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281B1 -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281B1
KR101052281B1 KR1020090120700A KR20090120700A KR101052281B1 KR 101052281 B1 KR101052281 B1 KR 101052281B1 KR 1020090120700 A KR1020090120700 A KR 1020090120700A KR 20090120700 A KR20090120700 A KR 20090120700A KR 101052281 B1 KR101052281 B1 KR 101052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gas
pressure
opening
clo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203A (ko
Inventor
전태영
김만달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2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5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pressur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38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37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6Controlling or regulating of parameters as output values
    • F17C2250/0605Parameters
    • F17C2250/0626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경로와 저압 경로를 구분하고 통제기의 명령에 따라 경로를 선택하는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입된 제1 냉각가스를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압력 이상의 제2 냉각가스로 압력 조정하는 제1 압력 조정부; 제1 냉각가스 또는 제2 냉각가스가 유입되며, 유입된 제1 냉각가스 또는 유입된 제2 냉각가스를 미리 정해진 제2 기준 압력 이하의 제3 냉각가스로 압력 조정하는 제2 압력 조정부; 및 제2 냉각가스 또는 제3 냉각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가스의 낭비를 없앨 수 있으며, 하나의 가스 용기로 여러 차례 냉각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시스템 {Apparatus for control supplying of cooling gas, and system for firing flying object with the said apparatus}
본 발명은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냉각가스의 압력을 조정하는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장비 냉각을 위해 고압의 냉각가스를 공급해 주어야 하는 이동형 시스템(예컨대, 유도탄을 발사시키기 위한 이동형 발사 시스템)에서 가스의 공급은 가스 용기로부터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 이동형 시스템에서 가스 공급은 가스 용기와 공급 밸브로 구성되는 단순한 구조에 의해 수행되었다. 즉, 공급 밸브를 열어주면 서서히 압력이 떨어지면서 냉각가스가 공급되었다. 그러나, 초기에는 급속 냉각이 필요하고 그 이후에는 냉각 상태를 유지시키기만 하면 되는 이동형 시스템에서 이러한 구조는 냉각가스의 조절에 어려움이 있으며, 요구되는 냉각 횟수만큼 가스 용기를 휴대해야 하 는 불편도 따랐다. 또한, 이에 따라 불필요하게 소모되거나 버려지는 가스의 양도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압 경로와 저압 경로를 구분하고 통제기의 명령에 따라 경로를 선택하는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입된 제1 냉각가스를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압력 이상의 제2 냉각가스로 압력 조정하는 제1 압력 조정부; 상기 제1 냉각가스 또는 상기 제2 냉각가스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된 제1 냉각가스 또는 상기 유입된 제2 냉각가스를 미리 정해진 제2 기준 압력 이하의 제3 냉각가스로 압력 조정하는 제2 압력 조정부; 및 상기 제2 냉각가스 또는 상기 제3 냉각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조정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의 제1 관로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관로를 개방시키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 관로를 차단시키는 제1 개폐부를 더욱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압력 조정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의 제2 관로에 위치하여 상기 제2 관로를 차단시키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 관로를 개방시키는 제2 개폐부를 더욱 포함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압력 조정부와 상기 제1 개폐부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개폐부로 상기 제1 관로를 차단시킬 때에 상기 제2 압력 조정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개폐부를 더욱 제어하며, 상기 제2 개폐부로 상기 제2 관로를 개방시킬 때에 상기 제1 개폐부로 상기 제1 관로를 차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기준 압력이 5000psi ~ 6000psi이게 상기 제1 압력 조정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2 기준 압력이 2000psi ~ 3000psi이게 상기 제2 압력 조정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압력 조정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의 제2 관로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개폐부를 통과한 냉각가스가 상기 제2 압력 조정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 유입 방지부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부는 비행체 발사 장치를 구동시킬 때에 상기 제2 냉각가스와 상기 제3 냉각가스를 차례대로 상기 비행체 발사 장치로 배출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냉각가스를 상기 제1 압력 조정부 또는 상기 제2 압력 조정부로 공급하는 냉각가스 공급부를 더욱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는 상기 냉각가스 공급부의 후단과 상기 제1 압력 조정부의 후단 및 상기 제2 압력 조정부의 후단 중 적어도 하나의 후단에 구비되며, 냉각가스의 압력값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된 압력값을 이용하여 상기 냉각가스 공급부와 상기 제1 압력 조정부 및 상기 제2 압력 조정부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 정상 작동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욱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냉각가스를 공급하는 냉각가스 공급부; 유입된 상기 제1 냉각가스를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압력 이상의 제2 냉각가스로 압력 조정하는 제1 압력 조정부와, 상기 제1 냉각가스 또는 상기 제2 냉각가스가 유입되며 상기 유입된 제1 냉각가스 또는 상기 유입된 제2 냉각가스를 미리 정해진 제2 기준 압력 이하의 제3 냉각가스로 압력 조정하는 제2 압력 조정부, 및 상기 제2 냉각가스 또는 상기 제3 냉각가스를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냉각가스 공급 제어부; 및 비행체를 발사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배출된 제2 냉각가스와 상기 배출된 제3 냉각가스를 차례대로 공급받아 구동되는 비행체 발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행체 발사부는 휴대용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고압 경로와 저압 경로를 구분하고 통제기의 명령에 따라 경로를 선택함으로써 냉각가스의 조절이 가능해지며, 냉각가스의 낭비를 없앨 수 있다. 둘째, 하나의 가스 용기로 여러 차례 냉각이 가능하여 냉각 횟수만큼 가스 용기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며, 가스 용기의 크기와 무게도 줄일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 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100)는 제1 압력 조정부(110), 제2 압력 조정부(120), 제1 개폐부(130), 제2 개폐부(140), 배출부(150), 전원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100)는 냉각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냉각가스를 공급하는 냉각가스 공급부와 연결되며, 구동하려는 장치에 냉각가스를 공급할 때에 냉각가스의 압력이 조정되도록 제어한다.
장비 냉각을 위해 고압의 냉각가스를 공급해 주어야 하는 시스템의 경우, 장비의 작동 초기에는 빠른 냉각을 위해 높은 압력이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장비를 원활하게 작동시키기 위해 냉각이 필요한 시스템에서 빠른 시간 안에 작동 준비 상태를 만들기 위해서는 급속 냉각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높은 압력으로 냉각가스를 공급해 주어야 한다. 그런데, 어느 정도 냉각된 이후에는 초기보다 낮은 압력으로도 냉각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이동형 시스템의 경우 소요되는 냉각가스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냉각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100)는 냉각 초기와 안정화 이후의 공급되는 압력을 다르게 하여 소모되는 냉각가스의 양을 줄인다.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100)의 특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급되는 냉각가스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두개의 레귤레이터를 설치한다. 이때, 하나의 레귤레이터는 고압으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의 레귤레이터는 저압으로 설정한다. 장비가 냉각되고 난 후에는 공급하는 냉각가스의 압력이 높지 않아도 온도가 유지되므로 냉각가스의 공급을 급속 냉각을 위한 고압 공급부와 냉각 유지를 위한 저압 공급부로 구분한다. 후술하겠지만, 고압 공급부가 제1 압력 조정부(110)에 대응하며, 저압 공급부가 제2 압력 조정부(120)에 대응한다. 둘째, 냉각 초기에는 고압 레귤레이터를 통과한 냉각가스를 장비에 공급하여 급속 냉각시킨다. 초기 냉각이 완료된 후에는 저압 레귤레이터를 통과한 냉각가스를 공급하여 적은 양의 냉각가스로 장비의 냉각 상태를 유지한다. 세째, 대용량 가스 용기를 사용하여 여러 번 냉각을 시킬 수 있다.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100)는 장비 냉각에 필요한 냉각가스의 용량을 줄일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해 가스 용기의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가 있다. 종래 하나의 용기로 한번의 냉각밖에 할 수 없던 것에 비해,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100)는 하나의 용기로 여러 번의 냉각이 가능하다.
제1 압력 조정부(110)는 유입된 냉각가스(제1 냉각가스)를 미리 정해진 기준 압력(제1 기준 압력) 이상의 냉각가스(제2 냉각가스)로 압력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압력 조정부(110)는 예컨대 레귤레이터(regulator), 특히 고압 레귤레이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압력 조정부(110)로 유입되는 냉각가스는 냉각가스 공급 부로부터 공급된 냉각가스이다.
제2 압력 조정부(120)는 냉각가스 공급부로부터 유입되는 냉각가스(제1 냉각가스) 또는 제1 압력 조정부(110)를 거쳐 유입되는 냉각가스(제2 냉각가스)를 미리 정해진 기준 압력(제2 기준 압력) 이하의 냉각가스(제3 냉각가스)로 압력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압력 조정부(120) 역시 레귤레이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저압 레귤레이터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1 기준 압력과 제2 기준 압력은 서로 상이한 값을 가지나, 동일한 값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이할 경우 제1 기준 압력은 예컨대 5000psi ~ 6000psi이며, 제2 기준 압력은 예컨대 2000psi ~ 3000psi이다. 동일할 경우 제1 기준 압력과 제2 기준 압력은 예컨대 3000psi ~ 5000psi이다.
삭제
제1 개폐부(130)는 제1 압력 조정부(110)와 배출부(150) 사이의 관로(제1 관로)에 위치하며, 냉각가스가 관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관로를 개방시키거나, 냉각가스가 관로를 통해 이동할 수 없도록 제1 관로를 차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제1 개폐부(130)는 처음에는 제1 관로를 개방시키다가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제1 관로를 차단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은 초기 급속 냉각이 완료된 시점의 시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개폐부(130)는 통상의 밸브로 구현될 수 있으며,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100)가 자동 장치임을 고려할 때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개폐부(140)는 제2 압력 조정부(120)와 배출부(150) 사이의 관로(제2 관로)에 위치하며, 냉각가스가 관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관로를 개방시키거나, 냉각가스가 관로를 통해 이동할 수 없도록 제2 관로를 차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제2 개폐부(140)는 처음에는 제2 관로를 차단시키다가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제2 관로를 개방시킨다. 상기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란 전술한 바와 같이 급속 냉각 완료 시간을 의미한다. 제2 개폐부(140) 역시 통상의 밸브로 구현될 수 있으며,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100)가 자동 장치임을 고려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현될 수 있다.
배출부(150)는 제1 압력 조정부(110)에 의한 냉각가스(제2 냉각가스) 또는 제2 압력 조정부(120)에 의한 냉각가스(제3 냉각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부(150)는 구동하려는 장치, 예컨대 비행체를 발사시키는 비행체 발사 장치에 연결되어, 비행체 발사 장치를 구동시킬 때에 제2 냉각가스와 제3 냉각가스를 차례대로 비행체 발사 장치로 배출시킨다.
전원부(160)는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100)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70)는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100)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부의 전 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제1 압력 조정부(110), 제2 압력 조정부(120), 제1 개폐부(130), 제2 개폐부(140) 등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70)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 제1 개폐부(130)를 이용하여 제1 관로를 차단시킬 때에 제2 압력 조정부(120)를 구동시킨다. 둘째, 제2 개폐부(140)를 이용하여 제2 관로를 개방시킬 때에 제1 개폐부(130)로 제1 관로를 차단시킨다. 세째, 제1 압력 조정부(110)를 제어하여 제1 기준 압력이 5000psi ~ 6000psi가 되게 하거나, 제2 압력 조정부(120)를 제어하여 제2 기준 압력이 2000psi ~ 3000psi가 되게 한다.
한편,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100)는 제2 개폐부(140) 대신 가스 유입 방지부(미도시)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스 유입 방지부는 냉각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제2 개폐부(140)와 마찬가지로 제2 압력 조정부(120)와 배출부(150) 사이의 제2 관로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스 유입 방지부는 제1 개폐부(130)를 통과한 냉각가스가 제2 압력 조정부(1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스 유입 방지부는 예컨대 체크 밸브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100)는 센싱부와 판단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는 냉각가스 공급부의 후단과 제1 압력 조정부(110)의 후단 및 제2 압력 조정부(120)의 후단 중 적어도 하나의 후단에 구비되며, 배출되는 냉각가스의 압력값을 센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센싱부는 압력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판단부는 센싱된 압력값을 이용하여 냉각가스 공급부와 제1 압력 조정부(110) 및 제2 압력 조정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 정상 작동하는지를 판단하는 기능 을 수행한다.
한편,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100)는 냉각가스를 공급하는 냉각가스 공급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냉각가스 공급부는 냉각가스(제1 냉각가스)를 제1 압력 조정부(110) 또는 제2 압력 조정부(120)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서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100)를 구현하여 본다. 도 2는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2를 참조한다.
(a)와 (b)는 제1 압력 조정부(110) 뒤에 제2 압력 조정부(120)가 배치된 경우이다. 이 경우는 감압을 고려한 것으로서, 2개의 레귤레이터를 사용하여 감압 과정에서의 압력 손실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고압 레귤레이터 이후에 저압 레귤레이터를 설치하여 2단 감압도 가능하다. 제2 압력 조정부(120)가 제1 압력 조정부(110) 뒤에 배치될 경우, 제2 압력 조정부(120)에는 제2 냉각가스가 유입된다. (a)는 제2 관로(220)에 제2 개폐부(140)가 구비된 예이다. 제2 개폐부(140)는 제1 개폐부(130)를 통과한 냉각가스가 제2 압력 조정부(12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관로(220)는 제2 압력 조정부(120)와 배출부(미도시)를 연결하는 관로이다. 반면, (b)는 제1 관로(210)에 제2 개폐부(140)가 구비된 예이다. 제1 관로(210)는 제1 압력 조정부(110)와 배출부를 연결하는 관로이다. 이 경우, 제1 개폐부(130)를 통과한 냉각가스가 제2 압력 조정부(12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관로(220)에는 가스 유입 방지부(200)가 구비된다.
(c)와 (d)는 제1 압력 조정부(110)와 제2 압력 조정부(120)가 선택적이게 배 치된 경우이다. 제1 압력 조정부(110)와 제2 압력 조정부(120)가 선택적이게 배치될 경우, 제1 압력 조정부(110)와 제2 압력 조정부(120) 모두 제1 냉각가스가 유입된다. 그 외, (c)는 (a)에 대응하는 구성을 가지며, (d)는 (b)에 대응하는 구성을 가진다.
다음으로,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100)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비행체 발사 시스템(300)은 냉각가스 공급부(310), 냉각가스 공급 제어부(100) 및 비행체 발사부(320)를 포함한다.
비행체 발사 시스템(300)은 비행체를 발사시키기 위한 시스템이다. 비행체 발사 시스템(300)이 예컨대 유도탄을 발사시키기 위한 이동형 발사 시스템일 경우, 유도탄의 적외선 탐색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수초 이내에 -150℃ 이하로 냉각을 시켜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비행체 발사 시스템(300)이 냉각가스 공급 제어부(100)를 구비할 경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냉각가스 공급부(310)는 냉각가스(제1 냉각가스)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냉각가스 공급부(310)는 냉각가스를 내장하는 가스 용기를 포함한다.
냉각가스 공급 제어부(100)는 제1 압력 조정부(110), 제2 압력 조정부(120) 및 배출부(150)를 포함한다. 제1 압력 조정부(110)는 냉각가스 공급부(310)로부터 유입된 냉각가스(제1 냉각가스)를 미리 정해진 기준 압력(제1 기준 압력) 이상의 냉각가스(제2 냉각가스)로 압력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압력 조정부(120)는 냉각가스 공급부(310)로부터 유입된 냉각가스(제1 냉각가스) 또는 제1 압력 조 정부(110)에 의한 냉각가스(제2 냉각가스)가 유입되면 유입된 냉각가스(제1 냉각가스 또는 제2 냉각가스)를 미리 정해진 기준 압력(제2 기준 압력) 이하의 냉각가스(제3 냉각가스)로 압력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출부(150)는 제1 압력 조정부(110)에 의한 냉각가스(제2 냉각가스) 또는 제2 압력 조정부(120)에 의한 냉각가스(제3 냉각가스)를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냉각가스 공급 제어부(100)는 전술한 구성 뿐만 아니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기술한 구성을 더욱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행체 발사부(330)는 비행체를 발사시키는 것으로서, 냉각가스 공급 제어부(100)에 의해 배출된 냉각가스(제2 냉각가스 또는 제3 냉각가스)를 공급받아 구동한다. 이러한 비행체 발사부(330)는 비행체 발사 시스템(300)이 이동형 시스템일 경우 휴대용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유도탄 발사 장치와 같은 이동형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고압 경로와 저압 경로를 구분하고 통제기의 명령에 따라 경로를 선택함으로써 이동형 시스템의 구동에 필요한 냉각가스 조절이 가능해지며, 냉각가스의 낭비를 방지함으로써 이동형 시스템에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업적으로 많이 이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 110 : 제1 압력 조정부
120 : 제2 압력 조정부 130 : 제1 개폐부
140 : 제2 개폐부 150 : 배출부
160 : 전원부 170 : 제어부
200 : 가스 유입 방지부 210 : 제1 관로
220 : 제2 관로 300 : 비행체 발사 시스템
310 : 냉각가스 공급부 320 : 비행체 발사부

Claims (12)

  1. 냉각가스의 압력을 조정하는 레귤레이터(regulator)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제1 냉각가스의 압력이 제1 기준압보다 고압이 되게 상기 제1 냉각가스의 압력을 조정하여 제2 냉각가스를 출력시키는 제1 압력 조정부;
    상기 레귤레이터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압력 조정부가 위치하는 관로를 제a 관로라고 할 때 상기 제1 압력 조정부 앞에서 상기 제a 관로로부터 분기된 제b 관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냉각가스가 유입되면 상기 제1 냉각가스의 압력이 제2 기준압보다 저압이 되게 상기 제1 냉각가스의 압력을 조정하여 제3 냉각가스를 배출시키는 제2 압력 조정부;
    관로를 개방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a 관로에서 상기 제1 압력 조정부 뒤에 위치하는 제1 개폐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a 관로에서 상기 제1 개폐부 뒤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b 관로에서 상기 제2 압력 조정부 뒤에 위치하는 제2 개폐부;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의 선택적 개폐에 따라 상기 제2 냉각가스와 상기 제3 냉각가스 중 어느 하나의 냉각가스가 유입되면 해당 냉각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제a 관로를 개방시키다가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뒤 상기 제a 관로를 차단시키거나,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제a 관로 또는 상기 제b 관로를 차단시키다가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뒤 상기 차단된 관로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부가 상기 제a 관로에서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제b 관로는 상기 제a 관로에서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지점으로 연결되며,
    체크 밸브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b 관로에서 상기 제2 압력 조정부와 상기 제1 지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개폐부를 통과한 냉각가스가 상기 제2 압력 조정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 유입 방지부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압과 상기 제2 기준압이 다를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기준압을 5000psi ~ 6000psi로 설정하고 상기 제2 기준압을 2000psi ~ 3000psi로 설정하며,
    상기 제1 기준압과 상기 제2 기준압이 같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기준압과 상기 제2 기준압을 3000psi ~ 5000psi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부에 의해 상기 제2 냉각가스가 먼저 배출되고 상기 제3 냉각가스가 나중 배출되게 상기 제1 압력 조정부, 상기 제2 압력 조정부, 상기 제1 개폐부 및 상기 제2 개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가스를 상기 제1 압력 조정부 또는 상기 제2 압력 조정부에 공급하는 냉각가스 공급부;
    상기 냉각가스 공급부의 후단, 상기 제1 압력 조정부의 후단, 및 상기 제2 압력 조정부의 후단 각각에서 배출되는 냉각가스의 압력값을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된 압력값을 이용하여 상기 냉각가스 공급부, 상기 제1 압력 조정부 및 상기 제2 압력 조정부가 정상 작동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
  7. 냉각가스의 압력을 조정하는 레귤레이터(regulator)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제1 냉각가스의 압력이 제1 기준압보다 고압이 되게 상기 제1 냉각가스의 압력을 조정하여 제2 냉각가스를 출력시키는 제1 압력 조정부;
    상기 레귤레이터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압력 조정부가 위치하는 관로를 제a 관로라고 할 때 상기 제1 압력 조정부 뒤에서 상기 제a 관로로부터 분기된 제c 관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냉각가스가 유입되면 상기 제2 냉각가스의 압력이 제2 기준압보다 저압이 되게 상기 제2 냉각가스의 압력을 조정하여 제4 냉각가스를 배출시키는 제2 압력 조정부;
    관로를 개방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a 관로에서 상기 제1 압력 조정부 뒤에 위치하는 제1 개폐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a 관로에서 상기 제1 개폐부 뒤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c 관로에서 상기 제2 압력 조정부 뒤에 위치하는 제2 개폐부;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의 선택적 개폐에 따라 상기 제2 냉각가스와 상기 제4 냉각가스 중 어느 하나의 냉각가스가 유입되면 해당 냉각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
  8. 제1 냉각가스를 공급하는 냉각가스 공급부;
    냉각가스의 압력을 조정하는 레귤레이터(regulator)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냉각가스의 압력이 제1 기준압보다 고압이 되게 상기 제1 냉각가스의 압력을 조정하여 제2 냉각가스를 출력시키는 제1 압력 조정부;
    상기 레귤레이터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압력 조정부가 위치하는 관로를 제a 관로라고 할 때 상기 제1 압력 조정부 앞에서 상기 제a 관로로부터 분기된 제b 관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냉각가스가 유입되면 상기 제1 냉각가스의 압력이 제2 기준압보다 저압이 되게 상기 제1 냉각가스의 압력을 조정하여 제3 냉각가스를 배출시키는 제2 압력 조정부;
    관로를 개방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a 관로에서 상기 제1 압력 조정부 뒤에 위치하는 제1 개폐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a 관로에서 상기 제1 개폐부 뒤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b 관로에서 상기 제2 압력 조정부 뒤에 위치하는 제2 개폐부;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의 선택적 개폐에 따라 상기 제2 냉각가스와 상기 제3 냉각가스 중 어느 하나의 냉각가스가 유입되면 해당 냉각가스를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비행체를 발사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배출부를 통해 상기 제2 냉각가스와 상기 제3 냉각가스를 차례대로 공급받아 구동되는 비행체 발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발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체 발사부는 휴대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발사 시스템.
  10. 제1 냉각가스를 공급하는 냉각가스 공급부;
    냉각가스의 압력을 조정하는 레귤레이터(regulator)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냉각가스의 압력이 제1 기준압보다 고압이 되게 상기 제1 냉각가스의 압력을 조정하여 제2 냉각가스를 출력시키는 제1 압력 조정부;
    상기 레귤레이터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압력 조정부가 위치하는 관로를 제a 관로라고 할 때 상기 제1 압력 조정부 뒤에서 상기 제a 관로로부터 분기된 제c 관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냉각가스가 유입되면 상기 제2 냉각가스의 압력이 제2 기준압보다 저압이 되게 상기 제2 냉각가스의 압력을 조정하여 제4 냉각가스를 배출시키는 제2 압력 조정부;
    관로를 개방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a 관로에서 상기 제1 압력 조정부 뒤에 위치하는 제1 개폐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a 관로에서 상기 제1 개폐부 뒤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c 관로에서 상기 제2 압력 조정부 뒤에 위치하는 제2 개폐부;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의 선택적 개폐에 따라 상기 제2 냉각가스와 상기 제4 냉각가스 중 어느 하나의 냉각가스가 유입되면 해당 냉각가스를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비행체를 발사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배출부를 통해 상기 제2 냉각가스와 상기 제4 냉각가스를 차례대로 공급받아 구동되는 비행체 발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발사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KR1020090120700A 2009-12-07 2009-12-07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시스템 KR101052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700A KR101052281B1 (ko) 2009-12-07 2009-12-07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700A KR101052281B1 (ko) 2009-12-07 2009-12-07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203A KR20110064203A (ko) 2011-06-15
KR101052281B1 true KR101052281B1 (ko) 2011-07-27

Family

ID=44397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700A KR101052281B1 (ko) 2009-12-07 2009-12-07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2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454A (ko) * 2020-08-11 2022-02-2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냉각방식을 이용한 고압용기 질소 충진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061688A (ko) 2020-11-06 2022-05-1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고도 변화에서 균일한 영상 품질 확보를 위한 밀봉 마개가 적용된 탐색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028A (ko) * 2000-03-30 2001-11-03 구마모토 마사히로 고온 배기가스용 온도 제어 장치 및 온도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028A (ko) * 2000-03-30 2001-11-03 구마모토 마사히로 고온 배기가스용 온도 제어 장치 및 온도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454A (ko) * 2020-08-11 2022-02-2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냉각방식을 이용한 고압용기 질소 충진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72827B1 (ko) 2020-08-11 2022-03-1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냉각방식을 이용한 고압용기 질소 충진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061688A (ko) 2020-11-06 2022-05-1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고도 변화에서 균일한 영상 품질 확보를 위한 밀봉 마개가 적용된 탐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203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4132B2 (ja) 車両及び燃料ガス充填方法
EP1666287B1 (en)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a refrigerant recovery vessel
US11754226B2 (en) Hydrogen fuel filling system and hydrogen fuel filling method
EP2719595B1 (en) Compressed ai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pressed air supply device
KR101052281B1 (ko) 냉각가스 공급 제어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비행체 발사 시스템
CN108656890B (zh) 车辆用空调装置
JP5387846B2 (ja) ガスステーション及びガス充填システム
JP4769117B2 (ja) ボルテックスチューブにおける温度、風量制御装置。
JP2017166747A5 (ko)
EP2963300A1 (en) Air compression device
JP5593292B2 (ja) ガス銃における制御弁装置
US9829236B2 (en) Refrigerator capable of making ice particles and method for making ice particles
US20070169617A1 (en) Gas spring for a revolver cannon or breech cannon
EP3997343B1 (en) Surge protection for a multistage compressor
JP4999473B2 (ja) 機器の水素ガス純度更新装置
CN112242542B (zh) 用于燃料电池系统的氢喷射器
KR20170051750A (ko) 가스 압축기 시스템
US20060272338A1 (en) Vacuum device
JP6773364B2 (ja) 室圧制御システム
JP2007085627A (ja) 誘導ミサイル
JP6700892B2 (ja) 低温液化ガス貯蔵設備
US6499307B1 (en) Refrigeration system incorporating simplified valve arrangement
JP2005235593A (ja) 燃料ガス供給装置
KR10233209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9243341A (ja) 抽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