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798B1 -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 Google Patents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798B1
KR101050798B1 KR1020080130252A KR20080130252A KR101050798B1 KR 101050798 B1 KR101050798 B1 KR 101050798B1 KR 1020080130252 A KR1020080130252 A KR 1020080130252A KR 20080130252 A KR20080130252 A KR 20080130252A KR 101050798 B1 KR101050798 B1 KR 101050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sium alloy
continuous casting
mold
slab
cas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1512A (ko
Inventor
김명균
박준표
윤우석
김우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0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798B1/ko
Publication of KR20100071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22D11/1281Vertical re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 B22D11/181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 B22D11/18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by using electric, magnetic, sonic or ultrason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1/00Casting non-ferrous metals or metallic compounds so far as their metallurgical properties are of importance for the casting procedure; Selection of compositions therefor
    • B22D21/02Casting exceedingly oxidisable non-ferrous metals, e.g. in inert atmosphere
    • B22D21/04Casting aluminium or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제조하기 위한 연속주조장치 전반에 관한 것으로,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는 마그네슘 용해로, 보온로, 턴디쉬, 몰드부, 주편 냉각부, 주편 이송부 및 주편 절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공지 기술인 알루미늄 빌렛 제조기술과 같이 반연속으로 주조하는 것이 아니라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연속적인 공정으로 주조하면서 제조가 가능하여 빌렛 품질 균일성 및 생산성 등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주편 냉각부, 주편 절단부, 주편 이송부, 절분 회수부

Description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A MAGENSIUM BILLET}
본 발명은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반연속적인 공정이 아닌 연속적인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연속주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그네슘 합금은 경량이면서 매우 우수한 비강도 및 비탄성계수를 가지고 있어 자동차 및 항공기용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휴대전화기, 노트북, 카메라 등 전자산업에도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다이캐스팅 공정은 특성상 내구성 및 열처리가 요구되는 부품에는 활용되기에 어려워 구조재 등에는 적용은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함이 적으면서 내구성과 신뢰성이 뛰어난 전신재(wrought)인 압출재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우수한 특성을 갖는 마그네슘 압출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마그네슘 합금 빌렛 제조기술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마그네슘 합금 빌렛 제조기술은 잉곳 캐스팅과 알루미늄 디씨(DC) 캐스팅을 개조한 빌렛 제조기술로 대별되는데, 잉곳 캐스팅은 배치(batch) 타입으로 빌렛 표면이 고르지 못해 표면 상당량을 스캘 핑(scalping)해야 하며, 내부조직도 불균일하여 최종 압출재의 제품도 그리 우수하지 못하다. 알루미늄 개조 DC 캐스팅에 의한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 빌렛은 표면은 좋으나, 냉각수에 의한 빌렛 냉각으로 부분적으로 조직이 불균일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반연속적인 공정이 아닌 연속적인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연속주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는 마그네슘 합금 잉곳 표면의 수분 및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예열기, 상기 마그네슘 합금 잉곳을 용해하여 마그네슘 합금 용탕을 제조하는 용해로, 상기 마그네슘 합금 용탕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동시키는 보온로, 상기 보온로로부터 제공된 상기 마그네슘 합금 용탕을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기 위한 턴디쉬, 상기 턴디쉬로부터 상기 마그네슘 합금 용탕을 제공받아 주편으로 제조하는 몰딩부, 상기 몰딩부로부터 제공되는 주편을 이송하는 주편 이송부 및 상기 주편 이송부로부터 상기 주편을 제공받아 상기 주편을 절단하여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형성하는 주편 절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예열기의 온도는 200도일 수 있다. 상기 용해로에서는 SF6와 CO2의 혼합가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온로에서는 SF6와 CO2 혼합가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온로의 상하의 온도차이는 10도 이내일 수 있다. 상기 턴디쉬에서는 일정량 상기 마그네슘 합금 용탕을 상기 몰드부로 공급하기 위해 스탑퍼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턴디쉬에서는 SF6와 CO2 혼합가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몰드부는 몰드, 상기 몰드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전자기장 코일, 상기 몰드 및 상기 마그네슘 합금 주편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 상기 마그네슘 합금 주편 내부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몰드의 하부에 형성된 전자기장 교반부 및 상기 몰드, 상기 전자기장 코일, 상기 냉각부 및 상기 전자기장 교반부를 지지하는 몰드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드부는 구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상기 몰드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몰드 표면에 냉각수를 직접 분사하는 제1 냉각노즐 및 상기 몰드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몰드에서 인출되는 상기 마그네슘 합금 주편에 냉각수를 직접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1 냉각노즐의 개수 및 상기 제2 냉각노즐의 개수는 다수일 수 있다. 상기 제1 냉각노즐은 0.1~100 리터/min의 속도로 상기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2 냉각노즐은 0.1~200 리터/min의 속도로 상기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몰드부로부터 형성되는 상기 마그네슘 합금 주편의 직경은 100mm, 150mm, 180mm 또는 300mm일 수 있다. 상기 전자기장 코일의 전류 인가 범위는 주파수가 200Hz∼200,000Hz이고 전류 값이 500A∼10,000A일 수 있다. 상기 전자기장 교반부의 전류 인가 범위는 주파수가 2Hz∼100Hz이고 전류 값이 20∼100A일 수 있다.
상기 주편 이송부는 상기 몰드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마그네슘 합금 주편이 냉각되는 냉각탱크 및 상기 냉각탱크에서 냉각된 상기 마그네슘 합금 주편이 수직 인출되는 핀치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편 절단부는 상기 마그네슘 합금 주편을 절단하여 상기 마그네슘 합금 빌렛으로 형성하기 위한 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 합금 주편은 주조 속도와 일정하게 이동하는 상기 커터에 의해서 절 단되고, 상기 마그네슘 합금 주편 절단시 발화에 의해 화재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수가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절분 회수부는 상기 주편 절단부로부터 절분이 수집되는 후드, 상기 후드와 연결되어 상기 절분을 이송하는 이송 파이프, 상기 이송 파이프와 연결되고 상기 절분을 이송하기 위한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 이송기 및 상기 진공 이송기와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절분이 회수되는 회수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는 절단된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지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콘베어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연속주조하면 기존기술인 잉곳 캐스팅 및 반연속주조공정보다도 뛰어난 빌렛 생산성 및 개선된 표면 및 내부품질을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련의 장치는 마그네슘을 용해하여 일정온도로 몰드로 공급하는용해로, 보온로, 턴디쉬부가 있으며, 몰드부에서는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주형과 접촉하는 용탕면의 곡률을 크게 함과 동시에 응고셀과 주형간의 접촉압을 감소시킨다. 또한 전자기 교반 효과로 인하여 빌렛 내부조직이 미세하고 균일하면서 등축정이 상대적으로 많아져 압출특성 및 압출재 기계적 특성을 개선한다.
몰드부에서 개선된 빌렛 표면 및 내부품질을 얻어지며, 냉각탱크를 통하여 완전 냉각되어 중력방향으로 일정속도로 주조되면서 일정길이로 절단되어 이송장치에 의해 적재장소로 이동함에 따라 전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기존 반연속주조공 정에 비해 생산성이 상당히 개선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여기서 i)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동작 등은 개략적인 것으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ii) 도면은 관찰자의 시선으로 도시되기 때문에 도면을 설명하는 방향이나 위치는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iii) 도면 번호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iv)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v) 단수로 설명되는 경우 다수로도 해석될 수 있다. vi) 수치, 형상, 크기의 비교, 위치 관계 등이 '약', '실질적' 등으로 설명되지 않아도 통상의 오차 범위가 포함되도록 해석된다. vii) '~후', '~전', '이어서', '그리고', '여기서', '후속하여' 등의 용어가 사용되더라도 시간적 위치를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viii)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순히 구분의 편의를 위해 선택적, 교환적 또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며 한정적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x)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가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개재될 수도 있다. x) 부분들이 '~또는'으로 연결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 뿐만 아니라 조합도 포함되게 해석되나 '~또는 ~중 하나'로 연결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으로만 해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100) 의 개략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연속주조하기 위한 일련의 공정과 그에 따른 연속주조장치(100)의 구성은 하기와 같다. 우선 마그네슘 합금 잉곳을 예열로(12)에서 운반 및 저장 중 잉곳 표면에 묻어 있는 수분 및 유분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약 200도 정도로 예열한다.
그 후, 예열로(12)를 통과하한 마그네슘 합금 잉곳은 용해를 위해여 약 1000kg급 용해로(14)로 자동 공급된다. 여기서, 예열로(12)에서의 마그네슘의 충분한 예열은 용해로(14)의 온도 급강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용탕 표면이 덮여있는 보호가스층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용탕청정화에 상당히 중요하다.
예열된 마그네슘 합금 잉곳의 공급은 보온로(16)로 이동하는 마그네슘 용탕의 높이, 즉, 턴디쉬(18)로 공급되는 마그네슘 용탕의 양과 관련이 있으며, 본 장치에서는 마그네슘 합금 빌렛 주조속도와 연동되어 마그네슘 합금 잉곳이 예열로(12)에서 공급된다.
용해로(14)에서는 SF6와 CO2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용탕의 발화를 방지하고 있으며, 외부와의 차단 및 보온을 유지하기 위해 씰딩(Shielding)한다. 용해된 마그네슘 합금은 일정온도로 턴디쉬(18)로 공급되어야 하므로 보온로(16)에서 용탕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보온로(16)로 이동한 마그네슘 용탕은 용해로(14)와 같이 SF6와 CO2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용탕의 발화를 방지하고 있으며, 보온로(16) 상하의 온도차이는 약 10도 이내로 유지한다.
일정온도를 갖는 마그네슘 용탕은 몰드부(20)로 일정하게 공급되기 위해 턴 디쉬(18)를 거친다. 일정온도가 유지된 마그네슘 합금 용탕은 턴디쉬(18)로 공급되는데, 턴디쉬(18)에서는 일정량 마그네슘 합금 용탕을 몰드부(20)로 공급하기 위해 스탑퍼(Stopper)를 이용한다. 턴디쉬(18)에서도 용해로(14) 및 보온로(16)에서도 SF6와 CO2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용탕 발화를 방지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몰드부(20)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몰드부(20)는 구리(Copper)로 제조되며 내부로 공급된 용탕을 연속 주조하는 몰드(20a), 몰드(20a)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전자기장 코일(20b), 몰드(20a) 및 주편을 냉각하기 위해 제1 및 2 냉각노즐(2a, 2b)를 포함하는 냉각부(20c), 마그네슘 합금 빌렛 내부 품질개선에 기여하기 위하여 몰드(20a)의 하부에 설치된 전자기장 교반부(20d), 이상의 세부장치를 지지하는 몰드 베이스부(20e)로 구성된다. 그리고 몰드부(20)에서는 주편 직경이 100, 150, 180, 300 mm로 다양하게 생산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먼저 턴디쉬(18)에서 공급된 마그네슘 용탕이 몰드(20a) 내에서 일정 높이가 유지되면 몰드(20a) 외곽의 전자기장 코일(20b)을 사용하여 전자기장(Electromagentic Casting)을 마그네슘 용탕에 인가하여 몰드(20a)내에서 급격한 응고를 방지하면서 몰드(20a)와의 접촉면을 작게하여 주편 표면을 개선하면서 주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마그네슘 합금 주편이 연속주조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냉각수량 제어가 중요한데, 이는 몰드(20a) 상부에 위치한 제1 냉각노즐(2a) 과 몰드(20a) 하단과 이탈부에 설치된 제2 냉각노즐(2b)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는 최적의 주조속도, 인가된 전자기장, 전자기장 교반력 등을 고려하여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제1 냉각노즐(2a)은 몰드(20a) 표면에 냉각수를 직접 분사하고, 제2 냉각노즐(2b)은 몰드(20b)에서 인출되는 주편에 냉각수를 직접 분사할 수 있다. 제1 및 2 냉각노즐(2a, 2b)의 개수는 다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냉각노즐(2a)은 0.1~100 리터/min의 속도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고, 제2 냉각노즐(2b)는 0.1~200 리터/min의 속도로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냉각노즐(2a)를 통해 용융 금속을 1차로 냉각시키고, 제2 냉각노즐(2b)를 통해 몰드(20a)에서 인출된 주편을 2차로 냉각시킬 수 있다.
전자기장 교반부(20d)는 몰드(20a)에서 인출되는 주편의 내부에 교반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장 코일(20b)의 전류 인가 범위는 주파수가 200Hz∼200,000Hz이고, 전류 값이 500A∼10,000A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기장 교반부(20d)의 전류 인가 범위는 주파수가 2Hz∼100Hz이고, 전류 값이 20∼100A일 수 있다.
전자기장이 인가된 마그네슘 용탕은 몰드(20a) 내에서 표면부가 응고되어 몰드부(20)에서 이탈하면서 냉각수에 의해 주편 내부까지 완전히 응고되면서 일정속도로 연속주조된다. 그리고 몰드부(20)에서 완전 응고한 마그네슘 합금 주편은 주편 이송부(30)로 이동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편 이송부(3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주편 이송부(30)는 냉각탱크(30a) 및 핀치롤(30b)를 포함한다. 연속주조시 미응고영역에 의한 주편의 끊어짐 현상, 브레이크 아웃(Breakout)시 마그네슘의 발화방지를 위해 본 장치에서는 냉각탱크(30a: cooling Tank)를 설치하여 주조시 일어나는 마그네슘 발화에 의한 화재를 방지하도록 설계하였다.
몰드부(20)에서 주조된 마그네슘 합금 주편은 냉각탱크(30a)를 거쳐 핀치롤(30b: Pinch Roll)로 수직으로 인출된다. 핀치롤(30b)로 인출되는 마그네슘 합금 주편 표면을 지지하면서 미끄러짐없이 주조속도와 일정하게 속도가 유지되면서 직하의 주편 절단부(40)으로 이동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편 절단부(40)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편 절단부(40)는 커터(40a)를 포함한다. 주편 절단부(40)로 이동된 마그네슘 합금 주편은 주조 속도와 일정하게 이동하는 커터(40a)에 의해서 절단되게 된다. 주편 절단시 칩의 발화에 의해 화재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수를 분사하면서 절단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5는 주편 절단부(40)에서 발생된 마그네슘 칩을 회수하기 위한 절분회수부(5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절분 회수부(50)는 주편 절단부(40)로부터 절분이 수집되는 후드(50a), 후드(50a)와 연결되어 절분을 이송하는 이송 파이프(50b), 이송 파이프(50b)와 연결되고 절분을 이송하기 위한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 이송기(50c), 진공 이송기(50c)와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절분이 회수되는 회수용기(50d)를 포함한다.
주편이 절단되면서 발생하는 마그네슘 절분은 주편 절단부(40)에 함께 부착된 절분 회수부(50)에 의해 전부 흡입되어 절단시 발생하는 열과 스파크(spark)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방지한다.
주편이 절단되어 형성되는 일정길이의 마그네슘 합금 빌렛은 본 설비의 콘베어시스템(60)에 의해 지상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마그네슘 합금 빌렛 제조 전공정을 자동화를 통해 생산성 및 빌렛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고안을 통해 효과적으로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실험실 분위기하에서 마그네슘 합금 빌렛 전자기 주조기술의 실용화를 위해 스케일 업(scale up)하는 기술로,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완전 연속공정에 의해 제조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알루미늄 빌렛 제조기술과 같이 반연속으로 주조하는 것이 아니라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연속적인 공정으로 주조하면서 제조가 가능하여 빌렛 품질 균일성 및 생산성 등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실시예들은 단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예'들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와 기술적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확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의 개략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몰드부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편 이송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편 절단부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21)

  1. 마그네슘 합금 잉곳 표면의 수분 및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예열기;
    상기 마그네슘 합금 잉곳을 용해하여 마그네슘 합금 용탕을 제조하는 용해로;
    상기 마그네슘 합금 용탕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동시키는 보온로;
    상기 보온로로부터 제공된 상기 마그네슘 합금 용탕을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기 위한 턴디쉬;
    상기 턴디쉬로부터 상기 마그네슘 합금 용탕을 제공받아 주편으로 제조하는 몰드부;
    상기 몰드부로부터 제공되는 주편을 이송하는 주편 이송부; 및
    상기 주편 이송부로부터 상기 주편을 제공받아 상기 주편을 절단하여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형성하는 주편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편 이송부는:
    상기 몰드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마그네슘 합금 주편이 냉각되는 냉각탱크; 및
    상기 냉각탱크에서 냉각된 상기 마그네슘 합금 주편이 수직 인출되는 핀치롤을 포함하는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기의 온도는 200도인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로에서는 SF6와 CO2의 혼합가스가 제공되는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로에서는 SF6와 CO2 혼합가스가 제공되는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로의 상하의 온도차이는 10도 이내인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에서는 일정량 상기 마그네슘 합금 용탕을 상기 몰드부로 공급하기 위해 스탑퍼를 사용하는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에서는 SF6와 CO2 혼합가스가 제공되는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는:
    몰드;
    상기 몰드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전자기장 코일;
    상기 몰드 및 상기 마그네슘 합금 주편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
    상기 마그네슘 합금 주편 내부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몰드의 하부에 형성된 전자기장 교반부; 및
    상기 몰드, 상기 전자기장 코일, 상기 냉각부 및 상기 전자기장 교반부를 지 지하는 몰드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는 구리로 제조되는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몰드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몰드 표면에 냉각수를 직접 분사하는 제1 냉각노즐 및 상기 몰드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몰드에서 인출되는 상기 마그네슘 합금 주편에 냉각수를 직접 분사하는 제2 냉각노즐을 포함하는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노즐의 개수 및 상기 제2 냉각노즐의 개수는 다수인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노즐은 0.1~100 리터/min의 속도로 상기 냉각수를 분사하는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노즐은 0.1~200 리터/min의 속도로 상기 냉각수를 분사하는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로부터 형성되는 상기 마그네슘 합금 주편의 직 경은 100mm, 150mm, 180mm 또는 300mm인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장 코일의 전류 인가 범위는 주파수가 200Hz∼200,000Hz이고 전류 값이 500A∼10,000A인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장 교반부의 전류 인가 범위는 주파수가 2Hz∼100Hz이고 전류 값이 20∼100A인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17. 삭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편 절단부는 상기 마그네슘 합금 주편을 절단하여 상기 마그네슘 합금 빌렛으로 형성하기 위한 커터를 포함하는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 합금 주편은 주조 속도와 일정하게 이동하는 상기 커터에 의해서 절단되고, 상기 마그네슘 합금 주편 절단시 발화에 의해 화재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수가 분사되는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편 절단부에서 발생된 마그네슘 칩을 회수하기 위한 절분 회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분 회수부는:
    상기 주편 절단부로부터 절분이 수집되는 후드;
    상기 후드와 연결되어 상기 절분을 이송하는 이송 파이프;
    상기 이송 파이프와 연결되고 상기 절분을 이송하기 위한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 이송기; 및
    상기 진공 이송기와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절분이 회수되는 회수용기를 포함하는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된 마그네슘 합금 빌렛을 지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콘베어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KR1020080130252A 2008-12-19 2008-12-19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KR101050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252A KR101050798B1 (ko) 2008-12-19 2008-12-19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252A KR101050798B1 (ko) 2008-12-19 2008-12-19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512A KR20100071512A (ko) 2010-06-29
KR101050798B1 true KR101050798B1 (ko) 2011-07-21

Family

ID=42368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252A KR101050798B1 (ko) 2008-12-19 2008-12-19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779B1 (ko) 2011-11-15 2013-09-25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주조제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967B1 (ko) * 2012-02-27 2014-02-21 한국마그네슘기술연구조합 상부인출방식의 마그네슘 빌렛 연속주조장치
KR102037943B1 (ko) * 2017-12-26 2019-10-29 주식회사 포스코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 주조 장치 및 그 주조 방법
KR102142302B1 (ko) 2018-12-19 2020-09-14 주식회사 포스코 마그네슘계 합금 주조재의 제조방법
CN113751682A (zh) * 2021-08-12 2021-12-07 西安鼎鑫科技新材料有限公司 一种车用铸造超高强铝合金轮毂材料铸造工艺及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429B1 (ko) 2003-05-13 2005-12-19 한국기계연구원 휠밴드 연속주조에 의한 마그네슘합금의 판재 제조장치 및제조방법
KR20060072561A (ko) * 2004-12-23 2006-06-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고주파 전자기장을 이용한 마그네슘 빌렛 또는 슬래브연속주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60072562A (ko) * 2004-12-23 2006-06-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저주파 전자기장을 이용한 마그네슘 빌렛 또는 슬래브연속주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07523745A (ja) 2003-02-28 2007-08-23 ゾー ウント ゾー ゾマーホーファー オッフェネ エアヴェルプスゲゼルシャフト 連続鋳造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3745A (ja) 2003-02-28 2007-08-23 ゾー ウント ゾー ゾマーホーファー オッフェネ エアヴェルプスゲゼルシャフト 連続鋳造法
KR100537429B1 (ko) 2003-05-13 2005-12-19 한국기계연구원 휠밴드 연속주조에 의한 마그네슘합금의 판재 제조장치 및제조방법
KR20060072561A (ko) * 2004-12-23 2006-06-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고주파 전자기장을 이용한 마그네슘 빌렛 또는 슬래브연속주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060072562A (ko) * 2004-12-23 2006-06-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저주파 전자기장을 이용한 마그네슘 빌렛 또는 슬래브연속주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779B1 (ko) 2011-11-15 2013-09-25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주조제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512A (ko)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798B1 (ko)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주조장치
KR101186225B1 (ko) 마그네슘 및 마그네슘 합금의 트윈 롤 캐스팅
TWI547323B (zh) Continuous casting casting and steel continuous casting method
CA2866713C (en) Continuous casting equipment
KR20210020130A (ko) 금속 클래드 스트립의 연속 제조장치 및 방법
KR20210010532A (ko) 연속 주조 및 압연 방식의 금속 클래드 플레이트의 제조장치 및 방법
WO2014121295A4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the potential for explosions in the direct chill casting aluminum lithium alloys
KR101316254B1 (ko) 알루미늄이 다량 첨가된 무방향성 전기강판 주조용 몰드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JP2008018467A (ja) Al−Si系アルミニウム合金の連続鋳造方法
US9783871B2 (en) Method of producing aluminium alloys containing lithium
US7814962B2 (en) Apparatus for horizontal continuous casting of magnesium alloys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3300824A (en) Method of continuous flat metal casting with the forward mold stroke and pinch roll speed synchronized with the speed of the forward speed of molten metal
CN102069163A (zh) 结晶器、生产铸坯的装置和方法、铸坯以及超大断面铸坯
CN109047685B (zh) 一种制备钢锭的方法
CN201913204U (zh) 结晶器、生产铸坯的装置、铸坯以及超大断面铸坯
CN1011867B (zh) 金属尤其是钢的带材连铸工艺方法及其设备
CN107790655A (zh) 改善表面缺陷的奥氏体系不锈钢的连铸方法
KR101299833B1 (ko) 마그네슘 산화방지용 실링가스켓,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 시스템 및 그 준비방법
US4030532A (en) Method for casting steel ingots
KR102037943B1 (ko) 마그네슘 합금 빌렛 연속 주조 장치 및 그 주조 방법
RU2403121C1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стали
Wang Aluminum alloy ingot casting and continuous processes
CN104815971A (zh) 铸造方法和铸造装置
RU2492021C1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стали
KR101400039B1 (ko)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