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252B1 - 광고판 - Google Patents

광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252B1
KR101050252B1 KR1020080080777A KR20080080777A KR101050252B1 KR 101050252 B1 KR101050252 B1 KR 101050252B1 KR 1020080080777 A KR1020080080777 A KR 1020080080777A KR 20080080777 A KR20080080777 A KR 20080080777A KR 101050252 B1 KR101050252 B1 KR 101050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board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panel
d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2215A (ko
Inventor
서주식
Original Assignee
서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주식 filed Critical 서주식
Priority to KR1020080080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252B1/ko
Publication of KR20100022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이용한 광고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은 패널, 상기 패널 위에 돌출되어 형성된 도트의 조합에 의하여 표현되는 광고물,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위치하며, 상기 도트의 옆쪽에서 빛을 조사(照射)하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광고판은 적은 수의 발광다이오드만으로도 대형 글자 또는 도형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기 소모율이 낮으며, 전체적인 두께가 얇아 공간 활용도가 높고, 이산화탄소 등의 유해 가스 배출이 없어 안전하다. 또한, 상기 광고판은 명암을 균일하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외관이 수려하며 자극적이지 않다.
광고판, 발광다이오드, LED, 패널, 도트, 광고물, 프레임, 광원, 모듈, 밀도, 실크인쇄,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ABS, 코팅,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Description

광고판{ADVERTISING BOARD}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정보매체와 산업의 발달에 따라 자신이 취급하는 업무 또는 서비스를 타인에게 알리기 위한 광고 문화가 발달하고 있다. 광고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필요로 하는 현대인들에게 중요한 정보 제공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정보의 흐름이 갈수록 빨라지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발맞추어 다양한 정보 전달 매체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광고주들은 소비자들에게 보다 다양한 정보를 보다 빠르게 전달하기 위한 광고 수단을 필요로 하고 있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보다 효과적이고 시각적인 광고 효과를 나타내는 광고 수단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광고 수단의 하나로 광고판이 있다. 광고판은 특정 상품 또는 특정 기업을 광고하기 위하여 건물의 옥상, 지하철역, 또는 길가 등에 설치된다. 광고판은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주로 형광등이나 네온등 등을 광원으로 사용한다.
광원으로 형광등을 이용하는 광고판 중에 대표적인 것은 후렉스 간판이다. 후렉스 간판은 가격이 저렴하고 섬세한 문자 또는 도형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후렉스 간판은 광원으로 형광등을 사용하여 전체적인 광고판의 두께가 상당히 두껍고 수명이 짧으며, 사용된 문자 또는 도형에 점멸 등의 연출 효과를 줄 수 없어 상당히 단조롭다.
광원으로 네온등을 이용하는 광고판인 네온 간판은 어느 정도의 연출 효과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네온 간판은 고압 방전관의 사용함으로써 가격이 비싸고 전력 소모량이 상당하며, 고장이 잦고 사용수명이 짧으며, 광고판의 두께가 두껍고 섬세한 문자 또는 도형 등을 표현하기가 어렵다. 또한, 네온 간판은 선 형태로 발광 되므로 면 형태의 광고물을 표현하기에는 부적합하고, 특히 주간에는 외관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상기한 후렉스 간판 또는 네온 간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광고판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발광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광고판은 광고판의 전체 면적에 발광다이오드를 일정한 격자 형태로 배치하고 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되는 점 형태의 빛을 직접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연출의 폭이 매우 넓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발광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광고판은 많은 수의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해야 함에 따라 가격이 매우 비싸고, 문자 또는 도형 등을 섬세하고 미려하게 표시하는 데에는 애로가 있으며, 특히 정해진 문자 또는 도형만을 표현하는 단순한 광고판으로 사용하기에는 용도에 비하여 가격이 비싸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에 비하여 적은 수의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면서도, 적은 수의 발광다이오드만으로도 대형 글자 또는 도형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기 소모율이 낮으며, 전체적인 두께가 얇아 공간 활용도가 높고, 이산화탄소 등의 유해 가스 배출이 없어 안전하고, 명암을 균일하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외관이 수려하여 자극적이지 않은 광고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은 패널, 패널 위에 돌출되어 형성된 도트의 조합에 의하여 표현되는 광고물,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 프레임에 위치하며, 그리고 도트의 옆쪽에서 빛을 조사(照射)하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모듈을 포함한다.
도트의 밀도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에서 멀어질수록 높아지고, 발광다이오드 모듈로 가까워질수록 낮아질 수 있다.
도트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잉크로 실크 인쇄된 것일 수 있고,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perhydropolysilazane)으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은 종래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에 비하여 적은 수의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고, 적은 수의 발광다이오드만으로도 대형 글자 또는 도형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기 소모율이 낮으며, 전체적인 두께가 얇아 공간 활용도가 높고, 이산화탄소 등의 유해 가스 배출이 없어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은 명암을 균일하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외관이 수려하며 자극적이지 않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고판의 결합도이고, 도 3은 도 2의 광고판을 Ⅰ-Ⅰ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광고판(100)은 패널(110), 광고물(120), 프레임(140), 그리고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을 포함한다.
패널(110)의 위에는 광고 내용을 표현하는 글자 또는 도형 등의 광고물(120)이 형성된다. 패널(11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아크릴판, 유리, 저철 분유리, 또는 철분을 제거한 백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고물(120)은 문자 또는 도형 등으로 광고 내용을 표현하는 것으로, 패널(110) 위에 광고판(100)의 전방으로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 도트(121)를 포함한다. 도트(121)는 실크 인쇄에 의하여 패널(110) 위에 형성될 수 있고, 실크 인쇄시 사용할 수 있는 잉크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도트(121)를 실크 인쇄하여 형성하는 경우, 1년 후부터 잉크가 휘발하여 도트(121)가 소멸하기 시작하므로, 도트(121)를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perhydropolysilazane) 등으로 코팅하여 코팅층(12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는 도트(121)의 평면 형상이 원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트(121)의 평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의 다각형, 별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140)은 패널(110)을 지지하는 백 프레임(145), 패널(110)과 백 프레임(145)를 결합하여 고정시켜 주는 상부 프레임(141), 하부 프레임(142), 및 측면 프레임(143, 144)을 포함한다. 그러나 프레임(14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백 프레임(145), 상부 프레임(141), 하부 프레임(142) 및 측면 프레임(143, 144)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은 상기 프레임(140)에 고정되며, 상기 도트(121)의 옆쪽에서 빛을 조사한다. 도트(121)는 발광다이오드 모듈(130)로부터 빛을 측면에서 공급받은 후, 공급받은 빛을 난반사시킴으로써 스스로 빛을 내는 듯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이 상부 프레임(141)과 하부 프레임(142)에 설치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은 상부 프레임(141) 또는 하부 프레임(142)의 일측에만 설치될 수 있으며, 측면 프레임(143, 144)에도 설치되어 도트(121)의 사방 측면에서 빛을 조사할 수도 있다.
광고물(120)을 도트(121)의 조합으로 표현하지 않고, 일반적인 방법으로 인쇄하는 경우 광고물(120)이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에서 조사되는 빛을 투과하거나 난반사시키지 못하여 광고물(120)이 빛을 내는 듯한 효과를 낼 수 없으며, 광고 내용의 전체적인 명암의 균일도가 현저히 떨어진다. 즉, 발광다이오드 모듈(13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광고 내용의 경우에는 빛을 공급 받지 못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에서 조사되는 빛을 투과하기 위해서는 도트의 두께가 3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고물(120)의 명암 균일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도트(121)의 밀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에서 멀어질수록 도트(121)의 밀도를 높게 형성하고, 발광다이오드 모듈(140)로 가까워질수록 도트(121)의 밀도를 낮게 형성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 모듈(130)과 가까워 많은 양의 빛을 공급받을 수 있는 도트(121)의 개수는 줄이고, 발광다이오드 모듈(130)과 멀어 적은 양의 빛을 공급받을 수 있는 도트(121)의 개수는 늘려 광고물(120)의 명암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트(121)와 도트(121) 사이의 간격은 광고물(120)의 크기, 모양, 광 고 목적, 또는 표현 양식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광고판(100)은 종래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는 광고판과 같이 많은 수의 발광다이오드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종래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은 발광다이오드 자체로 광고 내용을 표현함에 따라 섬세한 표현을 할 수 없다. 그러나, 광고판(100)은 광고물(120)을 실크 인쇄 등을 통하여 형성함으로써 정교하고 다양한 광고 내용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은 패널(110)의 후방이 아닌 측방에 위치함으로써, 광고판(100)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다.
광고판(100)의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은 DC전원 및 RGB 신호선을 포함하는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작동되며, DC전원은 정전압 안정회로 아답터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는 도트(121)의 밀도를 조절하여 광고물의 전체적인 명암을 조절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이 상부 프레임(141)과 하부 프레임(142)에 설치된 경우, 도트(121)의 밀도를 조절하여 광고물(120)의 전체적인 명암을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 경우, 도트(121)의 밀도는 상부 프레임(141) 및 하부 프레임(142)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에서 멀어질수록 높아지고, 발광다이오드 모듈(130)로 가까워질수록 낮아진다. 즉,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갈수록 도트(121)의 밀도가 높아진다.
도 5는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이 상부 프레임(141), 하부 프레임(142), 및 측면 프레임(143, 144)에 설치된 경우, 도트(121)의 밀도를 조절하여 광고물(120) 의 전체적인 명암을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이 경우, 도트(121)의 밀도는 상부 프레임(141), 하부 프레임(142), 및 측면 프레임(143, 144)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에서 멀어질수록 높아지고, 발광다이오드 모듈(130)로 가까워질수록 낮아진다. 즉,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갈수록 도트(121)의 밀도가 높아진다.
발광다이오드 모듈(130)에서 멀어질수록 도트(121)의 밀도를 높게 형성하고, 발광다이오드 모듈(140)로 가까워질수록 도트(121)의 밀도를 낮게 형성함으로써, 광고물(120) 전체적으로 명암이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광고판(100)은 종래의 네온사인을 이용한 광고판에 비하여 전기 소모율이 낮다. 종래의 네온사인을 이용한 광고판은 800× 800 한글자당 240W의 전기를 소비하지만 광고판(100)은 24W의 전기를 소비하여 전기소모율이 네온사인을 이용한 광고판의 1/10 수준이다.
또한, 광고판(100)은 네온사인을 이용한 광고판에 비하여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워 좁은 공간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유리창에 직접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여 공간 활용도가 높으며, 이산화탄소 등의 유해 가스 배출이 없어 안전하다.
또한, 광고판(100)은 네온사인을 이용한 광고판에 비하여 자극적이지 않으며, 외관이 수려하여 광고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고판의 결합도이다.
도 3은 도 2의 광고판을 Ⅰ-Ⅰ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트의 밀도를 조절하여 광고물의 전체적인 명암을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00: 광고판 110: 패널
120: 광고물 121: 도트
122: 코팅층 130: 발광다이오드 모듈
140: 프레임 141: 상부 프레임
142: 하부 프레임 143, 144: 측면 프레임
145: 백 프레임

Claims (4)

  1. 패널,
    상기 패널 위에 돌출되어 형성된 도트의 조합에 의하여 표현되는 광고물,
    상기 도트 위에 형성된 코팅층,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위치하며, 상기 도트의 옆쪽에서 빛을 조사(照射)하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은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perhydropolysilazane)으로 형성된
    광고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의 밀도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에서 멀어질수록 높아지고,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로 가까워질수록 낮아지는 것인 광고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잉크로 실크 인쇄된 것인
    광고판.
KR1020080080777A 2008-08-19 2008-08-19 광고판 KR101050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777A KR101050252B1 (ko) 2008-08-19 2008-08-19 광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777A KR101050252B1 (ko) 2008-08-19 2008-08-19 광고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215A KR20100022215A (ko) 2010-03-02
KR101050252B1 true KR101050252B1 (ko) 2011-07-19

Family

ID=42174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777A KR101050252B1 (ko) 2008-08-19 2008-08-19 광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2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5640B2 (en) 2012-01-18 2014-12-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isplay device
US8979345B2 (en) 2012-02-29 2015-03-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urface light emitting apparatus including an optical distribu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964B1 (ko) * 2013-06-27 2014-09-23 (주)이싸인 방향표시가 변화되는 엘이디 안내표지판
KR101716676B1 (ko) * 2016-10-14 2017-03-15 이우준 논슬립 기능을 가지는 시각 장애인용 계단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605Y1 (ko) * 2003-06-11 2003-09-19 (주) 휴네텍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광고패널
JP2004133337A (ja) * 2002-10-15 2004-04-30 Osaka Kako Kk 選挙ポスター掲示板および選挙ポスター掲示板のクローズドリサイクル方法
JP2008027609A (ja) * 2006-07-18 2008-02-07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面発光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3337A (ja) * 2002-10-15 2004-04-30 Osaka Kako Kk 選挙ポスター掲示板および選挙ポスター掲示板のクローズドリサイクル方法
KR200326605Y1 (ko) * 2003-06-11 2003-09-19 (주) 휴네텍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광고패널
JP2008027609A (ja) * 2006-07-18 2008-02-07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面発光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5640B2 (en) 2012-01-18 2014-12-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isplay device
US8979345B2 (en) 2012-02-29 2015-03-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urface light emitting apparatus including an optical distribu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215A (ko) 201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2821B2 (en) Illuminated sign
US20090100727A1 (en) Signboard
US20080285274A1 (en) Panel light source for back-lit signs
KR101050252B1 (ko) 광고판
KR101039205B1 (ko) 광고용 led 간판
KR200430944Y1 (ko) 발광간판
KR20110003225A (ko) 3차원 입체 광고
KR101123369B1 (ko) 이미지 표시장치
KR200338085Y1 (ko) 발광광고판
KR200243449Y1 (ko) 자외선을 가지는 led발광소자를 이용한 사인보드
KR100999001B1 (ko) Led간판
KR200356965Y1 (ko) 발광다이오드 발광소자를 이용한 반투명 전자간판
KR200371969Y1 (ko) 아크릴판을 이용한 양면 발광 광고장치
KR20180047004A (ko) Led 및 el 겸용의 표시판 구조
KR200192626Y1 (ko) 냉음극 형광램프를 이용한 슬림형 광고판
KR20090003869U (ko) 광고판
KR20020088244A (ko) 자외선을 가지는 led발광소자를 이용한 사인보드
KR102215466B1 (ko) 광원과 반사판을 이용한 광고용 간판
JP2004117891A (ja) 残光性多目的デザインボード
KR200443056Y1 (ko) 광고용 간판
KR100814369B1 (ko) 광고조명용채널
KR20100000309U (ko) 조명간판.
JP3165525U (ja) 発光表示パネル
KR200183205Y1 (ko) 전장발광램프를 이용한 판상형 광고판
KR200417741Y1 (ko) 투명 아크릴 광고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