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252B1 - 휴대용 인공호흡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인공호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252B1
KR101054252B1 KR1020100123183A KR20100123183A KR101054252B1 KR 101054252 B1 KR101054252 B1 KR 101054252B1 KR 1020100123183 A KR1020100123183 A KR 1020100123183A KR 20100123183 A KR20100123183 A KR 20100123183A KR 101054252 B1 KR101054252 B1 KR 101054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cover member
nose
portabl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수
Original Assignee
노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수 filed Critical 노영수
Priority to KR1020100123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252B1/ko
Priority to PCT/KR2011/008797 priority patent/WO2012077920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48Mouth-to-mouth respi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57Pumps therefor
    • A61M16/0084Pumps therefor self-reinflatable by elasticity, e.g. resuscitation squeeze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2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by mixing different gases
    • A61M16/122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by mixing different gases with dilution
    • A61M16/125Diluting primary gas with ambient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57Pumps therefor
    • A61M16/0078Breathing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2Gases
    • A61M2202/0208Oxyg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ritical Car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 관로와, 이 일측 관로의 단부 상에 구비되어, 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제1밸브와, 상기 일측 관로를 둘러싸는 일측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일측 관로부와; 상기 일측 관로와 연결되는 타측 관로와, 이 타측 관로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측면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키는 제2밸브와, 상기 타측 관로를 둘러싸는 타측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타측 관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타측 커버부재의 표면이 타측 관로쪽으로 복수 개소 만곡되어, 사용자의 코를 누르도록 된 코마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공호흡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인공호흡장치{POTABLE VENTILATOR}
본 발명은 자력으로 호흡을 못하는 환자에게 인공호흡을 시행하기 위한 휴대용 인공호흡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요원의 입과 환자의 입을 맞대지 않고서도 인공호흡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된 휴대용 인공호흡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구조요원이 숨을 내쉬는 동작만으로 환자에게 원활하게 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도록 된 휴대용 인공호흡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인공호흡 중 환자의 코를 막을 수 있도록 코마개 구성이 채용된 휴대용 인공호흡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비상시 소리신호를 발신할 수 있는 소리신호발생수단(호루라기)을 구비한 휴대용 인공호흡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된 휴대용 인공호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식을 일어 자력으로 정상적인 호흡을 못하는 환자들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구조요원 또는 의료요원이 환자와 입을 맞대면서 숨을 환자의 입으로 강제로 들어 넣음으로써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식의 인공호흡은 비위생적임에 따라(세균 또는 바이러스 감염의 원인이 됨에 따라), 환자나 구조요원이 인공호흡의 수행을 꺼리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한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기압축식 인공호흡기(200)가 제공되고 있지만 그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고가임에 따라, 널리 이용되지 않고 있다. 또한, 통상의 인공호흡기는 그 사용법에 있어서도, 상기 구조요원이 한쪽 손으로 공기주머니(210)를 누르는 동작을 반복하고, 다른 손으로는 공기배출부(220:마스크)를 환자의 입 및 코를 포함한 안면부에 대고 눌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효과적인 인공호흡을 위해서는 외부의 압축공기탱크(230)로부터 연결관(240)을 통한 공기 주입이 요구됨에 따라, 그 구조가 복잡하며, 고비용의 장비로서, 가정이나 의무실 등에 일반적으로 상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 밖에 다양한 인공호흡장치가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와 같은 비용면, 구조 및 사용의 복잡성 등의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흔히 익사사고가 발생되는 바다 또는 하천 등에 있어서는, 인공호흡장치와 함께, 사고의 발생을 알리기 위한 호루라기를 함께 휴대하는 것이 좋지만, 상기와 같은 인공호흡장치와 함께 휴대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구조요원의 입과 환자의 입을 맞대지 않고서도 인공호흡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된 휴대용 인공호흡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휴대용 인공호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조요원이 숨을 내쉬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환자에게 원활하게 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도록 된 휴대용 인공호흡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환자가 내쉬는 숨이 바이패스 경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휴대용 인공호흡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비상시 소리신호를 발신할 수 있는 소리신호발생수단(호루라기)을 구비한 휴대용 인공호흡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인공호흡 중 환자의 코를 막을 수 있도록 코마개 구성이 채용된 휴대용 인공호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 관로와, 이 일측 관로의 단부 상에 구비되어, 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제1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일측 관로부와; 상기 일측 관로와 연결되는 타측 관로와, 이 타측 관로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측면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키는 제2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타측 관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공호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 관로와, 이 일측 관로의 단부상에 구비되어, 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제1밸브와, 상기 일측 관로를 둘러싸는 일측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일측 관로부와; 상기 일측 관로와 연결되는 타측 관로와, 이 타측 관로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측면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키는 제2밸브와, 상기 타측 관로를 둘러싸는 타측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타측 관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타측 커버부재의 표면이 타측 관로쪽으로 복수 개소 만곡되어, 사용자의 코를 누르도록 된 코마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공호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밸브는 상기 일측 관로로부터 상기 타측 관로로 공기 흐름이 발생하면 개방되고, 상기 타측 관로로부터 상기 일측 관로로 공기 흐름이 발생하면 폐쇄되며; 상기 제2밸브는 상기 일측 관로로부터 상기 타측 관로로 공기 흐름이 발생하면 폐쇄되고, 상기 타측 관로로부터 상기 일측관로로 공기 흐름이 발생하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공호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일측 관로부는 결합용 돌출 단부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타측 관로부는 상기 결합용 돌출 단부 구조와 결합하는 수용 단부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용 돌출 단부 구조와 상기 수용 단구 구조가 결합 될 때, 상기 일측 관로와 타측 관로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공호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일측 관로부 및 타측 관로부는, 상기 일측 또는 타측 관로를 둘러싸는 혼 형상의 일측 또는 타측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공호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 또는 타측 관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우스피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공호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만곡되어 연장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단부에 구비되는 가압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마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공호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일측 커버부재의 표면에 부착된 소리신호발생수단을 더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공호흡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 저비용 및,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 휴대용 인공호흡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더욱이, 입을 맞대고 인공호흡을 수행하지 않게 되는 한편, 환자가 내쉬는 숨이 바이패스 경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구조요원이 세균 및 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이 감소된다. 또한, 인공호흡 중 환자의 코를 막을 수 있도록 코마개 구성이 채용됨에 따라, 인공호흡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변 또는 하천에 근무하는 구조요원이 인공호흡장치와 호루라기를 단품으로 함께 휴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그 휴대성 및 이용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인공호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인공호흡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휴대용 인공호흡장치를 사용해서 인공호흡을 수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인공호흡장치를 이용해서 인공호흡을 수행할 때, 휴대용 인공호흡장치 내에서의 공기 흐름 및 밸브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인공호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인공호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인공호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인공호흡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휴대용 인공호흡장치를 사용해서 인공호흡을 수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인공호흡장치를 이용해서 인공호흡을 수행할 때, 휴대용 인공호흡장치 내에서의 공기 흐름 및 밸브 동작 상태를 나타내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인공호흡장치(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일측 관로(11: 도면 중 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관로 또는 파이프)와, 이 일측 관로의 한쪽 단부(하단부)에 구비되어 단부를 개방 및 폐쇄하는 제1밸브(12) 및,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 밸브(11)의 둘레를 둘러싸는 원뿔 또는 혼 형상의 일측 커버부재(13: 또는 마스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일측 관로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그 상단부가 상기 일측 관로(1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연통되는 타측 관로(21: 도면 중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관로 또는 파이프)와, 이 타측 관로(21)의 측면 상에 구비되어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하는 제2밸브(22) 및,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측 관로(21)의 둘레를 둘러싸는 원뿔 또는 혼 형상의 타측 커버부재(23: 또는 마스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밸브(12)는 상기 일측 관로(11)의 하단부 테두리에, 예를 들어 고무 또는 폴리머 재질의 제1격막(12a)의 좌측 테두리를 힌지 결합(부착)함으로써 형성되는데, 힌지 결합부 이외의 제1격막(12a)의 테두리부가 지중에 의해 하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제1격막(12a)의 좌측부가 상기 일측 관로(11)의 하단부 테두리 좌측부에, 예를 들어 접착제 등으로 부착되며, 제1격막의 우측부는 일측 관로(11)의 하단부 테두리의 우측부와 경우에 따라 접하는 자유 단부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밸브(12)는 상기 힌지 결합부를 매개로 선회 운동하면서 상기 일측 관로(11)의 하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상기 제2밸브(22)는 상기 타측 관로(21)의 측면 및/또는 타측 커버부재(23)의 측면에 관통공(22b)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22b)에 상기 고무 또는 폴리머 재질의 제2격막(22a)의 상부 테두리가 힌지 결합(부착)됨으로써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타측 관로(21) 및 타측 커버부재(23)의 상단부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그 상단부의 측벽에 관통공(22b)이 형성되고, 제2격막(22a)의 상단부가 상기 관통공(22b) 상부의 타측 관로(21)의 표면에 부착되며, 하단부는 타측 관로(21)의 하단부 테두리와 경우에 따라 접하는 자유 단부로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밸브(22)는 상기 힌지 결합부를 매개로 선회 운동하면서 상기 타측 관로(21)의 측면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된다.
한편, 상기 일측 관로부(10) 및 상기 타측 관로부(20)의 상호 대향하는 표면에는 결합을 위한 결합 구조가 형성된다.
즉, 상기 일측 관로부(10)의 단부에는 돌출부(14)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일측 관로(11)의 하단부가 상기 일측 커버부재(13)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함에 따라, 상기 일측 관로(11) 하단부의 측벽 및 하단 벽에 의해 상기 돌출부(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타측 관로부(20)의 단부에는 상기 돌출부(14)가 삽입되는 수용부(24)가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도면 중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측 관로(21)의 상단부의 상단부의 내측면이 상기 수용부(24)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일측 관로(11)의 하단부는 상기 타측 관로(21)의 상단부에 끼워지도록 그 직경이 조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돌출부(14) 및 수용부(24) 구조는 공지된 다양한 결합 구조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4) 및 수용부(24)를 매개로 상기 일측 관로부와 타측 관로부를 결합시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인공호흡장치(100)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휴대용 인공호흡장치(100)는 그 본체부(즉, 관로 및 커버부재)의 재질을 LDPE 또는 실리콘을 이용해서 제작하고, 그 전체 길이가 9.5cm, 높이 5cm, 폭 5cm, 중량 50g 정도로 해서 제작함으로써, 그 휴대성 및 보관성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상기 일측 커버부재(13)는 상기 일측 관로(11)의 하단부로부터 일측 관로(11)의 상단부를 향해 연장됨에 따라, 그 직경이 확대되는 혼 또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구급대원이 상기 일측 관로(11)의 상단부를 입으로 물때, 입 주위의 안면부를 커버하도록 된다. 더욱이, 상기 일측 커버부재(13)의 상단부는 평면으로 볼 때 원형 또는 타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게 되며, 이 고리 형상의 단부에 접촉부재(31:예를 들어, 고무 링)가 끼워짐에 따라, 그 단부와 접촉하는 구급대원의 입 주위가 거친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자극되어 다칠 염려가 없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재질의 접촉부재(31)는, 예를 들어 고무 또는 폴리머 등의 탄성재질을 고리 형상으로 성형해서 제작되며, 상기 일측 커버부재(13)의 단부에 탄력을 이용해서 끼워짐에 따라 단부의 거친 면을 덮으면서 만곡되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타측 커버부재(23)의 하단부에도 상기 접촉부재(31)가 끼워져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관로(11)의 상단부 및/또는 상기 타측 관로(21)의 하단부에는, 예를 들어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마우스피스(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마우스피스(33)는, 구급대원 또는 환자의 위생을 위해서 구비된 것으로, 인공호흡 수행 후, 분리되어 소독해서 재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마우스피스로 교체되어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마우스피스(33)는 사용자의 입으로 삽입되는 삽입 관로부(33a)와, 상기 일측 또는 타측 관로(11,21)의 자유 단부에 끼워지는 결합 관로부(3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관로부(33b)의 직경은 상기 일측 또는 타측 관로(11,21)의 자유 단부와의 결합을 위해 그 직경이 삽입 관로부(33a)보다 확대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 있어서는 상기 마우스피스(33)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지만, 내부가 중공인 다양한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마우스피스(33)는 상기 삽입 관로부와 결합 관로부 간의 구획을 위한 환형상의 격벽을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일례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31) 및 마우스피스(33)는 "항균 실리콘"으로 알려진 실리콘을 사용해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상기 마우스피스(33)가 일측 관로부(10)에만 부착 가능한 것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타측 관로부(20)에도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된 구성을 갖는 휴대용 인공호흡장치(100)는, 도 3에 나타낸 상태로 인공호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지면에 눕혀진 환자 P에 대해서, 상기 구조요원 S는 상기 인공호흡장치(100)를 한쪽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환자의 입에 상기 타측 관로부(20)의 타측 관로(21)의 자유 단부(하단부)를 삽입시킨다.
이어서, 일측 관로부(10)의 일측 관로(11)의 자유 단부를 잎에 물고, 상기 인공호흡장치(100)를 가볍게 하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타측 커버부재(23)는 그 하단부 및 상기 접촉부재(31)를 매개로 상기 환자 P의 입 주변에 밀착하게 되며, 따라서 인공호흡의 준비 단계가 완료된다.
이어서, 상기 구급요원 S는 상기 파지한 손 이외의 다른 손으로 환자 P의 코를 막은 상태에서 상기 일측 관로(11)를 통해 숨을 일정 주기로 끊어서 관로 내로 불어 넣음으로써, 인공호흡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인공호흡 중 환자 P가 내쉬는 날숨은 상기 제2밸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인공호흡장치(100)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 및 밸브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도 4(a)에 나타내 바와 같이, 구조요원 S가 상기 일측 관로를 통해 도면 중 하방향으로 숨을 내쉬면, 상부로부터의 가압력 및 자중에 의해 상기 제1밸브(12)의 제1격벽(12a)은 하방향으로 낙하하여 일측 관로와 타측 관로가 연통되는 한편, 타측 관로의 단부 끝에 위치한 환자 P의 입으로 공기가 주입된다. 이때, 상기 제2밸브(21)는 그 개폐용의 제2격막(22a)이 타측 관로(21)의 측벽에 형성된 관통공(22b)에 대해서 외측의 상부 표면에 힌지 결합되고 있음에 따라, 도 4(a) 중 아래쪽으로 향하는 화살표로 표시된 공기 유동에 따라 그 자유 단부가 하강하여 상기 관통공(22b)을 폐쇄하게 된다.
또한, 도 4(b)에 나타내 바와 같이, 구조요원 S가 상기 일측 관로를 통해 도면 중 하방향으로 숨을 내쉬는 동작을 정지하게 되면, 이에 대응해서, 환자의 입으로부터는 이전에 공급되었던 공기에 대한 반작용으로 공기가 배출된다. 이러한 공기는 도면 중 상방향으로의 배출력에 의해 상기 타측 관로(21)를 통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방향으로의 공기 흐름은, 우선 상기 제1격막(12a)을 상승시켜 상기 일측 관로(11)의 단부를 폐쇄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타측 관로(21)로부터 일측 관로(11)로의 공기 유입, 즉 환자의 입으로부터 배출된 공기 유입은 차단된다. 또한, 이러한 공기 흐름은 상기 관통공(22b)을 막고 있는 제2격막(22a)에 대해서 관로 내부로부터 외부로 가압력을 발생시켜 제2격벽(22a)을 들어 올려 상기 관통공(22b)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환자의 입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상기 타측 관로(21) 및 제2밸브(22)를 경유해서 장치(100)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도 4(a) 및 (b)의 과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상기 장치를 이용해서 인공호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인공호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인공호흡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타측 커버부재(23: 또는 마스크) 상에 환자의 코를 막는 코마개(35)가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인공호흡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코마개(35) 형성을 위해서, 그 타측 커버부재(23)의 단부 직경을 상기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인공호흡장치의 타측 커버부재(23)의 단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코마개(35)는, 상기 인공호흡 중 구급요원이 손을 이용해서 환자의 코를 막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서 구비된 구성요소로서, 상기 타측 커버부재(23)의 표면 상에 인체의 안면부 형상에 따라 만곡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코마개(35)는 상기 타측 커버부재(23)를 환자의 입 및 코 주위의 안면부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고, 상기 타측 커버부재(23)로 환자의 안면부를 덮을 때, 환자의 코의 중심에 대응하는(접하는) 부분을 외측으로 만곡 돌출시키고(즉, 타측 관로(21)에 대해서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고), 코의 구멍에 대응하는(접하는) 부분을 내측으로 만곡 돌출시킴으로써(즉, 타측 관로(21)쪽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있어서는, 상기 타측 커버부재(23)의 하단부 테두리 근방에 외측 만곡 돌출부(35a)가 형성되고, 이 외측 만곡 돌출부(35a)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각 내측 만곡 돌출부(35b)가 형성된 상태가 도시된다. 한편, 상기 내측 만곡 돌출부(35b) 간의 간격은 일반적인 사람의 코의 코 구멍 간격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또한, 상기 코마개(35)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 단부가 상기 타측 커버부재(23) 상에 고정되며, 그 타측 단부가 환자의 안면부 코 쪽으로 연장되는 가요성의 연결봉(35c)과, 이 연결봉(35c)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코를 누르기 용이하게 대략 구형상으로 형성된 가압부재(35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에 있어서는, 상기 타측 커버부재(23)의 표면으로부터 양쪽 코 구멍을 각각 담당하는 2개의 연결봉 및 가압부재가 돌출되어 형성된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한편, 상기 가압부재(35d)는 탄성재질의 고무 또는 스폰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인공호흡장치를 이용해서 환자에 대해서 인공호흡을 수행할 경우는, 상기 구조요원 S는 상기 인공호흡장치(100)를 한쪽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입에 상기 타측 관로(21)의 자유 단부(하단부)를 삽입시킨다.
이어서, 일측 관로부(10)의 일측 관로(11)의 자유 단부인 상단부를 잎에 물고, 상기 인공호흡장치(100)를 가볍게 하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때, 상기 타측 커버부재(23)는 그 하단부 및 상기 접촉부재(31)를 매개로 상기 환자 P의 입 및 코 주변에 밀착되는 동시에 상기 코마개(35)가 양쪽 코 구멍을 가압하여 막게 된다. 이에 따라, 인공호흡의 준비 단계가 완료된다.
이어서, 상기 구급요원 S는 상기 일측 관로(11)를 통해 숨을 일정 주기로 끊어서 관로 내로 불어 넣음으로써, 인공호흡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일측 관로부(10)의 일측 커버부재(13) 상에는 소리신호발생수단(37: 호루라기)이 부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리신호발생수단은 일례로서 호루라기(37)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일측 커버부재(13) 상에 고정용 브래킷(38)을 설치하고, 이 고정용 브래킷(38)에 상기 호루라기(37)의 울림통(37a)을 힌지 결합함으로써 호루라기(37)의 공기관(37a)이 상기 고정용 브래킷(38)의 힌지 결합부(38a)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된다.
여기서, 상기 호루라기(37)의 공기관(37b)은 상기 일측 관로(11)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일측 관로(11) 상에서 상기 공기관(37b)이 선회 운동하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구조요원이 교대로 일측 관로(11)와 공기관(37b)을 입에 물어 이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소리발생수단은, 호루라기의 이외의 공지된 다양한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상기 일측 관로(11) 상에 일체로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일측 관로부, 11 - 일측 관로,
12 - 제1밸브, 20 - 타측 관로부,
21 - 타측 관로, 22 - 제2밸브,
37 - 호루라기.

Claims (8)

  1. 삭제
  2.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 관로와, 이 일측 관로의 단부 상에 구비되어, 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제 1 밸브와, 상기 일측 관로를 둘러싸는 일측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일측 관로부와;
    상기 일측 관로와 연결되는 타측 관로와, 이 타측 관로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측면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키는 제 2 밸브와, 상기 타측 관로를 둘러싸는 타측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타측 관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타측 커버부재의 표면이 타측 관로쪽으로 복수 개소 만곡되어, 사용자의 코를 누르도록 된 코마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공호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상기 일측 관로로부터 상기 타측 관로로 공기 흐름이 발생하면 개방되고, 상기 타측 관로로부터 상기 일측 관로로 공기 흐름이 발생하면 폐쇄되며;
    상기 제2밸브는 상기 일측 관로로부터 상기 타측 관로로 공기 흐름이 발생하면 폐쇄되고, 상기 타측 관로로부터 상기 일측관로로 공기 흐름이 발생하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공호흡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관로부는 결합용 돌출 단부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타측 관로부는 상기 결합용 돌출 단부 구조와 결합하는 수용 단부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용 돌출 단부 구조와 상기 수용 단구 구조가 결합될 때, 상기 일측 관로와 타측 관로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공호흡장치.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일측 또는 타측 관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우스피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공호흡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00123183A 2010-12-06 2010-12-06 휴대용 인공호흡장치 KR101054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183A KR101054252B1 (ko) 2010-12-06 2010-12-06 휴대용 인공호흡장치
PCT/KR2011/008797 WO2012077920A2 (ko) 2010-12-06 2011-11-18 휴대용 인공호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183A KR101054252B1 (ko) 2010-12-06 2010-12-06 휴대용 인공호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4252B1 true KR101054252B1 (ko) 2011-08-09

Family

ID=44932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183A KR101054252B1 (ko) 2010-12-06 2010-12-06 휴대용 인공호흡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54252B1 (ko)
WO (1) WO201207792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3135A1 (ko) * 2015-03-20 2016-09-29 노영수 휴대용 반려동물 인공호흡장치
KR101856992B1 (ko) 2016-10-26 2018-05-11 노영수 휴대용 반려동물 인공호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7159A (zh) * 2018-01-19 2018-05-22 四川亿尚呈科技有限公司 一种保证气体充分进入被救者肺部的充气式人工呼吸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855A (ja) * 2000-08-23 2002-03-05 Hajime Gokan 携帯用緊急人工呼吸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68942A1 (fr) * 1976-10-29 1978-05-26 Arion Henri Gilbert Dispositif respirateur artificiel pour operation et reanimation
JPH0367098U (ko) * 1989-10-30 1991-06-28
US20080257351A1 (en) * 2007-04-19 2008-10-23 David Gitschlag Resuscit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855A (ja) * 2000-08-23 2002-03-05 Hajime Gokan 携帯用緊急人工呼吸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3135A1 (ko) * 2015-03-20 2016-09-29 노영수 휴대용 반려동물 인공호흡장치
KR101856992B1 (ko) 2016-10-26 2018-05-11 노영수 휴대용 반려동물 인공호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77920A2 (ko) 2012-06-14
WO2012077920A3 (ko) 201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608B1 (ko) 반려동물용 황사 방지 마스크
EP0417026A1 (en) Protective device kit for use in pulmonary ventilation treatment by the mouth-to-mouth or mouth-to-nose methods
ES2753575T3 (es) Un sistema híbrido de interfase de vías respiratorias positivas para su uso con sistemas de ventilación y presión positiva del aire
US9216263B2 (en) Breath intake valve
CN102065943A (zh) 防治肥胖症的鼻塞
CN110191736A (zh) 用于患者接口的气体冲洗换气口
US11738217B2 (en) Head encapsulation unit
KR101054252B1 (ko) 휴대용 인공호흡장치
KR101361012B1 (ko) 마스크
CN110461284A (zh) 耳朵治疗设备
JP2011200421A (ja) マスク
US20150068530A1 (en) One-sided nasal cannula device and attachments
JPH08252315A (ja) 細菌フィルタ器付き一方向バルブ
CN208049157U (zh) 气管切开患者使用的吸氧管
KR102307556B1 (ko) 방역 위생 마스크
KR20170061326A (ko) 비강에 삽입되는 캡슐형 공기여과장치
KR20110007832U (ko) 소변봉투
KR101856992B1 (ko) 휴대용 반려동물 인공호흡장치
JP4781748B2 (ja) 声門下狭窄患者用会話可能な気管切開チューブ
EP3281611A1 (en) Urine collector device
CN208114038U (zh) 防结核传播呼吸罩
JP5547452B2 (ja) リザーバーバッグ付マスク
KR101804275B1 (ko) 인공호흡용 휴대 마우스피스
CN204158846U (zh) 一种新型人工呼吸器
CN218636442U (zh) 呼吸机氧气面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