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362B1 - 집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집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362B1
KR101050362B1 KR1020080101340A KR20080101340A KR101050362B1 KR 101050362 B1 KR101050362 B1 KR 101050362B1 KR 1020080101340 A KR1020080101340 A KR 1020080101340A KR 20080101340 A KR20080101340 A KR 20080101340A KR 101050362 B1 KR101050362 B1 KR 101050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emitting diode
diode module
light emitt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2175A (ko
Inventor
박병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즈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즈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즈파워
Priority to KR1020080101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3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42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어를 위해 선박에 설치되는 집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광을 출사하는 발광다이오드가 다수 어레이된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장착된 집어등과,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구동하는 구동유니트를 구비하고, 구동유니트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점멸을 반복할 수 있도록 점멸구동을 선택할 수 있는 키가 마련된 조작부와, 조작부의 키조작신호에 대응되게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집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의하면, 초기 집어에 필요한 시간동안에는 정격출력보다 높은 광출력으로 점멸구동을 한 후 조업시에는 상시구동을 함으로써 집어효율 및 에너지 이용효율을 높이면서도 어선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조업효율도 향상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집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fish l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집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집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징어나 갈치를 효과적으로 어획하기 위해 대상 어종을 유집하는 집어등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 채낚시 어업을 하는 어선들의 집어등을 밝히는 데 사용되는 발전기에 소요되는 유류비는 조업을 위한 전체 유류비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집어등 교체 경비를 합하면 전체 조업경비의 4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또한 근년에 들어와서는 날로 치솟는 고유가로 인해 어업경영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오징어 집어등으로서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가 대부분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메탈 할라이드 램프는 통상 소비전력이 1KW 내지 3KW 정도로 매우 커서 전력소모가 많고, 발광시 유리표면의 온도가 매우 높아서 화재 또는 작업자에게 화상을 입힐 염려가 있으며, 수명이 약 3,000 시간 정도로 짧은 단점들을 안고 있다. 또한, 메탈 할라이드 램프는 약 4 내지 5개월 사용하면 집어 성능이 떨어져 교체해야 하고,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큰 안정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조명에 필요한 부가 설비가 증가 되고, 이러한 부가 설비의 점유에 의해 생선을 저장하기 위한 어창 용적이 감소하게 되는 단점도 있다.
그 밖에도 메탈 할라이드 램프의 빛은 유리구를 통해 공간의 모든 방향으로 방사되기 때문에 집어에 필요한 조사 범위 이외의 영역인 하늘과 갑판에 전체 광량의 60% 내지 70%이상이 불필요하게 소진되고, 메탈할라이드 램프에서 출사되는 광이 적외선 영역에서부터 일부 자외선 영역의 빛까지 발생되고 있어 집어 대상 어류 예를 들면 오징어의 집어에 효율적인 파장 대역의 광 이외의 파장 대역의 광도 출사되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집어를 위한 광이용 효율도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집어등이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바 있다.
본 출원인은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보다 더 집어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작업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꾸준히 연구하여 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창안된 것으로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집어 대상 어류의 집어효율 뿐만아니라 작업자의 작업효율도 함께 높일 수 있는 집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어장치는 집어를 위해 선박에 설치되는 집어장치에 있어서, 광을 출사하는 발광다이오드가 다수 어레이된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장착된 집어등과;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구동하는 구동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유니트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점멸을 반복할 수 있도록 점멸구동을 선택할 수 있는 키가 마련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키조작신호에 대응되게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멸주기를 조정할 수 있는 점멸주기 조정키와;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구동듀티를 조정할 수 있는 듀티 조정키와;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에 인가되는 구동전류를 조절할 수 있는 구동전류조정키;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듀티 조정키에 의해 선택되는 듀티값이 줄어들 수록 상기 구동전류조정키에 의해 조절가능한 구동전류의 최대치가 증가되도록 상기 듀티조정키에 대응한 상기 구동전류조정키의 구동전류의 선택가능범위를 조정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구축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설정된 점멸주기로 온/오프 반복 구동하는 점멸모드와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상시 온구동하는 비점멸모드 및 상기 점멸주기 조정키와, 상기 듀티 조정키 및 상기 구동전류조정키에 의해 선택된 값에 따라 구동하는 수동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키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점멸모드시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파워가 상기 비점멸모드시 출력되는 광의 파워보다 높게 출력되도록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어장치의 구동방법은 설정된 초기집어시간 동안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에 대해 설정된 점멸주기로 구동하되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상시 온구동할 때 적용되는 정격전류보다 높게 설정된 제1구동 전류가 인가되게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집어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발광다이오드모듈에 상기 정격전류가 공급되게 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온구동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초기집어시간 동안 적용되는 상기 점멸주기는 0.1 내지 3초, 구동듀티는 5% 내지 80%이고, 상기 제1구동전류는 상기 정격전류보다는 높되 상기 정격전류 보다 5배 이하로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의하면, 초기 집어에 필요한 시간동안에는 정격출력보다 높은 광출력으로 점멸구동을 한 후 조업시에는 상시구동을 함으로써 집어효율 및 에너지 이용효율을 높이면서도 어선에서 작업하는 작업자 의 조업효율도 향상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어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이 선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집어등을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집어등을 구동하는 구동유니트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집어장치는 지지장치에 상호 어레이되게 장착된 다수의 집어등(100a)(100b)과, 집어등(100a)(100b)을 구동하는 구동유니트(200)를 구비한다.
지지장치는 선박(50)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지지대(12)와, 지지대(12) 사이에 연결된 지지선(21) 및 지지선(21)에 대해 수직상으로 설치된 서포트 바(30)로 되어 있다.
집어등(100a)(100b)은 서포트 바(30)에 상호 높이가 다르게 열을 지어 설치되어 있다.
집어등(100a)(100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2)에 대해 설치되는 높이에 따라 광출사각도가 다르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12)를 기준으로 하부에 설치되는 제1집어등(100a)은 상관색온도(Correlated Color Temperature)가 9,000°K 내지 15,000°K인 광을 출사하는 발 광다이오드모듈(130)이 적용되고, 이보다 상측에 설치되는 제2집어등(100b)은 상관색온도가 5,000°K 내지 8,000°K인 광을 출사하는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집어등(100a)(100b) 배열구조에서, 제1집어등(100a)에서 출사되는 상관색온도 9,000°K 내지 15,000°K의 광에는 해수에서의 광흡수율이 낮은 청색파장의 성분이 상대적으로 많아 선박 부근에서 수면 깊숙이 침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제2집어등(100b)에서 출사되는 상관색온도 5,000°K 내지 8,000°K인 광은 해상 안개나 공기 중에서의 광흡수율이 낮은 파장이 긴 성분이 상대적으로 많아서 원거리까지의 전달 효율을 높임으로써, 선박 부근의 심층 및 원거리의 표층의 집어대상어류를 집어하기 위한 집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집어등(100a)은 선박(50)으로부터 가까운 수 미터 내지 수십미터의 근거리 부분 아래의 심층 예를 들면 수심 100m 내지 200m에 있는 집어대상 어류를 상층으로 유도하여 집어할 수 있도록 제1집어등(100a)에서 출사되는 광의 방사각(P1)의 중심에 해당하는 광축이 수면을 향하되 수면(So)과 나란한 기준선(S1)과 광축과의 사이각(P1a)이 35 내지 45°가 되게 설치된다.
또한, 제2집어등(100b)은 선박(50)으로부터 원거리 예를 들면 수십미터 내지 수백미터에 있는 표층 수면부터 수십미터 깊이 내에 있는 집어대상 어류를 선박 부근으로 집어대상 어류의 집어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제2집어등(100b)에서 출사되는 광의 방사각(P2)의 중심에 해당하는 광축이 수면을 향하되 수면(So)과 나란한 기준선(S2)과 광축과의 사이각(P2a)이 10 내지 20도가 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2집어등(100b)에서 출사되는 광 중 수면과 나란한 방향에 대해 20 내지 30°도 정도 상향으로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이유는 파도에 의해 선박(50)이 좌우로 기울어져 요동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선박(50)이 기울어졌을 때 과도하게 선박 인근으로만 광이 조사됨으로써 원거리에 있는 집어대상 어류의 집어 효율의 저하를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선박(50)이 기울어졌을 때에도 수면(So)과 나란한 기준선(S2)을 향하는 광이 있도록 함으로써 원거리에 있는 집어대상 어류의 집어유도를 지속적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집어등(100a)(100b)의 상세구조에 대해 일 예를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집어등(100a)(100b)은 본체(110), 발광다이오드모듈(130) 및 캡(150)을 구비한다.
본체(110)는 직사각통형 형태로 형성된 구조가 적용되었고, 기능적으로 구분하면 몸체(111), 방열편(116) 및 리브(118)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체(110)의 몸체(111)는 상부가 열린 사각형 개구를 갖으며, 하방으로 진행될 수 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홈(112)을 갖는다.
본체(110)에서 출사되는 광의 방사각은 60 내지 70°가 되게 형성된다.
본체(110)의 몸체(111)에는 후술되는 캡(150)을 장착하기 위한 안착홈(117)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안착홈(117)은 캡(150)이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110)의 상면 이하의 높이로 장착될 수 있게 본체(110) 내에 하방으로 후퇴되게 형성되어 있다.
몸체(111)의 수용홈(112)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몸체(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는 내벽(113) 상호간의 사이각은 60 내지 70°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다이오드모듈(130)은 본체(110)의 수용홈(112)의 바닥면에 장착되어 수용홈(112)의 개구를 향해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기판에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135)가 장착되어 있다.
발광다이오드(135)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관색온도가 5,000°K 내지 8,000°K 또는 9,000°K 내지 15,000K인 백색광을 출사하는 것이 적용된다.
캡(150)은 본체(110)의 수용홈(112)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본체(110)에 결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캡(150)은 투명소재로 형성된다.
참조부호 154는 캡(150)과 본체(110)의 안착홈(117) 사이에 삽입되는 실링용 패드이다.
구동유니트(200)는 집어등(100a)(100b)의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을 구동한다.
구동유니트(200)는 조작부(210) 및 구동부(220)로 되어 있다.
조작부(210)는 발광다이오드모듈(130)이 점멸을 반복할 수 있도록 점멸구동을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키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부(210)는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의 점멸주기를 조정할 수 있는 점멸주 기 조정키(T)(213)와,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의 구동듀티를 조정할 수 있는 듀티 조정키(D)(215)와,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에 인가되는 구동전류를 조절할 수 있는 구동전류조정키(P)(217)를 구비한다.
여기서 점멸주기는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이 온/오프 되는 주기를 말하고, 구동듀티는 점멸주기동안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이 온구동되는 비율을 말한다.
참조부호 211은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을 설정된 점멸주기로 온/오프 반복 구동하는 점멸모드와 발광다이오드모듈(130)을 상시 온구동하는 비점멸모드 및 점멸주기 조정키(213)와, 듀티 조정키(215) 및 구동전류조정키(217)에 의해 선택된 값에 따라 구동하는 수동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키이다.
구동부(220)는 조작부(210)의 키조작신호에 대응되게 집어등(110a)(100b)의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을 구동한다.
일 예로서, 모드선택키(211)가 점멸모드로 선택된 경우 구동부(220)는 발광다이오드 모듈(130)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파워가 비점멸모드시 적용되는 정격전류에 대응되는 광의 파워보다 높게 출력되도록 설정된 광파워에 대응되는 제1구동전류가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에 인가되도록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을 구동한다.
여기서 제1구동전류는 점멸모드시 사용자의 조작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적용되게 설정된 점멸주기 및 구동듀티에 따라 정격전류 보다는 높되 발광다이오드(135)의 구동에 무리가 없을 정도로 적절하게 적용하면 된다.
또한, 모드선택키(211)가 비점멸모드로 선택된 경우 구동부(220)는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에 대해 설정된 정격전류가 발광다이오드모듈(130)에 인가되도록 상 시 온구동시킨다.
또한, 모드선택키(211)가 수동모드로 선택된 경우 구동부(220)는 점멸주기 조정키(213)와, 듀티 조정키(215) 및 구동전류 조정키(217)에 의해 선택된 값에 따라 발광다이오드 모듈(130)구동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에 대해 적용하고자 하는 점멸주기, 듀티 및 구동전류를 대응되는 조정키(213)(215)(2170을 조정하면 된다.
한편, 듀티 조정키(215)에 의해 선택되는 듀티값이 줄어들 수록 구동전류조정키(217)에 의해 조절가능한 구동전류의 최대치가 증가되도록 듀티조정키(215)에 대응한 구동전류조정키(217)의 구동전류의 선택가능범위를 조정되게 처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비점멸구동모드시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에 인가되는 정격전류가 1암페어(A)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듀티 조정키(215)가 40%듀티로 설정된 경우 구동전류조정키(217)에 의해 설정할 수 있는 최대 구동전류를 2암페어로, 10%듀티로 설정된 경우 구동전류조정키(217)에 의해 설정할 수 있는 최대 구동전류를 4암페어까지 조정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전류조정키(217)가 사용자의 회전에 의해 최대값(Max)과 최소값(Min) 범위내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된 경우 비점멸 구동모드시 사용자가 듀티 조정키(215)를 40%듀티로 설정해 놓고, 구동전류조정키(217)를 최대값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조작하면 구동부(220)는 구동전류값을 2암페어로 설정한 것으로 판단한다. 마찬가지로 비점멸 구동모드시 사용자가 듀티 조정키(215)를 10%듀티로 설정해 놓고, 구동전류조정키(217)를 최대값에 해당 하는 위치까지 조작하면 구동부(220)는 구동전류값을 4암페어로 설정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구동유니트(200)의 점멸 구동방식에 의하면, 점멸 구동시에는 정격전류보다 높은 제1구동전류를 인가할 수 있어 비점멸시보다 수중으로의 광 침투 깊이가 깊어질 수 있어 집어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점멸 구동시 반응이 높은 오징어의 경우 집어효율이 향상된다.
이러한 집어장치는 설정된 초기집어시간(Ta1) 예를 들면 2시간 동안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에 대해 설정된 점멸주기로 구동하되 발광다이오드 모듈(130)를 계속 온구동할 때 적용되는 정격전류보다 높게 설정된 제1구동 전류가 인가되게 구동하고, 초기집어시간(Ta1)이 경과하면 작업자의 시각적인 피로도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발광다이오드모듈(130)에 정격전류가 공급되게 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계속 온구동 시킨다.
이와는 다르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초기집어시간(Ta1) 예를 들면 2시간 동안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에 대해 정격전류보다 높은 제1구동전류로 설정된 점멸주기로 구동하고, 초기집어시간(Ta1)에 도달하면 발광다이오드모듈(130)에 정격전류가 공급되게 하여 설정된 시간(Tb1) 동안 계속 온구동 시키고, 다시 집어효율을 높이기 위해 점멸구동을 수행하는 추가 점멸시간(Ta2)을 부가하고, 이후 비점멸구동을 후속 조업시간(Ta2) 동안 수행하도록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Ts는 초기 집어시간부터 조업을 마칠때까지의 전체 조업시간을 나타낸다.
이러한 전체 조업시간 사이에 적용하는 추가 점멸시간은 적용되는 어류의 특 성 또는 집어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하면 된다.
도 6에서 OR은 비점멸구동시 정격전류에 대응되는 광파워를 나타내고, Od 및 Op는 각각 정격전류보다 높게 설정된 구동전류에 대응되는 광파워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동방법에 의하면, 초기집어시간동안에는 발광다이오드모듈(130)의 상시 구동시에 적용되는 정격출력보다 높게 설정된 구동전류를 인가함으로써 광출력을 높여 광이 수중에 도달하는 깊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집어효율을 높일 수 있고, 집어 이후의 채낚기 조업시에는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추기 위해 상시 온 구동함으로써 조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오징어의 경우 발광다이오드모듈(130)을 연속구동하는 방식모다 점멸을 반복하는 점멸구동이 더욱 집어효율이 높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되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모드 선택키 없이 수동으로만 조정할 수 있는 회로의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구동유니트(220a)는 펄스생성부(210a)에 대해 펄스 생성주기 및 구동듀티를 설정할 수 있는 키(213)(215)의 조작에 의해 펄스 주기 및 듀티가 가변되게 출력되는 펄스신호에 따라 구동부(220a)로 적용된 펄스폭 변조부(223)에서 스위칭 소자인 FET(227)를 통해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발광다이오드(135)를 온/오프 구동한다. 참조부호 222는 버퍼이다.
구동전류조절키(217)는 FET로 이어지는 전류도통경로상에 설치되어 저항값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저항이 적용되었다.
한편, 점멸구동시 발광다이오드가 온/오프를 반복하면서 점멸되게 구동될 때 점멸 주기는 0.1 내지 3초 범위내에서 조정할 수있도록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멸구동시 구동듀티는 5 내지 80%범위내에서 적용하되, 구동전류는 상시 온구동시에 적용하는 정격전류를 100%로 할 때 100%를 초과하되 500% 이내 범위내에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수개의 집어등(100a)(100b)을 상호 연동하여 구동할 때 구동부(220)(220a)는 집어등(100a)(100b) 각각에 마련되고, 조작부(210)는 각 집어등(100a)(100b)의 구동부(220)(220a)에 조작신호를 공통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이 선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집어등을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집어등을 구동하는 구동유니트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1의 집어등을 구동하는 구동유니트의 또 다른 실시 예의 회로도이고,
도 6은 조업과정에서의 구동과정의 예를 나타내 보인 그래프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장착된 집어등과,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구동하는 구동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유니트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멸주기를 조정할 수 있는 점멸주기 조정키와,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구동듀티를 조정할 수 있는 듀티 조정키와,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에 인가되는 구동전류를 조절할 수 있는 구동전류조정키를 포함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키조작신호에 대응되게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듀티 조정키에 의해 선택되는 듀티값이 줄어들수록 상기 구동전류조정키에 의해 조절 가능한 구동전류의 최대치가 증가되도록 상기 듀티조정키에 대응한 상기 구동전류조정키의 구동전류의 선택가능범위를 조정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설정된 점멸주기로 온/오프 반복 구동하는 점멸모드와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상시 온구동하는 비점멸모드 및 상기 점멸주기 조정키와, 상기 듀티 조정키 및 상기 구동전류조정키에 의해 선택된 값에 따라 구동하는 수동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키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점멸모드시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파워가 상기 비점멸모드시 출력되는 광의 파워보다 높게 출력되도록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장치.
  5.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장착된 집어등과,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점멸을 반복할 수 있도록 점멸구동을 선택할 수 있는 키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구동하는 구동유니트를 구비하는 집어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초기집어시간 동안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에 대해 설정된 점멸주기로 구동하되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상시 온구동할 때 적용되는 정격전류보다 높게 설정된 제1구동 전류가 인가되게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집어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발광다이오드모듈에 상기 정격전류가 공 급되게 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온구동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장치의 구동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집어시간 동안 적용되는 상기 점멸주기는 0.1 내지 3초, 구동듀티는 5% 내지 80%이고, 상기 제1구동전류는 상기 정격전류보다는 높되 상기 정격전류 보다 5배 이하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80101340A 2008-10-15 2008-10-15 집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050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340A KR101050362B1 (ko) 2008-10-15 2008-10-15 집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340A KR101050362B1 (ko) 2008-10-15 2008-10-15 집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175A KR20100042175A (ko) 2010-04-23
KR101050362B1 true KR101050362B1 (ko) 2011-07-20

Family

ID=4221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340A KR101050362B1 (ko) 2008-10-15 2008-10-15 집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3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7305A (ko) * 2006-03-28 2007-10-04 가부시키가이샤 도와 덴키 세이사쿠쇼 집어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집어등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7305A (ko) * 2006-03-28 2007-10-04 가부시키가이샤 도와 덴키 세이사쿠쇼 집어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집어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175A (ko) 201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511B1 (ko) 집어장치
CN100594783C (zh) 集鱼灯装置及使用该装置的渔法
US8690374B2 (en) Underwater light having a faceted water-cooled thermally conductive housing
RU2650396C2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рабочими лампами в лесотехнической машине
JP5778217B2 (ja) 集魚灯
KR101023642B1 (ko) 집어시스템
US20150013209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Trawl Bycatch
KR101050362B1 (ko) 집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2084925A (ja) 発光装置および発光用船体
KR100997464B1 (ko) 근거리용 및 원거리용 램프를 조합한 집어용 조명장치
CN103712180A (zh) 一种led集鱼灯装置
JP2000125698A (ja) 集魚方法および装置
JP3096561U (ja) 漁獲システム
KR101293582B1 (ko) 집어용 발광 그물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부상체
JP3218037U (ja) 無電極放電ランプを有する集魚灯を用いた集魚技術、この集魚灯を用いた照明装置
KR20070088444A (ko) 집어등장치 및 이를 사용한 어획방법
KR100801547B1 (ko) 엘이디 패널로 된 선박용 집어등
JP2012016318A (ja) 集魚装置
KR101814016B1 (ko) 엘이디 조명등
CN102511454B (zh) 一种提升捕鱼效率的海洋捕捞方法
JP2011211937A (ja) 集魚方法及び集魚装置
CN219537226U (zh) 卵苗自动采集系统
KR102234262B1 (ko) 해류에 능동적 대응하는 수중 집어등
KR101396061B1 (ko) 엘이디 집어 등
US11747007B2 (en) Adjustable depth anchoring system for an underwater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