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967B1 - 포집부를 가지는 책장 - Google Patents

포집부를 가지는 책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967B1
KR101051967B1 KR1020080071863A KR20080071863A KR101051967B1 KR 101051967 B1 KR101051967 B1 KR 101051967B1 KR 1020080071863 A KR1020080071863 A KR 1020080071863A KR 20080071863 A KR20080071863 A KR 20080071863A KR 101051967 B1 KR101051967 B1 KR 101051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case
attachment member
dust
hole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818A (ko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김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1020080071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967B1/ko
Publication of KR20100010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rawin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04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integrated in or forming part of furniture

Landscapes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포집부를 구비하는 책장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포집부(120)는 바닥면(132)과 상기 바닥면(132)을 둘러싸는 측면부재(131)로 이루어져 오목하게 형성되며 책장의 상부로 위치하는 케이스(130)와, 상기 케이스(130)에 수용되며 먼지가 부착되는 부착부재(150)와, 상하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격자부(143)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착부재(150)의 상부로 상기 케이스(130)에 수용되는 격자체(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부에 포집부(120)를 구비함으로써 책장의 상부로 쌓이는 먼지 등이 다시 대기 중으로 확산될 염려가 없게 되고, 청소가 간단하고 청소 중에 먼지가 다시 실내로 확산될 염려가 없으며, 격자체(140)를 구비함으로써 공기의 유동이 부착부재(150)까지 미치지 않게 되고 따라서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먼지가 부착부재(150)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되며, 공기 정화 기능과 먼지의 포집 기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책장, 먼지, 부착

Description

포집부를 가지는 책장{A BOOKSELF COMPRISING CAPTURING PART}
본 발명은 책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부에 포집부를 구비함으로써 책장의 상부로 쌓이는 먼지 등이 포집된 후에 다시 대기 중으로 확산될 염려가 없게 되고, 청소가 간단하고 청소 중에 먼지가 다시 실내로 확산될 염려가 없으며, 실내 공기 유동에 의하여 포집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순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기 정화 기능과 먼지의 포집 기능이 향상된 포집부를 구비하는 책장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책장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책장(10)은 서로 이격되어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측판부재(11)와, 양측이 상기 측판부재(11)에 연결되며 측판부재(11)의 상부로 위치하는 상판부재(13)와, 상기 상판부재(13)의 하부로 측판부재(11)에 상하로 이격하여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선반부(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반부(15)에는 선반부(15)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하나 이상의 칸막이(17)가 구비된다. 상기 선반부(15)에는 서적이 적치되며, 상기 칸막이(17)는 서적을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도 1은 도서관에 구비되는 책장을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9는 선반부(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중간칸막이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중간칸막이(19)를 구비함으로써 중간칸막이(19)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서적을 적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책장(10)의 상판부재(13)의 상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지(20)가 쌓이게 되며, 책장(10)이 설치된 공간에 도 2에 화살표로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판부재(13)의 상부로 쌓인 먼지(20)들의 일부는 다시 실내로 유동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판부재(13)의 상부에 쌓인 먼지(20)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먼지(20)를 제거하는 중에 먼지(20)의 많은 양이 실내에 다시 유동하게 되고, 따라서 청소 중이나 청소 후에는 환기를 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책장의 상부에 포집부를 구비하며, 상기 포집부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을 둘러싸는 측면부재로 이루어져 오목하게 형성되며 책장의 상부로 위치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며 먼지가 부착되는 부착부재와, 상하로 통공이 형성된 격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착부재의 상부로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격자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부재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이격하여 복수의 제1 지지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제1 지지돌기의 상부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부재에는 상기 제1 지지돌기의 상부로 제1 지지돌기와 이격하여 복수의 제2 지지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격자부는 상기 제2 지지돌기의 상부로 위치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부재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는 폼체층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부착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바닥면과 일측 측면부재 사이에 턱부가 구비되며, 상기 턱부의 양단에 위치하는 측면부재에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턱부와 바닥면과 일측의 측면부재에 의하여 통공으로 연통되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에 수납되는 탄소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공의 상부로 측면부재에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는 상기 슬릿을 통하여 슬라이딩 되어 통공을 개폐하며 망체로 이루어지는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턱부에는 통로로부터 상기 부착부재의 하부로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슬릿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포집부를 구비하는 책장(110)에 의하면, 상부에 포집부(120)를 구비함으로써 책장의 상부로 쌓이는 먼지 등이 포집부(120)에 포집되어 다시 대기 중으로 확산될 염려가 없게 되고 포집부(120) 전체를 책장(110)으로부터 분리하여 포집부(120)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청소가 간단하고 청소 중에 먼지가 다시 실내로 확산될 염려가 없으며, 먼지가 포집 부착되는 부착부재(150)의 상부로 케이스(130)에 수용되는 격자체(140)를 구비함으로써 공기의 유동이 부착부재(150)까지 미치지 않게 되고 따라서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먼지가 부착부재(150)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되며, 부착부재(150)가 폼체층(151)과 부착 층(153)으로 이루어져 먼지의 이탈 가능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며, 일측으로 통로가 형성되고 통로에 탄소체(170)를 구비함으로써 공기 정화 기능이 향상되고, 통로와 부착부재(150)의 하부로 연통되는 슬릿공(138)을 형성함으로써 먼지의 포집 기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포집부를 구비하는 책장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포집부를 구비하는 책장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책장에 구비되는 포집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포집부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포집부를 이루는 케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도 4의 포집부를 이루는 부착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및 일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4의 포집부를 이루는 격자체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4의 포집부를 이루는 격자체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도 6의 "B" 방향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포집부의 입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13은 도 4의 포집부를 이루는 커버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책장(1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가 포집되는 포집부(120)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한 책장(110)은 다양한 형태의 책장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는 도 3에 도시한 책장(11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책장(110)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측판부재(111)와, 상기 측판부재(111)에 양측이 연결되어 설치되는 상판부재(113)와, 상기 상판부재(113)의 하부로 양측이 측판부재(111)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선반부(11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선반부(115)에는 선반부(1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칸막이부재(117)가 설치된다.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119은 중간칸막이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책장(110)은 상판부재(113)와 측판부재(111)의 측면으로 판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책장(1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로 실내 중에 유동하는 먼지가 포집되는 포집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포집부(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포집부(120)를 크게 제조하여 1개의 포집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포집부(120)는 책장(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포집부(120)는 상기 상판부재(113)의 상부로 구비된다. 상기 포집부(12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30)와, 부착부재(150)와, 격자체(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3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132)과, 상기 바닥면(132)을 둘러싸는 측면부재(131)로 이루어져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30)는 철재,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 스(130) 내에 부착부재(150)가 수용되며, 상기 부착부재(150)의 상부로 격자체(140)가 수용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130)의 바닥면(132)을 나사못 등으로 책장(110)의 상판부재(113)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바닥면(131)의 하부로 측면부재(131)를 연장시켜 연장된 부분으로 상기 상판부재(113)에 측면의 일부를 가리도록 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130)의 측면부재(131)에는 바닥면(132)으로부터 이격하여 복수의 제1 지지돌기(133)가 구비되며, 상기 부착부재(150)는 상기 제1 지지돌기(133)의 상부로 설치된다. 상기 부착부재(150)의 하부와 제1 지지돌기(133)는 서로 접촉한다. 상기 제1 지지돌기(133)의 상부로는 제1 지지돌기(133)로부터 이격하여 복수의 제2 지지돌기(134)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지지돌기(134)의 상부로 상기 격자체(140)가 설치된다. 상기 제2 지지돌기(134)를 구비함으로써 격자체(140)와 케이스(130)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나, 상기 제2 지지돌기(134)를 구비하지 않고 격자체(140)의 하부가 부착부재(150)에 접촉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130)의 측면부재(13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외면의 상하에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부(137)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부(137)에는 판재 모양의 패널(180)이 슬라이딩 삽입되며, 상기 패널(180)에는 책장(110)에 적치된 서적의 분류명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132)과 일측 측면부재(131) 사이에 턱부(135)가 구비된다. 상기 턱부(135)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만곡된 곡선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직선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 기 턱부(135)의 양단에 위치하는 측면부재(131)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공(135a)이 형성되며, 상기 턱부(135)와 바닥면(132)과 일측의 측면부재(131)에 의하여 통공(135a)으로 연통되는 통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포집부(120)는 상기 통로에 수납되는 탄소체(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탄소체(170)는 숯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통공(135a)의 상부로 측면부재(131)에는 슬릿(139)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35a)에는 상기 슬릿(139)을 통하여 슬라이딩 되어 통공(135a)을 개폐하며 망체(163)로 이루어지는 커버부재(160)를 구비함으로써 통로에 구비되는 탄소체(170)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6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된 형태의 지지체(161)와, 상기 지지체(161)의 개구 부분에 설치되는 망체(163)로 이루어진다. 도 13에서 미설명 부호 162는 상기 지지체(161)의 일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슬릿(139)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커버부재(160)를 개폐하는 경우 상기 돌기부(162)를 파지하여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재(150)는 미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지가 낙하하여 부착부재(150)와 접촉하면 미세 섬유 사이에 포집된다. 상기 부착부재(150)는 미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단일층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기공이 형성된 폼체로 이루어지는 폼체층(151)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부착층(153)을 구비하도록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와 같은 층을 반복시켜 다층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도 8에서 도 면부호 157은 부착층(153)에 구비될 수 있는 활성탄과 같은 흡착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 및 도 12에는 부착층(153) 위로 폼체층(151)을 구비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부착층(153)의 하부로 폼체층(151)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부착부재(150)의 상부로 구비되는 격자체(14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격자부(143)로 이루어지며, 상기 격자부(143)를 둘러싸는 외곽부(141)를 가진다. 상기 격자체(140)는 합성수지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격자체(140)의 격자부(143)에 형성되는 통공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6각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각형이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3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격자체(140)는 도 5,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자체(140)의 두께(도 12에서 H2)를 0.7㎜로 하여 부착부재(150)로부터 먼지의 이탈 실험을 실시하였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턱부(135)에는 바닥면(132)으로부터 이격하여 측방향으로 바닥면(132)과 부착부재(150) 사이로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슬릿공(138)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릿공(138)을 통하여 공기가 턱부(135)에 의하여 형성되는 통로로 흐를 수 있으므로 부착부재(150)에 더 많은 먼지가 포집된다. 통로를 흐르는 공기는 통로를 통과하여 흐르기 때문에 슬릿공(138)을 통하여 바닥면(132)과 부착부재(150) 사이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 부착부재(150)와 격자체(140)가 케이스(130)에 수용되어 설치되는 경우, 격자체(140)의 상부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부재(131)의 상부 끝 단(131a)보다 낮게 되도록 설치한다. 도 12에서 화살표는 공기의 유동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가 유동하는 경우에도 공기의 유동은 격자체(140)로 인하여 부착부재(150)까지 미치지 않게 되므로, 부착부재(150)에 포집된 먼지는 다시 공기 중으로 유동하지 않게 된다.
청소를 하는 경우에는 포집부(120)를 책장(110)으로부터 분리하여 외부로 운반한 후에 부착부재(150)를 교체하거나, 부착부재(150)에 포집 부착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청소 중에 포집부(120)에 포집 부착된 먼지가 다시 실내 공기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책장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포집부(120)는 옷장 등과 같은 가구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경,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책장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포집부를 구비하는 책장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책장에 구비되는 포집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포집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포집부를 이루는 케이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4의 포집부를 이루는 부착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및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의 포집부를 이루는 격자체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포집부를 이루는 격자체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6의 "B" 방향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포집부의 입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도 4의 포집부를 이루는 커버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Claims (6)

  1. 상부에 포집부를 구비하는 책장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120)는 바닥면(132)과 상기 바닥면(132)을 둘러싸는 측면부재(131)로 이루어져 오목하게 형성되며 책장의 상부로 위치하는 케이스(130)와, 상기 케이스(130)에 수용되며 먼지가 부착되는 부착부재(150)와, 상하로 통공이 형성된 격자부(143)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착부재(150)의 상부로 상기 케이스(130)에 수용되는 격자체(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측면부재(131)에는 바닥면(132)으로부터 이격하여 복수의 제1 지지돌기(133)가 구비되며, 상기 부착부재(150)는 상기 제1 지지돌기(133)의 상부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집부를 구비하는 책장(110).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131)에는 상기 제1 지지돌기(133)의 상부로 제1 지지돌기(133)와 이격하여 복수의 제2 지지돌기(134)가 구비되며, 상기 격자부(143)는 상기 제2 지지돌기(134)의 상부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집부를 구비하는 책장(110).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150)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는 폼체층(151)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부착층(15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집부를 구비하는 책장(110).
  5. 제1 항, 제3항 및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32)과 일측 측면부재(131) 사이에 턱부(135)가 구비되며, 상기 턱부(135)의 양단에 위치하는 측면부재(131)에는 통공(135a)이 형성되며, 상기 턱부(135)와 바닥면(132)과 일측의 측면부재(131)에 의하여 통공(135a)으로 연통되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에 수납되는 탄소체(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공(135a)의 상부로 측면부재(131)에는 슬릿(139)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35a)에는 상기 슬릿(139)을 통하여 슬라이딩 되어 통공(135a)을 개폐하며 망체(163)로 이루어지는 커버부재(1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집부를 구비하는 책장(110).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턱부(135)에는 통로로부터 상기 부착부재(150)의 하부로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슬릿공(13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집부를 구비하는 책장(110).
KR1020080071863A 2008-07-23 2008-07-23 포집부를 가지는 책장 KR101051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863A KR101051967B1 (ko) 2008-07-23 2008-07-23 포집부를 가지는 책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863A KR101051967B1 (ko) 2008-07-23 2008-07-23 포집부를 가지는 책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818A KR20100010818A (ko) 2010-02-02
KR101051967B1 true KR101051967B1 (ko) 2011-07-26

Family

ID=42085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863A KR101051967B1 (ko) 2008-07-23 2008-07-23 포집부를 가지는 책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9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786B1 (ko) 2020-06-22 2021-12-07 김기현 가구용 미세먼지 포집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66424B (zh) * 2012-11-06 2017-12-12 张辉海 一种能够自动清洁搁板表面的书桌
CN112603063B (zh) * 2020-12-16 2022-02-11 平顶山市图书馆(平顶山市少年儿童图书馆) 一种图书馆专用旋转式书架
CN113615986B (zh) * 2021-08-27 2023-02-28 王庆汉 一种可移动的档案专业用智能管理平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680A (ko) * 2000-06-16 2000-09-05 김재욱 먼지제거용 가구
KR200259723Y1 (ko) * 2001-10-04 2002-01-05 세광교구공업주식회사 먼지포집 기능을 갖는 서가
JP2002078544A (ja) * 2000-09-08 2002-03-19 Takatoshi Seto 埃除去型本棚及びラック
KR200423265Y1 (ko) * 2006-04-19 2006-08-04 고윤한 통풍 수납가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680A (ko) * 2000-06-16 2000-09-05 김재욱 먼지제거용 가구
JP2002078544A (ja) * 2000-09-08 2002-03-19 Takatoshi Seto 埃除去型本棚及びラック
KR200259723Y1 (ko) * 2001-10-04 2002-01-05 세광교구공업주식회사 먼지포집 기능을 갖는 서가
KR200423265Y1 (ko) * 2006-04-19 2006-08-04 고윤한 통풍 수납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786B1 (ko) 2020-06-22 2021-12-07 김기현 가구용 미세먼지 포집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818A (ko) 2010-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967B1 (ko) 포집부를 가지는 책장
WO2008019247A2 (en) Base assembly for an air cleaner
CA2602631A1 (en) Air filter for an exhaust fan
JP2005536250A5 (ko)
US20080064319A1 (en) Air Filter for an Exhaust Fan
GB2064616A (en) Sound-absorbing false ceiling for ventilation and removal of steam or contaminants
KR101592179B1 (ko) 건축용 세대현관의 안전바닥 패널
JP2007203252A (ja) 換気口用フィルタ
US20160271553A1 (en) Multi-stage hood filter
KR20170137766A (ko) 다단 후드 필터
JP4366084B2 (ja) 厨房用フィルタ
CN212692045U (zh) 除醛净化结构及除醛净化装置
JP6323404B2 (ja) 空気清浄機
KR100695873B1 (ko) 배기후드용 필터장치
NL2032150B1 (en) Filter for raised ventilation flooring structure
JP4438686B2 (ja) 収納部調湿構造
KR102336786B1 (ko) 가구용 미세먼지 포집기구
JP3133027U (ja) 仕切を取り付け可能なペットの小屋
US20100025553A1 (en) Mounting system for comestible fluid dispensing components and accessories
CN210303701U (zh) 一种教学实验室用防异味的实验柜
KR200315135Y1 (ko) 숯블록 수납구조를 갖는 도어
JP2006218162A (ja) 脱臭マット
CN215808944U (zh) 一种可清洗过滤组件的除湿机
US20160184747A1 (en) Filters, supports for filters, and methods of producing filters having supports
JP2005264702A (ja) 湿気除去クローゼット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