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196B1 -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196B1
KR101052196B1 KR1020110024246A KR20110024246A KR101052196B1 KR 101052196 B1 KR101052196 B1 KR 101052196B1 KR 1020110024246 A KR1020110024246 A KR 1020110024246A KR 20110024246 A KR20110024246 A KR 20110024246A KR 101052196 B1 KR101052196 B1 KR 101052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ixing
hole
support plat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관
이재영
정성혁
길왕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플러스
Priority to KR1020110024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Abstract

사람 및 항공기의 접근이 어렵고, 위성으로도 영상 획득이 어려운 벽면, 예를 들면 절벽, 암벽 및 협곡 등의 벽면의 영상을 획득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게 하는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는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벽면의 정상에 배치되는 지지판, 지지판에 고정되고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벽면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되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레일, 및 카메라가 장착되고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벽면을 촬영하는 이동촬영수단; 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PHOTOGRAPHING DEVICE}
본 발명은 사람 및 항공기의 접근이 어렵고, 위성으로도 영상 획득이 어려운 벽면, 예를 들면 절벽, 암벽 및 협곡 등의 벽면의 영상을 획득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게 하는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치지도(Digital Map)는 컴퓨터상에서 도로, 철도, 건물, 하천, 산, 논, 밭 등 다양한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을 도식(기호)과 3차원의 위치좌표로 표현한 디지털(Digital)지리정보로써, 수치지도는 저가로 빠르게 제작할 수 있고 축척의 변환, 투영변환, 다른 수치 지도와의 통합출력 등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왜곡, 변형 등이 일어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수치지도의 제작은 측량법 및 그 하부규칙에서 정하는 지도제작절차에 근거하여 제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전산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로 저장한다는 점이 일반 지도제작과 다르다 하겠다.
이러한 수치지도는 공공분야 및 민간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공공분야에서는 도로, 교통, 상하수도 등의 시설물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본 자료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도로계획 및 택지개발 등의 설계 시 기본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민간분야에서는 각종용역사업의 설계자료 및 주제도(교통지도, 관광지도) 제작의 기본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수치지도는 항공기 및 위성에서 획득한 영상을 즉, 높은 곳에서 촬영된 항공사진 및 위성사진을 이용하기 때문에 절벽, 암벽 및 협곡 등의 벽면 영상을 정확하게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암벽 벽면에 대한 수치지도의 제작은 암벽을 오르고 내리는 암벽 등반가들에게는 반드시 요구되는 것으로, 종래 암벽등반은 암벽루트에 대한 정확한 수치정보 및 데이터 없이 선 등자의 경험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등정 시 정확한 등정계획수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안전사고의 원인을 제공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암벽등반과 같은 스포츠관련 민간분야 뿐만 아니라 공공분야에서도 이용될 수 있는 벽면에 대한 수치지도의 제작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 및 항공기의 접근이 어렵고, 위성으로도 영상 획득이 어려운 절벽, 암벽 및 협곡 등의 벽면의 영상을 획득하여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게 하는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벽면의 정상에 배치되는 지지판;
지지판에 고정되고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벽면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되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레일; 및
카메라가 장착되고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벽면을 촬영하는 이동촬영수단; 으로 이루어지며,
지지판의 일단에 인접한 상부면 상에는 지지판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무게추가 놓여지는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는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벽면을 따라 일정한 속도로 카메라를 수직하게 이동시킴과 아울러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벽면에 대한 정확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영상을 가공하여 벽면에 대한 정확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레일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촬영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선 A-A를 따라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100)는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벽면(W)의 정상(頂上)에 배치되는 지지판(110)과, 지지판(110)에 고정되고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벽면(W)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레일(130), 및 카메라(C)가 장착되고 레일(130)을 따라 이동하면서 벽면(W)을 촬영하는 이동촬영수단(15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지지판(110)은 일단이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벽면(W)의 정상 상부면에 배치되고 타단은 정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한 판 형상을 가진다. 지지판(110)의 타단에 인접하게는 레일(130)이 수직하게 관통되는 사각의 관통공(112)이 형성되며, 관통공(112)의 둘레에는 레일(130)을 관통공(112) 측으로 안내하면서 레일(130)을 고정시키는 수직한 사각 관 형상의 안내관(114)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지지판(110)에는 관통공(112) 및 안내관(114)에 간섭되지 않게 다수의 조절스크루(116)가 지지판(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 체결된다. 이러한 조절스크루(116)는 지지판(110)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 지지판(110)의 일단 및 중앙부분에 체결되는데, 이를 위해서 지지판(110)의 일단에 인접한 두개의 모서리부분 및 지지판(110)의 중앙부분의 양측부분에는 조절스크루(116)가 체결되는 수평조절공(118)이 형성된다. 수평조절공(118)의 내주면 상에는 조절스크루(116)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120)에 맞물리는 암나사(122)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조절스크루(116)의 상부에는 조절스크루(116)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환형의 핸들(124)이 장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지지판(110)의 일단에 인접한 상부면 상에는 지지판(110)이 전복(顚覆)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무게추(126)가 놓여진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지지판(110)에는 레일(130) 및 이동촬영수단(150)이 결합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레일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촬영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선 A-A를 따라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레일(130)은 수직한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면서 전면 상에는 레일(130)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랙 기어(132)가 형성된다. 이러한 레일(132)의 상부 및 하부에는 더브테일 돌기(134) 및 더브테일 홈(136)이 형성되는데,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어느 하나의 레일(130)과 또 다른 레일(130)은 어느 하나의 레일(130)에 형성된 더브테일 홈(136)에 또 다른 레일(130)에 형성된 더브테일 돌기(134)를 삽입시킴으로써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레일(130)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는 레일(130)을 안내관(114)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제 1 고정공(138)이 레일(130)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안내관(114)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는 제 1 고정공(138)과 연통하는 제 2 고정공(140)이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 1 고정공(138)과 제 2 고정공(140)에는 고정핀(142)이 끼워진다. 한편, 레일(130)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는 제 1 고정공(138)에 간섭되지 않게 레일(130)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44)이 형성된다. 가이드홈(144)에는 이동촬영수단(15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동촬영수단(150)은 일측 및 타측에 카메라(C)가 장착되고 레일(130)을 따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본체(152)와, 본체(152)를 레일(1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한 쌍의 슬라이딩 고정부(158)를 구비한다.
본체(152)는 내부가 빈 사각함체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본체(152)의 일측면 및 타측면 외측으로는 통상의 카메라(C)가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본체(152)의 내부에는 본체(152)의 배면 상으로 일부분이 노출되어 랙 기어(132)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54)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피니언 기어(154)의 일측에는 피니언 기어(154)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56)가 배치된다.
슬라이딩 고정부(158)는 본체(152)의 배면의 양측에 배치되어 레일(130)의 일측면 및 타측면 측으로 연장되는 수직한 판 형상의 선회판(160)과, 각각의 선회판(160)의 연장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인접한 가이드홈(14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판(162)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선회판(160)은 통상의 경첩(164)에 의해서 카메라(C)에 간섭되지 않게 본체(152)의 일측면 및 타측면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이동촬영수단(150)은 본체(152) 이동 시 가이드홈(144)에서 가이드판(16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66)를 더 구비한다. 이탈방지부(166)는 각각의 선회판(160)의 외측면 상에서 선회판(16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고정브라켓(168)과, 본체(152)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서 본체(15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고정브라켓(170)을 구비한다. 각각의 제 1 고정브라켓(168)에는 제 1 이탈방지공(172)이 형성되며, 각각의 제 2 고정브라켓(170)에는 제 1 이탈방지공(172)과 마주하는 제 2 이탈방지공(174)이 형성되는데, 서로 마주하는 제 1 이탈방지공(172) 및 제 2 이탈방지공(174)에는 이탈방지핀(176)이 끼워진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고정브라켓(168) 및 제 2 고정브라켓(170)은 선회판(160) 회전 시 서로 간섭되지 않게 형성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벽면(W)의 정상(頂上)에 지지판(110)을 배치한 후, 조절스크루(116)를 작동시켜 지지판(110)의 수평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지지판(110)에 형성된 관통공(112)을 통해 레일(130)을 벽면(W)의 하부 측으로 연장시킨다. 레일(130)의 연장은 관통공(112)의 관통한 어느 하나의 레일(130)에 형성된 더브테일 돌기(134)에 또 다른 레일(130)의 더브테일 홈(136)을 삽입시킴으로서 연장된다.
다수의 레일(130)이 벽면(W)을 따라 연장되면, 최상단에 위치한 레일(130)의 제 1 고정공(138)과 안내관(114)에 형성된 제 2 고정공(140)을 일치시킨 후에 고정핀(142)을 끼워 레일(130)을 안내관(114)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벽면(W)을 따라 연장된 레일(130)이 지지판(110)의 안내관(114)에 고정되면, 이동촬영수단(150)을 레일(130)에 고정시키는데, 먼저, 이동촬영수단(150)을 레일(13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본체(152)의 배면으로 일부분이 노출된 피니언 기어(154)를 레일(130)에 형성된 랙 기어(132)에 맞물리도록 배치시킨 상태 하에서 각각의 가이드판(162)이 가이드홈(144)에 끼워지도록 각각의 선회판(160)을 회전시킨 후, 서로 마주하는 제 1 고정브라켓(168) 및 제 2 고정브라켓(170)에 형성된 제 1 이탈방지공(172) 및 제 2 이탈방지공(174)에 이탈방지핀(176)을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지지판(110)에 레일(130)이 결합되고, 레일(130)에 이동촬영수단(150)이 결합되면, 구동모터(156)를 작동시켜 본체(152)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면서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카메라(C)를 통해 연속적으로 벽면(W)의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 110 : 지지판
112 : 관통공 114 : 안내관
116 : 조절스크루 130 : 레일
132 : 랙 기어 138 : 제 1 고정공
140 : 제 2 고정공 142 : 고정핀
150 : 이동촬영수단 152 : 본체
154 : 피니언 기어 158 : 슬라이딩 고정부
166 : 이탈방지부 C : 카메라

Claims (10)

  1.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벽면의 정상에 배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고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상기 벽면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되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레일; 및
    카메라가 장착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벽면을 촬영하는 이동촬영수단;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판의 일단에 인접한 상부면 상에는 상기 지지판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무게추가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일단이 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상기 벽면의 정상 상부면에 배치되고 타단은 정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한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판의 타단에 인접하게는 상기 레일이 수직하게 관통되는 사각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는 상기 레일을 상기 관통공 측으로 안내하면서 상기 레일을 고정시키는 수직한 사각 관 형상의 안내관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는 상기 레일을 상기 안내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제 1 고정공이 상기 레일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안내관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는 상기 제 1 고정공과 연통하는 제 2 고정공이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 1 고정공과 상기 제 2 고정공에는 고정핀이 끼워지며,
    상기 레일의 전면 상에는 상기 레일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랙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의 상부 및 하부에는 더브테일 돌기 및 더브테일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촬영수단은,
    내부가 빈 사각함체 형상을 가지면서 일측면 및 타측면 외측으로는 상기 카메라가 고정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레일을 따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한 쌍의 슬라이딩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 고정부는 상기 레일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서 상기 제 1 고정공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레일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의 배면 상으로 일부분이 노출되어 상기 랙 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의 일측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고정부는,
    상기 본체의 배면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의 일측면 및 타측면 측으로 연장되는 수직한 판 형상의 선회판과, 각각의 상기 선회판의 연장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인접한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판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기 선회판은 경첩에 의해서 상기 카메라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본체의 일측면 및 타측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촬영수단은 상기 본체 이동 시 상기 가이드홈에서 상기 가이드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각각의 상기 선회판의 외측면 상에서 상기 선회판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고정브라켓과, 상기 본체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고정브라켓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제 1 고정브라켓에는 제 1 이탈방지공이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제 2 고정브라켓에는 상기 제 1 이탈방지공과 마주하는 제 2 이탈방지공이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 1 이탈방지공 및 상기 제 2 이탈방지공에는 이탈방지핀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일단에 인접한 두개의 모서리부분 및 지지판의 중앙부분의 양측부분에는 수평조절공이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수평조절공에는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조절스크루가 체결되고, 상기 수평조절공의 내주면 상에는 상기 조절스크루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에 맞물리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
  10. 삭제
KR1020110024246A 2011-03-18 2011-03-18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 KR101052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246A KR101052196B1 (ko) 2011-03-18 2011-03-18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246A KR101052196B1 (ko) 2011-03-18 2011-03-18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2196B1 true KR101052196B1 (ko) 2011-07-27

Family

ID=44924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246A KR101052196B1 (ko) 2011-03-18 2011-03-18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1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967Y1 (ko) 2002-06-04 2002-08-24 엘지하이테크 (주) 수질 검사용 카메라 촬영장치
KR100544405B1 (ko) * 2004-01-06 2006-01-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식 교량세굴 조사장치
US20100155549A1 (en) 2008-12-22 2010-06-24 Andy Robinson Portable sports pod camera mou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967Y1 (ko) 2002-06-04 2002-08-24 엘지하이테크 (주) 수질 검사용 카메라 촬영장치
KR100544405B1 (ko) * 2004-01-06 2006-01-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식 교량세굴 조사장치
US20100155549A1 (en) 2008-12-22 2010-06-24 Andy Robinson Portable sports pod camera mou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urgale et al. The Devon Island rover navigation dataset
Letortu et al. Examining high-resolution survey methods for monitoring cliff erosion at an operational scale
CN108761510A (zh) 利用基于地形改正的重力场模型进行水准高差测量的方法
FI81908B (fi) Stereofotogrammetriskt maetningsfoerfarande, saerskilt foer stora maetningsobjekt pao havet.
US20210310807A1 (en) Camera-Based Liquid Stage Measurement
KR101349116B1 (ko)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른 기존 촬영이미지의 실시간 편집을 위한 영상도화 갱신시스템
KR101052196B1 (ko) 벽면 지도제작을 위한 촬영장치
KR101590937B1 (ko) 여러 공간정보 응용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다중 정밀 현장조사 위치정보가 통합된 수치지도 제작서비스 시스템
CN113085702A (zh) 电力巡检用垂直起降固定翼无人机的移动式智能起降平台
CN115096266A (zh) 一种高精度地下管线明显点定位测绘装置及方法
Gonçalves et al. Mobile Mapping System Based on Action Cameras
CN115752386A (zh) 一种海洋测绘用垂直定位装置
CN212300216U (zh) 一种土地测绘用河沟深度测量装置
DE102014107317B4 (de) Elektronisches Periskop für ein Kraftfahrzeug
KR101994186B1 (ko) 항공운송수단용 판타입 대공표지 설치장치
Karol et al. Using historic postcards and photographs for the research of historic landscape in geography and the possibilities of their digital processing
Klyuchnikov et al. Hardware and software system of highway survey, inventory, and certification
CN115406402B (zh) 一种富水软土地层盖挖车站施工围护形变监测方法
Matthews Roman Aqueducts: Technical Aspects of their Construction
CN213956372U (zh) 一种土木工程用便携式测量装置
Lee Estimation of reservoir storage capacity using multibeam sonar and terrestrial lidar, Randy Poynter Lake, Rockdale County, Georgia, 2012
CN216206323U (zh) 一种便携式土木工程测绘用测绘装置
KR102492936B1 (ko)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한 지형지물의 측지측량 장치
CN211232267U (zh) 一种便携式城建施工用测绘装置
CN216046637U (zh) 一种土木工程施工用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