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355B1 -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 - Google Patents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355B1
KR101053355B1 KR1020100019227A KR20100019227A KR101053355B1 KR 101053355 B1 KR101053355 B1 KR 101053355B1 KR 1020100019227 A KR1020100019227 A KR 1020100019227A KR 20100019227 A KR20100019227 A KR 20100019227A KR 101053355 B1 KR101053355 B1 KR 101053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rotor coil
presser
sides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성
이두기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9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mounting into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8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 H02K15/095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by laying conductors around salient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는, 로터(10)의 로터 코일 설치부(20)에 배치되어 양측의 로터 코일의 단부를 받치는 받침 블록, 받침 블록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측의 로터 코일의 단부를 가압하여 양측 로터 코일의 단부가 맞닿도록 정렬시키는 프레서(200) 및 프레서(200)를 지지하는 서포터(1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the rotor coil brazing Jig for the Air cooling generator}
본 발명은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형상의 로터 코일을 로터의 한쪽에 복수개로 맞대어 배열하고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도록 하는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냉각 발전기는 로터에 로터 코일(rotor coil)이 배열되고, 그 로터 코일은 로터가 회전될 때에 전자석을 만들기 위해 직류 전류가 흐르는 도체역할을 한다.
또한, 상술한 로터 코일은 중공(中空)으로 형성되어 로터 코일의 내부에 공기가 흐르면서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또한, 상술한 로터 코일은 C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로터 코일 단부와 다른 하나의 로터 코일 단부가 맞닿아 브레이징(Brazing)되며 이러한 형태로 순차적으로 1층 ~ 10층으로 적층되어 코일 조립체가 구성된다.
종래의 로터 코일(1a)(1b)을 브레이징하는 기술을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종래의 로터 코일을 브레이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으로서, 도 1의 (a)는 양측의 로터 코일의 단부를 맞추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고, 도 1의 (b)는 블록과 밴드를 이용하여 로터 코일을 고정시키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로터(10)는 전체적인 외형 형상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로터 코일 설치부(20)가 배치되며, 상술한 로터 코일 설치부(20)에는 로터 코일이 설치된다.
상술한 로터 코일 설치부(20)는 외경에 선형의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술한 로터 코일 설치부(20)의 외측에는 어느 하나의 로터 코일과 다른 로터 코일이 맞닿아 브레이징되는 것이다.
상술한 로터 코일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직선구간의 양측에 직각으로 구부려진 후에 상술한 로터에 배열되는 해당위치에 적합하도록 곡률을 갖도록 구부려지며 단부의 일측에는 직선구간을 갖는다.
즉, 상술한 로터 코일은 로터 코일 설치부(20)에 배열될 때에 직선구간이 로터의 그루브에 삽입되고, 그루브의 외측에 곡률구간이 드러나게 되며, 복수 개의 로터 코일이 배치될 때에 어느 하나의 로터 코일과 상대측의 로터 코일의 단부가 맞닿고, 양측의 로터 코일 단부를 브레이징(brazing)하여 일체로 용접하는 것이다.
상술한 로터 코일(1a)(1b)은 곡률구간이 구부려진 형상을 유지하도록 소성 변형되어야 하지만, 로터 코일(1a)(1b)은 금속재질이므로 탄성의 성질을 갖는 것으로서 스프링 백(spring back) 현상이 발생하여 다소 어긋날 수 있고 이렇게 어긋날 경우 망치로 두들겨 소정의 형상으로 구부려 맞닿게 배치하고 브레이징이 이루어진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의 로터 코일 단부(1a)(1b)를 맞닿게 배치하는 과정에서 로터 코일에 열을 가하고 햄머링(hammering)을 하여 변형시키고, 이후 수작업으로 양측의 로터 코일 단부(1a)(1b)를 눌러서 맞추며, 블록(3)으로 양측 로터 코일 단부(1a)(1b)를 누르도록 배치한 다음에 밴드(2)로 블록(3)의 외측을 감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브레이징 장치(4)를 이용하여 상술한 양측의 로터 코일 단부(1a)(1b)에 브레이징한다.
즉, 종래에 로터 코일의 브레이징을 수작업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매우 느리고, 제품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로터 코일에 햄머링을 가하여 로터 코일이 설계에서 요구되는 곡률을 맞추는 것으로써 로터 코일이 타격으로 인하여 찌그러지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로터 코일이 변형됨으로써 내부의 중공 공간이 변형되어 비정상적으로 좁아지거나 변형되어 유체의 흐름이 저하되어 냉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로터 코일에 열처리를 가함으로써 기계적 성질 중에 항복 강도가 저하되고 이로써 발전기의 운전 중에 로터 코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냉간 성형된 로터 코일을 로터의 로터 코일 설치부에 설치할 때에 로터 코일이 스프링 백(spring back)현상으로 들춰지더라도 스프링 백을 흡수하여 로터 코일의 브레이징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는, 로터의 로터 코일 설치부에 배치되어 양측의 로터 코일의 단부를 받치는 받침 블록; 상기 받침 블록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양측의 로터 코일의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양측 로터 코일의 단부가 맞닿도록 정렬시키는 프레서; 및 상기 프레서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받침 블록은, 하측의 저면이 상기 로터의 외경과 대응하도록 하는 곡률부가 형성되고, 상측의 상면은 평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 블록은, 하측의 저면이 상기 로터의 외경과 대응하도록 하는 곡률부가 형성되고, 상측의 상면에 상기 로터 코일의 두께와 대응하는 높이로 상면 단턱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 블록은 하측 측면에 받침부가 더 형성되어 상기 로터 코일 설치부의 직선부와 접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서는, 상기 서포터의 한쪽에 고정되고 일측에 레일 그루브가 형성된 레일 프레임; 상기 레일 그루브에서 활주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승강구동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슬라이더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양측 로터 코일의 단부를 가압하는 가압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 그루브의 한쪽에 형성된 슬라이드 웨이; 상기 슬라이더의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 그루브에 구름 접촉하는 롤러 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 웨이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한쪽에 설치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양측 로터 코일의 단부에 작용하는 부하가 일정하도록 하는 정압 액추에이터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의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 블록의 승강 운동의 직진도를 담보하도록 하는 가이드 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는 스프링 백 현상에 의해 로터 코일의 단부가 들리더라도 프레서에 의해 양측의 로터 코일 단부가 눌려져 정렬되어 로터 코일을 브레이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는 로터 코일을 브레이징할 때에 브레이징할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어 수작업에 비교하여 정교하고 품질이 균일한 로터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는 로터에 로터 코일을 배치할 때에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로터 코일을 브레이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으로서, 도 1의 (a)는 양측의 로터 코일의 단부를 맞추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고, 도 1의 (b)는 블록과 밴드를 이용하여 로터 코일을 고정시키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와 로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와 로터가 설치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에서 프레서와 받침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에서 프레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단면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에 의해 브레이징되는 로터 코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에 의해 브레이징되는 로터 코일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에서 받침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는 서포터(100)의 일측에 프레서(200)가 설치된다.
상술한 프레서(200)의 하측에는 로터 코일이 조립될 로터(10)가 배치되며, 상술한 로터(10)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링 서포터(500)에 의해 받히고, 롤링 서포터(500)는 베이스 구조물(510)에 설치된다.
상술한 롤링 서포터(500)는 로터(10)를 무게를 지탱하면서도 적정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은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서포터(100)는 양측에 포스트(110)가 설치되고, 포스트(110)의 상측에는 크로스 프레임(112)이 설치되며, 크로스 프레임(112)의 중간에는 상술한 로터(10)의 축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메인 프레임(114)이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메인 프레임(114)의 하측에는 상술한 메인 프레임(114)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벌려진 위치에 서브 프레임(116)이 형성되고, 상술한 서브 프레임(116)에는 프레서(200)가 설치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프레서(200)는 상술한 메인 프레임(114)에 설치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프레서(200)가 서브 프레임(116)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프레서(200)는 첨부도면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프레서(200)는 상술한 서브 프레임(116)의 하측에 레일 프레임(210)이 설치되고, 상술한 레일 프레임(210)에는 슬라이더(220)가 활주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술한 슬라이더(220)의 하측에는 승강 블록(300)이 승강하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레일 프레임(210)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레일 프레임(210)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고, 레일 프레임(210)의 한쪽에는 레일 그루브(212)가 형성되며, 상술한 레일 그루브(212)에는 상술한 슬라이더(220)를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 부재(224)가 활주되도록 슬라이드 웨이(214)가 형성된다.
상술한 슬라이더(220)는 측방에 롤러 부재(222)가 설치되고, 상술한 롤러 부재(222)는 상술한 레일 그루브(212)에 배치되어 활주된다.
또한, 상술한 슬라이더(220)의 측방에는 고정 부재(224)가 체결되며, 고정 부재(224)의 일부는 상술한 슬라이드 웨이(214)를 관통하여 조립된다.
따라서 상술한 슬라이더(220)는 상술한 고정 부재(224)를 느슨하게 체결한 상태에서 상술한 레일 프레임(210)에서 활주된다.
또한, 작업자가 소망하는 위치에 슬라이더(220)를 이동시킨 후에는 상술한 고정 부재(224)를 단단하게 조이면 슬라이더(220)가 상술한 레일 프레임(212)에 고정되어 이동된 위치가 유지된다.
또한, 상술한 슬라이더(220)의 한쪽에는 핸들(226)이 더 부가될 수 있고, 이로써 핸들(226)을 잡아당겨 슬라이더(220)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상술한 승강 블록(300)은 슬라이더(220)에 설치된 액추에이터(23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상술한 액추에이터(230)는 상술한 슬라이더(220)의 중간에 설치될 수 있고, 액추에이터(230)의 로드(232)에 상술한 승강 블록(300)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슬라이더(220)에는 가이드 부재(240)가 더 배치될 수 있고, 가이드 부재(240)에는 가이드 로드(242)가 관통되며, 가이드 로드(242)의 하단은 상술한 승강 블록(3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승강 블록(300)이 승강될 때에 상술한 가이드 로드(242)에 의해 승강 운동이 안내되어 흔들리거나 비틀리지 않고 정교하게 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가이드 부재(240)와 상술한 가이드 로드(242)는 복수개로 설치될 수도 있고, 이와 같이 복수개로 설치됨으로써 상술한 승강 블록(300)은 더욱 안정된 상태에서 승강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승강 블록(300)의 하측에는 가압 블록(310)이 설치될 수 있고, 이때 가압 블록(310)은 단일 개수 또는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가압 블록(310)의 저면은 평평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가압 블록(310)과 이격된 위치에 상술한 가압 블록(310)의 상대인 받침 블록(제1, 제2, 제3, 제4 받침 블록 참조)이 배치된다.
상술한 받침 블록은 도 7,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 코일 설치부(20)에서 어느 위치에 로터 코일(A)(B)(C)을 설치하느냐에 따라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즉, 로터 코일(A)(B)(C)은 전체적인 형상이 C형상으로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로터 코일(A)과 다른 하나의 로터 코일(B)의 한쪽 단부는 수평상태로 맞닿고, 다른 한쪽 단부는 로터 코일(A)의 두께 만큼 단차 차이를 갖는다.
또한, 상술한 단차 차이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또 다른 로터 코일(C)이 겹겹이 얹혀서 층을 이루며, 상술한 로터 코일(A)의 단부와 상술한 로터 코일(C)의 단부가 맞닿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로터 코일 설치부(2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의 직경이 점점 넓어지는 경사부(22)와 로터의 직경이 일정한 직선부(24)로 구성될 수 있고, 상술한 로터 코일(A)(B)(C)은 상술한 경사부(22)와 직선부(24)에 배치되어 브레이징된다.
첨부도면 도 11의 (a)는 로터 코일의 단부가 계단형태로 맞닿는 부분을 나타낸 예이고, 첨부도면 도 11의 (b)는 로터 코일의 단부가 평평한 형태로 맞닿는 부분을 나타낸 예이다.
즉, 상술한 받침 블록은 4가지의 실시예가 제공될 수 있고, 좀 더 상세하게는, 양측 로터 코일의 단부가 경사부(22)와 직선부(24)에서 평평한 형태로 맞닿는 제1, 제2 실시예와 양측 로터 코일의 단부가 경사부(22)와 직선부(24)에서 계단 형태로 맞닿는 제3, 제4 실시예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첨부도면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제1, 제2, 제3, 제4 받침 블록(320a))(320b)(320c)(320d)을 설명한다.
제1 받침 블록(320a)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디(321)의 하측에 하측부(322)가 형성되고, 그 하측부(322)는 저면이 로터(10)의 외경과 유사한 곡률을 가지는 곡률부(322a)와 배면 일측으로 돌출되는 받침부(322b)가 형성되며, 상술한 바디(321)의 상면(323)은 평탄하고 모서리에는 경사면(324)이 형성된다.
상술한 받침부(322b)는 상술한 로터 코일 설치부(20)의 직선부(24)와 접촉될 수 있고, 이로써 제1 받침 블록(320a)이 쓰러지지 않고 곧게 서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받침 블록(320b)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디(321)의 하측에 하측부(322)가 형성되고, 그 하측부(322)는 저면이 로터(10)의 외경과 유사한 곡률을 가지는 곡률부(322a)가 형성되며, 상술한 바디(321)의 상면(323)은 평탄하고 모서리에는 경사면(324)이 형성된다.
제3 받침 블록(320c)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디(321)의 하측에 하측부(322)가 형성되고, 그 하측부(322)는 저면이 로터(10)의 외경과 유사한 곡률을 가지는 곡률부(322a)와 배면 일측으로 돌출되는 받침부(322b)가 형성되며, 상술한 바디(321)의 상면(323)은 상면 단턱(325)을 형성하고, 상술한 상면(323)과 상술한 상면 단턱(325)의 모서리에는 경사면(324)이 형성된다.
제4 받침 블록(320d)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디(321)의 하측에 하측부(322)가 형성되고, 그 하측부(322)는 저면이 로터(10)의 외경과 유사한 곡률을 가지는 곡률부(322a)가 형성되며, 상술한 바디(321)의 상면(323)은 상면 단턱(325)을 형성하고, 상술한 상면(323)과 상술한 상면 단턱(325)의 모서리에는 경사면(324)이 형성된다.
상술한 상면 단턱(325)은 상면(323)으로부터 높이 차이가 낱개의 로터 코일(A)(B)(C)의 높이와 대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제2, 제3, 제4 받침 블록(320a)(320b)(320c)(320d)의 경사면(324)은 로터 코일(A)(B)(C)과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제1, 제3 받침 블록(320a)(320c)은 경사부(22)에 얹히도록 배치되어 로터 코일 적층 그룹 중에 맨 안쪽에 위치되는 제1, 제3 로터 코일 적층 그룹(C11)(C21)을 구성할 때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제4 받침 블록(320b)(320d)은 직선부(24)에 얹히도록 배치되어 상술한 제1, 제3 로터 코일 적층 그룹(C11)(C21)의 이후 적층되는 로터 코일 그룹을 구성할 때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의 작용을 설명한다.
로터 코일(A)(B)(C)이 설치될 로터(10)가 서포터(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롤링 서포터(500)에 로터(10)가 얹힌 상태로 대기된다.
이후, 로터(10)의 로터 코일 설치부(20)에는 로터 코일이 조립되는데, 이때 각각의 로터 코일은 배치될 위치에 따라 사이즈와 곡률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터 코일 설치부(20)에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로터 코일일수록 직선구간(S)과 곡률구간(R)의 길이가 짧고, 로터(10)의 중심에서 바깥쪽의 위치에 배치되는 로터 코일일수록 곡률이 크다.
즉, 로터 코일은 배치될 위치가 로터를 설계될 당시부터 정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 코일이 로터(10)의 외경에 겹겹이 적층될 때에 어느 하나의 로터 코일(A)의 로터 코일 단부(1a)에는 다른 로터 코일(B)의 로터 코일 단부(1b)가 평탄하게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술한 다른 로터 코일(B)의 외측에는 또 다른 로터 코일(C)이 겹치게 되며, 상술한 어느 하나의 로터 코일(A)의 타측 로터 코일 단부(1c)와 상술한 또 다른 로터 코일(C)의 로터 코일 단부(1d)가 평탄하게 맞닿게 된다.
또한, 프레서(200)는 승강 블록(300)의 하측에 가압 블록(310)을 설치하고 가압 블록(310)의 저면은 상술한 일측의 코일 단부(1a)(1b) 또는 타측의 코일 단부(1c)(1d)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슬라이더(220)의 위치가 정렬된다.
이때, 상술한 일측의 코일 단부(1a)(1b) 또는 타측의 코일 단부(1c)(1d)가 마주할 때에 스프링 백 현상에 의해 단부가 정교하게 맞닿지 않을 수 있지만, 프레서(200)에 구비된 액추에이터(230)가 구동되면 승강 블록(300)이 하강하여 일측의 코일 단부(1a)(1b) 또는 타측의 코일 단부(1c)(1d)를 누르고 이후 통상의 브레이징 장치에 의해 일측의 코일 단부(1a)(1b) 또는 타측의 코일 단부(1c)(1d)가 브레이징되어 일체가 된다.
즉, 스프링 백 현상에 의해 로터 코일의 단부가 들춰지더라도 로터 코일의 단부 하측에는 제1, 제2, 제3, 제4 받침 블록(320a)(320b)(320c)(320d) 중에 어느 하나가 받치고 상측에는 승강 블록(300)의 가압 블록(310)이 내리누름으로써 양쪽의 로터 코일의 단부가 정교하게 맞닿도록 정렬시킬 수 있고, 또한 브레이징하는 도중에도 정렬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브레이징은 정교하게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가압 블록(310)의 높이를 다르게 설정하여 복수 개로 구비할 수 이로써 로터 코일의 층이 높아질수록 높이가 낮은 가압 블록(310)을 설치하여 로터 코일에 가해지는 압력을 비슷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액추에이터(230)는 설정된 부하의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면 그 압력은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정압 액추에이터일 수 있고, 이로써 로터 코일의 층 높이가 높거나 낮음에 상관없이 항상 설정된 압력으로 로터 코일을 누를 수 있게 할 수 있어 브레이징이 균일할 수 있다.
로터 코일의 브레이징이 완료되면 액추에이터(230)는 역구동되어 승강 블록(300)을 상승시키고 새로운 로터 코일을 계속하여 적층하게 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로터 코일 적층 그룹을 조립 완료한 이후에 해당 로터 코일 적층 그룹의 외측에 다른 로터 코일 적층 그룹을 조립하게 되고 이때에는 상술한 슬라이더(220)를 이동시켜 새로운 로터 코일 적층 그룹의 상측에 승강 블록(300) 또는 가압 블록(310)을 위치시키고 슬라이더(220)를 현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는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를 제작할 때에 로터 코일을 브레이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A, B, C: 제1, 제2, 제3 로터 코일
1a, 1b, 1c, 1d: 로터 코일 단부 2: 밴드
3: 블록 4: 브레이징 장치
10: 로터 20: 로터 코일 설치부
22: 경사부 24: 직선부
100: 서포터 110: 포스트
112: 크로스 프레임 114: 메인 프레임
116: 서브 프레임
200: 프레서(presser) 210: 레일 프레임
212: 레일 그루브 214: 슬라이드 웨이(way)
220: 슬라이더 222: 롤러 부재
224: 고정 부재 226: 핸들
230: 액추에이터 232: 로드
240: 가이드 부재 242: 가이드 로드
300: 승강 블록 310: 가압 블록
320a, 320b, 320c, 320d: 제1, 제2, 제3, 제4 받침 블록
321: 바디 322: 하측부
322a: 곡률부 322b: 받침부
323: 상면 324: 경사면
325: 상면 단턱
500: 롤링 서포터 510: 베이스 구조물
C11, C12: 제1, 제2 로터 코일 적층그룹
C21, C22: 제3, 제4 로터 코일 적층그룹
S: 직선구간 R: 곡률구간

Claims (8)

  1. 삭제
  2. 하측의 저면이 로터(10)의 외경과 대응하도록 하는 곡률부(322a)가 형성되고, 상측의 상면(323)은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기 로터(10)의 로터 코일 설치부(20)에 배치되어 양측의 로터 코일의 단부를 받치는 받침 블록;
    상기 받침 블록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양측의 로터 코일의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양측 로터 코일의 단부가 맞닿도록 정렬시키는 프레서(200); 및
    상기 프레서(200)를 지지하는 서포터(100);
    를 포함하는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
  3. 하측의 저면이 로터(10)의 외경과 대응하도록 하는 곡률부(322a)가 형성되고, 상측의 상면(323)에 로터 코일의 두께와 대응하는 높이로 상면 단턱(325)이 형성되며, 상기 로터(10)의 로터 코일 설치부(20)에 배치되어 양측의 로터 코일의 단부를 받치는 받침 블록;
    상기 받침 블록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양측의 로터 코일의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양측 로터 코일의 단부가 맞닿도록 정렬시키는 프레서(200); 및
    상기 프레서(200)를 지지하는 서포터(100);
    를 포함하는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블록은 하측 측면에 받침부(322b)가 더 형성되어 상기 로터 코일 설치부(20)의 직선부(24)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
  5. 로터(10)의 로터 코일 설치부(20)에 배치되어 양측의 로터 코일의 단부를 받치는 받침 블록;
    상기 받침 블록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양측의 로터 코일의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양측 로터 코일의 단부가 맞닿도록 정렬시키는 프레서(200); 및
    상기 프레서(200)를 지지하는 서포터(100);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서(200)는,
    상기 서포터(100)의 한쪽에 고정되고 일측에 레일 그루브(212)가 형성된 레일 프레임(210);
    상기 레일 그루브(212)에서 활주되는 슬라이더(220);
    상기 슬라이더(220)에 설치되어 승강구동하는 액추에이터(230); 및
    상기 슬라이더(22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230)의 로드(232)에 설치되어 상기 양측 로터 코일의 단부를 가압하는 가압 블록(310);
    을 포함하는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그루브(212)의 한쪽에 형성된 슬라이드 웨이(214);
    상기 슬라이더(220)의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 그루브(212)에 구름 접촉하는 롤러 부재(222); 및
    상기 슬라이드 웨이(214)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더(220)의 한쪽에 설치되는 고정 부재(224);
    를 더 포함하는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230)는 상기 양측 로터 코일의 단부에 작용하는 부하가 일정하도록 하는 정압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20)의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 블록(310)의 승강 운동의 직진도를 담보하도록 하는 가이드 로드(242);
    를 더 포함하는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
KR1020100019227A 2010-03-04 2010-03-04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 KR101053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227A KR101053355B1 (ko) 2010-03-04 2010-03-04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227A KR101053355B1 (ko) 2010-03-04 2010-03-04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3355B1 true KR101053355B1 (ko) 2011-08-01

Family

ID=44932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227A KR101053355B1 (ko) 2010-03-04 2010-03-04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3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99852A1 (en) * 2014-01-23 2015-07-29 Alstom Technology Ltd Method for brazing rotor windings
CN105071603A (zh) * 2015-08-07 2015-11-18 苏州三体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电机转子的卡簧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645A (ja) * 1992-07-23 1994-02-15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レス加工用薄板の溶接部割れ防止方法及び溶接部の通電加熱焼鈍装置
JPH09168261A (ja) * 1995-12-14 1997-06-24 Hitachi Ltd コイル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KR200192410Y1 (ko) 1997-12-19 2000-09-01 김형국 브레이징 용접용 탄소전극팁을 포함한 가압장치
JP2004222493A (ja) * 2002-12-26 2004-08-05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ロータコイルのロウ付け装置及びロウ付け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645A (ja) * 1992-07-23 1994-02-15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レス加工用薄板の溶接部割れ防止方法及び溶接部の通電加熱焼鈍装置
JPH09168261A (ja) * 1995-12-14 1997-06-24 Hitachi Ltd コイル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KR200192410Y1 (ko) 1997-12-19 2000-09-01 김형국 브레이징 용접용 탄소전극팁을 포함한 가압장치
JP2004222493A (ja) * 2002-12-26 2004-08-05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ロータコイルのロウ付け装置及びロウ付け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99852A1 (en) * 2014-01-23 2015-07-29 Alstom Technology Ltd Method for brazing rotor windings
WO2015110214A3 (en) * 2014-01-23 2015-09-17 Alstom Technology Ltd Method for brazing rotor windings
CN105939810A (zh) * 2014-01-23 2016-09-14 通用电器技术有限公司 用于钎焊转子绕组的方法
CN105071603A (zh) * 2015-08-07 2015-11-18 苏州三体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电机转子的卡簧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6380B (zh) Winding device of flat vertical coil and its winding method
CN101695809B (zh) 橡胶波纹管机械密封装配机
US200500509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tigue testing
KR101053355B1 (ko) 공기냉각 발전기용 로터 코일 브레이징 치공구
CN111139932A (zh) 一种高承压组合式钢结构及焊接方法
CN102904393A (zh) 制冷压缩机定子铁芯复压机
CN104416291A (zh) 一种用于激光拼焊的板材压紧装置
KR20000029094A (ko) 열 교환기 코어를 조립하기 위한 장치
CN112296883A (zh) 一种钢板弹簧的喷丸方法及预压夹具
CN202571642U (zh) 顶升装置
KR20120125755A (ko) 열교환기용 헤더파이프 배플 압입장치
JP3169866U (ja) 鉄製溝蓋
KR101218093B1 (ko) 발전기 로터용 코일 포밍 머신
CN108999852B (zh) 装饰面板组件粘接方法
US20040250599A1 (en) Tubing bending machine
CN214978350U (zh) 一种可调节立式钎焊夹具
JP3243678U (ja) 風力発電タワーの検査メンテナンス昇降装置
CN108817178A (zh) 一种金属型材冲压装置
CN220560338U (zh) 一种自动送料的钢板弹簧用卷耳加工装置
CN218191880U (zh) 一种u型管弯管成型加工装置
CN116607393B (zh) 一种装配桥梁钢组合结构及其加工设备
CN219542068U (zh) 用于电池与导板的激光焊接的定位与压紧装置
CN216462855U (zh) 一种用于不同定子铁芯装配的夹紧装置
CN219626462U (zh) 一种铁芯叠压工装
CN219058013U (zh) 一种防偏张紧辊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