006-03-17 2007-06-0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다목장 음향 급이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272B1 (ko) 2006-03-17 2007-06-0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다목장 음향 급이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612A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vidson et al. The effects of aquaculture production noise on the growth, condition factor, feed conversion, and survival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Moss Growth rates, nucleic acid concentrations, and RNADNA ratios of juvenile white shrimp, Penaeus vannamei Boone, fed different algal diets
Anand et al. Substrate based black tiger shrimp, Penaeus monodon culture: Stocking density, aeration and their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water quality and periphyton development
CN103314914B (zh) 一种青虾、白鲢和河蟹共生养殖方法
Günay et al. Growth and survival rate of juvenile sea cucumbers (Holothuria tubulosa, Gmelin, 1788) at various temperatures
CN100586278C (zh) 刺参级进杂交育种方法
CN103314895A (zh) 一种哈氏仿对虾人工繁育方法
Alam et al. Growth performances of GIFT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in cage culture at the Old Brahmaputra river using different densities
KR101054542B1 (ko) 광어 속성 양식방법
CN104970264A (zh) 一种南美白对虾专用配合饲料
CN110419472A (zh) 一种单环刺螠立体生态养殖方法
KR100953994B1 (ko) 꼬막 종묘의 생산방법
Ikhwanuddin et al. Growth and survival of blue swimming crab (Portunus pelagicus) reared on frozen and artificial foods
CN103651200A (zh) 一种远海梭子蟹的育苗方法
Ranjan et al. Enhanced larval survival in orange‐spotted grouper (Epinephelus coioides) using optimized feeding regime
CN105010179A (zh) 一种鲈鱼的海水网箱养殖方法
Fadhilah et al. Water quality and growth performance of giant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and green bean, Phaseolus vulgaris in aquaponics system at different flow rates
CN107347742A (zh) 一种高效养殖黄鳝的方法
JP2006271321A (ja) カクレクマノミの初期生活段階における飼育方法およびカクレクマノミ用生物飼料
Karim et al. Physiological response: survival, growth, and nutrient content of the mud crabs (Scylla olivacea) which cultivated in mangrove area with different types of feed.
Karim et al. Fattening of mangrove crab (Scylla olivacea) by silvofishery system with different feeding frequency
CN111990299A (zh) 一种单环刺螠室外越冬方法
Putra et al. Growth of green mussel (Perna viridis L.) culture at two different depths in estuary waters of Alue Naga Village, Banda Aceh
CN1644041A (zh) 半滑舌鳎苗种培育方法
Zhang et al. The potential for utilizing fouling macroalgae as feed for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