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941B1 - 투명 모니터 - Google Patents

투명 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941B1
KR101051941B1 KR1020090038003A KR20090038003A KR101051941B1 KR 101051941 B1 KR101051941 B1 KR 101051941B1 KR 1020090038003 A KR1020090038003 A KR 1020090038003A KR 20090038003 A KR20090038003 A KR 20090038003A KR 101051941 B1 KR101051941 B1 KR 101051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flector
pretreatment
monitor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9079A (ko
Inventor
임혁규
최석재
임형민
Original Assignee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8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941B1/ko
Publication of KR20100119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3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based on proj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투사장치에서 투사되는 영상을 투명판부재인 투명유리를 통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상이 출력되는 투명 모니터에 있어서, 영상출력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장치와, 상기 영상투사장치에서 투사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투명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투명모니터, 컴퓨터, 영상인터페이스, 영상

Description

투명 모니터{TRANSPARENT MONITER}
본 발명은 투명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투사장치에 투사되는 영상을 투명판부재인 투명유리를 통해 볼 수 있도록 하는 투명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모니터는, LCD, PDP, CRT 등을 이용한 화면과, 이 화면을 설치한 케이스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는, 컴퓨터 및 영상출력장치에 영상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모니터는, 영상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입력된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모니터로는, 컴퓨터 모니터, TV, 전광판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의 케이스프레임은, 불투명 수지재에 의하여 외관이 다양한 모양으로 제조된다.
상기한 TV 및 모니터 등은 가정이나 공공장소에 설치할 경우 일정 공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가정이나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TV 및 모니터 등은, 최근 들어 좀 더 큰 화면을 시청하고자 하는 요구에 따라 대형화되고 있다.
이렇게 대형화된 TV 및 모니터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해당벽면과 주변 공간을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대형화된 TV 및 모니터가 설치된 주변공간을 다른 용도의 공간으로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TV 및 모니터는 대형화 추세이고,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의 효율적 이용을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투사장치에서 투사되는 영상을 투명판부재에 결상시켜 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TV 및 모니터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생활주변 및 공공시설에 존재하는 투명판부재에 영상을 투사시켜 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명판부재의 전면 가까이에 구비된 영상투사장치를 포함한 투명 모니터를 최소의 공간에 설치할 수 있어 효율적인 공간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뒤 배경을 볼 수 있는 투명판부재에 대한 영상의 투사 여부에 따라 컴퓨터용 모니터, 디스플레이 판넬 및 투명유리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상이 출력되는 모니터에 있어서, 영상출력장치에서 출력된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장치와, 상기 영상투사장치에서 투사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투명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영상투사장치는, 상기 영상출력장치에서 출력된 영상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영상인터페이스와, 상기 영상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된 영상이 결상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영상신호에 의하여 결상된 영상을 투사하는 광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광학장치는, 액정모니터와, 상기 액정모니터의 이미지를 일측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 전처리 반사경과, 상기 제1 전처리 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된 이미지를 일측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 전처리 반사경과, 상기 제2 전처리 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된 이미지를 일측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3 전처리 반사경과, 상기 제3 전처리 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된 이미지의 크기 및 보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이미지를 일측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 1후처리 반사경과, 상기 제 1후처리 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된 이미지를 일측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 2후처리 반사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투명판부재는, 영상투사장치의 투사 영상이 결상되도록 형성되는 투명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투사장치에 다수의 반사경으로 구성된 광학장치를 구비하여 통해 영상의 왜곡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상투사장치에 구비된 광학장치가 영상의 왜곡을 방지함에 따라 투명 판부재에 영상을 크기별로 조정하여 선명하게 결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각적으로 공간을 차지하는 TV 및 모니터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투명판부재에 영상을 투사시키면 투명 모니터가 준비되기 때문에,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시청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간을 차지하는 TV 및 컴퓨터 모니터를 투명 모니터로 대체하면 뒤 배경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을 시각적으로 넓게 확보할 수 있어 공간에 대한 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상출력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투명판부재를 통해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신체가 유해 전자파에 노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쇼윈도우, 상품진열대, 유동인구의 시선이 집중되는 전시장의 투명판부재에 영상을 투사할 경우 홍보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투명 모니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출력장치(4)가 연결되는 영상투사장치(10)를 구비한다. 상기한 영상출력장치(4)는, 컴퓨터 및 프로젝터 중 하나이다. 상기 영상출력장치(4)는, 입력장치(도시 생략)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영상출력장치(4)는, 입력장치의 신호시 모니터케이블(6)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한 모니터케이블(6)은, 영상출력장치(4)와 영상인터페이스(8)를 연결한다. 상기한 모니터케이블(6)은, R(적색), G(녹색), B(청색),H(수평), V(수직) 이상 5개의 신호로 분리되어 영상을 전송하는 케이블이며, 상기 R, G, B, H, V를 줄여서 RGB케이블 또는 영상케이블이라 한다.
상기한 영상출력장치(4)에는, 영상투사장치(10)가 모니터케이블(6)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한 영상투사장치(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케이블(6)을 통해 영상출력장치(4)에서 입력된 영상을 투사한다. 상기한 영상투사장치(10)는, 투명판부재(18)의 전면에 설치되고, 투명판부재(18)에 영상을 다양한 크기로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인치 투명판부재(18)인 투명유리에 투사되는 영상을 19, 17, 15 인치로 조절하여 결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모니터케이블(6)로 연결되는 영상인터페이스(8)에는, 영상출력장치(4)에서 출력된 영상신호가 전달된다. 상기한 영상인터페이스(8)는, 영상출력장치(4)에서 모니터케이블(6)을 통해 입력되는 합성신호(Composite) 및 영상(RGB)신호가 왜곡되지 않도록 처리한다. 또한, 영상인터페이스(8)에는, 영상의 결상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부(12)가 연결된다.
상기한 제어부(1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인터페이스(8)에서 입력되는 영상을 광학장치(14)의 액정모니터(16)에 1차로 결상시키는 것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2)에는, 영상인터페이스(8)로부터 영상을 받는 디코더(12a)가 구비된다. 상기한 디코더(12a)는, 컴퓨터 내부에서 디지털로 코드화된 데이터를 해독하고 그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주는 컴퓨터 회로이다.
상기 디코더(12a)에는, 디코더(12a)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하는 버퍼링(12b)이 연결된다. 상기한 버퍼링(12b)은, 디코더(12a)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이다. 상기한 버퍼링(12b)에는, 저장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광학장치(14)의 액정모니터(16)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어부(12)에는, 액정모니터(16)의 영상을 반사하는 반사 경로를 형성하는 광학장치(14)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한 광학장치(14)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2)의 버퍼링(12b)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는 액정모니터(16)가 구비된다.
상기 액정모니터(16)는, 버퍼링(12b)으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영상을 출력한다. 상기한 액정모니터(16)는, 영상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2c)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기 컨트롤러(12c)는, 영상 데이터 신호가 최적상태에서 액정모니터(16)에 1차 결상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액정모니터(16)의 일측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지를 일측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 전처리 반사경(14a)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제1 전처리 반사경(14a)은, 반사경 자체의 두께에 의하여 발생하는 상의 왜곡이 방지되도록 일정 곡률로 보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처리 반사경(14a)의 일측에는, 이미지를 일측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 전처리 반사경(14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전처리 반사경(14b)은, 제1 전처리 반사경(14a)에서 반사된 이미지 를 반사하고 반사각 및 반사경 자체 두께에서 발생하는 상의 왜곡이 방지되도록 역시 일정 곡률로 보정되어 있다. 상기 제2 전처리 반사경(14b)의 일측에는, 이미지를 일측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3 전처리 반사경(14c)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제3 전처리 반사경(14c)도 제2 전처리 반사경에서 반사된 이미지를 반사하고 반사각 및 반사경 자체 두께에서 발생하는 상의 왜곡이 방지되도록 일정 곡률로 보정되어 있다. 상기 제3 전처리 반사경(14c)의 일측에는, 이미지의 크기 및 보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렌즈부(14L)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제1 내지 제3 전처리 반사경(14a)(14c)들은, 액정모니터(16)의 이미지가 렌즈부(14L)에 도달될 수 있는 각도로 설치된다.
상기한 렌즈부(14L)는, 제3 전처리 반사경(14c)에서 반사된 이미지를 반사하도록 오목, 볼록 렌즈들의 조합에 의하여 구성된다. 상기 렌즈부(14L)는, 전처리 반사경(14)들을 통해 반사된 이미지를 적절한 크기로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상기한 렌즈부(14L)는, 통상의 기술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크기 확대 및 축소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초점 조절을 통해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부(14L)의 일측에는, 이미지를 일측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 후처리 반사경(14d)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후처리 반사경(14d)은, 렌즈부(14L)를 통과한 이미지를 굴절시킨다. 상기한 제1 후처리 반사경(14d)의 일측에는, 제1 후처리 반사경(14d)에서 반사된 이미지를 일측 방향으로 반사키는 제2 후처리 반사경(14e)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후처리 반사경(14e)은, 제1 후처리 반사경(14d)으로부터 반사된 이 미지를 굴절시켜 일측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 후처리 반사경(14e)은, 후술한 투명판부재(18)에 영상이 반사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후처리 반사경(14d)(14e)은, 후술하는 투명판부재(18)에 이미지가 용이하게 반사되어 도달할 수 있는 각도로 배치된다.
한편, 제2 후처리 반사경(14e)은, 반사면에 AR(Anti Reflection)필름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투명판부재(18)에 반사되는 이미지의 평활성을 높이고, 외부의 빛이 제2 후처리 반사경(14e)으로 인입되어 장치내로 역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특히, AR필름이 코팅된 제2 후처리 반사경(14e)의 반사면은, 불필요한 빛을 차단해준다. 따라서, 투명판부재(18)에 반사되는 이미지의 선명도를 높여준다. 상기 AR코팅은 이미 공지된 기술임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영상투사장치(10)는, 영상이 투사되어 결상되는 투명판부재(18)의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한 투명판부재(18)는,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크기로 설치된 투명유리이다. 상기한 투명판부재(18)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투명판부재(18)는, 제2 후처리 반사경(14e)으로부터 반사된 이미지를 결상시켜 보여주게 된다. 그리고, 책상, 주택공간, 사무공간, 회의실, 전시실, 교통시설 등에 설치된 유리를 상기 투명판부재(18)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판부재(18)는, 완전 투명 외에 반투명 및 불투명 유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 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니터는, 영상투사장치(10)와 투명유리인 투명판부재(18)를 포함하여 투명 모니터를 구성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투명판부재(18)의 전면에 영상투사장치(10)를 설치한다. 또한, 책상, 주택공간, 사무공간, 회의실, 전시실, 교통시설 등에 설치된 투명유리를 상기 투명판부재(18)로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컴퓨터 또는 프로젝터인 영상출력장치(4)에 연결된 모니터케이블(6)을 영상인터페이스(8)에 연결함으로써, 영상투사장치(10)를 통해 영상이 투사되도록 한다.
상기한 영상인터페이스(8)를 거쳐 왜곡되지 않은 영상은, 제어부(12)에서 디코더(12a)가 디지털 코드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해독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디코더(12a)에 의하여 변환된 영상 데이터는, 버퍼링(12b)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액정모니터(16)에 전송된다. 상기 액정모니터(16)에 전송된 영상 데이터는, 컨트롤러(12c)의 제어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한 액정모니터(16)에서 출력되는 영상은, 광학장치(14)에 반사 각도로 배치된 제1 내지 제3 전처리 반사경(14a)~(14c)을 따라 반사됨으로써, 렌즈부(14L)에 도달된다. 상기 렌즈부(14L)는, 사용자에 의해 영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14L)에서 조절된 영상은, 확대되거나 축소된 상태로 출사된다. 상기 렌즈부(14L)에서 출사된 영상은, 제1 및 제2 후처리 반사경(14d)(14e)을 거쳐 반사된다. 상기한 제2 후처리 반사경(14e)에 의하여 반사되는 영상은, 반사경로에 있는 투명유리인 상기 투명판부재(18)에 그대로 투사된다. 상기 투명판부재(18)에 투사된 영상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상됨에 따라 사용자는 영상을 편하게 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영상출력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뒤 배경이 드러나는 투명판부재인 투명유리에 투사하여 선명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시각적인 확대 및 공간의 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영상 기자재 산업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영상투사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나타낸 광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낸 투명 디스플레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영상출력장치
8: 영상인터페이스(Interface)
10: 영상투사장치
12: 제어부
14: 광학장치
14a~14c: 제1~3 전처리 반사경
14d,14e: 제1,2 후처리 반사경
14L: 렌즈(Lens)부
16: 액정모니터
18: 투명판부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영상출력장치(4)에서 출력된 영상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영상인터페이스(8)와, 상기 영상인터페이스(8)를 통해 전달된 영상이 결상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와, 상기 제어부(12)의 영상신호에 의하여 결상된 영상을 투사하는 광학장치(1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영상출력장치(4)에서 출력된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장치(10)와; 상기 영상투사장치(10)에서 투사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투명판부재(18);를 포함하는 투명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광학장치(14)는,
    액정모니터(16)와,
    상기 액정모니터(16)에 대해 일정 각도를 갖고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액정모니터(16)의 이미지를 제2 전처리 반사경(14b)으로 반사시키는 제1 전처리 반사경(14a)과,
    상기 제1 전처리 반사경(14a)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전처리 반사경(14a)으로부터 반사된 이미지를 제3 전처리 반사경(14c)으로 반사시키는 제2 전처리 반사경(14b)과,
    상기 제2 전처리 반사경(14b)과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 전처리 반사경(14b)으로부터 반사된 이미지를 렌즈부(14L)로 반사시키는 제3 전처리 반사경(14c)과,
    상기 제3 전처리 반사경(14c)으로부터 반사된 이미지의 크기 및 보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렌즈부(14L)와,
    상기 렌즈부(14L)에 대해 상면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렌즈부(14L)를 통과한 이미지를 상측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 후처리 반사경(14d)과,
    상기 제1 후처리 반사경(14d)에 대해 일정 각도를 갖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후처리 반사경(14d)으로부터 반사된 이미지를 투명판부재(18)로 반사시키고, 반사면에 AR(Anti Reflection) 필름이 코팅된 제2 후처리 반사경(14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모니터.
  4. 삭제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부재(18)는, 영상투사장치(10)의 투사 영상이 결상되도록 형성되는 투명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모니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부재(18)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 유리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모니터.
KR1020090038003A 2009-04-30 2009-04-30 투명 모니터 KR101051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003A KR101051941B1 (ko) 2009-04-30 2009-04-30 투명 모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003A KR101051941B1 (ko) 2009-04-30 2009-04-30 투명 모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079A KR20100119079A (ko) 2010-11-09
KR101051941B1 true KR101051941B1 (ko) 2011-07-28

Family

ID=4340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003A KR101051941B1 (ko) 2009-04-30 2009-04-30 투명 모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9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863U (ko) * 1999-02-09 2000-09-25 임동성 프로젝터를 이용한 직접 투사 방식의 매장 디스플레이
KR20030015974A (ko) * 2001-08-20 2003-02-26 박찬기 빔 투사용 초대형 유리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슈퍼비전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865082B1 (ko) * 2001-01-18 2008-10-24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복합 유리로 제조된 프로젝션 스크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863U (ko) * 1999-02-09 2000-09-25 임동성 프로젝터를 이용한 직접 투사 방식의 매장 디스플레이
KR100865082B1 (ko) * 2001-01-18 2008-10-24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복합 유리로 제조된 프로젝션 스크린
KR20030015974A (ko) * 2001-08-20 2003-02-26 박찬기 빔 투사용 초대형 유리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슈퍼비전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079A (ko) 201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73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eamless tiled display
JP6239520B2 (ja) ベゼル隠蔽ディスプレイカバー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US8970655B2 (en) Reflective and refractive solutions to providing direct eye contact videoconferencing
US20140063469A1 (en) Projector driven teleprompter
CN101852974B (zh) 投影型图像显示设备和投影光学系统
US8690334B2 (en) Projector, proj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projector
WO2009119719A1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EP3904957B1 (en) Projector system
KR100292356B1 (ko) 배면투사형액정프로젝트장치
JP2002162689A (ja) 大画面表示装置
JP2008191613A (ja) 遠隔会議システム
CN102043310B (zh) 投影系统、投影装置及成像模组
KR101051941B1 (ko) 투명 모니터
KR20030017088A (ko) 광시야 고휘도 영상 시스템(廣視野 高輝度 映像係)
US20100201606A1 (en) Frame expanding glasses and frame expanding visual system
JPH06160845A (ja) 投写形画像表示装置
CN104122744B (zh) 一种正投影一体机及反射式屏幕
JP2000089157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16009129A (ja) 画像表示装置
JP2008026894A (ja) テーブル型大型映像装置
JP2007293171A (ja) 反射型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および映像表示装置
CN212909827U (zh) 一种lcd激光背投一体机
CN101109894A (zh) 台式大尺寸成像设备
KR101777856B1 (ko) 프로젝터용 스크린
CN211016442U (zh) 一种双面投影广告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