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160B1 -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160B1
KR101050160B1 KR1020100060853A KR20100060853A KR101050160B1 KR 101050160 B1 KR101050160 B1 KR 101050160B1 KR 1020100060853 A KR1020100060853 A KR 1020100060853A KR 20100060853 A KR20100060853 A KR 20100060853A KR 101050160 B1 KR101050160 B1 KR 101050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fusion
case
hol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에이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0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5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wherein modules are associated together, e.g. electromechanical assemblies, modul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82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mission control units, e.g. gearbox con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홈에 필름형의 안테나를 삽입하고 이차 사출, 융착, 접착으로 고정하여 마감하므로 뒤틀림과 이색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새로운 휴대폰 케이스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단자홀과 단자부와 관통공을 구비한 필름형의 안테나를 제공하는 단계, 삽입홈과 융착될 융착홈과 고정턱을 각각 형성한 케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융착홈과 융착돌기 및 단자홀을 구비한 융착판을 제공하는 단계, 안테나를 삽입홈에 삽입하고 융착홈에 융착판을 배치한 케이스의 하측에 하판금형을 배치하며 융착판의 상측에 상판금형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판금형과 하판금형을 초음파 진동시켜 융착돌기를 융착홈과 삽입홈에 융착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여,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휴대폰 사출물에 이종물질인 안테나를 삽입하고 이차 사출로 마감하면서도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아 불량 발생률을 줄이고, 이색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종물질을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밀착 상태로 고정하고, 이종물질인 안테나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융착하여 고정하므로 생산성이 개선되어 제조원가를 줄이는 새로운 방식의 기술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A mobile phone case within antenn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홈에 필름형의 안테나를 삽입하고 이차 사출, 융착, 접착으로 고정하여 마감하므로 뒤틀림과 이색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에 안테나를 내장하면서 케이스에 뒤틀림과 이색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생산성을 높이는 새로운 기술의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용 단말기(이하, ‘휴대폰’이라 한다.)는 PDA, PMP 등을 포함하며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지정된 상대방과 무선 접촉하여 통신하는 첨단 기술의 장비이다.
휴대폰의 이동성을 높이기 위하여 소형이며 가볍고 휴대하기 편하여야 하며, 이동 중에 상대방과 무선접촉하고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안테나를 필요로 한다.
안테나는 통신에 사용하는 무선주파수의 파장 길이에 비례하는 길이를 하는 경우 송수신 이득이 가장 우수하고 대기 중에 노출되며 형상에 따라 다이폴, 헬리컬, 루프, 야기 등등의 종류가 있다.
휴대폰은 모바일 뱅킹 기능을 부가서비스로 제공하면서 USIM 카드에 탑재된 전자화폐 또는 신용카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비접촉 방식으로 송수신하기 위하여 비접촉식 결제 규격에서 정의된 13.56 MHz 대역의 루프(loop) 안테나가 탑재되고, 이러한 루프안테나는 배터리 팩(pack)에 내장된 형태로 제공한다.
스마트폰과 근거리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이 휴대폰에 도입 및 적용되면서 루프 안테나를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루프안테나를 이용한 비접촉식 인터페이스는 무선 Reader/Writer, Card Emulation, P2P 기능을 지원하고 기술적 표준은 ISO 14443, ISO 18092 등의 규칙에 의한다.
종래 기술에 의하여 휴대폰 케이스의 내부에 안테나를 내장하는 기술로 특허 등록 제10-0944932호(2010. 02. 23.) ‘안테나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및 그 제조 제조방법, 이동통신 단말기’가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휴대폰의 내부에 안테나를 내장하여 휴대폰의 크기와 무게 및 부피를 줄이고 외관을 단순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안테나와 합성수지에 의한 케이스를 이중사출 방식으로 성형하므로 이중 사출과정에서 가열된 사출액의 내부 열이 이종재질인 안테나를 2차로 가열하고, 가열된 안테나와 케이스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의 열팽창 계수 차이 등에 의하여 식는 과정에서 시간 차이가 발생하여 케이스에 뒤틀림 또는 우그러짐(이하, ‘뒤틀림’이라 한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재질의 특성이 상이한 안테나와 합성수지를 이중 사출하므로 이중 사출된 부분에서 색상이 변하는 이색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휴대폰 케이스의 내부에 안테나를 구성하는 기술에 있어서, 완성된 사출물에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이색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선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와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합성수지에 이종물질을 삽입하여 사출하는 경우, 완성된 상태에서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에 이종물질을 삽입하여 이차 사출로 마감하는 경우 이색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에 이종물질인 안테나를 삽입 및 고정하면서도 케이스와 안테나가 서로 융착 또는 붙지 않으므로 각각의 물리적 특성에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한편, 본 발명은 합성수지에 삽입된 이종물질을 분리된 상태에서 동일 유사한 재질로 융착하여 마감하므로 뒤틀림 및 이색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불량률을 줄이며 생산성을 높이는 새로운 방식의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단자부와 단자홀을 형성한 필름형의 안테나를 제공하는 단계와, 안테나를 삽입할 삽입홈과 융착돌기와 고정턱을 형성한 케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안테나를 삽입홈에 배치하고 케이스의 하측에 하판금형을 배치하며 안테나의 상측에 상판금형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판금형과 하판금형을 초음파 진동시켜 융착돌기를 안테나에 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단자홀과 단자부와 관통공을 구비한 필름형의 안테나를 제공하는 단계와, 안테나를 삽입할 삽입홈과 융착될 융착홈과 고정턱을 각각 형성한 케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융착홈과 관통공의 위치에 형성된 융착돌기 및 단자홀을 구비한 융착판을 제공하는 단계와, 안테나를 삽입홈에 삽입하고 융착홈에 융착판을 배치한 케이스의 하측에 하판금형을 배치하며 융착판의 상측에 상판금형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판금형과 하판금형을 초음파 진동시켜 융착돌기를 융착홈과 삽입홈에 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단자부와 단자홀과 관통공을 형성한 필름형의 안테나를 제공하는 단계와, 안테나를 삽입할 삽입홈과 융착될 융착홈과 고정턱을 형성한 케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융착홈의 위치에 결합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의 위치에 단자홀을 형성한 융착판을 제공하는 단계와, 안테나를 삽입홈에 배치하고 융착홈에 융착판을 배치한 케이스의 하측에 몰드하판을 배치하며 융착판의 상측에 사출물 주입구와 핀부를 형성한 몰드상판을 배치하는 단계 및 몰드상판의 사출물 주입구에 사출물이 녹은 사출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단자부와 단자홀을 형성한 필름형의 안테나를 제공하는 단계와, 안테나의 하측에 배치할 테이프를 제공하는 단계와, 안테나와 테이프를 배치할 삽입홈과 고정턱을 형성한 케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안테나와 테이프를 삽입홈에 배치하고 케이스의 하측에 하판금형을 배치하며 안테나의 상측에 상판금형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판금형과 하판금형을 압착하여 케이스의 삽입홈에 안테나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바람직하게, 필름형의 안테나를 제공하는 단계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제1필름을 준비하는 단계와, 제1필름에 식각, 인쇄, 프레스된 패턴의 접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안테나 패턴의 노출된 부분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제2필름을 준비하는 단계와, 제2필름에 안테나 패턴의 단자부 위치를 노출하는 단자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단자홀과 단자부의 위치가 일치하는 상태로 제2필름을 안테나 패턴의 노출된 부분에 라미네이트 접착하는 단계 및 단자부를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융착판은, 융착홈에 융착된 상태에서 단자부와 동일한 위치에 상기 단자홀을 형성하고, 융착돌기는 융착홈과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핀부는 단자홀에 삽입되어 사출액이 단자부에 유입하지 못한다.
한편, 사출물과 상기 케이스는 열가소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단자부와 단자홀과 관통공을 구비한 필름형의 안테나와, 안테나를 삽입할 삽입홈과 융착돌기와 고정턱을 형성한 케이스를 포함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단자부와 단자홀과 관통공을 구비한 필름형 안테나와, 안테나를 삽입할 삽입홈과 융착될 융착홈과 고정턱을 형성한 케이스 및 융착홈과 관통공의 위치에 융착돌기를 형성하고 단자부의 위치에 단자홀을 형성하며 융착홈에 배치되는 융착판을 포함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단자부와 단자홀과 관통공을 구비한 필름형의 안테나와, 안테나를 삽입할 삽입홈과 융착될 융착홈과 고정턱을 형성한 케이스와, 융착홈의 위치에 결합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의 위치에 단자홀을 형성하며 융착홈에 배치되는 융착판 및 케이스의 하측에 배치되어 케이스를 고정하는 몰드하판과 고정턱에 배치하고 단자홀에 삽입하는 핀부, 사출물 주입구를 형성한 몰드상판에 의하여 주입된 사출액을 냉각하여 형성된 연결핀을 포함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단자부와 단자홀과 관통공을 구비한 필름형의 안테나와, 안테나의 하부에 부착할 테이프와, 안테나와 테이프를 배치할 삽입홈과 고정턱을 형성한 케이스를 포함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를 제시한다.
바람직하게, 케이스의 하측에 배치되고 고정 상태로 지지하는 하판금형과 융착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판금형의 초음파 진동 신호에 의하여 융착돌기가 융착홈과 삽입홈에 각각 융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안테나는, 제1필름과, 제1필름에 밀착 형성된 안테나 패턴과, 안테나 패턴에 신호를 입출력하는 단자부와, 단자부의 위치에 단자홀을 형성하고 안테나 패턴에 밀착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제2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안테나는, 열가소성의 제1필름과, 제1필름에 밀착 형성된 안테나 패턴과, 안테나 패턴에 신호를 입출력하는 단자부와, 단자부의 위치에 단자홀을 형성하고 안테나 패턴에 밀착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제1필름과 동일한 재질의 제2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안테나는 제1필름과 안테나 패턴의 사이에 내열성과 고강성이 있는 베이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안테나는, 13.56 MHz 대역 안테나, DMB 안테나, WiFi 안테나, GPS 안테나, 블루투스 안테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테이프는, 핫멜트 테이프, 양면접착테이프,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에 이종물질인 안테나를 삽입하고 이차 사출로 마감하면서도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아 불량 발생률을 줄이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에 이종물질인 안테나를 삽입하고 이차 사출로 마감하면서도 이색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합성수지 케이스에 이종물질인 안테나를 삽입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밀착 상태로 고정하는 새로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에 이종물질인 안테나를 삽입하고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융착하여 마감하므로 뒤틀림과 이색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생산성이 향상되어 제조원가를 줄이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에 안테나를 삽입하면서도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가 유지되는 새로운 방식의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안테나와 융착돌기를 구비한 케이스를 제공한 상태의 설명을 위한 절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케이스에 안테나를 배치하고 상판금형과 하판금형을 함께 배치한 상태의 설명을 위한 절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융착금형에 의하여 안테나가 케이스에 융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절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의한 안테나의 다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절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융착판과 안테나와 케이스를 제공한 상태의 설명을 위한 절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케이스에 안테나와 융착판을 배치하고 융착금형을 함께 배치한 상태의 설명을 위한 절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융착금형에 의하여 케이스에 융착판이 융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절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융착판과 안테나와 케이스를 제공한 상태의 설명을 위한 절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케이스에 안테나와 융착판을 배치하고 몰드를 함께 배치한 상태의 설명을 위한 절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몰드의 사출물 주입구를 통하여 사출액이 융착판과 안테나를 관통하여 케이스에까지 주입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절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안테나와 테이프와 케이스를 제공한 상태의 설명을 위한 절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케이스에 안테나와 테이프를 배치하고 상측금형과 하측금형을 함께 배치한 상태의 설명을 위한 절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압착금형에 의하여 안테나와 케이스가 접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절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에 인쇄회로기판을 장착한 상태 설명을 위한 단면도,
그리고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4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에 인쇄회로기판을 장착한 상태 설명을 위한 단면도 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제조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도면 도시는 생략한다.
몰드(mold)는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상판과 하판에 각각 선택된 물체의 외형을 분리한 상태로 음각하며, 결합한 상태에서 열가소성 재료를 주입하고 식혀 선택된 물체의 외형을 성형하는 것으로 사출금형이라고도 한다.
열가소성 수지는 열을 인가하면 반액체 상태로 녹고 냉각하면 고체화되는 합성수지의 일종이며 사출물 원재료로 많이 사용한다.
열가소성 수지가 녹은 후에 냉각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물체를 고정시키는 접착력을 응용하여 분리된 2 개 물체를 접착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용도로 개발한 테이프를 핫멜트(hot-melt) 테이프(tape)라 한다.
양면접착 테이프는 양쪽 면에 각각 접착재료를 형성한 것으로 분리된 2 개의 물체를 서로 부착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테이프이며, 접착제는 액체 또는 반액체 또는 가루 상태로 제공되고 분리된 2 개의 물체를 부착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초음파는 인간이 가청 할 수 없는 음압의 주파수이고, 일반적으로 20 킬로헤르츠(Hz) 이상의 주파수를 초음파로 구분하며, 음파탐지, 절단 및 가공, 에멀젼 생성, 세척, 살균 등에 응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열가소성 수지를 초음파 진동시켜 발생하는 마찰열을 이용하여 국부적으로 융착하는데 응용한다.
안테나 패턴(pattern)은 최적의 면적에 최대의 송신과 수신 이득을 확보하는 상태에서 안테나의 전기적 길이를 형성하는 다양한 평면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평면적 무늬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13.56 MHz 대역의 안테나는 근거리 통신(NFC)에서의 read/write 기능, P2P 기능, card emulation 기능 등이 포함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및 콤비형 USIM 카드의 무선 인터페이스 등을 지원하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13.56 MHz 대역의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전기적 길이가 길어 루프 안테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휴대폰, PDA, PMP, 데이터 단말기, 교통카드 등에 응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안테나와 융착돌기를 구비한 케이스를 제공한 상태의 설명을 위한 절단면도 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케이스에 안테나를 배치하고 상판금형과 하판금형을 함께 배치한 상태의 설명을 위한 절단면도 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융착금형에 의하여 안테나가 케이스에 융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절단면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안테나(117)와 케이스(121)를 제공한다.
안테나(117)는 단자부(111), 단자홀(112), 제1필름(113), 안테나패턴(114), 제2필름(115)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제1필름(113)은 필름형 안테나(110)의 하측에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및 전기적 충격 등을 차단하고 불필요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한다.
제1필름(113)의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과 두께 등에 의하여 보호할 수 있는 충격의 크기는 각각 상이한 것이 일반적이다.
안테나 패턴(114)은 휴대폰의 무선신호를 최대의 이득(gain)으로 송신과 수신하는 평면에 형성된 무늬이고, 본 발명에서는 도전성이 양호한 얇은 박판 형상의 금속재료를 이용한다.
금속재료에는 일 실시 예에 의하여, 구리, 알루미늄, 금, 은, 합금 및 도전성 합성수지 재료 등을 포함하는 얇은 박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테나 패턴(114)은 일례로 프레스(press), 식각(etching), 인쇄(print), 접착(bonding) 등의 방식으로 형성하고, 제1필름(113)에 라미네이트(laminate) 방식으로 밀착 구성된다.
그리고 안테나 패턴(114)은 일 실시 예로, 13.56 MHz 대역 안테나, DMB안테나, WiFi안테나, GPS안테나, 블루투스 안테나 등을 포함하는 안테나 중에서 주파수 대역이 각각 다른 안테나를 동시에 다수 포함할 수 있다.
즉,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다수 대역의 안테나를 하나의 안테나 패턴(114)에 포함할 수 있는 것은, 각 대역에서 공진하는 안테나의 전기적 길이가 각각 다르게 때문이다.
단자부(111)는 각 안테나 패턴(114)의 양쪽 끝단에 구성되고,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무선송신 신호를 입력하며 무선수신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금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금에 사용하는 재료는 일 실시 예로, 금, 은, 납 및 합금이 포함되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제2필름(115)은 제1필름(113)과 같거나 유사한 특성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부에서 단자부(111)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단자홀(112)을 형성한 상태에서 안테나 패턴(114)과 제1필름(113)에 라미네이트(laminate) 방식으로 밀착 구성하며, 외부의 충격을 차단하여 안테나 패턴(114)을 보호하는 것은 제1필름(113)과 동일하다.
여기서 단자홀(112)은 단자부(111)의 크기와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117)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외부의 충격을 차단하는 제1필름(113)을 준비한다(a).
준비된 제1필름(113)에 선택된 안테나의 패턴(114)을 프레스, 식각, 인쇄, 접착이 포함되는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형성하여 밀착 시킨다(b).
이때, 안테나 패턴(114)은 13.56 MHz 대역 안테나, DMB 안테나, WiFi 안테나, GPS 안테나, 블루투스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선택된 2 개 이상의 안테나를 동시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폰과 같이 크기가 작은 이동용 단말기에서 허용되는 작은 면적을 최대한 활용하는 측면에서 2 개 이상의 안테나를 동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테나 패턴(114)이 라미네이트로 접착된 상태에서 노출된 안테나 패턴(114)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제2필름(115)을 준비한다(c).
여기서 제1필름(113)과 제2필름(115)은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준비된 제2필름(115)에 안테나 패턴(114)의 단자부(111) 위치를 노출하기 위한 단자홀(112)을 형성한다(d).
제2필름(115)을 단자홀(112)과 단자부(111) 위치가 일치하는 상태로 안테나 패턴(114)이 노출된 부분에 라미네이트(laminate) 방식으로 밀착 접착한다(e).
그리고 단자부(111) 위치를 전기적 접촉에 의하여 신호의 전달이 양호하도록 도금한다(f).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117)의 두께는 300 내지 400 마이크로미터(um)의 범위이고, 구성 및 기능은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설명한다.
제1필름(113)과 제2필름(115)은 열가소성 합성수지 종류로 구성하며, 일례로 폴리카보네이트(pc)로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121)는 열가소성 합성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 설명에 의한 휴대폰의 외형을 구성하며, 안테나(117)가 삽입되는 삽입홈(122), 고정턱(126) 및 삽입홈(122)의 내부에 형성되는 융착돌기(128)를 포함한다.
융착돌기(128)는 삽입홈(122) 내부에 다양한 크기와 형상 및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2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안테나(117)를 삽입홈(122)에 배치하여 삽입하고, 안테나(117)의 상측에 상판금형(162)을 배치하며 케이스(121)의 하측에 하판금형(164)을 배치한다.
상판금형(162)과 하판금형(164)은 한 세트로 이루어지고 융착금형(160)을 형성한다.
이때, 안테나(117)의 제1필름(113) 부분은 융착돌기(128) 위에 안착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판금형(162)과 하판금형(16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은 해당 제어에 의하여 초음파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하, 첨부된 도 3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안테나(117)의 상측에 배치된 상판금형(162)과 케이스(121)의 하측에 배치된 하판금형(164)은 표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결합하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는 동시에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초음파 진동한다.
안테나(117)의 제1필름(113)과 케이스(121) 및 융착돌기(128)는 열가소성의 합성수지 종류로 이루어진다.
상판금형(162) 및(또는) 하판금형(164)의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제1필름(113)과 융착돌기(128)는 서로 마찰하여 마찰열을 발생하며, 마찰열에 의하여 제1필름(113)과 융착돌기(128)는 녹아 융착하고 냉각에 의하여 고형화한다.
본 발명에서는 융착돌기(128)가 형성된 부분에서만 마찰열이 발생하고, 발생된 열은 국부적인 현상이므로 케이스(121) 전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삽입홈(122)의 위치에 안테나(117)를 배치하고 초음파를 이용하여 융착하는 공정은 간단하고 단순하며 소요시간이 짧아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는 새로운 제조방법 및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4 는 본 발명 제 1 실시 예에 의한 안테나의 다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절단면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안테나(118)는 단자부(111), 단자홀(112), 제1필름(113), 안테나 패턴(114), 제2필름(115), 베이스(119)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안테나(118)는 제 1 실시 예에 의한 안테나(117)의 제1필름(113)과 안테나 패턴(114)의 사이에 베이스(base material)(119)를 더 포함하는 구성상의 차이가 있다.
제 1 실시 예에 의하여 초음파 진동으로 제1필름(113)에 마찰열이 발생하는 경우 열가소성의 합성수지 종류로 이루어지는 제1필름(113)이 마찰열에 의하여 녹으므로 안테나 패턴(114)에 변형을 가져올 수 있다.
안테나 패턴(114)에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안테나의 송신 및 수신 이득(gain)이 나빠질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쇼트(short) 등에 의하여 안테나로서의 기능을 못할 수 있다.
베이스(119)로 열에 강하고 충격을 차단할 수 있는 합성수지 종류를 사용하며 일례로, 폴리이미드(pi)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베이스(119)에 안테나 패턴(114)이 라미네이트 방식으로 부착되어 안테나의 기본물질(base material)을 형성하고, 하측부와 상측부에 제1필름(113)과 제2필름(115)이 각각 라미네이트 방식으로 접착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제1필름(113)은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융착돌기(128)와 열융착하고, 베이스(119)는 안테나 패턴(114)을 열 및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는 융착돌기(128)에서만 열에 의한 융착 현상이 발생하므로 케이스(121)는 열에 의한 뒤틀림, 이색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면서 작업성과 생산성이 개선되고 제조원가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119)로 내열성과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류를 사용하므로 외부의 열과 충격 등으로부터 안테나 패턴을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안테나(117)와 케이스(121)가 분리된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융착하므로, 안테나(117)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분해 및 수리가 용이하고 분리된 케이스(121)를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융착판과 안테나와 케이스를 제공한 상태의 설명을 위한 절단면도 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케이스에 안테나와 융착판을 배치하고 융착금형을 함께 배치한 상태의 설명을 위한 절단면도 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융착금형에 의하여 케이스에 융착판이 융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절단면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 5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안테나(110)와 케이스(120)와 융착판(150)을 제공한다.
안테나(110)는 단자부(111), 단자홀(112), 제1필름(113), 안테나 패턴(114), 제2필름(115) 및 관통공(116)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제 2 실시 예에 의한 안테나(110)는 제 1 실시 예에 의한 안테나(117)의 구성과 같고 관통공(116)을 더 포함한 차이가 있으므로 중복설명을 피하여 새로운 구성만 설명하기로 한다.
관통공(116)은 안테나 패턴(114)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비켜가는 상태에서 안테나(110)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다수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20)는 열가소성 합성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 설명에 의한 휴대폰의 외형을 구성하며, 내측에 삽입홈(122), 융착홈(125), 고정턱(126)을 각각 형성한다.
삽입홈(122)에는 안테나(110)가 배치되고 삽입되어 고정되며, 융착홈(125)에는 융착판(150)이 배치된다.
융착판(150)은 케이스(120)와 동일 또는 유사한 화학적 특성의 열가소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3 밀리미터(mm) 이하의 두께이며, 융착홈(125)과 접촉하는 부분에 융착돌기(152)를 형성하면서 300 내지 400 마이크로미터(um) 두께로 이루어지는 필름형 안테나(110)에 형성된 관통공(116)의 위치에도 융착돌기(153)를 형성한다.
이때, 융착돌기(153)는 300 내지 400 마이크로미터(um) 범위의 안테나(110) 두께를 감안하여 융착돌기(152)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융착판(150)은 단자홀(112)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하는 단자홀(154)을 형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 6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케이스(120)의 삽입홈(122)에 안테나(110)를 배치하고, 융착홈(125)에 융착판(150)을 배치하며, 융착판(150)의 상측에 상판금형(162)을 배치하고, 케이스(120)의 하측에 하판금형(164)을 각각 배치한다.
상판금형(162)과 하판금형(164)은 한 세트(set)를 형성하여 융착금형(160)을 구성한다.
이때, 융착판(150)은 융착돌기(152)를 통하여 융착홈(125)과 접촉하고, 융착돌기(153)를 통하여서는 삽입홈(122)과 접촉한다.
여기서 융착돌기(152, 153)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숫자도 다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판금형(162)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고 있으나 초음파 진동자가 부착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판금형(162) 전체가 초음파 진동하는 구성이다.
하판금형(164)에도 선택에 의하여 초음파 진동자를 부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7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융착판(150)의 상측에 배치된 상판금형(162)과 케이스(120)의 하측에 배치된 하판금형(164)에 각각 화살표 방향으로 압력을 인가하여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판금형(162)과 하판금형(16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면 융착판(150)에 진동이 전달된다.
융착판(150) 또는 케이스(120)는 전달받은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융착돌기(152)가 융착홈(125)과 접촉한 상태에서 마찰을 발생하고, 마찰에 의하여 마찰열이 발생하므로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융착돌기(152, 153)는 융착홈(125)과 삽입홈(122)에 각각 녹아 융착하므로 접착 및 식으면서 접착된 상태로 고형화한다.
본 발명은 안테나(110)를 삽입홈(122)에 삽입한 상태에서 융착돌기(152, 153)가 형성된 융착판(150) 및(또는) 케이스(120)를 초음파 진동하여 융착홈(125)과 삽입홈(122)에 각각 접촉하여 융착하므로 케이스(120)가 부분적으로 변형되는 뒤틀림과 색상이 변하는 이색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120)에 뒤틀림과 이색현상에 의한 불량발생이 없으며 제조시간이 단축되어 제조비용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
한편, 안테나(110)와 케이스(120)가 융착하지 않고 분리된 상태로 밀착 고정하므로 케이스(120)를 불량 처리하는 경우, 케이스(120)와 안테나(110)의 분리가 용이하며, 케이스(120) 재질의 재활용을 간편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융착판(150)의 해당 융착돌기(153)가 안테나(100)의 관통공(116)을 통하여 케이스(120)의 삽입홈(122)에 융착되므로 안테나(110)가 견고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융착판(150)이 들뜨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융착판과 안테나와 케이스를 제공한 상태의 설명을 위한 절단면도 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케이스에 안테나와 융착판을 배치하고 몰드를 함께 배치한 상태의 설명을 위한 절단면도 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몰드의 사출물 주입구를 통하여 사출액이 융착판과 안테나를 관통하여 케이스에까지 주입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절단면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8 은 단자홀(154), 결합공(156)을 형성한 융착판(151)과 단자부(111), 단자홀(112), 관통공(116)을 형성한 안테나(110) 및 삽입홈(122), 융착홈(125), 고정턱(126)을 형성한 케이스(120)를 제공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안테나(110)와 케이스(120)는 첨부된 도 5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2 실시 예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융착판(151)은 도 5 에서의 융착판(150)과 동일하고 융착돌기(152, 153) 대신에 결합공(156)을 각각 형성한 차이가 있으며, 결합공(156)은 다양한 형상, 크기로 다수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9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안테나(110)와 융착판(151)을 케이스(120)의 삽입홈(122)과 융착홈(125)에 각각 배치 및 삽입한다.
케이스(120)의 하측에 몰드하판(132)을 배치하고 케이스(120)의 고정턱(126)에 몰드상판(134)을 배치한다.
여기서 몰드하판(132)과 몰드상판(134)은 한 세트(set)의 몰드(130)를 구성한다.
몰드하판(132)은 케이스(120)의 하측에 구비되고 케이스(120)가 배치 및 삽입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드상판(134)은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사출물이 열에 의하여 녹은 사출액을 주입하는 사출물 주입구(136)와 핀부(138)를 형성한다.
이때, 핀부(138)는 안테나(110)의 단자홀(112)과 동일한 위치에 융착판(151)의 단자홀(154)과 안테나(110)의 단자홀(112)을 관통한 길이로 형성하고, 사출물 주입구(136)는 융착판(151)의 결합공(156) 및 안테나(110)의 관통공(116) 위치와 일치하는 상태로 형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 10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판몰드(134)의 사출물 주입구(136)를 통하여 사출액을 융착판(151)의 결합공(156)과 안테나(110)의 관통공(116)을 통하여 케이스(120)까지 주입하여 완전히 채우도록 이(2)차 사출한다.
사출물 주입구(136)로 주입된 사출액은 융착판(151)의 결합공(156)과 접촉하여 융착(접착)하면서 융착홈(125)에 접촉하여 융착한다.
또한, 사출액은 융착판(151)의 결합공(156)과 안테나(110)의 관통공(116)을 통하여 삽입홈(122)과 접촉하여 융착한다.
융착판(151)의 결합공(156)과 안테나(110)의 관통공(116)을 통하여 케이스(120)의 융착홈(125) 및 삽입홈(122) 까지 주입된 사출액은 냉각되어 고형화되므로 연결핀(142)을 형성한다.
여기서 융착판(150)과 케이스(120)와 사출물(140)은 동일 또는 유사한 열가소성 합성수지 재료로 이루어진다.
융착판(151)과 케이스(120) 사이에 형성된 연결핀(142)은 융착판(151)과 케이스(120)를 접착하여 고정하고, 안테나(110)의 관통공(116)을 관통하여 형성된 연결핀(142)은 융착판과 케이스를 접착하여 고정하면서 안테나(110)가 움직이거나 들뜨지 않도록 고정한다.
또한, 안테나(110)를 케이스(120)에 삽입한 상태에서 연결핀(142)은 케이스(120)에 부분적으로 융착하여 고정하므로 케이스(120)가 열에 의하여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으며 색상이 변하는 이색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불량발생이 없으며 제조시간이 단축되어 제조비용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부분적인 융착에 의하여 불량률이 줄어들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안테나(110)가 케이스(120)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융착판(151)이 들뜨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안테나와 테이프와 케이스를 제공한 상태의 설명을 위한 절단면도 이고,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케이스에 안테나와 테이프를 배치하고 상측금형과 하측금형을 함께 배치한 상태의 설명을 위한 절단면도 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압착금형에 의하여 안테나와 케이스가 접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절단면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 11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안테나(117)와 케이스(121)와 테이프(180)를 제공한다.
안테나(117)는 단자부(111), 단자홀(112), 제1필름(113), 안테나 패턴(114), 제2필름(115)을 포함하는 구성이고 이미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케이스(123)는 삽입홈(122)과 고정턱(126)을 포함하는 구성이고 이미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테이프(180)는 핫멜트(hot-melt) 테이프, 양면접착 테이프, 접착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12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케이스(123)의 삽입홈(122)에 테이프(180)와 안테나(117)를 순서대로 배치하고, 안테나(117)의 상측에 상측금형(167)을, 케이스(123)의 하측에 하측금형(169)을 각각 배치한다.
상측금형(167)과 하측금형(169)은 한 세트(set)이고, 물체를 압착하는 압착금형(165)을 구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 13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케이스(123)의 삽입홈(122)에 테이프(180)와 안테나(117)가 순서대로 배치하고 압착금형(165)에 의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압착하므로 케이스(123)와 안테나(117)가 접착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하면, 생산성이 좋고, 불량 발생률이 줄어들어 제조원가를 낮추는 장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는 열에 의한 뒤틀림과 이색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작업공정이 간단하여 비숙련자가 용이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에 인쇄회로기판을 장착한 상태 설명을 위한 단면도 이고,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4 실시 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에 인쇄회로기판을 장착한 상태 설명을 위한 단면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폰 케이스(100)를 구성하는 안테나(110, 117, 118)의 단자부(111)에 인쇄회로기판(170)의 단자부(172)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상태이다.
인쇄회로기판(170)은 안테나(110, 117, 118)와 접촉하여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구성이고, 케이스(120, 121, 123)의 고정턱(126)에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휴대폰 케이스 110 : 안테나
111 : 단자부 112 : 단자홀
113 : 제1필름 114 : 안테나패턴
115 : 제2필름 116 : 관통공
117, 118 : 안테나 119 : 베이스
120, 121, 123 : 케이스 122 : 삽입홈
124 : 몰딩홈 125 : 융착홈
126 : 고정턱 128 : 융착돌기
130 : 몰드 132 : 몰드하판
134 : 몰드상판 136 : 사출물주입구
138 : 핀부 140 : 사출물
142 : 연결핀 150 : 융착판
152 : 융착돌기 154 : 단자홀
160 : 융착금형 162 : 상판금형
164 : 하판금형 165 : 압착금형
167 : 상측금형 169 : 하측금형
170 : 인쇄회로기판 172 : 단자부
180 : 테이프

Claims (18)

  1. 단자부와 단자홀을 형성한 필름형의 안테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를 삽입할 삽입홈과 융착돌기와 고정턱을 형성한 케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를 상기 삽입홈에 배치하고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하판금형을 배치하며 상기 안테나의 상측에 상판금형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상판금형과 하판금형을 초음파 진동시켜 상기 융착돌기를 상기 안테나에 융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2. 단자홀과 단자부와 관통공을 구비한 필름형의 안테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를 삽입할 삽입홈과 융착될 융착홈과 고정턱을 각각 형성한 케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융착홈과 상기 관통공의 위치에 형성된 융착돌기 및 단자홀을 구비한 융착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를 상기 삽입홈에 삽입하고 상기 융착홈에 상기 융착판을 배치한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하판금형을 배치하며 상기 융착판의 상측에 상판금형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상판금형과 하판금형을 초음파 진동시켜 상기 융착돌기를 상기 융착홈과 삽입홈에 융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3. 단자부와 단자홀과 관통공을 형성한 필름형의 안테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를 삽입할 삽입홈과 융착될 융착홈과 고정턱을 형성한 케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융착홈의 위치에 결합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의 위치에 단자홀을 형성한 융착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를 상기 삽입홈에 배치하고 상기 융착홈에 상기 융착판을 배치한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몰드하판을 배치하며 상기 융착판의 상측에 사출물 주입구와 핀부를 형성한 몰드상판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몰드상판의 사출물 주입구에 사출물이 녹은 사출액을 주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의 안테나를 제공하는 단계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제1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필름에 식각, 인쇄, 프레스된 패턴의 접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패턴의 노출된 부분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제2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2필름에 상기 안테나 패턴의 단자부 위치를 노출하는 단자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자홀과 단자부의 위치가 일치하는 상태로 상기 제2필름을 안테나 패턴의 노출된 부분에 접착하는 단계; 및
    상기 단자부를 도금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판은 상기 융착홈에 융착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부와 동일한 위치에 상기 단자홀을 형성하고,
    상기 융착돌기는 상기 융착홈과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는,
    상기 단자홀에 삽입되어 상기 사출액이 상기 단자부에 유입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과 상기 케이스는 열가소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9. 단자부와 단자홀과 관통공을 구비한 필름형의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삽입할 삽입홈과 융착돌기와 고정턱을 형성한 케이스; 를 포함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10. 단자부와 단자홀과 관통공을 구비한 필름형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삽입할 삽입홈과 융착될 융착홈과 고정턱을 형성한 케이스; 및
    상기 융착홈과 상기 관통공의 위치에 융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단자부의 위치에 단자홀을 형성하며 상기 융착홈에 배치되는 융착판; 을 포함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11. 단자부와 단자홀과 관통공을 구비한 필름형의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삽입할 삽입홈과 융착될 융착홈과 고정턱을 형성한 케이스;
    상기 융착홈의 위치에 결합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의 위치에 단자홀을 형성하며 상기 융착홈에 배치되는 융착판; 및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는 몰드하판과 상기 고정턱에 배치하고 상기 단자홀에 삽입하는 핀부, 사출물 주입구를 형성한 몰드상판에 의하여 주입된 사출액을 냉각하여 형성된 연결핀; 을 포함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배치되고 고정 상태로 지지하는 하판금형과 상기 융착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판금형의 초음파 진동 신호에 의하여 상기 융착돌기가 융착홈과 삽입홈에 각각 융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14. 제 10 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제1필름;
    상기 제1필름에 밀착 형성된 안테나 패턴;
    상기 안테나 패턴에 신호를 입출력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의 위치에 단자홀을 형성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에 밀착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제2필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열가소성의 제1필름;
    상기 제1필름에 밀착 형성된 안테나 패턴;
    상기 안테나 패턴에 신호를 입출력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의 위치에 단자홀을 형성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에 밀착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상기 제1필름과 동일한 재질의 제2필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1필름과 상기 안테나 패턴의 사이에 내열성과 고강성이 있는 베이스;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17. 제 9 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13.56 MHz 대역 안테나, DMB 안테나, WiFi 안테나, GPS 안테나, 블루투스 안테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18. 삭제
KR1020100060853A 2010-06-25 2010-06-25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050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853A KR101050160B1 (ko) 2010-06-25 2010-06-25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853A KR101050160B1 (ko) 2010-06-25 2010-06-25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0160B1 true KR101050160B1 (ko) 2011-07-19

Family

ID=4492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853A KR101050160B1 (ko) 2010-06-25 2010-06-25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1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940B1 (ko) 2010-08-05 2012-11-07 에이큐 주식회사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보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WO2013100605A1 (ko) * 2011-12-29 2013-07-04 전자부품연구원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01916B1 (ko) * 2011-10-10 2013-08-30 주식회사 아주산업 문구용 투명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09031A (ko) * 2013-07-09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532379B1 (ko) * 2014-09-11 2015-06-30 주식회사 마이크로알에프 안테나를 내장한 전자 장치의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329Y1 (ko) 2004-12-21 2005-03-14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구조
KR100930207B1 (ko) 2009-03-16 2009-12-07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35954B1 (ko) 2009-04-23 2010-01-12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장치 케이스, 그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329Y1 (ko) 2004-12-21 2005-03-14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구조
KR100930207B1 (ko) 2009-03-16 2009-12-07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35954B1 (ko) 2009-04-23 2010-01-12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장치 케이스, 그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940B1 (ko) 2010-08-05 2012-11-07 에이큐 주식회사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보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301916B1 (ko) * 2011-10-10 2013-08-30 주식회사 아주산업 문구용 투명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WO2013100605A1 (ko) * 2011-12-29 2013-07-04 전자부품연구원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009031A (ko) * 2013-07-09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065406B1 (ko) * 2013-07-09 202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532379B1 (ko) * 2014-09-11 2015-06-30 주식회사 마이크로알에프 안테나를 내장한 전자 장치의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940B1 (ko)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보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050160B1 (ko)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JP2009182883A (ja) 携帯端末
TWI248699B (en) Antenna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JP4770853B2 (ja) Rfidタ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339757A (ja) アンテナコイル、通信基板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カード型無線機
JPH11149537A (ja) 複合icカードおよび複合icモジュール
KR101133325B1 (ko) 안테나 방사체, 다수의 안테나 패턴 방사체가 매립되는 전자장치의 케이스 제조방법 및 전자장치 케이스
KR101066885B1 (ko) 안테나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US20060255160A1 (en) Memory card, the fabrication thereof and a mobile phone apparatus having a memory card
KR101133053B1 (ko)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CN106954146B (zh) 用于扬声器的硅胶振膜组装结构和制备方法
KR20120125810A (ko)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1138646B1 (ko) 하우징 일체형 내장형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KR101506501B1 (ko) 안테나가 내장된 무선휴대단말기 케이스 또는 커버의 제조방법 및 그 금형
KR101025964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2010152662A (ja) Rfidタ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38546B1 (ko) 다이렉트 인몰드 안테나 내장형 휴대폰 케이스 제조 방법
TWI662480B (zh) 用於製造晶片卡模組之方法及晶片卡
KR101079360B1 (ko) 전자 식별 태그 및 전자 식별 태그의 제조 방법
JP2011170592A (ja) 積層体構造物
JP2007193598A (ja) Icカード
JP2012235451A (ja) 通信端末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286187A (ja) Icカード、icカード製造用中間体およびicカードの製造方法
KR101182842B1 (ko) 안테나 내장형 휴대폰 케이스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