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174B1 -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174B1
KR101052174B1 KR1020080124597A KR20080124597A KR101052174B1 KR 101052174 B1 KR101052174 B1 KR 101052174B1 KR 1020080124597 A KR1020080124597 A KR 1020080124597A KR 20080124597 A KR20080124597 A KR 20080124597A KR 101052174 B1 KR101052174 B1 KR 101052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astic member
main body
support devic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5986A (ko
Inventor
여태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4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1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65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6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stowing of door in open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8Stoves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3St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수직중심면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도어에 작용하는 힘이, 상기 도어의 수직중심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도어가 비틀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조리기기, 도어, 탄성부재

Description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Door supporting device and a cook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마이크로웨이브 및 히터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조리기기이다. 상기 조리기기에는,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또는 히터열을 각각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 또는 히터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의 본체에는 상기 음식물이 수용되는 조리실이 포함된다.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장착된다.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도어 및 본체는 도어지지장치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각종 전자 장비가 수용되는 전장부가 구비된다. 상기 각종 전자 장비에는 상기 마그네트론 및 상기 히터의 작동을 위한 장치들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도어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되는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실시예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조리실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연결하는 힌지; 및 상기 도어의 회동에 따라서 비틀어져서,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도어의 일단을 수직 이등분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상기 도어에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에 의하면, 도어가 상기 도어 및 본체에 고정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비틀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기기의 본체(1)에는, 조리되기 위한 음식물이 수용되는 조리실(1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에는, 상기 조리실(13)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2)가 제공된다. 상기 도어(2)는, 상단이 하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1)의 전면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도어(2)의 일측에는, 상기 도어(2)의 개폐를 위하여 파지되는 핸들(27)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일측에는, 상기 조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컨트롤부(1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지지장치의 제1실시예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2)는 상기 본체(1)의 전면 하단에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의 하단에는, 상기 도어(2)가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는 2개의 탄성부재(3,4)가 구비된다. 다만, 상기 2개의 탄성부재(3,4)는, 상기 본체(1) 및 도어(2)에 고정되는 지점 및 형상에 있어서, 상기 도어(2)의 하단을 수 직 이등분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므로, 어느 하나의 탄성부재(3)에 대한 설명으로 나머지 탄성부재(4)의 설명을 갈음한다.
상세히, 상기 도어(2)에는, 상기 도어(2)의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축(251)이 구비된다. 상기 힌지축(251)은, 상기 도어(2)의 양측면 하단으로부터 양측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도어(2)에는, 상기 탄성 부재(3,4)가 결합되기 위한 도어브라켓(27)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브라켓(27)에는, 상기 탄성부재(3)가 고정되기 위한 제1지지부(275) 및 제2지지부(278)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1지지부(275) 및 제2지지부(278)는,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상기 도어(2)의 회전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관통 결합 및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2)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275) 및 제2지지부(278)은, 상기 탄성부재(3)가 비틀어질 수 있도록, 상기 도어(2)의 회전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이때, 상기 제1지지부(275)에는, 상기 탄성부재(3)의 일측 단부(332)가 고정되기 위한 탄성부재고정홀(27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278)는, 후술할 비틀림부(31)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기 위한 탄성부재수용홈(279)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부(275) 및 제2지지부는, 상기 탄성부재(3)의 일측 단부(332) 및 상기 비틀림부(31)의 일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에는, 상기 도어(2)가 결합되기 위한 2개의 본체브라 켓(17)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본체브라켓(17)은 상기 힌지축(251)과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의 양측면 하단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브라켓(17)에는, 상기 힌지축(251)이 수용되기 위한 힌지축수용홀(171)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본체브라켓(17)에도, 상기 탄성부재(3)가 고정되기 위한 제1지지부(175) 및 제2지지부(178)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지지부(175)에도 상기 탄성부재(3)의 타측 단부(337)가 고정되기 위한 탄성부재고정홀(177)이 형성된다.
한편, 도어(2)의 하단에는, 상기 도어(2)가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발생시키기 위한 2개의 탄성부재(3,4)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2개의 탄성부재(3,4)에는 각각, 상기 도어(2)의 회동에 따라 비틀어지게 되는 비틀림부(31)가 포함된다. 상기 비틀림부(31)는 상기 도어(2)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 또는 동축을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탄성부재(3,4)에는 각각, 상기 비틀림부(31)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비틀림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2개의 고정부(33)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2개의 고정부(331,336)의 단부(332,337)는, 상기 비틀림부(31)과 평행한 방향으로 꺾여 연장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33)는, 상기 고정부(33)가 상기 비틀림부(31)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비틀림부(31)가 비틀어질 수 있는 한, 상기 비틀림부(31)의 가상의 연장선 상에서 벗어나는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33)의 각 단부(332,337)는, 상기 본체브라켓(17) 및 도어브라켓(27)의 탄성부재고정홀(177,272)에 각각 수용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고정부(33)의 각 단부(332,337)는, 상기 본체브라켓(17) 및 도어브라켓(27)의 탄성부 재고정홀(177,272)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비틀림부(31)의 양단부는, 상기 본체브라켓(17) 및 도어브라켓(27)의 제2지지부(178,278)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는, 전체적으로 상기 도어의 외면을 따라 배치된다.
한편, 상기 2개의 탄성부재(3,4)는, 상기 도어(2)의 하단을 수직 이등분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2개의 탄성부재(3,4)에서, 비틀림부 및 각 고정부의 길이는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가 연장되는 방향도 동일하다. 또한, 상기 2개의 탄성부재(3,4)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도어(2)에 작용하는 2개의 힘이 상기 도어(2)의 하단을 수직이등분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각각 서로 대칭될 수 있도록, 상기 2개의 탄성부재(3,4)가 상기 도어(2) 및 본체브라켓(17)에 고정되는 지점도, 상기 도어(2)의 하단을 수직이등분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대칭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도어 개방시 힘의 작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도어 개방시 힘의 작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닫힌 상태의 도어(2)(도 1 참조)가 열리면, 탄성부재(3)의 탄성력에 의한 힘이 발생된다. 상기 힘은 상기 도어(2)가 닫히는 방향으 로 작용한다.
상세히, 상기 도어(2)가 열리면, 도어브라켓(27)에 고정되는 탄성부재(3,4)의 일단부 즉, 제1고정부(331)는 상기 도어(2)와 함께 회동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탄성부재(3,4)의 타단부 즉, 제2고정부(336)는 본체브라켓(17)을 통하여 상기 본체(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비틀림부(31)가 비틀어지도록 변형된다.
상기 비틀림부(31)의 변형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3,4)에는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한다. 상기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본체(1) 및 도어(2)에는 각각, 상기 본체(1)와 도어(2) 사이의 각도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힘(F1,F2,F3,F4)이 작용한다.
그런데, 상기 도어에 작용하는 힘(F3,F4)은 상기 도어(2)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제1고정부의 길이(L1)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도어(2)에는 상기 도어(2)가 닫히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멘트의 크기는, 상기 도어(2)에 작용하는 힘(F3,F4)의 크기와, 상기 도어(2)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힘(F3,F4)이 작용하는 지점까지의 거리(L1)를 곱하여 합산한 값과 비례한다.
이때, 제1탄성부재(3) 및 제2탄성부재(4)는 상기 도어(2)의 하단을 수직 이등분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이므로, 상기 도어(2)에 작용하는 힘(F1,F2)과 상기 본체(1)에 작용하는 힘(F3,F4)도 각각 대칭되는 지점에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2)에 작용하는 두개의 힘(F1,F2)과 상기 본체(1)에 작용하는 두개의 힘(F3,F4)은, 각각 힘의 크기가 서로 동일하다.
한편, 상기 도어(2)에는, 상기 도어(2)의 자중에 의한 힘도 작용된다. 상기 도어(2)의 자중에 의한 힘이 일지점에 작용하는 것으로 근사적으로 표현하면, 상기 도어(2)의 무게중심에 상기 도어(2)의 자중에 의한 힘(F5)가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2)의 자중에 의한 힘(F5)는, 상기 도어(2)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도어(2)의 무게중심까지의 거리(L2)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2)에는, 상기 도어(2)에 작용하는 힘(F5)에 의하여 상기 도어(2)가 열리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멘트의 크기는, 상기 도어(2)의 자중에 의한 힘(F5)에 대한 상기 도어(2)의 회전 궤적에 대한 접선 방향 성분(F5')의 크기와 상기 도어(2)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도어(2)의 무게중심까지의 거리(L2)를 곱한 값과 비례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3,4)의 탄성력(F3,F4)에 의해 상기 도어(2)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는, 상기 도어(2)가 기설정된 각도(α)만큼 열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2)의 자중(F5)에 의해 발생되는 모멘트의 크기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도어(2)가 상기 기설정된 각도(α) 이상으로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2)의 자중(F5)에 의해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가 상기 탄성부재(3,4)의 탄성력(F3,F4)에 의해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상기 도어(2)는 자동적으로 열리게 된다. 반대로, 상기 도어(2)가 상기 기설정된 각도(α) 이하가 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3,4)의 탄성력(F3,F4)에 의해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가 상기 도어(2)의 자중(F5)에 의해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상기 도어(2)는 자동적으로 닫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도어(2)가 상기 기설정된 각도(α) 이상이 되도록 열리면 자동으로 완전히 열리고, 상기 기설정된 각도(α) 이하가 되도록 닫히면, 자동으로 완전히 닫힐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도어(2)를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2)를 상기 기설정된 각도(α) 이하가 되도록 회동시키면, 상기 도어(2)의 자중(F5)에 의해 자동적으로 완전히 열리게 된다. 반대로, 상기 도어(2)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2)를 상기 기설정된 각도(α) 이상이 되도록 회동시키면, 상기 탄성부재(3,4)에 의한 탄성력(F3,F4)에 의해 자동적으로 완전히 닫히게 된다. 따라서, 더욱 적은 힘으로도 상기 도어(2)를 여닫을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에 더욱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도어(2)에 작용하는 각 힘(F1,F2,F3,F4)은, 상기 도어(2)의 하단을 수직 이등분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므로, 상기 도어(2)가 상기 탄성부재(3,4)의 탄성력에 의한 힘(F1,F2,F3,F4)에 의해 비틀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가 상기 탄성부재(3,4)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4)는 상기 도어(2)의 표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형상이므로,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탄성부재(3,4)가 결합되는 구조가 더욱 간단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 시예와 비교하여, 탄성부재가 일체로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의 도어 개방시 힘의 작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탄성부재(5)는 일체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탄성부재(5)는, 2개의 비틀림부(51)와, 하나의 연결부(59)와, 4개의 고정부(53)를 포함한다. 상기 2개의 비틀림부(51)는, 도어(2)의 회동중심축과 평행 또는 동축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놓인다. 그리고, 상기 4개의 고정부(53)는, 상기 비틀림부(51)의 단부로부터 상기 비틀림부(51)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53)는, 상기 고정부(53)가 상기 비틀림부(51)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비틀림부(51)가 비틀어질 수 있는 한, 상기 비틀림부(51)의 가상의 연장선 상에서 벗어나는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59)는, 상기 4개의 고정부(53)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고정부(53)를 연결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55)는 도어브라켓(27)에 고정되고, 상기 4개의 고정부(53) 중 상기 연결부(55)로 연결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2개의 고정부(53)는 본체브라켓(17)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도어(2)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5)에 의해 상기 도어(2)에 작용하는 힘은, 상기 도어(2)에서 상기 연결부(55)와 접촉되는 부분 전체에 걸쳐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5)에 의하여 상기 도어(2)에 작용되는 힘은, 상기 도어(2)의 하단부를 수직 이등분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더욱 대칭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재(3,4,5)는, 상기 도어(2)에 포함되는 도어패널 등과 같은 다양한 부품에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4,5)가 상기 본체(1) 및 도어(2)에 고정되는 방법은, 상기 탄성부재(3,4,5)의 일측이 상기 본체(1) 및 도어(2)의 각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홀에 수용되는 방법 이외에도, 상기 탄성부재(3,4,5)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홀에 상기 본체(1) 및 도어(2)의 일측이 수용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도어 개방시 힘의 작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도어 개방시 힘의 작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의 도어 개방시 힘의 작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

Claims (8)

  1. 음식물이 수용되는 조리실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연결하는 힌지; 및
    상기 도어의 회동에 따라서 비틀어져서,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도어의 일단을 수직 이등분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상기 도어에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도어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도어의 회동에 따라 비틀어지는 직선 형상의 비틀림부; 및
    상기 비틀림부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비틀림부의 가상의 연장선을 벗어난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고정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인 도어지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의 각 비틀림부는, 상기 도어의 일단을 수직 이등분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도어지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의 각 일단부는 본체브라켓에 고정되고, 각 타단부는 도어브라켓에 고정되는 도어지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도어의 일단을 수직 이등분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고, 상기 도어의 회동에 따라 비틀어지는 직선 형상의 제1비틀림부 및 제2비틀림부;
    상기 제1비틀림부 및 제2비틀림부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비틀림부의 가상의 연장선을 벗어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고정부;
    상기 4개의 고정부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도어지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고정부는 본체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는 도어브라켓에 고정되는 도어지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회동가능한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개폐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의 전면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도어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와 상기 도어의 자중에 의해 상기 도어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가 서로 동일한 도어지지장치.
  8. 음식물이 수용되는 조리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본체와 도어를 연결하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도어지지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080124597A 2008-12-09 2008-12-09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052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597A KR101052174B1 (ko) 2008-12-09 2008-12-09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597A KR101052174B1 (ko) 2008-12-09 2008-12-09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986A KR20100065986A (ko) 2010-06-17
KR101052174B1 true KR101052174B1 (ko) 2011-07-26

Family

ID=42365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597A KR101052174B1 (ko) 2008-12-09 2008-12-09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1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318U (ko) * 1997-05-26 1998-12-05 이영서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KR19990009699U (ko) * 1997-08-25 1999-03-15 윤종용 가스렌지
KR20030031313A (ko) * 2001-10-13 2003-04-2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318U (ko) * 1997-05-26 1998-12-05 이영서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KR19990009699U (ko) * 1997-08-25 1999-03-15 윤종용 가스렌지
KR20030031313A (ko) * 2001-10-13 2003-04-2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986A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0867B2 (en) Dishwasher door with counterbalance assembly
KR101370923B1 (ko)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CN105209705B (zh) 铰链
KR101691837B1 (ko)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CN107735620B (zh) 烹饪用具
RU2416062C2 (ru) Дверь для бытового прибора
US9145635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052174B1 (ko) 도어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PT1183988E (pt) Dispositivo de dobradiça contrabalançado com movimento vertical e frontal de uma porta em particular para máquina de lavar loiça
CN108166875B (zh) 家用电器
CN212478893U (zh) 一种自动关门装置及展示柜
KR100451247B1 (ko) 전기밥솥
CN207912546U (zh) 烹饪器具
KR102459329B1 (ko) 밥솥의 힌지 매커니즘
CN210121051U (zh) 烹饪器具
KR101220606B1 (ko) 조리기기
KR20110009420A (ko) 드럼세탁기의 도아 힌지장치
KR100446785B1 (ko) 전기밥솥
EP3899372B1 (en) A cooking device comprising a top cover
CN206371921U (zh) 烹饪器具
JP3573926B2 (ja) 加熱調理装置
CN109875379B (zh) 烹饪器具
CN108060554B (zh) 一种铰链安装结构及洗衣机
CN108221298B (zh) 一种铰链安装结构及洗衣机
US20210230920A1 (en) Oven Door Assembly with Adjustable Center of Gra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