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917B1 - 제전기 - Google Patents

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917B1
KR101053917B1 KR1020090012097A KR20090012097A KR101053917B1 KR 101053917 B1 KR101053917 B1 KR 101053917B1 KR 1020090012097 A KR1020090012097 A KR 1020090012097A KR 20090012097 A KR20090012097 A KR 20090012097A KR 101053917 B1 KR101053917 B1 KR 101053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air
high pressure
discharge
static eliminat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2798A (ko
Inventor
최경화
Original Assignee
(주)동일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일기연 filed Critical (주)동일기연
Priority to KR1020090012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9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92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4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spark gaps or other discharg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01T19/04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having point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제전기는 내부에 전자기판이 배치되는 제전기케이스와, 상기 제전기케이스내에 설치되며 고압공기가 통과되는 고압공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압통기통공의 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전침이 설치된 이온발생관부를 포함하는 제전기를 제공하고, 상기 이온발생관부는 고압공기관이 연결되는 연결접속관부와, 일단부인 흡입단부는 상기 연결접속관부와 연결되며 내부에 고압공기통공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타단부인 배출단부에는 고압공기통공이 형성되고 방전침이 배치된 이온발생관본체와, 상기 이온발생관본체의 배출단부의 배치홈상에 설치되고 상기 고압공기통공에 연결되어 고압공기가 상기 방전침의 선단으로 통과되게 경사고압공기통공이 형성된 고압공기변향부가 배치되어, 용이하게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가 단순하게 되어 제조 및 설치가 편리하며, 방전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작업자에게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제전기{ A ionizer }
본 발명은 제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코로나 방전을 통하여 양이온 및 음이온을 발생시키고 이를 대전물체까지 송풍시켜서 대전물체상에 형성된 정전기를 중성화하는 기기로서 그 구조가 단순하게 되어 제조 및 설치가 편리하며 제조가가 저렴하게 되고 방전침이 돌출된 구조가 아니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LCD, PDP 등의 전자부품을 생산함에 있어서는 청정한 생산환경을 필요로 하는 바, 이러한 부품들의 생산공정에서는 정전기가 불가피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된 정전기로 인해 패턴의 파괴, 인쇄 불량 등의 생산 효율의 저하가 야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발생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코로나 방전식 정전기 제거장치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근거리 정전기 제거용으로는 전압방식 중에서 교류전압이 이용되는 코로나 방전식 정전기 제거장치가 사용된다.
보통 정전기 제거장치와 대전물체까지의 거리가 100cm 이상의 원거리 정전기 제거용에는 직류고전압이 인가되는 코로나 방전식 정전기 제거장치가 사용되나, 대 전물체와의 거리가 30cm 이내의 근거리에서는 교류고전압이 인가되는 코로나 방전식 정전기 제거장치가 적합하며 교류의 상용 주파수 및 고주파를 사용함에 따라 고주파를 이용하는 경우 고속으로 이동하는 대전물체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이는 유도전극측과 방전전극측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킬 때 생성된 양이온과 음이온은 고주파 교류전압에 의해 (+)극성과 (-)극성을 가지며 매우 빠른 속도로 변환하여 대전물체에 발생된 정전기를 중성화하게 되는데 극성의 변환이 빠르고 자체 중화량이 많아 근거리에 존재하는 정전기의 제거에는 교류고전압 코로나 방전식 정전기 제거장치가 더욱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제전기에 의해 대전체에서 정전기를 제거하는 제전원리는 다음과 같다. 모든 물체는 본래 정(+)전하와 부(-)전하가 같은 양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들 전하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으면 전기적 중성이다. 그러나 이 균형이 어떤 원인에 의해 깨어져서 정과 부의 전하 중 어느 한쪽이 과승된 상태가 되면 그 물체는 정전기가 대전된 물체가 되는 것이다. 즉 대전체가 되는 것이다. 제전은 이러한 과승된 전하를 반대극성 전하로 중화해서 원래의 상태에 가깝 게 전기적 중성으로 돌아가게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정(+)전하가 과승된 물체에는 부(-)의 전하를 공급하고, 반대로 부(-)의 전하가 과승된 물체에는 정(+)의 전하를 공급하여 전기적으로 중화시키는 것이다
근거리 정전기 제거를 위한 상기의 교류고전압이 인가되는 코로나 방전식 정전기 제거장치는, 침상의 방전침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는 상태이므로, 침상 형상의 상기 방전침이나 방전침에 인가되는 고전압에 의해 생산작업자의 신체에 손상을 입힐 위험성이 있고 또한 외부로 노출된 상기 방전침은 외부의 충격에 쉽게 손상될 수 있으며 일단 설치가 되면 이동이나 각도 조절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게 되어 제조 및 설치가 편리하며, 방전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작업자에게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제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전자기판이 배치되는 제전기케이스와, 상기 제전기케이스내에 설치되며 고압공기가 통과되는 고압공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압공기통공의 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전침이 설치된 이온발생관부를 포함하는 제전기를 제공하고, 상기 이온발생관부는 고압공기관이 연결되는 연결접속관부와, 일단부인 흡입단부는 상기 연결접속관부와 연결되며 내부에 고압공기통공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타단부인 배출단부에는 고압공기통공이 형성되고 방전침이 배치된 이온발생관본체와, 상기 이온발생관본체의 배출단부의 배치홈상에 설치되고 상기 고압공기통공에 연결되어 고압공기가 상기 방전침의 선단으로 통과되게 경사고압공기통공이 형성된 고압공기변향부가 배치되게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전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전기는 내부에 전자기판이 배치되는 제전기케이스와, 상기 제전기케이스내에 설치되며 고압공기가 통과되는 고압공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압공기통공의 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전침이 설치된 이온발생관부를 포함하는 제전기를 제공하고, 상기 이온발생관부는 고압공기관이 연결되는 연결접속관부와, 일단부인 흡입단부는 상기 연결접속관부와 연결되며 내부에 고압공기통공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타단부인 배출단부에는 고압공기통공이 형성되고 방전침이 배치된 이온발생관본체와, 상기 이온발생관본체의 배출단부의 배치홈상에 설치되고 상기 고압공기통공에 연결되어 고압공기가 상기 방전침의 선단으로 통과되게 경사고압공기통공이 형성된 고압공기변향부가 배치되어, 용이하게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가 단순하게 되어 제조 및 설치가 편리하며, 방전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작업자에게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전기(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전자기판(11)이 배치되는 제전기케이스(1)와, 상기 제전기케이스(1)내에 설치되며 고압공기가 통과되는 고압공기통공(221)이 형성되고 상기 고압공기통공(221)의 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전침(222)이 설치된 이온발생관부(2)를 포함한다.
상기 제전기케이스(1)의 저면에는 고정용 브라켓(12)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다. 상기 고정용 브라켓(12)은 상기 제전기케이스(1)의 저면에 형성되며 넓어지다가 좁아지는 곡면삽입관(121)과, 상기 곡면삽입관(121)에 삽입되며 상기 곡면삽입관(121)의 내측면(121a)에 삽입되며 상기 곡면삽입관(121)이 위치변경되게 작동되는 곡면돌출돌조(122)가 돌출형성된 지지판(12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곡면삽입관(121)과 지지판(123)사이에는 6개의 위치변경조립관(124)이 삽입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치변경조립관(124)의 상부에는 상기 곡면삽입관(121)에 삽입되는 곡면돌출돌조(124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곡면삽입관(124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제전기(A)의 이온발생관부(2)가 원하는 위치로 변경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온발생관부(2)는 고압공기관(3)이 연결되는 연결접속관부(21)와, 일단부인 흡입단부(22a)는 상기 연결접속관부(21)와 연결되며 내부에 고압공기통공(221)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타단부인 배출단부(22b)에는 고압공기통공(221)이 형성되고 방전침(222)이 배치된 이온발생관본체(22)와, 상기 이온발생관본체(22)의 배출단부(22b)의 배치홈(223)상에 설치되고 상기 고압공기통공(221)에 연결되어 고압공기가 상기 방전침(222)의 선단으로 통과되게 경사고압공기통공(231)이 형성된 고압공기변향부(23)가 배치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접속관부(21)는 상기 이온발생관본체(22)의 흡입단부(22a)와 나사결합이 되도록 상기 연결접속관부(21)의 외측단부에는 나사면(211)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중공의 통공(212)이 형성되어 고압공기관(3)이 삽입고정되는 구조이다.
상기 이온발생관본체(22)는 내부에 형성된 고압공기통로(221)는 배출단부(22b)방향으로 갈수록 점차로 가늘어지는 형태로 본 실시예에서는 3단계로 가늘어지게 형성되고 배출단부(22b)의 내측의 배치홈(223)상에는 방전침(222)이 삽입고정되는 방전침고정공(224)이 형성되고 상기 방전침(222)의 하단에는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선(225)이 접속되어 방전침(222)의 선단부에서 고압의 전기를 발생시켜 생성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공기 중의 분자가 이온화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접속선(225)은 전자기판(11)에 접속된다.
상기 이온발생관본체(22)의 배출단부(22b)의 고압공기통로(221)는 방전침(223)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압공기의 이온화를 위하여 고압공기변향부(23)가 상기 배치홈(223)상에 배치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압공기변향부(23)의 경사고압공기통공(231)은 약 30°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고압공기가 방전침(222)의 선단을 통하여 흐르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압공기변향부(23)의 전방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확관부(232)가 형성되어 이온화된 고압공기를 전방으로 분사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온발생관본체(22)의 상기 배출단부(22b)의 제전기케이스(1)의 외부로 돌출된 외측면에는 나사부(226)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226)의 제전기케이스(1)의 내측에 위치되는 외측에는 접지핀(227)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온발생관본체(22)를 전자기판(11)상에 접지고정시킨다.
상기 이온발생관본체(22)의 나사부(226)상에는 상기 고압공기변향부(23)의 확관부(232)와 접하며 점점 출구가 작아지는 배출공(41)이 형성된 이온배출부(4)가 나사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전기(A)는 필요한 위치에 고정브라켓(12)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제전기(A)를 온시키면, 방전침(222)상에 고전압이 인가되면서 코로나 방전이 시작되고 고압공기관(3)에 연결된 이온발생관부(2)의 고압공기통공(221)을 통하여 고압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고압공기변향부(23)의 경사고압공기통공(231)을 지나면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되는 방전침(222)의 선단을 지나면서 이온화되어 그대로 제전이 필요한 부위로 방출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전기(A')는 전술한 제전기(A)의 고정브라켓(12)이 제거되고 후방에 권총형 손잡이부(5)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권총형 손잡이부(5)는 상기 제전기케이스(1)의 저면고정홈(13)에 접하는 하부조립연장대(511)와 상기 제전기케이스(1)의 측면삽입홈(14)에 삽입되는 상부조립연장대(512)가 상단부에 수평으로 돌출형성된 손잡이케이스(51)와, 상기 손잡이케이스(51)의 내부에 배치된 고압공기관(3)과, 상기 고압공기관(3)의 중간에 배치되어 고압공기관(3)의 고압공기송출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고압공기제어부(52)와, 상기 고압공기제어부(52)의 제어작동을 수행하며 스프링(54)에 의하여 전방으로 탄력지지되는 힌지작동가동부(53)를 포함한다.
상기 고압공기관(3)은 상부의 고압공기관(31)과 하부의 고압공기관(32)으로 분할되고 중간에는 고압공기제어부(5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압공기관(3)의 상부의 고압공기관(31)의 상단부는 제전기(A)의 상기 연결접속관부(21)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상기 고압공기제어부(52)의 고압공기배출관(522a)상에 고정된다. 상기 하부의 고압공기관(32)의 상단부는 상기 고압공기제어부(52)의 고압공기흡입관(521a)상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손잡이케이스(51)의 저면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압공기제어부(52)는 공기흡입실(521)과 공기배출실(522)로 분할되고 상기 공기흡입실(521)과 공기배출실(522)상에는 연결공(525)을 통하여 연통되며 작동봉(523)이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다.
상기 작동봉(523)의 공기흡입실(521)상에 위치되는 일단부는 고정된 고정판(5230)이 스프링(524)에 의하여 전방으로 탄력지지되고 상기 공기배출실(522)상에 위치되는 일단부에는 상기 힌지작동가동부(53)상에 접하는 구조이다.
상기 작동봉(523)은 연결공(525)상에 배치되는 중간부분은 상기 공기흡입실(521)상에 인접한 부분에는 연결공(525)의 직경에 맞는 원추형 돌출부(5231)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실(521)내에는 연결공(525)을 폐쇄하는 패킹부(5232)와 상기 패킹부(5232)를 지지하는 돌출지지판(5233)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실(521)의 하향으로는 고압공기흡입관(52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봉(523)의 공기배출실(522)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힌지작동가동부(53)의 후면에 접하는 돌출단부(5234)가 형성되고 중간에는 공기의 배출을 방지하는 패킹링(5235)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배출실(522)의 상부에는 고압공기배출관(522a)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손잡이케이스(51)의 하단에는 힌지고정핀(513)이 형성되어 연속되는 제 전작업이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힌지작동가동부(53)상에 형성된 고정홈(531)상에 걸어서 계속적인 제전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힌지작동가동부(53)는 그 상단은 힌지핀(532)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케이스(51)상에 힌지고정되고 스프링(54)에 의하여 전방으로 탄력지지되고 작동봉(523)의 돌출단부(5234)가 밀착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전기(A')는 권총형 손잡이부(5)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전이 필요할 경우에은 상기 손잡이부(5)의 힌지작동가동부(53)를 파지시키면, 힌지작동가동부(53)가 뒤로 밀리면서 상기 힌지작동가동부(53)와 접하는 작동봉(523)의 돌출단부(5234)가 뒤로 밀리면서 고압공기제어부(52)의 작동봉(53)이 후퇴작동하면서 원추형 돌출부(5231)가 뒤로 밀리면서 이와 함께 패킹부(5232)도 밀려나게 되면서 연결공(525)이 개방되면서 고압이 걸려 있던 고압공기가 하부 고압공기관(32)상에서 연결공(525)을 통과하면서 배출공(41)이 형성된 이온배출부(4)의 배출공(41)으로 배출되면서 정전기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전작업을 장기간 수행할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케이스(51)의 하단에설치된 힌지고정핀(513)을 상기 힌지작동가동부(53)상에 형성된 고정홈(531)상에 걸게되면 계속적인 제전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전기는 일반 제조공장에서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전기의 사시도
도 2는 일측의 제전기케이스가 열린 제전기의 내부의 사시도
도 3은 이온발생관부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4a,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전기의 전후 방향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전기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제전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7은 도 5의 제전기의 고압공기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확대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전기 케이스 2. 이온발생관부 3. 고압공기관
4. 이온배출부 5. 손잡이부

Claims (9)

  1. 제전기(A)에 있어서,
    상기 제전기(A)는,
    내부에 전자기판(11)이 배치되는 제전기케이스(1)와,
    상기 제전기케이스(1)내에 설치되며 고압공기가 통과되는 고압공기통공(221)이 형성되고 상기 고압공기통공(221)의 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전침(222)이 설치된 이온발생관부(2)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발생관부(2)는 고압공기관(3)이 연결되는 연결접속관부(21)와,
    일단부인 흡입단부(22a)는 상기 연결접속관부(21)와 연결되며 내부에 고압공기통공(221)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타단부인 배출단부(22b)에는 고압공기통공(221)이 형성되고 방전침(222)이 배치된 이온발생관본체(22)와,
    상기 이온발생관본체(22)의 배출단부(22b)의 배치홈(223)상에 설치되고 상기 고압공기통공(221)에 연결되어 고압공기가 상기 방전침(222)의 선단으로 통과되게 경사고압공기통공(231)이 형성된 고압공기변향부(23)가 배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온발생관본체(22)는 내부에 형성된 고압공기통로(221)는 배출단부(22b)방향으로 갈수록 점차로 가늘어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단부(22b)의 내측의 배치홈(223)상에는 방전침(222)이 삽입고정되는 방전침고정공(224)이 형성되고 상기 방전침(222)의 하단에는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선(225)이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기(A)의 후방에 권총형 손잡이부(5)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권총형 손잡이부(5)는 상기 제전기케이스(1)의 저면고정홈(13)에 접하는 하부조립연장대(511)와 상기 제전기케이스(1)의 측면삽입홈(14)에 삽입되는 상 부조립연장대(512)가 상단부에 수평으로 돌출형성된 손잡이케이스(51)와,
    상기 손잡이케이스(51)의 내부에 배치된 고압공기관(3)과,
    상기 고압공기관(3)의 중간에 배치되어 고압공기관(3)의 고압공기송출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고압공기제어부(52)와,
    상기 고압공기제어부(52)의 제어작동을 수행하며 스프링(54)에 의하여 전방으로 탄력지지되는 힌지작동가동부(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공기제어부(52)는 공기흡입실(521)과 공기배출실(522)로 분할되고 상기 공기흡입실(521)과 공기배출실(522)상에는 연결공(525)을 통하여 연통되며 작동봉(523)이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작동봉(523)의 공기흡입실(521)상에 위치되는 일단부는 고정된 고정판(5230)이 스프링(524)에 의하여 전방으로 탄력지지되고 상기 공기배출실(522)상에 위치되는 일단부에는 상기 힌지작동가동부(53)상에 접하고,
    상기 작동봉(523)은 연결공(525)상에 배치되는 중간부분은 상기 공기흡입실(521)상에 인접한 부분에는 연결공(525)의 직경에 맞는 원추형 돌출부(5231)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실(521)내에는 연결공(525)을 폐쇄하는 패킹부(5232)와 상기 패킹부(5232)를 지지하는 돌출지지판(5233)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실(521)의 하향으로는 고압공기흡입관(52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봉(523)의 공기배출실(522)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힌지작동가동부(53)의 후면에 접하는 돌출단부(5234)가 형성되고 중간에는 공기의 배출을 방지하는 패킹링(5235)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배출실(522)의 상부에는 고압공기배출관(52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케이스(51)의 하단에는 힌지고정핀(513)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작동가동부(53)상에는 고정홈(531)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작동가동부(53)는 그 상단은 힌지핀(532)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케이스(51)상에 힌지고정되고 스프링(54)에 의하여 전방으로 탄력지지되고 작동봉(523)의 돌출단부(5234)가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기케이스(1)의 하부에는 고정용 브라켓(12)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용 브라켓(12)은 상기 제전기케이스(1)의 저면에 형성되며 넓어지다가 좁아지는 곡면삽입관(121)과, 상기 곡면삽입관(121)에 삽입되며 상기 곡면삽입관(121)의 내측면(121a)에 삽입되며 상기 곡면삽입관(121)이 위치변경되게 작동되는 곡면돌출돌조(122)가 돌출형성된 지지판(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곡면삽입관(121)과 지지판(123)사이에는 복수개의 위치변경조립관(124)이 삽입설치되고, 상기 위치변경조립관(124)의 상부에는 상기 곡면삽입관(121)에 삽입되는 곡면돌출돌조(124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곡면삽입관(12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기
KR1020090012097A 2009-02-13 2009-02-13 제전기 KR101053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097A KR101053917B1 (ko) 2009-02-13 2009-02-13 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097A KR101053917B1 (ko) 2009-02-13 2009-02-13 제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798A KR20100092798A (ko) 2010-08-23
KR101053917B1 true KR101053917B1 (ko) 2011-08-04

Family

ID=42757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097A KR101053917B1 (ko) 2009-02-13 2009-02-13 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9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3931A (zh) * 2011-06-15 2012-12-19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用来遮罩静电枪的聚电罩及其静电测试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5271A (ja) 2002-08-30 2004-03-25 Sunx Ltd 除電装置
JP2004152665A (ja) * 2002-10-31 2004-05-27 Sunx Ltd 除電装置
JP2004228069A (ja) * 2002-11-29 2004-08-12 Sunx Ltd 除電装置
KR100541967B1 (ko) 2004-11-11 2006-01-11 (주)해강 정전기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5271A (ja) 2002-08-30 2004-03-25 Sunx Ltd 除電装置
JP2004152665A (ja) * 2002-10-31 2004-05-27 Sunx Ltd 除電装置
JP2004228069A (ja) * 2002-11-29 2004-08-12 Sunx Ltd 除電装置
KR100541967B1 (ko) 2004-11-11 2006-01-11 (주)해강 정전기 제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3931A (zh) * 2011-06-15 2012-12-19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用来遮罩静电枪的聚电罩及其静电测试装置
CN102833931B (zh) * 2011-06-15 2015-06-10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用来遮罩静电枪的聚电罩及其静电测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798A (ko) 2010-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4334B2 (en) Vehicle air purifying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reducing harmful gas and particles
KR100807151B1 (ko) 파워리스 이온 에어건
KR101507619B1 (ko) 제전기 및 제전 방법
WO2005117506A1 (ja) 除電装置
US20120260937A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 surface
KR101403072B1 (ko) 이온 생성 장치
US20190123519A1 (en) Ionizer
KR101053917B1 (ko) 제전기
KR101658676B1 (ko) 이온 생성장치
KR101146621B1 (ko) 코로나 방전원리가 사용된 바타입 정전기 제거장치
JP2007048682A (ja) イオナイザー用ノズル
TWI455427B (zh) Electrode unit and ion generator
KR100821629B1 (ko) 노즐형 제전장치
KR101082123B1 (ko) 오일미스트 흄 제거 실험장치
JP2011054308A (ja) 除電装置及び除電方法
KR20150053713A (ko) 하전 초미세 액적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기 집진기
JP4404257B2 (ja) コロナ放電型イオナイザ
JPH0547488A (ja) クリーンルーム用除電装置
JP2010104971A (ja) 除塵装置、及び除電除塵装置
KR102105246B1 (ko) 폭발성 배기가스 입자의 정전 제거 장치
KR102245787B1 (ko) 폭발성 배기가스 입자의 정전 제거 장치
KR100699415B1 (ko) 정전분무 세정장치
JP3147714U (ja) エアーガン
JP6842287B2 (ja) トンネル工事用電気集塵機
KR20210043889A (ko) 방전 전극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