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898B1 -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제작방법, 그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와이어, 그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 및 그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제작방법, 그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와이어, 그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 및 그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898B1
KR101049898B1 KR1020110008176A KR20110008176A KR101049898B1 KR 101049898 B1 KR101049898 B1 KR 101049898B1 KR 1020110008176 A KR1020110008176 A KR 1020110008176A KR 20110008176 A KR20110008176 A KR 20110008176A KR 101049898 B1 KR101049898 B1 KR 101049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elding
seat belt
vehicle
bel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후기
Original Assignee
(주)대호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호기업 filed Critical (주)대호기업
Priority to KR102011000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14Tobacco cartridges f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Landscapes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제작방법, 그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와이어 , 그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 및 그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여러 가닥으로 꼬임된 와이어를 제작하는 단계; 와이어를 저항용접기의 용접팁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 저항용접기로 상기 와이어가 소정길이가 되도록, 상기 와이어의 절단부위에 전극을 통전시키고, 상기 절단부위를 용융시켜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고, 동시에, 절단된 상기 와이어의 양쪽 끝단이 용접되는 단계; 용접된 외어어 양쪽 끝단을 점용접장치에 의해 점용접하는 단계; 절단된 상기 와이어의 끝단부 각각에 제 1엔드앙카와 제 2엔트앙카를 삽입한 후 압축 결착시키는 단계; 및 제 1엔트앙카에 안전밸트 버클을 고정시키고, 폭약장치 연결부를 연결매체로 폭약장치를 상기 제 2 엔트앙카와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제작방법, 그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와이어, 그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 및 그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제조방법{Wire Connecting for Fixing Safety Belt of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ed}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제작방법, 그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와이어 , 그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 및 그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안정벨트 고정용 와이어를 제작함에 있어서, 저항용접방식을 적용하여 절단과 동시에 끝단을 용접하여 절단면이 변형되지 않고, 충분한 인장강도를 갖고, 생산 시간을 감소시킨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벨트가 구비된다. 안전벨트는 일단이 차제측에 고정되고, 자유단측 너클이 버클에 연결되며, 버클은 와이어를 매개로 차체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버클측 와이어에는 폭약장치가 구비되어 폭약 폭발시 역방향으로 되감기는 와이어를 매개로 순간적으로 버클을 잡아당기게 되어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몸이 차량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같이 안전벨트는 사고시 장력을 발휘하여 착용자를 보호하게 되며, 이때 장력은 와이어를 매개로 전달되게 된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연결장치(1)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와이어(2)의 양단구조를 살펴보면, 와이어(2)의 양단에는 각각 제 1엔드앙카(end anker, 31) 와 제 2 엔드앙카(32)가 연결된다. 이때 통상적으로 와이어(2)와 엔드앙카(31, 32)의 연결구조는 엔드 앙카(31, 32)의 단부를 육각형태로 압축하는 스웨징(swaging) 가공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같은 스웨징 고정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웨징 부분의 단면이 원형이 아니라 구불구불한 폐곡선 형태를 이루게 된다. 즉, 와이어(2) 고정단부에 변형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같이 스웨징 가공시 와이어(2)의 고정단부에서 변형이 일어나게 되면, 고정력이 약해져 잘 빠지게 된다는 단점을 갖게 된다. 이는 안전벨트가 가져야 하는 최대 인장강도를 저하시키게 되어 안정상의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또한, 스웨징 가동 전에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된 와이어(2)의 절단부를 살펴보면 와이어(2)를 이루는 각각의 단선들이 꼬임 자세에서 흩뜨러져 엔드 앙카(31, 32)의 구멍에 잘 들어가지 않아 조립 작업을 곤란하게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 고정단부의 변형을 감소시키고, 인장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와이어(2) 끝단을 가스용접하여 끝단부 각각에 용접비드(4)를 형성시킨 차량 고정용 안전벨트 와이어가 존재한다. 도 2는 종래 용접비드를 갖는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연결장치(3)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용접비드(4)를 갖는 와이어는 가스 용접에 의해 열융착된 용접비드(4)를 포함한다. 따라서, 안전벨트가 가져야할 최대 인장강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와이어(2)를 절단하는 과정과 용접비드(4)를 형성하기 위해 가스용접을 하는 과정이 따로따로 진행되고 별도의 기계로 진행 하여야 하기 때문에, 생산시간이 길고, 제조단가가 상승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방법의 경우 역시, 와이어(2)를 절단함에 있어서, 프레스 또는 절삭용 휠에 의해 절삭을 수행하기 때문에, 절삭 단면이 변형되고, 절단면이 밀리게 되는 현상(쓸림 현상)이 발생된다.
도 3a는 종래 절단방식으로 절단된 차량용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2)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또는 절삭용 휠에 의해 와이어(2)를 절단한 경우, 절단면이 변형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변형된 절단면을 가스용접에 의해 용접비드(4)를 형성하게 되면, 용접비드(4)의 직경이 절단 전 와이어 끝단의 직경보다 커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도 3b는 종래 절단방식으로 절단된 용접버드(4)를 갖는 차량용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와이어(2)의 끝단부 엔드 앙카의 구멍에 잘들어가지 않아 조립잡업을 곤란하게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엔드앙카를 조립하기 전, 별도의 수작업으로 그라인딩을 수행해야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해 지고, 효율적으로 와이어를 제작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또한, 종래에 절단된 와이어의 끝단을 점용접하여 와이어의 변형을 방지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이러한 방법은 절단된 복수의 와이어를 턴테이블에 하나씩 꼭고, 일일이 수작업으로 끝단을 점용접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 역시, 생산속도가 낮고,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를 절단과 동시에 용접이 가능한 방식을 채용하여 생산단가를 낮추고, 생산속도를 증가할 수 있는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의 제조방법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안정벨트 고정용 와이어를 제작함에 있어서, 저항용접방식을 적용하여 절단과 동시에 끝단을 용접하여 절단면이 변형되지 않고, 충분한 인장강도를 갖고, 생산 시간을 감소시킨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제작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를 절단함에 있어서, 프레스나 휠 등으로 절삭하지 않고, 저항용접방식에 의해 접촉면을 용융시켜 절단하기 때문에, 절단에 따른 쓸림 현상, 절단면 변형 현상없이 와이어를 절단할 수 있고, 저항용접방식을 사용하게 되므로, 절단과 동시에 끝단을 용접할 수 있는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제작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와이어의 끝단면은 와이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선 끝단이 서로 용접되어 용접단의 직경이 와이어의 직경보다 작게 되므로, 엔드앙카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엔드앙카와의 압축결합시 최대 인장강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제작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항용접방식에 따른 와이어 절단 및 용접 후 별도의 점용접을 수행할 때, 보다 신속한 점용점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제작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여러 단선이 꼬임된 와이어를 제작하는 단계; 와이어를 저항용접기의 용접팁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 및 저항용접기의 용접팁을 와이어의 절단부위에 접촉시키고, 절단부위에 전기를 통전시켜, 절단부위를 용융시켜서 와이어를 절단하고, 동시에, 절단된 와이어의 양쪽 끝단이 용접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제작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용접단계는, 와이어의 절단부위가 저항용접기의 용접팁 사이에 접촉되는 단계; 전압인가수단에 의해 용접팁에 전압을 인가하여 용접팁과 절단부위가 통전되는 단계; 및 절단부위가 저항가열되어 용융되고, 절단과 동시에 절단된 와이어의 끝단이 용접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용접된 와이어의 끝단 직경은 용접전 와이어 끝단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용접단계 후에, 점용접 장치에 의해 절단된 와이어의 양쪽 끝단 각각을 점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 각각을 와이어의 길이방향과 점용접용 턴 테이블의 평면방향과 수직되게 턴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하는 단계; 턴 테이블이 회전되는 단계; 및 점용접 장치가 와이어의 양쪽 끝단 각각을 점용접하여 와이어를 구성하는 복수개 단선 끝단이 서로 용접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가 턴 테이블의 반경방향과 수직된 열을 형성시켜도록, 와이어를 턴 테이블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앞서 언급한 와이어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로 달성될 수 있다.
와이어의 양쪽 끝단 각각은 점용접된 용접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 수 있다.
용접단의 직경은 와이어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용접단은 와이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선 끝단이 서로 용접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앞서 언급한 와이어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와이어; 와이어 끝단부 각각에 삽입된 후 압축 결착시켜 와이어의 끝단부에 고정되는 제 1엔드 앙카와 제 2엔드 앙카; 제 1엔드 앙카에 고정되는 안전벨트 버클; 및 제 2엔드 앙카에 고정되는 폭약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와이어의 양쪽 끝단 각각은 점용접된 용접단을 포함하고, 용접단의 직경은 와이어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폭약장치와 제 2엔드 앙카 사이에 구비된 폭약장치 연결부; 및 폭약장치 연결부와 감지센서전선으로 연결되고, 폭약장치의 작동을 지시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여러 가닥으로 꼬임된 와이어를 제작하는 단계; 와이어를 저항용접기의 용접팁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 저항용접기로 와이어가 소정길이가 되도록, 와이어의 절단부위에 전극을 통전시키고, 절단부위를 용융시켜 와이어를 절단하고, 동시에, 절단된 와이어의 양쪽 끝단이 용접되는 단계; 절단된 와이어의 끝단부 각각에 제 1엔드앙카와 제 2엔트앙카를 삽입한 후 압축 결착시키는 단계; 및 제 1엔트앙카에 안전밸트 버클을 고정시키고, 폭약장치 연결부를 연결매체로 폭약장치를 제 2 엔트앙카와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제작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용접단계 후에, 복수의 와이어 각각을 점용접용 턴 테이블의 상부면과 수직되게, 턴 테이블의 반경방향과 수직된 열을 형성하도록 턴 테이블에 설치하는 단계; 턴 테이블이 회전되는 단계; 및 점용접 장치기가 와이어의 양쪽 끝단 각각을 점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안정벨트 고정용 와이어를 제작함에 있어서, 저항용접방식을 적용하여 절단과 동시에 끝단을 용접하여 절단면이 변형되지 않고, 충분한 인장강도를 갖고, 생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를 절단함에 있어서, 프레스나 휠 등으로 절삭하지 않고, 저항용접방식에 의해 접촉면을 용융시켜 절단하기 때문에, 절단에 따른 쓸림 현상, 절단면 변형 현상없이 와이어를 절단할 수 있고, 저항용접방식을 사용하게 되므로, 절단과 동시에 끝단을 용접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와이어의 끝단면은 와이어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선 끝단이 서로 용접되어 용접단의 직경이 와이어의 직경보다 작게 되므로, 엔드앙카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엔드앙카와의 압축결합시 최대 인장강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항용접방식에 따른 와이어 절단 및 용접 후 별도의 점용접을 수행할 때, 보다 신속한 점용점방법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용접버드를 갖는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3a는 종래 절단방식으로 절단된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의 측면도,
도 3b는 종래 절단방식으로 절단된 용접버드를 갖는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의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의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제조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저항용접기의 용접팁 사이에 와이어가 장착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절단된 복수의 와이어가 점용접용 턴 테이블에 설치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연결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도 8의 A-A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장치 제조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1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10)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10)는 종래와 달리, 저항용접방식으로 와이어(10)를 절단하기 때문에, 절단과 동시에 와이어(10) 끝단이 용접되게 된다.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후, 절단면이 밀리거나, 단면이 확장되지 않는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용접방법에 의해 절단된 면은 동시에 끝단면이 용접되게 때문에, 와이어(10)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선(11) 가닥들의 끝단 각각이 서로 용접되게 된다. 그리고, 저항용접방식에 의해 절단된 끝단부에 대해 인장강도를 더욱 상승시키고, 변형을 방지시키기 위해 점용접 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점용접에 의해, 와이어(10) 양쪽 끝단에는 용접단이 형성된다. 이러한 용접단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0)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선(11)들이 서로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단의 직경은 와이어(10)의 직경보다 작음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저항용접방식에 의해 와이어(10)를 절단하는 경우, 밀림현상이나 단면 확장변형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생산시간 역시 감소되게 된다. 실험예에서, 직경 4mm 와이어(10)에 대한 저항용접에 의한 시간당 생산수량은 550EA/시간(hr) 정도이다. 따라서, 개당 생산소요시간은 약 7초 정도가 된다. 종래 방식에 따른 시간당 생산수량이 약 420EA/hr, 개당 생산소요시간이 약 9초에 해당하였던 것과 비교하여 제조시간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직경 6.5mm 와이어(10)에 대한 저항용접에 의한, 시간당 생산수량은 510EA/시간(hr) 정도이다. 따라서, 개당 생산소요시간은 약 7초 정도가 된다. 종래 방식에 따른 시간당 생산수량이 약 400EA/hr, 개당 생산소요시간이 약 9초에 해당하였던 것과 비교하여 제조시간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10)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10) 제조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복수개의 여러 가닥으로 단선(11)들이 꼬임된 와이어(10)를 제작하게 된다(S1). 그리고, 이러한 와이어(10)를 소정길이로 절단 및 용접하기 위해, 와이어(10)를 저항용접기의 용접팁(20) 사이에 설치하게 된다(S2).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저항용접기의 용접팁(20) 사이에 와이어(10)가 장착된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저항용접방식은, 용접하고자는 용접모재를 용접팁(20)에 접촉시키면 접촉면을 통해 전류를 흘리게 되고 따라서, 접촉부에는 저항발열이 발생된다. 이때 발생되는 저항발열에 의하여 접촉면이 용융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저항용접방식을 와이어(10) 절단에 적용하여, 절단과 동시에 절단된 와이어(10)의 끝단을 용접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가 공급되는 용접팁(20) 사이에 와이어(10)의 절단부위를 접촉시키고, 전압인가수단(21)에 의해 용접팁(20)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와이어(10)와 접촉된 절단부위에 전기가 통전되게 되고, 절단부위가 용융(약 1000℃)된다(S3). 따라서, 와이어(10)는 용접팁(20)과 접촉된 면에서 절단되게 되고, 동시에, 절단된 와이어(10)의 양쪽 끝단이 용접되게 된다(S4).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항용접방식에 의해 와이어(10)를 절단하게 되면, 와이어(10)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선(11) 끝단 각각이 서로 용접되게 때문에, 용접된 와이어(10)의 끝단 직경은 용접전 와이어의 끝단 직경보다 작게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와이어(10) 끝단면을 점용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팟 용접기 등의 점용접 장치(40)에 의해, 절단된 와이어(10)의 양쪽 끝단 각각을 점용접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절단된 복수의 와이어(10)가 점용접용 턴테이블(30)에 설치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복수의 와이어(10)(예를 들어, 10개) 각각을 점용접용 턴테이블(30)의 상부면에 구비된 설치대(32)에 설치하게 된다(S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0)의 길이방향과 점용접용 턴테이블(30)의 평면방향이 수직되도록 복수의 와이어(10)를 턴테이블(30) 상면에 설치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복수의 와이어(10)는 점용접용 턴테이블(30)의 반경 방향과 수직된 열을 형성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용점용 턴테이블(30)은 작업자가 와이어(10)를 설치하는 공간과 스팟용접기 등의 점용접 장치(40)에 의해 점용접을 수행하는 공간이 구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들 사이에 차단막(31)을 구비하고 있어, 점용접시 발생되는 용접광이 작업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와이어(10)가 설치된 점용접용 턴테이블(30)이 회전시켜, 설치된 와이어(10)가 점용접 수행 공간에 위치하도록 한다(S6). 점용접 수행 공간에는 점용접을 수행하기 위한 점용접 장치(4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설치된 와이어(10)가 턴테이블(30)의 회전에 의해 점용접 공간에 위치하게 되면, 점용접장치(40)는 와이어(10) 끝단과 점접촉하여 끝단을 점용접하게 된다(S7). 이러한 점용접에 의해 와이어(10)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선(11) 끝단이 용접되게 되고, 안전벨트에 요구되는 최대 인장강도를 더욱 상승시키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10) 연결장치(100)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0)의 양쪽 끝단부에 제 1엔트앙카(31)와 제 2엔트앙카(32)가 설치된다. 와이어(10) 끝단부에 엔드앙카(31, 32)를 삽입한 후 압축변형으로 결착시켜서 엔드앙카(31, 32)를 와이어(10)에 고정시킨다. 이때 압축결착은 스웨징 가공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육각헤머를 이용하여 압축시킴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앙카(31, 32)의 둘레는 육각형태를 갖게 된다.
이러한 엔드앙카(31, 32)는 와이어(10)의 끝단부와 압축 결착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10)는 저항용접방식으로 절단과 동시에 용접이 일어나기 때문에, 절단면이 변형되거나, 확장되지 않아 와이어(10) 끝단부와 엔드앙카(31, 32) 간의 풀림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최대 인장강도는 약 400kg/mm2정도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와이어(10)는 끝단부가 풀리거나 흩뜨러지지 않아 와이어(10)의 끝단부와 엔드앙카(31, 32) 사이의 삽입을 원할하게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10) 연결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장치는 앞서 설명한 와이어(10) 및 와이어(10) 끝단부 각각에 삽입된 후 압축 결착시켜 와이어(10)의 끝단부에 고정되는 제 1엔드앙카(31)와 제 2엔드앙카(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엔드앙카(31)에 고정되어 연결된 안전벨트 버클(50), 제 2엔드앙카(32)에 고정되는 폭약장치(7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폭약장치(70)와 제 2엔드앙카(32) 사이에 구비된 폭약장치 연결부(60)와 폭약장치 연결부(60)와 감지센서전선(61)으로 연결되고, 폭약장치(70)의 작동을 지시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 고정장치 제조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여러 가닥으로 꼬임된 와이어(10)를 제작하게 된다(S10). 그리고, 와이어(10)를 소정 길이로 절단 및 용접하기 위해 와이어(10)를 저항용접기의 용접팁(20) 사이에 설치하게 된다(S20).
그리고, 저항용접기로 와이어(10)의 절단부위에 전극을 통전시킨다. 통전에 의해 접촉면에 저항발열이 발생되어 절단부위가 용융되게 된다(S30). 따라서, 와이어(10)는 절단되게 되고, 동시에, 절단된 와이어(10)의 양쪽 끝단이 용접되게 된다(S40).
그리고, 절단된 상기 와이어(10)의 끝단부 각각에 제 1엔트앙카(31)와 제 2엔드앙카(32)를 삽입한 후 압축 결착시켜, 제 1엔트앙카(31)와 제 2엔트앙카를 와이어(10) 끝단부에 고정설치하게 된다(S50). 그리고, 제 1엔트앙카에 안전밸트 버클(50)을 고정시키고, 폭약장치 연결부(60)를 연결매체로 폭약장치(70)를 제 2 엔트앙카와 고정시키게 된다(S60).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항용접방식에 따른 와이어(10) 절단 및 용접단계 후에, 와이어(10) 끝단을 점용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1:종래 연결장치
2:종래 와이어
3:종래 용접비드를 갖는 연결장치
4:용접비드
10:와이어
11:단선
20:용접팁
21:전압인가수단
30:점용접용 턴테이블
31:차단막
32:설치대
40:점용접장치
50:안전벨트 버클
60:폭약장치 연결부
61:감지센서 전선
70:폭약장치
100:연결장치

Claims (15)

  1.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제작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여러 단선이 꼬임된 와이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와이어를 저항용접기의 용접팁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저항용접기의 상기 용접팁을 상기 와이어의 절단부위에 접촉시키고, 상기 절단부위에 전기를 통전시켜, 상기 절단부위를 용융시켜서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고, 동시에, 절단된 상기 와이어의 양쪽 끝단이 저항용접되는 단계;
    복수의 상기 와이어 각각을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과 점용접용 턴 테이블의 평면방향과 수직되게 상기 턴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턴 테이블이 회전되는 단계; 및
    점용접 장치가 상기 와이어의 양쪽 끝단 각각을 점용접하여 상기 와이어를 구성하는 복수개 상기 단선 끝단이 서로 용접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의 양쪽 끝단이 저항용접되는 단계는,
    상기 와이어의 절단부위가 상기 저항용접기의 상기 용접팁 사이에 접촉되는 단계;
    전압인가수단에 의해 상기 용접팁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용접팁과 상기 절단부위가 통전되는 단계; 및
    상기 절단부위가 저항가열되어 용융되고, 절단과 동시에 절단된 상기 와이어의 끝단이 용접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저항 용접된 상기 와이어의 끝단 직경은 저항 용접전 상기 와이어 끝단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제작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와이어가 상기 턴 테이블의 반경방향과 수직된 열을 형성시켜도록, 상기 와이어를 상기 턴 테이블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제작방법.
  7. 제1항의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양쪽 끝단 각각은 점용접된 용접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단의 직경은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단은 상기 와이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선 끝단이 서로 용접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11.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항에 의해 제작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 끝단부 각각에 삽입된 후 압축 결착시켜 상기 와이어의 끝단부에 고정되는 제 1엔드 앙카와 제 2엔드 앙카;
    상기 제 1엔드 앙카에 고정되는 안전벨트 버클; 및
    상기 제 2엔드 앙카에 고정되는 폭약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양쪽 끝단 각각은 점용접된 용접단을 포함하고, 상기 용접단의 직경은 상기 와이어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폭약장치와 상기 제 2엔드 앙카 사이에 구비된 폭약장치 연결부; 및
    상기 폭약장치 연결부와 감지센서전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폭약장치의 작동을 지시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
  14. 제11항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여러 가닥으로 꼬임된 와이어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와이어를 저항용접기의 용접팁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저항용접기로 상기 와이어의 절단부위에 전극을 통전시키고, 상기 절단부위를 용융시켜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고, 동시에, 절단된 상기 와이어의 양쪽 끝단이 용접되는 단계;
    절단된 상기 와이어의 끝단부 각각에 제 1엔드앙카와 제 2엔트앙카를 삽입한 후 압축 결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엔트앙카에 안전밸트 버클을 고정시키고, 폭약장치 연결부를 연결매체로 폭약장치를 상기 제 2 엔트앙카와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제작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단계 후에,
    복수의 상기 와이어 각각을 점용접용 턴 테이블의 상부면과 수직되게, 상기 턴 테이블의 반경방향과 수직된 열을 형성하도록 상기 턴 테이블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턴 테이블이 회전되는 단계; 및
    점용접 장치기가 상기 와이어의 양쪽 끝단 각각을 점용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제작방법.


KR1020110008176A 2011-01-27 2011-01-27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제작방법, 그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와이어, 그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 및 그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제조방법 KR101049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176A KR101049898B1 (ko) 2011-01-27 2011-01-27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제작방법, 그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와이어, 그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 및 그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176A KR101049898B1 (ko) 2011-01-27 2011-01-27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제작방법, 그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와이어, 그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 및 그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898B1 true KR101049898B1 (ko) 2011-07-19

Family

ID=44923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176A KR101049898B1 (ko) 2011-01-27 2011-01-27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제작방법, 그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와이어, 그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 및 그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8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427B1 (ko) 2015-11-06 2016-01-15 (주)대호 안전벨트용 와이어와 안전벨트용 와이어의 제작방법 및 안전벨트용 와이어의 제작장비
KR101750219B1 (ko) * 2017-03-06 2017-06-22 주식회사 대호 안전벨트 고정장치 및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제조 방법
KR101754036B1 (ko) * 2016-08-11 2017-07-05 김승완 와이어로프 절단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7954A (ja) * 1999-08-27 2001-03-16 Yazaki Corp ハーネス製造装置
KR100789791B1 (ko) * 2007-02-06 2008-01-03 (주)대호기업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연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7954A (ja) * 1999-08-27 2001-03-16 Yazaki Corp ハーネス製造装置
KR100789791B1 (ko) * 2007-02-06 2008-01-03 (주)대호기업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연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427B1 (ko) 2015-11-06 2016-01-15 (주)대호 안전벨트용 와이어와 안전벨트용 와이어의 제작방법 및 안전벨트용 와이어의 제작장비
KR101754036B1 (ko) * 2016-08-11 2017-07-05 김승완 와이어로프 절단 장치
KR101750219B1 (ko) * 2017-03-06 2017-06-22 주식회사 대호 안전벨트 고정장치 및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18175B2 (ja) 線材の接合方法
JP5752250B2 (ja) 電気導体を電気接点部材に接続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6032558B2 (ja) 端子金具付き導体
JP5601259B2 (ja) 端子金具
JP5196562B2 (ja) アルミ電線と銅電線の接続方法及びその接続体
KR101049898B1 (ko)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제작방법, 그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와이어, 그 와이어가 포함된 안전벨트 고정장치 및 그 안전벨트 고정장치의 제조방법
CN109980481B (zh) 装接有端子的电线的制造方法和装接有端子的电线
JP6655056B2 (ja) 電線の導体の超音波接合方法、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および電線
CA2635432A1 (en) Bolt for projection welding and method of welding the same
JP4051264B2 (ja) スパークプラグの製造方法
EP1121736B1 (en) Application of precious metal to spark plug electrode
KR20120080617A (ko) 전선 말단 처리 방법
JP2010073452A (ja) 端子付き絶縁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絶縁電線と端子との接続方法
JP6569124B2 (ja) 導電部材製造方法、導電部材及び金型
KR101585427B1 (ko) 안전벨트용 와이어와 안전벨트용 와이어의 제작방법 및 안전벨트용 와이어의 제작장비
JPH10154570A (ja) 絶縁電線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WO2015141440A1 (ja) 端子および該端子の電線接続構造
JP2005144532A (ja) 超音波溶接装置及び超音波溶接方法
JP2019121467A (ja) 端子付き電線、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5524553B2 (ja) バスバーへの溶接構造、およびバスバーへの溶接方法
JPH0982375A (ja) 電線接続方法
KR100789791B1 (ko)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용 와이어 연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714249B2 (ja) スパークプラグ
JP2005319483A (ja) 超音波溶接装置
JP5555464B2 (ja) 制御装置の端子の溶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