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710B1 - 복수의 세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노드 - Google Patents

복수의 세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710B1
KR101051710B1 KR1020090085962A KR20090085962A KR101051710B1 KR 101051710 B1 KR101051710 B1 KR 101051710B1 KR 1020090085962 A KR1020090085962 A KR 1020090085962A KR 20090085962 A KR20090085962 A KR 20090085962A KR 101051710 B1 KR101051710 B1 KR 101051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node
receiving
transmitting
s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8057A (ko
Inventor
이석찬
Original Assignee
(주)씨디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디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씨디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090085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710B1/ko
Priority to US13/395,211 priority patent/US8612613B2/en
Priority to PCT/KR2010/006190 priority patent/WO2011031097A2/ko
Priority to JP2012528749A priority patent/JP2013504923A/ja
Publication of KR20110028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세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초기 세션을 통해 수신하여,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고,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추가 세션을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망의 구성이 점점 더 복잡하게 됨에 따라 다양하고 복잡한 통신망의 상태를 세션 설정에 반영할 수 있고, 보다 효과적으로 통신망의 상태에 따른 세션 설정이 가능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데이터의 송신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세션, session, 송신, 수신, 헤더, 대역폭, bandwidth

Description

복수의 세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노드{Method for setting multiple session and node by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세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노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노드 사이의 복수의 세션을 설정하는 방법 및 설정된 세션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노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등의 디지털 처리 장치의 발달과 통신망의 발달로 통신망을 통해 많은 데이터를 주고 받고 있다.
통신망은 수많은 장치와 통신 회선 등이 서로 연결되게 되어 구성되며, 이러한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로 얼마만큼 빠르고 정확하게 데이터가 송신되는지 여부가 중요하다.
이러한 데이터의 송신은 노드와 노드 사이의 연결인 세션(session)을 통해 이 루어지게 된다.
노드(node)란 네트워크에서의 연결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데이터 송수신의 재분배점 또는 끝점을 말하며 각종 서버(server), 허브(hub), 라우터(router), 스위치(switch), 클라이언트(client) 등이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장치들이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 사이에는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오고 가는 연결인 세션(session)이 필요하며, 이러한 세션은 하나의 세션이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필요한 경우 복수개의 세션이 설정되기도 한다.
종래의 세션 설정은 단순히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 사이에 미리 설정된 세션 수에 따라 세션을 설정하였다.
그러나 통신망의 구성이 복잡해짐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한 노드에서 다시 다른 노드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러한 경우 종래의 세션 설정 방법으로는 보다 효과적인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통신망의 구성이 점점 더 복잡하게 됨에 따라 다양하고 복잡한 통신망의 상태를 반영할 수 있는 세션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이 요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신망의 구성이 점점 더 복잡하게 됨에 따라 다양하고 복잡한 통신망의 상태를 반영할 수 있는 세션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보다 효과적으로 통신망의 상태에 따른 세션 설정이 가능하게 하는 세션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세션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및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수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세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초기 세션(session)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션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크기, 상기 데이터의 파일 종류 및 상기 데이터의 서비스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송신 노드 및 상기 수신 노드의 이용 가능한 송수신 대역폭, 송수신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신 노드는 복수개의 송신 노드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복수개의 송신 노드와 상기 수신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 정보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및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송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세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노드와 초기 세션(session)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 노드로 송신할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션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크기, 상기 데이터의 파일 종류 및 상기 데이터의 서비스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송신 노드 및 상기 수신 노드의 이용 가능한 송수신 대역폭, 송수신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신 노드는 복수개의 송신 노드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복수개의 송신 노드와 상기 수신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 정보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 및 상기 수신 노드가 상기 데이터를 송신할 제3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수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세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초기 세션(session)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노드에서 상기 제3 노드로의 송신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송신 노드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션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수신 노드 및 상기 제3 노드의 이용 가능한 송수신 대역폭, 송수신 품질 및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신 노드는 복수개의 송신 노드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복수개의 송신 노드와 상기 수신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 정보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 및 상기 수신 노드가 상기 데이터를 송신할 제3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송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세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노드와 초기 세션(session)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 노드에서 상기 제3 노드로의 송신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션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수신 노드 및 상기 제3 노드의 이용 가능한 송수신 대역폭, 송수신 품질 및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신 노드는 복수개의 송신 노드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복수개의 송신 노드와 상기 수신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 정보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송수신 노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및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노드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수신 노드에 있어서, 상기 송신 노드와의 세션(session)을 설정하는 세션 설정부; 및 상기 세션 설정부에서 설정된 세션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세션 설정부에서 설정한 초기 세션(session)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 노드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수신 된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추가 세션 연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션 설정부는 상기 추가 세션 연산부에서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상기 송신 노드와의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노드가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크기, 상기 데이터의 파일 종류 및 상기 데이터의 서비스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추가 세션 연산부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송신 노드 및 상기 수신 노드의 이용 가능한 송수신 대역폭, 송수신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신 노드는 복수개의 송신 노드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추가 세션 연산부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복수개의 송신 노드와 상기 수신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 정보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및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노드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송신 노드에 있어서, 상기 수신 노드와의 세션(session)을 설정하는 세션 설정부; 및 상기 세션 설정부에서 설정된 세션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 노드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송신하는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추가 세션 연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션 설정부는 상기 추가 세션 연산부에서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상기 수신 노드와의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노드가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크기, 상기 데이터의 파일 종류 및 상기 데이터의 서비스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추가 세션 연산부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송신 노드 및 상기 수신 노드의 이용 가능한 송수신 대역폭, 송수신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신 노드는 복수개의 송신 노드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추가 세션 연산부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복수개의 송신 노드와 상기 수신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 정보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 및 상기 수신 노드가 상기 데이터를 송신할 제3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수신 노드에 있어서, 상기 송신 노드와의 세션(session)을 설정하는 세션 설정부; 및 상기 세션 설정부에서 설정된 세션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초기 세션(session)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 노드는 상기 제3 노드로의 송신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나머지를 상 기 송신 노드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추가 세션 연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션 설정부는 상기 추가 세션 연산부에서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상기 송신 노드와의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노드가 제공된다.
상기 추가 세션 연산부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수신 노드 및 상기 제3 노드의 이용 가능한 송수신 대역폭, 송수신 품질 및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신 노드는 복수개의 송신 노드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추가 세션 연산부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복수개의 송신 노드와 상기 수신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 정보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 및 상기 수신 노드가 상기 데이터를 송신할 제3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송신 노드에 있어서, 상기 수신 노드와의 세션(session)을 설정하는 세션 설정부; 및 상기 세션 설정부에서 설정된 세션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 노드는 상기 수신 노드에서 상기 제3 노드로의 송신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나머지를 송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추가 세션 연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션 설정부는 상기 추가 세션 연산부에서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상기 수신 노드와의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노드가 제공된다.
상기 추가 세션 연산부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수신 노드 및 상기 제3 노드의 이용 가능한 송수신 대역폭, 송수신 품질 및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신 노드는 복수개의 송신 노드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추가 세션 연산부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복수개의 송신 노드와 상기 수신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 정보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세션 설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및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수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세션 설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초기 세션(session)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션 설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 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크기, 상기 데이터의 파일 종류 및 상기 데이터의 서비스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송신 노드 및 상기 수신 노드의 이용 가능한 송수신 대역폭, 송수신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신 노드는 복수개의 송신 노드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복수개의 송신 노드와 상기 수신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 정보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및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송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세션 설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수신 노드와 초기 세션(session)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 노드로 송신할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션 설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크기, 상기 데이터의 파일 종류 및 상기 데이터의 서비스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송신 노드 및 상기 수신 노드의 이용 가능한 송수신 대역폭, 송수신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신 노드는 복수개의 송신 노드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복수개의 송신 노드와 상기 수신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 정보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 및 상기 수신 노드가 상기 데이터를 송신할 제3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수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세션 설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초기 세션(session)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노드에서 상기 제3 노드로의 송신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송신 노드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션 설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수신 노드 및 상기 제3 노드의 이용 가능한 송수신 대역폭, 송수신 품질 및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신 노드는 복수개의 송신 노드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상기 데이 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복수개의 송신 노드와 상기 수신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 정보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 및 상기 수신 노드가 상기 데이터를 송신할 제3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송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세션 설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수신 노드와 초기 세션(session)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 노드에서 상기 제3 노드로의 송신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션 설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수신 노드 및 상기 제3 노드의 이용 가능한 송수신 대역폭, 송수신 품질 및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신 노드는 복수개의 송신 노드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복수개의 송신 노드와 상기 수신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 정보를 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세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의하면 통신망의 구성이 점점 더 복잡하게 됨에 따라 다양하고 복잡한 통신망의 상태를 세션 설정에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다 효과적으로 통신망의 상태에 따른 세션 설정이 가능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이 수행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살펴 보기로 한다.
도 1과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이 수행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 즉 장치들인 노드들(100a, 100b, 100c,…)로 구성된다.
한편, 도 1의 예시에서 각각의 노드들(100a, 100b, 100c,…)간의 연결에서 예를 들면, 노드 1(100a)과 노드 2(100b)의 연결과 노드 2(100b)와 노드 3(100c)의 연결 등 각각의 노드들 간의 네트워크 상태는 각각 모두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드 1(100a)과 노드 2(100b) 사이의 연결은 대표적인 공중 통신망인 인터넷을 통한 연결일 수 있으며, 노드 2(100b)와 노드 3(100c) 사이의 연결 은 전용망을 통한 연결일 수 있다.
그리고 만약 노드 1(100a)와 노드 2(100b)사이의 연결과 노드 2(100b)과 노드 3(100c) 사이의 연결이 모두 인터넷을 통한 연결이라고 하더라도 회선의 종류나 노드의 성능, 노드들 사이에 주고 받는 데이터의 양 등에 따라 노드 사이간의 데이터의 송신 속도 즉 데이터 송수신 속도는 달라지게 된다.
또한, 지리적으로도 노드 1(100a)과 노드 2(100b) 사이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지역에 위치하나 노드 2(100b)과 노드 3(100c) 사이는 지리적으로 원격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노드의 종류 또한 예를 들면, 각각의 노드가 데이터를 제공해 주는 서버이거나 데이터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또는 중간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통해 데이터의 송신을 중계하는 라우터나 스위치 등의 중간 장치 등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예시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를 제1 노드(100a)로, 데이터 수신하여 제3 노드(100c)로 다시 송신하는 노드를 제2 노드(100b)로, 그리고 제2 노드(100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노드를 제3 노드(100c)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이러한 노드 사이의 세션 설정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노드 사이에 미리 설정된 세션의 수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세션만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세션 설정 방법은 네트워크 자원을 낭비하거나 효과적으로 데이터의 송신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의 크기가 작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임에도 복수개의 세션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네트워크 자원을 낭비하는 것이 되고, 만약 데이터의 크기가 큰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임에도 하나의 세션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라면 데이터의 효율적인 송신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또한, 수신된 데이터를 다른 노드인 제3 노드(100c)로 신속하게 송신하여야 할 필요가 없는 경우임에도 송신 노드(100a)와 수신 노드(100b) 사이에 복수개의 세션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네트워크 자원을 낭비하는 것이 되고, 만약 수신된 데이터를 제3 노드(100c)로 신속하게 송신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임에도 하나의 세션만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라면 데이터의 효율적인 송신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특히, 도 2와 같이 네트워크와 구성이 더욱 복잡하게 되면 될수록 미리 설정된 세션 수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래의 세션 설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의 속성 정보 및 수신한 데이터를 다시 송신할 노드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노드와 노드 사이의 세션 수를 가변적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세션 수에 따라 추가적으로 세션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의 송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션 설정 방법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이 이루어지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션 설정 방법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먼저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100a)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100b) 사이에 초기 세션을 설정한다(S200).
그리고 설정된 초기 세션을 통해 헤더를 포함하는 수신할 데이터의 일부를 수신한다(S202).
한편, 수신된 헤더에는 수신 노드(100b)가 수신할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할 데이터의 속성 정보 예를 들면, 데이터의 크기, 이미지 데이터인지, 동영상 데이터인지 등의 데이터 종류 정보 또는 영화 데이터인지, 교육 데이터인지 등의 데이터 분류 정보 그리고 스트림 방식인지 다운로드 방식인지 등의 데이터의 서비스 방법 등 데이터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인 데이터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속성 정보는 데이터의 헤더 부분에 저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도 3에서는 데이터의 일부 중 헤더를 수신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데이터 속성 정보가 헤더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초기 세션을 통해 헤더가 아닌 데이터의 속성 정보만을 먼저 수신하는 것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한편, 초기 세션을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의 일부를 패킷으로 분할하는 방법으로는 전체 컨텐츠 파일을 파일 어드레스(address)를 기준으로 일정한 오프셋(offset)만큼 파일 어드레스를 분할하는 방법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송신하는 데이터가 스트리밍 미디어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인 경우, 한번에 모든 데이터가 송신되는 것이 아니므로 모든 데이터를 한번에 송신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미디어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인 경우 엔드 유저(end user)가 요청한 컨텐츠를 요청한 때로부터 최초 재생이 얼마나 빨리 되는지는 매우 중요한 서비스 성능 평가 요소일 수 있다. 즉, 처음 재생되는 속도가 빠르면 사용자의 체감 만족도는 높다고 판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엔드 유저가 스트리밍 미디어 데이터의 초기 재생 영역을 보면서 컨텐츠를 계속 이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빈도가 매우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엔드 유저가 계속 이용하기로 결정하는 경우 추가 세션 설정 과정을 통해서 아직 송신하지 않은 컨텐츠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송신하게 하고, 이와 달리 엔드 유저가 계속 이용하지 않아서 이용 종료를 하면 초기 세션을 종결하고 추가적인 세션을 설정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초기 세션을 통해 보다 많은 데이터의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엔드 유저의 송신 속도에 대한 체감 속도를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초기 세션에 광대역을 할당한다거나, 또는 더욱 우수한 압축 기법 등을 사용하거나, 더욱 우수한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여 초기 송신되는 데이터의 양 을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데이터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 세션을 결정함에 있어서 엔드 유저의 상황을 반영하는 경우 불필요한 세션 설정과 데이터의 송신 등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네트워크 자원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신 노드가 하나의 데이터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노드로부터 분할된 데이터의 일부를 각각 수신하는 경우 복수개의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 분할된 데이터의 부분에 대한 정보, 데이터 전송 대역폭 정보 등 현재 전송 중인 데이터의 전송과 관련된 모든 정보인 데이터 전송 정보를 더 고려하여 추가 세션의 수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데이터의 일부가 초기 세션을 통해 수신되면 수신된 헤더에 포함된 수신 노드(100b)가 수신할 데이터의 속성 정보에 따라 추가적으로 설정할 세션 수를 연산하여 결정한다(S204).
데이터의 속성 정보 중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추가적으로 설정할 세션 수를 연산하여 결정하는 것을 살펴본다.
예를 들어, 100MB의 전체 데이터를 송신하여야 하고, 송신 노드(100a)와 수신 노드(100b) 사이에는 10MB의 대역폭(bandwidth)을 설정할 수 있는 경우 초기 세션을 통해 10MB의 데이터 수신되었으므로 나머지 90MB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10MB 대역폭을 가지는 세션을 8개로 더 설정하여 한번에 나머지 90MB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추가되는 세션의 수는 노드 사용자의 설정이나 노드 사이의 대역 폭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세션마다 설정되는 대역폭도 다르게 설정하여 나머지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노드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 품질 정보에 따라 추가적인 세션의 수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데이터의 송수신 품질 정보는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뿐만 아니라 노드 사이의 네트워크의 장애 정도, 네트워크의 장애 극복 시간, 트래픽(traffic), QoS(Quality of Service) 등 데이터 송수신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가능하다.
한편, 도 3에서는 미도시하였으나 추가적으로 설정할 세션 수를 연산하여 결정하는 것은 데이터의 속성 정보뿐만 아니라 수신 노드(100b)가 다시 수신한 데이터를 송신할 노드(100c,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3 노드라 함)로의 전송 속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 노드(100b)가 수신된 데이터를 다시 제3 노드(100c)로 송신하여야 하는 경우 송신 노드(100a)와 수신 노드(100b) 사이에서만 데이터 송신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경우라도 수신 노드(100b)가 제3 노드(100c)로 데이터를 신속하게 송신하지 못하면 네트워크 상에서 실제 데이터의 송신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된다.
예를 들어, 제1 노드(100a)가 서버이고 제3 노드(100c)는 클라이언트이며, 제2 노드(100b)는 데이터를 릴레이해주는 서버라고 가정하면, 비록 제1 노드(100a)에서 제2 노드(100b)로의 데이터 송신은 신속하게 이루어졌으나, 실제 엔드 유저인 클라이언트에서의 데이터 수신이 늦게 이루어지는 경우라면 데이터를 신속하게 송신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1 노드(100a)와 제2 노드(100b) 사이의 추가 세션 수를 결정함에 있어서, 제2 노드(100b)와 제3 노드(100c) 사이의 송신 속도를 더 고려하도록 함으로써 제1 노드(100a)와 제2 노드(100b) 사이의 데이터의 송신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 노드(100a)와 제2 노드(100b) 사이의 추가 세션 수를 결정함에 제2 노드(100b)와 제3 노드(100c) 사이의 송신 속도뿐만 아니라 제1 노드(100a)와 제2 노드(100b) 사이에서와 같이 제2 노드(100b)에서 제3 노드(100a)로 송신할 데이터의 속성 정보와 제2 노드(100b)와 제3 노드(100c) 사이의 대역폭 그리고 제2 노드(100b)와 제3 노드(100c) 사이의 송신 품질 등을 더 고려하여 제1 노드(100a)와 제2 노드(100b) 사이의 추가 세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 3(100c) 또는 노드 5(100e)와 같이 하나의 노드가 복수개의 노드와 연결되어 각각의 노드로부터 동일한 데이터를 각각 나누어 다른 부분을 수신하는 경우라면 데이터를 수신하는 복수개의 노드로부터의 수신 속도나 대역폭 등을 고려하여 추가 세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노드에서 다시 데이터를 전송할 노드의 수가 복수개인 경우에도 복수개 각각의 노드로의 전송 속도와 네트워크 상황 등을 고려하여 추가 세션수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송신 노드(100a)와 수신 노드(100b) 사이의 추가 세션 수가 결 정되면 추가 세션을 설정하고 설정된 추가 세션을 통해 나머지 데이터를 수신한다(S206).
한편, 설정되는 추가 세션은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다양한 대역폭이나 전송 속도를 가지도록 세션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 세션을 통해 많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추가 세션의 경우 초기 세션의 대역폭보다 대역폭을 작게 하여 나머지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추가 세션 각각의 대역폭을 달리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대역폭을 크게 할당하지 못하다가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보다 많은 대역폭을 할당하는 등 대역폭을 가변적으로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설명에서는 수신 노드(100b)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한편, 송신 노드(100a)는 수신 노드(100b)로부터 연산된 추가 세션 수의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추가 세션 수 정보에 따라 수신 노드(100b)와의 추가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노드(100b)에서 추가 세션의 수의 연산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송신 노드(100a)에서 수행하여 송신 노드(100a)와 수신 노드(100b) 사이의 통신을 통해 추가 세션을 설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송신 노드(100a)에서도 송신할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속성 정보 및 데이터의 송신 대역폭, 송수신 품질 정보 등을 더 이용하여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노드(100b)와 제3 노드(100c) 사이의 송신 속도 및 데이터의 송신 대역폭, 송신 품질 정보 등을 더 이용하여 연산하는 경우 수신 노드(100b)로부터 수신 노드(100b)와 제3 노드(100c) 사이의 송신 속도 및 데이터의 송신 대역폭, 송수신 품질 정보 등을 초기 세션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세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신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션 설정 방법을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션 설정 방법을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션 설정 방법을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즉 노드는 세션 설정부(300), 추가 세션 연산부(310), 데이터 송수신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션 설정부(300)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100a)와 수신 노드(100b) 사이의 세션을 설정한다.
세션 설정부(300)에 의해 설정되는 세션을 초기 세션뿐만 아니라 초기 세션의 설정 후 추가 세션 연산부(310)에 의해 연산되는 추가 세션의 수에 따라 추가적으로 설정되는 추가 세션도 설정한다.
추가 세션 연산부(310)는 추가적으로 설정되는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한다.
추가 세션의 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할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연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신 노드에서 제3 노드로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고려하여 연산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의 속성, 송신 노드(100a)와 수신 노드(100b)의 대역폭, 송신 품질, 그리고 데이터를 다시 수신할 제3 노드(100c)와 수신 노드(100b) 사이의 송신 속도 등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연산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320)는 초기 세션과 추가 세션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한편, 도 4에서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인 노드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추가 세션 연산부(310)만을 별도의 장치로 구성하여 노드와의 연결을 통해 추가 세션을 설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세션 설정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디지털 장치에 설치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이 수행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이 수행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또다른 구성을 예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션 설정 방법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이 이루어지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션 설정 방법을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Claims (22)

  1.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및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수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세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초기 세션(session)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션 설정 방법.
  2.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및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송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세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노드와 초기 세션(session)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 노드로 송신할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션 설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크기, 상기 데이터의 파일 종류 및 상기 데이터의 서비스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송신 노드 및 상기 수신 노드의 이용 가능한 송수신 대역폭 정보, 송수신 품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노드는 복수개의 송신 노드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복수개의 송신 노드와 상기 수신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 정보를 더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방법.
  6.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 및 상기 수신 노드가 상기 데이터를 송신할 제3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수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세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초기 세션(session)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노드에서 상기 제3 노드로의 송신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송신 노드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션 설정 방법.
  7.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 및 상기 수신 노드가 상기 데이터를 송신할 제3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송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세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노드와 초기 세션(session)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 노드에서 상기 제3 노드로의 송신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션 설정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수신 노드 및 상기 제3 노드의 이용 가능한 송수신 대역폭 정보, 송수신 품질 정보 및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노드는 복수개의 송신 노드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것은,
    상기 복수개의 송신 노드와 상기 수신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 정보를 더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설정 방법.
  10.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및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노드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수신 노드에 있어서,
    상기 송신 노드와의 세션(session)을 설정하는 세션 설정부; 및
    상기 세션 설정부에서 설정된 세션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세션 설정부에서 설정한 초기 세션(session)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 노드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추가 세션 연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션 설정부는 상기 추가 세션 연산부에서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상기 송신 노드와의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노드.
  11.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및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노드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송신 노드에 있어서,
    상기 수신 노드와의 세션(session)을 설정하는 세션 설정부; 및
    상기 세션 설정부에서 설정된 세션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 노드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송신하는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추가 세션 연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션 설정부는 상기 추가 세션 연산부에서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상기 수신 노드와의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노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 및 상기 수신 노드가 상기 데이터를 송신할 제3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수신 노드에 있어서,
    상기 송신 노드와의 세션(session)을 설정하는 세션 설정부; 및
    상기 세션 설정부에서 설정된 세션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초기 세션(session)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 노드는 상기 제3 노드로의 송신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나머지를 상기 송신 노드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추가 세션 연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션 설정부는 상기 추가 세션 연산부에서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상기 송신 노드와의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노드.
  16.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 및 상기 수신 노드가 상기 데이터를 송신할 제3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송신 노드에 있어서,
    상기 수신 노드와의 세션(session)을 설정하는 세션 설정부; 및
    상기 세션 설정부에서 설정된 세션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 노드는 상기 수신 노드에서 상기 제3 노드로의 송신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나머지를 송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추가 세션 연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션 설정부는 상기 추가 세션 연산부에서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상기 수신 노드와의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노드.
  17. 삭제
  18. 삭제
  19.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및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수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세션 설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초기 세션(session)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션 설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0.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및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송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세션 설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수신 노드와 초기 세션(session)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 노드로 송신할 상기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션 설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1.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 및 상기 수신 노드가 상기 데이터를 송신할 제3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수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세션 설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초기 세션(session)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노드에서 상기 제3 노드로의 송신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송신 노드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션 설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2.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노드(node),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노드 및 상기 수신 노드가 상기 데이터를 송신할 제3 노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송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세션 설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수신 노드와 초기 세션(session)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 노드에서 상기 제3 노드로의 송신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추가 세션의 수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추가 세션의 수만큼 추가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션 설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90085962A 2009-09-11 2009-09-11 복수의 세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노드 KR101051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962A KR101051710B1 (ko) 2009-09-11 2009-09-11 복수의 세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노드
US13/395,211 US8612613B2 (en) 2009-09-11 2010-09-10 Method for setting plurality of sessions and node using same
PCT/KR2010/006190 WO2011031097A2 (ko) 2009-09-11 2010-09-10 복수의 세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노드
JP2012528749A JP2013504923A (ja) 2009-09-11 2010-09-10 複数のセッション設定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るノー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962A KR101051710B1 (ko) 2009-09-11 2009-09-11 복수의 세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057A KR20110028057A (ko) 2011-03-17
KR101051710B1 true KR101051710B1 (ko) 2011-07-25

Family

ID=4373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962A KR101051710B1 (ko) 2009-09-11 2009-09-11 복수의 세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노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12613B2 (ko)
JP (1) JP2013504923A (ko)
KR (1) KR101051710B1 (ko)
WO (1) WO201103109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5938B2 (en) * 2013-10-24 2016-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rvice policies for communication sessions
JP2015213244A (ja) * 2014-05-02 2015-11-2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106778B1 (ko) * 2017-10-31 2020-05-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468A (ko) * 2003-08-27 2005-03-10 주식회사 엔트로스 다중 채널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2640A (ja) * 1998-02-25 1999-09-07 Kdd Corp ファイル転送方法
US6460087B1 (en) * 1998-02-25 2002-10-01 Kdd Corporation Method of transferring file
KR20010066369A (ko) 1999-12-31 2001-07-11 구자홍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2003152776A (ja) * 2001-11-14 2003-05-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装置
JP2005318073A (ja) * 2004-04-27 2005-11-10 Hitachi Ltd 通信装置、その動作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US7765307B1 (en) * 2006-02-28 2010-07-27 Symantec Operating Corporation Bulk network transmissions using multiple connections primed to optimize transfer parameters
US8195830B2 (en) * 2009-06-24 2012-06-05 Ricoh Company, Ltd. Efficient file transfer on web service-enabled image form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468A (ko) * 2003-08-27 2005-03-10 주식회사 엔트로스 다중 채널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04923A (ja) 2013-02-07
US20120246329A1 (en) 2012-09-27
KR20110028057A (ko) 2011-03-17
WO2011031097A3 (ko) 2011-09-01
US8612613B2 (en) 2013-12-17
WO2011031097A2 (ko) 201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88381A1 (zh) 一种直播视频的播放方法、装置及系统
US8849984B2 (en) Bandwidth requesting system, bandwidth requesting device, client device, bandwidth requesting method, content playback method, and program
US8612621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network topology, and streaming delivery system
US20160197985A1 (en) Multi-cdn digital content streaming
US20160072870A1 (en) Multi-cdn digital content streaming
KR102110421B1 (ko) 클라이언트 장치에 시청각 컨텐츠를 전달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2011490A1 (ja) コンテンツ取得装置、コンテンツ送信装置、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データ構造、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22127605A1 (zh) 一种网络切换方法及装置
US20090077256A1 (en) Dynamic change of quality of service for enhanced multi-media streaming
JP2001092752A (ja) 画像データ配信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記録媒体
KR101922552B1 (ko) 멀티미디어 컨텐트 전송 시스템에서 적응적 스트리밍을 이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051710B1 (ko) 복수의 세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노드
US20130275602A1 (en) Hop-By-Hop Bandwidth Consumption Measurements Control Cooperation Between Clients on a Data Network
WO2017128902A1 (zh) 一种基于most的多环网流媒体多播系统和方法
US9826009B2 (en) Balance management of scalability and server loadability for internet protocol (IP) audio conference based upon monitored resource consumption
KR20190015521A (ko) 인기 있는 라이브 방송 비디오를 결정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layman et al. The future of media streaming systems: transferring video over new IP
KR20120064969A (ko) 비디오 청크 분포에 적응적인 푸쉬-풀 혼성 스트리밍 방법 및 장치
US9774463B2 (en) Optimizing user experiences of web conferences that send data with source-specific multicast and automatic multicast tunneling
US20160344791A1 (en) Network node bandwidth management
Arisu et al. Game of protocols: Is QUIC ready for prime time streaming?
KR100804075B1 (ko) 분할화된 데이터를 이용한 클라이언트/서버 간의 접속 제어방법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수신/재생 방법 및시스템
EP4002793B1 (en) Method and controller for audio and/or video content delivery
Heikkinen et al. Dynamic and intelligent sand-enabled cdn management
JP2009118361A (ja) 通信制御装置ならびに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