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923B1 - 3중 시밍구조를 갖는 폭발 방지용 캔 용기 - Google Patents

3중 시밍구조를 갖는 폭발 방지용 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923B1
KR101049923B1 KR1020100099314A KR20100099314A KR101049923B1 KR 101049923 B1 KR101049923 B1 KR 101049923B1 KR 1020100099314 A KR1020100099314 A KR 1020100099314A KR 20100099314 A KR20100099314 A KR 20100099314A KR 101049923 B1 KR101049923 B1 KR 101049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pper body
seaming
explosion
tri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92372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4992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제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제관
Priority to KR1020100099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923B1/ko
Priority to TW100119247A priority patent/TWI537512B/zh
Priority to JP2011126459A priority patent/JP5562291B2/ja
Priority to CN201110150407.9A priority patent/CN10232879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8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70Pressure relief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0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involving reinforc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6Closures, e.g. cap, breaka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8Size portable (<30 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08Protective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4Reducing risks and environmental impact
    • F17C2260/042Reducing risk of explo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7Applications for household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3중 시밍구조를 갖는 캔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3중 시밍구조를 갖는 캔 용기는, 에어졸 용기 또는 부탄가스용 캔 용기로서,
상기 캔 용기의 상부체에는 폭발 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캔 용기의 몸체에 구비된 플랜지와 상기 상부체의 후크는 3중으로 된 3중 시밍부에 의해 상기 폭발 방지부를 변형시키는 응력보다 큰 힘으로 결합되어,
상기 캔 용기의 내부 압력 상승시 상기 몸체와 상부체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폭발 방지부가 파열되어 가스가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중 시밍구조를 갖는 폭발 방지용 캔 용기{CAN FOR PREVENTING EXPLOSION HAVING TRIPLE SEAMING STRUCTURE}
본 발명은 3중 시밍구조를 갖는 폭발 방지용 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 고압가스 용기, 예를 들면 에어졸이나 부탄가스 용기와 같은 캔 용기의 상부체에 폭발 방지부를 형성하고, 몸체와 상부체를 3중으로 시밍하여 몸체와 상부체를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캔 용기의 내부 압력상승시 상부체가 몸체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1차 변형되면서 폭발 방지부가 먼저 파열되어 과압 가스를 배출하게 되어 상부체가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폭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3중 시밍구조를 갖는 폭발 방지용 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폭발 위험이 있는 소형고압 캔 용기는 액화 석유가스 중 부탄가스를 주원료로 한 부탄가스 혼합물을 충전하여 휴대용 가스렌지에 사용되는 휴대용 부탄 용기, 그리고 액화석유가스 등을 추진제로 사용하는 헤어스프레이, 살충제, 락카스프레이 등 에어로졸 용기를 들 수 있다.
전술한 캔 용기는 폭발성 가스가 충전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폭발성 가스가 충전된 캔 용기는 유통과정이나 사용 중에 주위에서 외력이나 높은 열을 받게 되면 용기 내부에 들어있는 액화가스의 팽창으로 압력이 상승하여 폭발하게 된다.
예를 들면, 부탄가스가 충전된 막대형 캔 용기의 경우 휴대용 가스렌지에서 사용중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고 변칙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캔 용기가 심한 열을 받을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내부의 가스가 팽창하면서 폭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폭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폭발 방지용 캔 용기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 용기(1)는 중앙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몸체(2), 이 몸체(2)의 상,하부 측에 각각 시밍되어 결합되는 상,하부체(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몸체(2)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체(3)에는 가스가 배출되기 위한 밸브가 구비되어 있고, 상부체(3)에는 폭발방지부(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캔 용기(1) 내부의 압력이 비 정상적으로 상승할 경우에 상부체(3)가 몸체(2)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1차 변형되면서 폭발방지부(6)가 파손되어 내부의 과압가스를 배출시켜 캔 용기(1)가 폭발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캔 용기(1)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부체(3)와 몸체(2)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눌려 결합(시밍)됨으로써 기밀이 유지되고, 내부의 압력을 견디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나, 몸체(2)의 플랜지(2-1)는 1회 절곡되고, 상부체(3)의 후크(5)는 2회만 절곡되어 서로 맞물린 상태로 시밍되어 결합력이 약했기 때문에, 몸체(2) 내부의 압력이 필요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체(3)의 1차 변형되면서 폭발방지부(6)가 파손되어 내부의 과압가스가 모두 방출되기 전에 상부체(3)의 변형이 시작되면서 플랜지(2-1)와 후크(5)의 결합부위가 풀릴 수 있었고, 이로 인하여 상부체(3)가 몸체(2)로부터 이탈되어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도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상부체(3)가 1차 변형되면서 폭발방지부(6)가 파손되어 내부 과압가스가 모두 배출되기 전에 상부체(3)가 몸체(2)로부터 먼저 분리되는 현상은 플랜지(2-1)와 후크(5)가 단순히 2중으로만 맞물린 상태로 시밍되어 있었기 때문에 결합력이 저하되어 높은 압력에 의해 쉽게 결합상태가 해제되었기 때문에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가스 등이 충전되는 캔 용기를 이루는 몸체와 상부체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캔 용기의 내부 압력 상승시 폭발방지부가 먼저 파열되면서 과압가스가 모두 배출 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에어졸 용기 또는 부탄가스용 캔 용기로서,
상기 캔 용기의 상부체에는 상부체의 1차 변형시에 개방되는 폭발 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캔 용기의 몸체에 구비된 플랜지와 상기 상부체의 후크는 3중으로 된 3중 시밍부에 의해 상기 폭발 방지부를 변형시키는 응력보다 큰 힘으로 결합되어,
상기 캔 용기의 내부 압력 상승시 상기 몸체와 상부체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체가 1차 변형되면서 상기 폭발 방지부가 파열되어 내부 과압가스가 완전히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시밍구조를 갖는 폭발 방지용 캔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상기 폭발 방지부는, 2 - 40개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폭발 방지부는,
상기 상부체의 하향 만곡진 카운터 싱크부에 형성되되, 상기 카운터 싱크부의 하향 정점의 두께가 얇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폭발 방지부는,
상기 상부체의 하향 만곡진 카운터 싱크부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카운터 싱크부의 하향 정점의 두께가 얇아지고 재질이 경질화 되어, 상기 몸체의 상승된 압력으로 인해 변형되어 파손되면서 개방되도록 일부가 눌려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폭발 방지부의 두께는 0.06mm 내지 0.1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3중 시밍부는,
상기 플랜지와 후크가 밀착되어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가 '∪'형과 '∩'으로 연이어 2중 절곡되고,
상기 후크는 '∩' 형과 '∪'형 및 '∩'형으로 연이어 3중으로 절곡된 후 압착되어 상기 플랜지와 후크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3중 시밍부의 지름을 줄이기 위한 네크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에어졸 용기 또는 부탄가스용 캔 용기로서,
상기 캔 용기의 상부체에는 폭발 방지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캔 용기의 몸체 상,하부에 구비된 플랜지와 상기 상부체 및 하부체의 후크는 3중으로 된 3중 시밍부에 상기 폭발 방지부를 변형시키는 응력보다 큰 힘으로 결합되어,
상기 캔 용기의 내부 압력 상승시 상기 몸체와 상부체 또는 하부체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폭발 방지부가 파열되어 과압가스가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시밍구조를 갖는 폭발 방지용 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캔 용기의 몸체와 상부체가 3중으로 시밍되어 결합됨으로써, 가스 등이 충전되는 캔 용기의 몸체와 상부체 또는 하부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캔 용기의 1차 변형시 몸체와 상부체 또는 하부체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3중 시밍된 영역의 몸체에 네크를 형성함으로써 3중 시밍부의 지름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캔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캔 용기의 시밍부가 폭발시 풀리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3b,3c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캔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캔 용기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캔 용기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캔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캔 용기와 일반 캔 용기의 파열압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캔 용기와 일반 캔 용기의 변형압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캔 용기와 일반 캔 용기의 잔량별 작동실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a,3b,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캔 용기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캔 용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캔 용기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3중 시밍부를 갖는 캔 용기(10)는 몸체(12)의 양 단부에 상부체(14) 및 하부체가 각각 시밍되어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부체(14)에는 중앙에 밸브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부체(14)에는 캔 용기(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할 때, 파열되어 내부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폭발 방지부(30)가 구비된다. 이 폭발 방지부(30)는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체(14)의 카운터 싱크부(14C)에 형성되는 것으로, 대략 2 - 40 개소에 형성된다.
이러한 폭발 방지부(3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 싱크부(14C)의 하향 정점의 두께가 얇아지고 재질이 경화되어, 몸체(12) 내부의 상승된 가스압력으로 인해 상부체(14)가 1차 변형되면서 파열되어 개방되도록 일부가 눌려 형성된다. 즉, 카운터 싱크부(14C)의 돌출된 영역을 강하게 눌러(프레스 등으로 가압) 그 두께가 다른 곳에 비하여 얇아지면서 재질이 경화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일부분이 경화될 경우 카운터 싱크부(14C)가 변형될 때 파열되면서 개방된다.
한편, 도 3c는 폭발 방지부(3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에 다른 폭발 방지부(30)는 카운터 싱크부(14C)의 하향 정점의 두께가 얇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때, 절개되는 부위는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운터 싱크부(14C)의 하향 정점의 두께가 절개부에 의해 얇게 되므로 몸체(12) 내부의 압력 상승시 카운트 싱크부(14C)의 변형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개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다양한 구조의 폭발 방지부(30)의 두께는 상부체(14)의 재질, 자체 두께를 고려하여 설정하되, 폭발에 큰 저항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대략 0.06mm - 0.1mm로 할 수 있다. 이때, 0.06mm 이하일 경우에는 취급 중이나 운송중에 쉽게 파손될 수 있고, 0.1mm 이상일 할 경우에는 상부체(14)의 1차 변형이 이루어지더라도 파손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부체(14)와 몸체(12)는 3중 시밍작업에 의해 상호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즉, 상부체(14)와 몸체(12)는 3중 시밍부(18)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3중 시밍부(18)는, 몸체(12)의 플랜지(12A)와 상부체(14)의 후크(14B)가 밀착되어 겹쳐진 상태에서, 플랜지(12A)가 '∪'형과 '∩'으로 연이어 2중 절곡되고, 후크(14B)는 '∩' 형과 '∪'형 및 '∩'형으로 연이어 3중으로 절곡된 후 압착되어 플랜지(12A)와 후크(14B)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몸체(12)의 플랜지(12A)와 상부체(14)의 후크(14B)가 3중 시밍부(18)에 의해서 결합되므로 몸체(12)와 상부체(14)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부체 역시 3중 시밍에 의해 몸체(12)의 하부에 결합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캔 용기(10)의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체(14)를 형성한 후 카운터 싱크부(14C)의 내측(몸체에 수용되는 가스가 닿는 영역)에 폭발 방지부(30)를 형성한다. 이때, 폭발 방지부(30)는 3a 또는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눌리거나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 싱크부(14C)의 가장자리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14A)의 끝부분에 후크(14B)를 하향 절곡시켜 형성한다. 이와 같이 후크(14B)를 원호형으로 형성하는 것은, 각각의 시밍롤(200,300,400)로 가압할 때, 후크(14B)가 원형으로 말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원통형 몸체(10)의 단부 가장자리를 수평 방향으로 절곡시켜 플랜지(12A)를 형성한다. 이때, 플랜지(12A)는 상향 경사지게 형성한다. 이는 플랜지(12A)의 단부가 연장부(14A)의 저면에 밀착되고, 후크(14B)와 더불어 안으로 말릴 때 연장부(14A)에서 이격되지 않고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플랜지(12A)의 단부가 후크(14B)에 근접하도록 플랜지(12A)를 연장부(14A)의 저면에 밀착시켜 몸체(10)에 상부체(14)를 가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부체(14)의 카운터 싱크부(14C)에는 시밍척(100)을 안착시킨다.
이 시밍척(100)은 각 시밍롤(200,300,400)이 가압할 때 시밍롤(200,300,400)의 가압 반대 방향에서 이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체(14)이면 카운터 싱크부(14C)에 삽입되고, 하부체이면 하부체의 오목한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전술한 과정으로 상부체(14)에 시밍척(100)이 안착되면, 플랜지(12A)가 밀착된 후크(14B)를 1차 시밍롤(200)로 시밍척(100) 측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1차 시밍롤(200)로 후크(14B)를 시밍척(100) 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후크(14B)는 플랜지(12A)와 겹쳐진 상태에서 원형으로 1차 말리게 된다. 이는 후크(14B)가 원호형으로 하향 절곡되어 있고, 1차 시밍롤(200)의 내측에는 후크(14B)가 원형으로 말리도록 안내하기 위한 말림 안내곡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플랜지(12A)와 후크(14B)가 원형으로 말려 1차 결합되면, 이 부위를 다시 2차 시밍롤(300)로 가압한다. 이때, 2차 시밍롤(300)의 내측에는 1차로 말려 원형이 된 후크(14B)가 더 원형으로 말리도록 1차 시밍롤(200)의 말림 안내곡면 보다 큰 말림 안내곡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1차로 말린 원형의 후크(14B)는 1회 더 말리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1차 시밍롤(200)에 의해 원형으로 말린 후크(14B)는 2차 시밍롤(300)에 의해 한 바퀴 더 말리게 되어 플랜지(12A)와 3중으로 겹쳐지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전술한 과정으로 2차 결합된 후크(14B)와 플랜지(12A)를 3차 시밍롤(400)로 가압한다. 3차 시밍롤(400)로 서로 겹쳐진 상태로 3중으로 말려진 후크(14B)와 플랜지(12A)를 가압하게 되면, 후크(14B)와 플랜지(12A)는 압착되면서 맞물려 견고하게 결합되어 3중 시밍부(18)를 형성하게 된다. 즉, 3중 시밍부(18)는 도 3a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2A)가 '∪'형과 '∩'으로 연이어 2중 절곡되고, 후크(14B)는 '∩' 형과 '∪'형 및 '∩'형으로 연이어 3중으로 절곡된 후 압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된 것이다.
이와 같이 상부체(14)에 폭발 방지부(30)가 구비되고, 상부체(14)와 몸체(12)가 3중 시밍부(18)에 의해 3중으로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캔 용기(1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상부체(14)가 변형될 때 폭발 방지부(30)가 파열되어 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그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2A)와 후크(14B)가 3중 시밍부(18)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캔 용기(10) 내부의 압력 상승시 상부체(14)가 상부로 변형되더라도 여전히 플랜지(12A)와 후크(14B)는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부체(14)가 몸체(12)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폭발 방지부(30)는 상부체(14)가 1차 변형되면서 파열되어 과압가스를 안전하게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캔 용기(10) 내부의 가스가 개방된 폭발 방지부(30)를 통하여 배출될 때까지 플랜지(12A)와 후크(14B)가 3중 시밍부(18)에 의해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폭발 방지부(30)가 파열되면서 개방되어 가스를 배출하기 전에 플랜지(12A)와 후크(14B)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상부체(14)가 몸체(12)로부터 분리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캔 용기(10)는 상부체(14)와 결합되는 몸체(12)의 소정 영역, 예를 들면, 3중 시밍부(18)가 형성되는 근접 영역에 지름이 줄어드는 네크부(19)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 예와 같다.
이와 같이 몸체(12)에 네크부(19)가 형성됨으로써 3중 시밍부(18)의 지름을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3중으로 겹쳐진 3중 시밍부(18)는 플랜지(12A)와 후크(14B)가 겹쳐진 상태로 1회 이상 말려 있기 때문에 그 지름이 몸체(12)의 지름보다 훨씬 크게 되나, 3중 시밍부(18)가 형성되는 영역의 몸체(12)에 지름이 점차 작아지는 네크부를 형성함으로써 3중 시밍부(18)의 지름이 작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이 3중 시밍부(18)의 지름이 작게 형성되면, 종래기술에 의한 캔 용기(10)의 사이즈에 적합하도록 된 각종 장치(예를 들면 휴대용 가스렌지)에 간섭없이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3중 시밍구조를 갖는 폭발 방지용 캔 용기와 일반적인 2중 시밍 구조를 갖는 캔 용기의 파열압을 실험하였다.
조건은 다음과 같다. 동일 석판(Top : 0.35T, Body : 0.20T , Bottom : 0.30T)으로 시밍 타입별로 각각 준비된 빈 캔 용기를 내압시험기로 파열압을 측정하였다.
결 과(㎏/㎠)\seaming type
3중시밍(Triple Seaming) 2중 시밍(Double Seaming)
sample 1 22.0 19.1
sample 2 21.4 19.0
sample 3 22.1 18.47
sample 4 21.1 18.6
sample 5 21.8 18.6
sample 6 21.6 18.4
sample 7 21.7 19.3
sample 8 21.2 19.4
sample 9 22.2 19.1
sample 10 21.9 18.8
결과 21.2 - 22.2㎏/㎠ 18.4 - 19.4 ㎏/㎠
위 표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중 시밍구조를 갖는 폭발 방지용 캔 용기의 파열압이 높게 측정되었다.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3중 시밍구조를 갖는 폭발 방지용 캔 용기와 일반적인 2중 시밍 구조를 갖는 캔 용기의 변형압을 실험하였다.
압력\seaming type 3중 시밍(Triple Seaming) 2중 시밍(Double Seaming)
변형압 15.3 - 16.4㎏/㎠ 15.3 - 16.4㎏/㎠
파열압 21.2 - 22.2㎏/㎠ 18.4 - 19.4㎏/㎠
위 표 2 및 도 8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다. 즉, 3중 시밍부를 갖는 캔 용기는 상부체와 하부체가 몸체에서 파열압을 종래기술에 의한 2중 시밍된 캔 용기의 파열압 보다 더 높은 압력에서 견딜 수 있도록 된 것이고, 상부체 및 하부체의 재질과 구조는 변함이 없기 때문에 변형압에 있어서는 2중 시밍이 된 캔용기와 동일하거나 비슷하다.
<실험 3>
화염 속에서의 파열은 캔 용기 내부의 과압가스에 의해 상부체가 빠른 속도로 순간적으로 변형이 시작된다. 이때, 2중 시밍된 캔 용기의 경우 상부체의 후크와 몸체의 플랜지가 견디지 못하고 펴져 상부체가 몸체에서 분리가 되며 파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체의 변형이 일어난 후 내부의 과압가스가 외부로 빠르게 배출이 되는 동안 변형압과 파열압 과의 차이는 적어도 약 5 ㎏/㎠ 이상의 충분한 여유가 있어야 변형이 된 후 가스가 배출이 되는 동안에도 내부 압력이 파열압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압력이 낮아지며 용기의 파열을 막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잔량별 작동실험을 실시하였다.
즉, 캔 용기의 내부에 가스 잔량을 각각 다르게 남긴 후 화염에 넣어 작동여부를 실험하였다.
시료\seaming type 3중 시밍(Triple Seaming) 2중 시밍(Double Seaming)
10%(22g) 10ea/10ea 8ea/10ea
20%(44g) 10ea/10ea 6ea/10ea
30%(66g) 10ea/10ea 8ea/10ea
40%(88g) 10ea/10ea 9ea/10ea
50%(110g) 10ea/10ea 9ea/10ea
60%(132g) 10ea/10ea 10ea/10ea
70%(154g) 10ea/10ea 10ea/10ea
80%(176g) 10ea/10ea 10ea/10ea
90%(298g) 10ea/10ea 10ea/10ea
100%(220g) 10ea/10ea 10ea/10ea
총 결과
100ea/100ea 90ea/100ea
100%작동 90%작동
표 3 및 도 9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100% 완충되어 있는 캔 용기보다는 10% - 30% 잔량이 남아 있는 캔 용기에서 2중 시밍된 제품이 3중 시밍된 본 발명에 따른 제품보다 불리함을 알 수 있다. 이는 100% 완충되어 있는 제품보다 잔량이 적을수록 고온에서 상대적으로 가열속도와 더불어 캔 용기의 내부압 상승속도가 빨라 순간적으로 변형이 시작되고 상부 체의 후크와 몸체의 플랜지가 견디지 못하고 펴져 상부체가 몸체에서 분리되며 파열되어 폭발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이며, 본 발명에 따른 3중 시밍된 캔 용기는 후크와 플랜지가 3중으로 겹쳐진 상태로 말려 결합되어 있어서 그렇지 않은 일반 2중 시밍된 제품보다 안전함을 알 수 있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용기 12 : 몸체
12A : 플랜지 14 : 상부체
14A : 연장부 14B : 후크
18 : 시밍부 19 : 네크부

Claims (13)

  1. 에어졸 용기 또는 부탄가스용 캔 용기로서,
    상기 캔 용기의 상부체에는 상부체의 1차 변형시에 개방되는 폭발 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캔 용기의 몸체에 구비된 플랜지와 상기 상부체에 구비된 후크가 밀착되어 겹쳐진 상태에서 3중으로 된 3중 시밍부에 의해 상기 상부체의 1차 변형 후에도 내부 과압가스에 의한 응력보다 큰 힘으로 결합이 유지되되,
    상기 플랜지가 '∪'형과 '∩'으로 연이어 2중 절곡되고, 상기 후크는 '∩' 형과 '∪'형 및 '∩'형으로 연이어 3중으로 절곡된 후 압착되면서 결합되어,
    상기 캔 용기의 내부 압력 상승시 상기 상부체의 1차 변형 후에도 상기 몸체와 상부체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폭발 방지부가 개방되어 과압가스가 완전히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3중 시밍부의 지름을 줄이기 위한 네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시밍구조를 갖는 폭발 방지용 캔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00099314A 2010-06-07 2010-10-12 3중 시밍구조를 갖는 폭발 방지용 캔 용기 KR101049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314A KR101049923B1 (ko) 2010-10-12 2010-10-12 3중 시밍구조를 갖는 폭발 방지용 캔 용기
TW100119247A TWI537512B (zh) 2010-06-07 2011-06-01 可攜式高壓氣體容器
JP2011126459A JP5562291B2 (ja) 2010-06-07 2011-06-06 携帯用高圧ガス容器
CN201110150407.9A CN102328794B (zh) 2010-06-07 2011-06-07 便携式高压气体储气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314A KR101049923B1 (ko) 2010-10-12 2010-10-12 3중 시밍구조를 갖는 폭발 방지용 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923B1 true KR101049923B1 (ko) 2011-07-15

Family

ID=44923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314A KR101049923B1 (ko) 2010-06-07 2010-10-12 3중 시밍구조를 갖는 폭발 방지용 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92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8014A1 (en) * 2012-06-25 2014-01-09 Illinois Tool Works Inc. Pressure relief device for pressurized container
KR101566241B1 (ko) 2014-10-07 2015-11-05 주식회사 대륙제관 과압 기화가스를 배출시키는 폭발방지 구조를 구비한 휴대용 가스용기
KR101572626B1 (ko) * 2015-07-07 2015-11-30 오제이씨(주) 가스용기 안전장치
WO2016013782A1 (ko) * 2014-07-21 2016-01-28 오제이씨 주식회사 가스용기 안전장치
WO2016013783A1 (ko) * 2014-07-21 2016-01-28 오제이씨 주식회사 가스용기 안전장치
KR20170000600U (ko) * 2015-08-06 2017-02-15 오제이씨(주) 가스용기 안전장치
KR101976485B1 (ko) * 2018-03-23 2019-05-14 (주)우연엘에프파레트 분해조립 및 운반적재가 용이한 팔레트
WO2022096247A1 (de) * 2020-11-04 2022-05-12 R. Stahl Schaltgeräte GmbH Explosionsgeschützte anordn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662A (ko) * 2003-06-24 2005-01-06 주식회사 대륙제관 폭발방지용 소형고압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662A (ko) * 2003-06-24 2005-01-06 주식회사 대륙제관 폭발방지용 소형고압 용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8014A1 (en) * 2012-06-25 2014-01-09 Illinois Tool Works Inc. Pressure relief device for pressurized container
CN104379468A (zh) * 2012-06-25 2015-02-25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用于加压容器的泄压装置
GB2520170A (en) * 2012-06-25 2015-05-13 Illinois Tool Works Pressure Relief Device For Pressurized Container
GB2520170B (en) * 2012-06-25 2017-12-13 Illinois Tool Works Pressure Relief Device For Pressurized Container
US9499330B2 (en) 2012-06-25 2016-11-22 Illinois Tool Works Inc Pressure relief device for pressurized container
WO2016013783A1 (ko) * 2014-07-21 2016-01-28 오제이씨 주식회사 가스용기 안전장치
WO2016013782A1 (ko) * 2014-07-21 2016-01-28 오제이씨 주식회사 가스용기 안전장치
KR101566241B1 (ko) 2014-10-07 2015-11-05 주식회사 대륙제관 과압 기화가스를 배출시키는 폭발방지 구조를 구비한 휴대용 가스용기
KR101572626B1 (ko) * 2015-07-07 2015-11-30 오제이씨(주) 가스용기 안전장치
KR20170000600U (ko) * 2015-08-06 2017-02-15 오제이씨(주) 가스용기 안전장치
KR200485396Y1 (ko) * 2015-08-06 2018-01-05 오제이씨(주) 가스용기 안전장치
KR101976485B1 (ko) * 2018-03-23 2019-05-14 (주)우연엘에프파레트 분해조립 및 운반적재가 용이한 팔레트
WO2022096247A1 (de) * 2020-11-04 2022-05-12 R. Stahl Schaltgeräte GmbH Explosionsgeschützte anordn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923B1 (ko) 3중 시밍구조를 갖는 폭발 방지용 캔 용기
US3850339A (en) Triple score pressure relief system for an aerosol container
US3918610A (en) Safety vent for a pressure container
US5249701A (en) Aerosol container with pressure release structure
US5211317A (en) Low pressure non-barrier type, valved dispensing can
EP1785371B1 (en) Can container
US20080164256A1 (en) Small Sized and High-Pressurized Container for Preventing Explosion
US3826412A (en) Pressure release valves for aerosol cans
CN105452743B (zh) 具有薄弱线的平截头体形破裂盘
JPH0473039B2 (ko)
US10633167B2 (en) Safety valve of gas container
GB2045353A (en) Gas cartridge
CN108884970B (zh) 安全阀和具有安全阀的液化气罐
CN102328794B (zh) 便携式高压气体储气罐
CN102939251B (zh) 压力容器的释压装置
US3786967A (en) Pressure relief system for an aerosol container
US3356257A (en) Safety plug for pressure vessels
US9499330B2 (en) Pressure relief device for pressurized container
US5513767A (en) Pressurized container
KR101002301B1 (ko) 고압 가스 용기
KR101566241B1 (ko) 과압 기화가스를 배출시키는 폭발방지 구조를 구비한 휴대용 가스용기
KR200297578Y1 (ko) 폭발방지용 에어로졸 용기
CA2569765C (en) Beaded thin wall large aerosol container
KR101396896B1 (ko) 폭발방지 기능을 구비한 가스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78617Y1 (ko) 폭발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823

Effective date: 2012041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EXTG Extinguishm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605

Effective date: 2012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