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014B1 - 고주파 유닛 - Google Patents

고주파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014B1
KR101052014B1 KR1020100010936A KR20100010936A KR101052014B1 KR 101052014 B1 KR101052014 B1 KR 101052014B1 KR 1020100010936 A KR1020100010936 A KR 1020100010936A KR 20100010936 A KR20100010936 A KR 20100010936A KR 101052014 B1 KR101052014 B1 KR 101052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shield
circuit board
tongue
tongu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662A (ko
Inventor
요시오 스기모리
도모키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0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37High frequency adaptations
    • H05K1/0243Printed circuits associated with mounted high frequency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5Grounding of printed circuits by connection to external grou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회로의 그라운드 강화를 간단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고주파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주파 회로가 설치된 회로 기판(1)과, 회로 기판(1)을 수납하는 실드 프레임(5)과, 실드 프레임(5)의 내부 공간을 칸막이하는 실드판(6)과, 실드 프레임(5)의 하부 개구 및 상부 개구를 덮개로 폐쇄하는 하부 커버(7) 및 상부 커버(8)를 구비하고, 회로 기판(1)이 실드판(6)에 접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실드판(6)의 다리부(6a)가 회로 기판(1)을 관통하고 있는 고주파 유닛에 있어서, 하부 커버(7)의 일부를 잘라 세워 형성한 짧은 치수의 제 1 설편(7b)과 제 2 설편(7c)을 각각 대응하는 다리부(6a)에 맞닿게 한다. 양 설편(7b, 7c)은 형상 및 크기가 동등하고, 제 1 설편(7b)은 연결 브리지(7d)의 한쪽 가장자리를 기단으로 하여 회로 기판(1) 측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제 2 설편(7c)은 연결 브리지(7d)의 다른쪽 가장자리를 기단으로 하여 회로 기판(1) 측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다. 또, 양 설편(7b, 7c)은 기단측에서 연결 브리지(7d)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일체적으로 요동 가능하다.

Description

고주파 유닛 {HIGH-FREQUENCY UNIT}
본 발명은, 실드 프레임과 커버체로 덮인 회로 기판이 실드판에 접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커버체의 일부를 실드판에 맞닿게 하여 그라운드를 강화하고 있는 고주파 유닛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 회로를 설치한 회로 기판이 판금제의 실드 케이스에 수납·유지되어 있는 고주파 유닛에 있어서, 종래의 일반적인 실드 케이스는, 직사각 형상 등으로 조립된 실드 프레임(프레임체)과, 실드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칸막이하는 실드판(칸막이판)과, 실드 프레임의 상부 개구와 하부 개구를 각각 덮개로 폐쇄하는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실드 프레임과 실드판은 1매의 금속판을 구부려 형성되는 것이 많다. 회로 기판은 실드 프레임이나 실드판에 유지되어 단자군을 아래쪽으로 돌출시키고 있고, 이 회로 기판에 튜너부나 IF부 등의 고주파 회로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고주파 회로의 접지부가 실드판에 납땜되어 있다. 또, 하부 커버의 소정 부분을 잘라 세워 형성된 복수의 탄성 설편(舌片)을 실드판에 탄성 접촉시키고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고주파 회로의 그라운드가 강화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이 개략 구성된 종래의 고주파 유닛은, 회로 기판에 설치된 고주파 회로가 실드 케이스로 덮여 있기 때문에, 전자 노이즈의 유입이나 돌출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실드 케이스 내에서도 노이즈원이 되는 회로부의 전자 노이즈를 실드판으로 차단하여 다른 회로부로 누설되기 어렵게 하고 있고, 또한 실드판에 하부 커버의 탄성 설편을 탄성 접촉시켜 고주파 회로의 그라운드를 강화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고주파 유닛은, 실드 케이스가 마더보드 상에 탑재 고정되고, 단자군이 마더보드 측의 외부 회로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일본국 특개평6-275979호 공보
그런데, 상기한 고주파 유닛에 있어서, 회로 기판의 회로 설계 상의 제약 등의 이유로 노이즈원이 되는 회로부끼리(예를 들면 튜너부와 IF부)를 근접하게 설치해야할 때에는, 양 회로부 사이를 실드판으로 칸막이하는 것은 물론, 양 회로부의 그라운드를 특별히 강화해 둘 필요가 있다. 이러한 때, 가늘고 긴 잘라 세운 조각인 탄성 설편을 실드판에 탄성 접촉시켜도 필요한 그라운드 강화는 도모되지 않기 때문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고주파 유닛에서는, 하부 커버(12)에 스로틀 가공에 의하여 형성한 한 쌍의 볼록부(12a)를 각각 실드판(11)이 대응하는 다리부(11a)에 맞닿게 하고 있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부호 10은 실드 프레임, 13은 상부 커버, 14는 회로 기판, 15는 단자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부호 12b는 하부 커버(12)에 형성된 탄성 설편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탄성이 부족한 볼록부(12a)는 실드판(11)의 다리부(11a)의 높이 위치의 불균일을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인접하는 2부분에 형성된 한쪽의 볼록부(12a)를 대응하는 다리부(11a)에 맞닿게 하여도 다른쪽의 볼록부(12a)가 대응하는 다리부(11a)와 접촉하지 않을 우려가 있고, 그 경우, 고주파 회로의 그라운드 강화가 불충분해 지기 때문에 성능 열화가 불가피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고주파 회로의 그라운드 강화를 간단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고주파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주파 회로가 설치된 회로 기판과, 개구를 가지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로 기판을 수납하는 판금제의 실드 프레임과, 상기 개구를 덮개로 폐쇄하도록 상기 실드 프레임에 끼워 고정시킨 판금제의 커버체와, 상기 실드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칸막이하는 판금제의 실드판을 구비하고, 상기 회로 기판이 상기 실드판에 접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커버체의 일부를 잘라 세워 상기 실드판에 맞닿게 하고 있는 고주파 유닛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가, 연결 브리지와, 이 연결 브리지의 한쪽 가장자리를 기단으로 하는 제 1 설편과, 상기 연결 브리지의 다른쪽 가장자리를 기단으로 하는 제 2 설편을 가지고, 이들 제 1 및 제 2 설편이 각각 상기 회로 기판 측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상기 실드판에 맞닿아 있음과 동시에, 이들 제 1 및 제 2 설편이 일체적으로 요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주파 유닛은, 기단측에서 연결 브리지를 공유하는 제 1 및 제 2 설편이 일체적으로 요동 가능하고, 실드판이나 설편 자체의 높이 위치의 불균일에 의하여 한쪽의 설편이 당해 실드판으로 밀어 넣어지면, 연결 브리지를 중심으로 하는 시소(seesaw) 동작이 행하여져서 다른쪽의 설편이 역방향으로 밀어 넣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양 설편을 실드판에 확실하게 맞닿게 할 수 있다. 또, 이들 제 1 및 제 2 설편은 탄성편으로서 형성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길이 치수를 짧게 설정할 수 있고, 커버체의 일부를 잘라 세워 제 1 및 제 2 설편을 형성하는 것도 용이하다. 따라서, 커버체에 형성한 짧은 치수의 제 1 및 제 2 설편에 의하여 고주파 회로의 원하는 회로부의 그라운드 강화를 확실하면서 또한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커버체가 실드 프레임의 하부 개구를 덮개로 폐쇄하는 하부 커버임과 동시에, 실드판의 인접하는 2개의 다리부가 회로 기판을 관통하여 제 1 설편과 제 2 설편에 개별로 맞닿아 있으면, 실드 프레임의 상부 개구를 덮개로 폐쇄하는 상부 커버에 노치나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짐과 동시에, 고주파 회로의 인접하는 2개의 회로부의 그라운드 강화를 확실하면서 또한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제 1 설편과 제 2 설편은 형상 및 크기가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양 설편을 일체적으로 요동시키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고주파 유닛은, 실드판이나 설편 자체의 높이 위치의 불균일에 의하여 한쪽의 설편이 당해 실드판으로 밀어 넣어지면, 연결 브리지를 중심으로 하는 시소 동작이 행하여져서 다른쪽의 설편이 역방향으로 밀어 넣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설편을 실드판에 확실하게 맞닿게 할 수 있고, 또한, 양 설편은 탄성편으로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길이 치수를 짧게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판금제의 커버체에 형성한 짧은 치수의 제 1 및 제 2 설편에 의하여, 고주파 회로의 그라운드 강화를 간단, 확실하면서 또한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예에 관한 고주파 유닛의 외관도로, 실드 프레임이나 하부 커버 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로, 제 1 및 제 2 설편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3은 당해 고주파 유닛의 단면도,
도 4는 종래 예에 관한 고주파 유닛의 단면도이다.
이하,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고주파 유닛은, 튜너부나 IF부 등의 고주파 회로(도시 생략)가 설치된 회로 기판(1)과, 회로 기판(1)을 수납·유지하고 있는 실드 케이스(2)와, 회로 기판(1)으로부터 도출되어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단자(3)군과, 실드 케이스(2)에 고정되어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RF 커넥터(4)에 의하여 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고주파 유닛은, 실드 케이스(2)를 마더보드(9)(도 3 참조) 상에 탑재 고정하여 단자(3)군을 외부 회로와 접속시킴으로써, 마더보드(9) 상에 실장되도록 되어 있다. 또, 회로 기판(1)에 설치된 고주파 회로가 실드 케이스(2)로 덮여 있기 때문에, 전자 노이즈의 유입이나 돌출이 경감되도록 되어 있다.
실드 케이스(2)는, 회로 기판(1)을 수납하는 직사각 형상으로 조립된 판금제의 실드 프레임(프레임체)(5)과, 이 실드 프레임(5)의 내부 공간을 칸막이하는 판금제의 실드판(칸막이판)(6)과, 실드 프레임(5)의 하부 개구를 덮개로 폐쇄하는 판금제의 하부 커버(7)와, 실드 프레임(5)의 상부 개구를 덮개로 폐쇄하는 판금제의 상부 커버(8)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실드 프레임(5)과 실드판(6)은 1매의 금속판을 구부려 형성되어 있고, 실드 프레임(5)의 하단부에는 마더보드(9)에 고정되는 복수의 부착 다리(5a)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실드판(6)의 하단부에는 회로 기판(1)을 관통하여 하부 커버(7)와 대향하는 복수의 다리부(6a)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들 다리부(6a)가 상기 고주파 회로의 접지부에 납땜되어 있음과 동시에, 일부의 다리부(6a)에 뒤에서 설명하는 하부 커버(7)의 설편(7a∼7c)이 맞닿아 있다(도 3 참조). 이 하부 커버(7)와 상부 커버(8)는, 어느 것이나 둘레 가장자리 부분의 탄성을 이용하여 실드 프레임(5)에 끼워 고정시키고 있다.
회로 기판(1)은 실드 프레임(5)이나 실드판(6)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고주파 회로에 RF 커넥터(4)를 개재하여 안테나 신호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 고주파 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회로부는, 실드 프레임(5)의 내부 공간에서 실드판(6)에 의하여 칸막음 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회로부끼리의 사이에서 전자 노이즈의 간섭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 이 고주파 회로의 접지부는 실드 프레임(5)이나 실드판(6)에 도통되어 있다.
하부 커버(7)에는, 복수 부분을 잘라 세움으로써 탄성 설편(7a)과 짧은 치수의 제 1 및 제 2 설편(7b, 7c)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설편(7a∼7c)은, 각각 실드판(6)이 상이한 다리부(6a)에 맞닿아 있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 고주파 회로의 그라운드를 강화하고 있다. 이 중 제 1 및 제 2 설편(7b, 7c)은, 노이즈원이 되는 2개의 회로부의 그라운드를 특별히 강화하기 위해서 형성한 것으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드판(6)의 인접하는 2개의 다리부(6a)에 제 1 설편(7b)과 제 2 설편(7c)을 개별로 맞닿게 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설편(7b)은 하부 커버(7)에 형성한 연결 브리지(7d)의 한쪽 가장자리를 기단으로 하여 회로 기판(1) 측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삼각 형상의 설편이고, 제 2 설편(7c)은 연결 브리지(7d)의 다른쪽 가장자리를 기단으로 하여 회로 기판(1) 측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삼각 형상의 설편이다. 이들 제 1 및 제 2 설편(7b, 7c)은 형상 및 크기가 동등하다. 또, 양 설편(7b, 7c)은 기단측에서 연결 브리지(7d)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일체적으로 요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 예에 관한 고주파 유닛의 하부 커버(7)에는, 기단측에서 연결 브리지(7d)를 공유하여 일체적으로 요동 가능한 제 1 및 제 2 설편(7b, 7c)이 형성되어 있고, 실드판(6)의 각 다리부(6a)의 높이 위치나 설편(7b, 7c) 자체의 높이 위치의 불균일에 의하여, 한쪽의 설편(7b)(또는 7c)이 대응하는 다리부(6a)로 밀어 넣어지면, 연결 브리지(7d)를 중심으로 하는 시소 동작이 행하여져서 다른쪽의 설편(7c)(또는 7b)이 역방향으로 밀어 넣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양 설편(7b, 7c)을 각각 대응하는 다리부(6a)에 확실하게 맞닿게 할 수 있다. 또, 이들 제 1 및 제 2 설편(7b, 7c)은, 탄성편으로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길이 치수를 짧게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들 제 1 및 제 2 설편(7b, 7c)에 의하여 고주파 회로의 원하는 회로부의 그라운드 강화를 확실하면서 또한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커버(7)의 일부를 잘라 세워 탄성 설편(7a)이나 제 1 및 제 2 설편(7b, 7c)을 형성하는 것은 용이하다. 또, 이들 각 설편(7a∼7c)은 하부 커버(7)에 형성되어 있고, 동일한 설편을 상부 커버(8)에 형성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실드 성능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는 없다.
또한, 제 1 설편(7b)과 제 2 설편(7c)은 형상이나 크기가 상이한 것이어도 되나, 본 실시형태 예와 같이, 양 설편(7b, 7c)의 형상 및 크기가 동등하면, 양 설편(7b, 7c)을 일체적으로 요동시키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1 : 회로 기판 2 : 실드 케이스
3 : 단자 4 : RF 커넥터
5 : 실드 프레임(프레임체) 6 : 실드판(칸막이판)
6a : 다리부 7 : 하부 커버
7a : 탄성 설편 7b : 제 1 설편
7c : 제 2 설편 7d : 연결 브리지
8 : 상부 커버 9 : 마더보드

Claims (3)

  1. 고주파 회로가 설치된 회로 기판과, 개구를 가지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로 기판을 수납하는 판금제의 실드 프레임과, 상기 개구를 덮개로 폐쇄하도록 상기 실드 프레임에 끼워 고정시킨 판금제의 커버체와, 상기 실드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칸막이하는 판금제의 실드판을 구비하고, 상기 회로 기판이 상기 실드판에 접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커버체의 일부를 잘라 세워 상기 실드판에 맞닿게 하고 있는 고주파 유닛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가, 연결 브리지와, 이 연결 브리지의 한쪽 가장자리를 기단으로 하는 제 1 설편과, 상기 연결 브리지의 다른쪽 가장자리를 기단으로 하는 제 2 설편을 가지고, 이들 제 1 및 제 2 설편이 각각 상기 회로 기판 측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상기 실드판에 맞닿아 있음과 동시에, 이들 제 1 및 제 2 설편이 일체적으로 요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가 상기 실드 프레임의 하부 개구를 덮개로 폐쇄하는 하부 커버임과 동시에, 상기 실드판의 인접하는 2개의 다리부가 상기 회로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설편과 상기 제 2 설편에 개별로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닛.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편과 상기 제 2 설편은 형상 및 크기가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닛.

KR1020100010936A 2009-02-06 2010-02-05 고주파 유닛 KR101052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26010 2009-02-06
JP2009026010A JP5103414B2 (ja) 2009-02-06 2009-02-06 高周波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662A KR20100090662A (ko) 2010-08-16
KR101052014B1 true KR101052014B1 (ko) 2011-07-26

Family

ID=4275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936A KR101052014B1 (ko) 2009-02-06 2010-02-05 고주파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103414B2 (ko)
KR (1) KR1010520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086A (ko) * 2003-12-22 2005-06-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튜너와 메인피씨비의 결합구조
KR20090030234A (ko) * 2007-09-19 2009-03-24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자회로 모듈
JP2009099794A (ja) * 2007-10-17 2009-05-07 Alps Electric Co Ltd 電子回路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1696U (ja) * 1982-06-10 1983-12-20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シ−ルドカバ−用ア−ス片
JPS63156399A (ja) * 1986-12-19 1988-06-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シ−ルド装置
JPH02229496A (ja) * 1989-03-01 1990-09-12 Maspro Denkoh Corp 電子機器ケース
JPH0376370U (ko) * 1989-11-28 1991-07-31
JP2517496Y2 (ja) * 1990-10-30 1996-11-20 日本電産株式会社 電気機器
JPH104284A (ja) * 1996-06-14 1998-01-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シールド装置
JP2007242696A (ja) * 2006-03-06 2007-09-20 Alps Electric Co Ltd 高周波ユニット
JP2007299998A (ja) * 2006-05-01 2007-11-15 Alps Electric Co Ltd 高周波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高周波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086A (ko) * 2003-12-22 2005-06-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튜너와 메인피씨비의 결합구조
KR20090030234A (ko) * 2007-09-19 2009-03-24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자회로 모듈
JP2009099794A (ja) * 2007-10-17 2009-05-07 Alps Electric Co Ltd 電子回路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82928A (ja) 2010-08-19
KR20100090662A (ko) 2010-08-16
JP5103414B2 (ja) 201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568B1 (ko) 메모리카드용 어댑터
KR101875903B1 (ko) 전자기기용 카드 트레이
KR20080052412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20090242264A1 (en) Two piece shielding device
KR101412930B1 (ko) 전자기기 유니트의 하우징
KR101628896B1 (ko) 동축 커넥터
JP2008280060A (ja) Icタグホルダ及びその取付構造
US9257779B2 (en) Intermediate connection electrical connector
KR101052014B1 (ko) 고주파 유닛
CN112072351B (zh) 电子部件单元
KR20090030234A (ko) 전자회로 모듈
US20080242126A1 (en) Circuit board assembly
KR101936700B1 (ko) 차폐 보강 장치
CN108513522B (zh) 组装组件及其组装方法
US20120014076A1 (en) Card-type electronic circuit module
KR101666868B1 (ko) 유에스비이 소켓
JP7177417B1 (ja)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
KR101555896B1 (ko) 쉴드 캔 고정 구조
KR200265524Y1 (ko) 집적회로모듈용 시험소켓
WO2022163419A1 (ja) アンテナ装置
KR20080072354A (ko) 튜너의 커버
US20220059923A1 (en) Antenna device for vehicle
KR200232746Y1 (ko) 쉴드 케이스와 인쇄회로기판의 접지 구조
KR20070103110A (ko) 튜너
KR102308129B1 (ko) 리셉터클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