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738B1 -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738B1
KR101049738B1 KR1020110007948A KR20110007948A KR101049738B1 KR 101049738 B1 KR101049738 B1 KR 101049738B1 KR 1020110007948 A KR1020110007948 A KR 1020110007948A KR 20110007948 A KR20110007948 A KR 20110007948A KR 101049738 B1 KR101049738 B1 KR 101049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light source
optical sheet
sheet
poin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인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텍
Priority to KR1020110007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738B1/ko
Priority to PCT/KR2012/000316 priority patent/WO2012102502A2/ko
Priority to CN2012800056345A priority patent/CN103348181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2/00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8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21/008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simulation of a starry sky or firma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명기구는 점광원 형태의 광을 조사하는 점광원장치; 그리고 상기 점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재귀반사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광학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광학시트는 상기 점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집광 및 확산하는 곡면 형상의 엠보싱면을 구비하는 엠보싱 시트와 집광된 상기 광을 상기 엠보싱면을 향해 반사하는 반사시트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조명기구{LIGHTING DEVICE INCLUDING OPTICAL SHEET}
본 발명은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광원 형태의 광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형성하는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구는 야간이나 조도가 낮은 공간에서 높은 조도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며, 광을 제공하는 것을 1차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조명기구는 1차적인 목적 외에도 실내장식을 위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광이 투과할 수 있는 스크린에 이미지를 인쇄하고, 스크린 뒤에 광원을 설치하여 스크린을 향해 광을 조사함으로써, 스크린에 인쇄된 이미지를 관찰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점광원을 통해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작이나 분해가 용이한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명기구는 점광원 형태의 광을 조사하는 점광원장치; 그리고 상기 점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재귀반사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광학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광학시트는 상기 점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집광 및 확산하는 곡면 형상의 엠보싱면을 구비하는 엠보싱 시트와 집광된 상기 광을 상기 엠보싱면을 향해 반사하는 반사시트를 구비한다.
상기 조명기구는 상부링 및 하부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광학시트의 제1 변은 상기 상부링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고 상기 제1 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상기 광학시트의 제2 변은 상기 하부링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변과 인접한 상기 광학시트의 제3 및 제4 변은 서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차단된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점광원장치는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광학시트를 향해 광을 조사하며 상기 이미지는 상기 내부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링은 상기 상부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링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상부고정홀들을 가지고, 상기 하부링은 상기 하부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링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고정홀들을 가지며, 상기 조명기구는 상기 상부링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변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링의 상부로부터 상기 상부고정홀들에 각각 삽입설치되는 복수의 상부후크들을 구비하는 상부밴드; 그리고 상기 하부링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변이 고정되며, 상기 하부링의 하부로부터 상기 하부고정홀들에 각각 삽입설치되는 복수의 하부후크들을 구비하는 하부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기구는 상기 광학시트의 제3 및 제4 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3 변과 제4 변을 연결하는 지퍼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링은 상기 상부링의 중심을 가로지르며 상기 내부공간과 대향하는 일면에 상기 상부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상부연결고리들을 구비하는 상부연결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링은 상기 하부링의 중심을 가로지르며 상기 내부공간과 대향하는 일면에 상기 하부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하부연결고리들을 구비하는 하부연결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점광원 장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 그리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에 전류를 인가하며, 상기 상부연결고리들 및 상기 하부연결고리들에 고정되는 와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점광원 장치는 상기 와이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류가 입력되는 입력소켓 및 상기 와이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내부를 흐르는 전류가 출력되는 출력소켓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점광원 장치는 면광원; 그리고 상기 면광원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면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퉁과하는 복수의 관통홀들을 가지는 점광원변환시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점광원을 통해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용이하게 조명기구를 제작하거나 분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광원 및 광학시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엠보싱시트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엠보싱시트를 통해 나타난 이미지를 나타내는 모습이다.
도 7은 다른 엠보싱시트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엠보싱시트를 통해 나타난 이미지를 나타내는 모습이다.
도 9는 또 다른 엠보싱시트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엠보싱시트를 통해 나타난 이미지를 나타내는 모습이다.
도 11은 면광원 타입의 광원 및 점광원변환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조명기구를 여러 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상부링 및 상부밴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한 하부링 및 하부밴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한 상부링 및 하부링에 각각 고정된 상부밴드 및 하부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한 광학시트와 광학시트에 고정된 상부밴드 및 하부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하부링 및 하부밴드와 보조연결구 및 지지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한 상부링 및 상부밴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한 광섬유와 광원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21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언급하는 '상부' 및 '하부'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었으며, 발명의 내용이 위와 같은 용어에 의해 한정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하는 '연결'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해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 형상의 조명기구를 설명하고 있으나, 조명기구의 형상은 액자형이나 입방체형, 원뿔형이나 완전구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기구는 상부링(12) 및 하부링(32), 상부밴드(42) 및 하부밴드(52), 그리고 광학시트(60)를 포함한다. 상부링(12) 및 하부링(32)은 원형링 형상이며, 상부밴드(42) 및 하부밴드(52)는 상부링(12) 및 하부링(32)의 둘레에 연결되어 원형링 형상을 이룬다. 광학시트(60)의 상부변 및 하부변은 상부밴드(42) 및 하부밴드(52)에 각각 고정되며, 고정된 상태에서 광학시트(60)의 종단면은 원형을 이룬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시트(60)는 상부밴드(42) 및 하부밴드(52)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광학시트(60)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내부공간은 광학시트(60)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단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링(12) 및 하부링(32)이 원형링이므로 광학시트(60)의 종단면이 원형을 이루나, 본 실시예와 달리, 상부링(12) 및 하부링(32)은 다각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고정설치된 광학시트(60)의 종단면은 다각형을 이룰 수 있다.
조명기구는 점광원장치를 더 포함하며, 점광원장치는 와이어(72) 및 복수의 광원들(74)을 구비한다. 와이어(72)는 광원들(7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류는 와이어(72)를 통해 광원들(74)에 각각 공급될 수 있다. 광원(74)은 점광원 타입(예를 들어, 직경 0.2mm 내지 20mm의 발광 다이오드(LED))일 수 있으며, 광학시트(60)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단된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전류공급시 광학시트(60)를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74)은 상하방향으로 10mm 내지 200mm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광학시트(60)로부터 5mm 내지 300mm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광원(74)이 광학시트(60)에 근접할수록 후술하는 입체이미지는 작고 선명하게 나타나며, 광원(74)이 광학시트(60)로부터 이격될수록 후술하는 입체이미지는 크고 희미하게 나타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광원 및 광학시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광학시트(60)(예를 들어, 재귀반사시트나 마이크로 프리즘 시트, 렌티큘라 렌즈 시트, 프레넬 렌즈시트를 포함한다)는 반사시트(66) 및 엠보싱시트(68)를 구비하며, 광원(74)으로부터 광학시트(60)에 입사된 광을 집광 및 반사시킨 후 다시 광원(74)을 향해 반사시키는 광학적인 특성(재귀반사 특성)을 가진다. 엠보싱시트(68)는 반사시트(66)의 일면에 위치하며, 광원(74)을 향해 볼록한 엠보싱면(69)을 가진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74)으로부터 조사된 광은 엠보싱면(69)을 투과하면서 굴절되어 집광되며, 집광된 광은 반사시트(66)에 의해 엠보싱면(69)을 향해 반사된다. 광은 엠보싱면(69)을 투과하면서 다시 굴절되어 확산되며, 이를 통해 광원(74)과 광학시트(60) 사이에 입체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엠보싱시트(68)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서 본 엠보싱면(69)은 삼각 형상이며, 복수의 엠보싱면들(69)이 연속하여 형성된다. 엠보싱면들(69)의 사이에는 삼각형 모양의 골이 형성되며, 골과 골이 만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볼 때, 여섯 개의 엠보싱면(69)이 모여 하나의 정육각형을 이룬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 형상의 단위 엠보싱면(69)을 기준으로 볼 때, 엠보싱면(69)은 곡면을 이루며, 삼각형의 중심부로 갈수록 엠보싱면(69)은 높아지고 삼각형의 변으로 갈수록 엠보싱면(69)은 낮아지는 형상이다. 엠보싱면(69)은 10 ㎛ 내지 200 ㎛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엠보싱시트를 통해 나타난 이미지를 나타내는 모습이며, 광학시트(60) 상에 이미지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엠보싱시트(68)가 광원(74)과 대향되는 반사시트(66)의 일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엠보싱시트(68)는 반사시트(66)의 반대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광학시트(60)를 설명하고 있으나, 둘 이상의 광학시트(60)가 겹쳐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서로 다른 광학시트(60)를 나란히 이어붙임으로써 광학시트(60)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입체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엠보싱시트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엠보싱시트를 통해 나타난 이미지를 나타내는 모습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 개의 엠보싱면들(69)이 모여 형성된 하나의 단위 엠보싱소자를 기준으로 볼 때, 엠보싱소자는 엠보싱면(69)을 면으로 하는 삼각뿔 형상이며, 복수의 엠보싱소자들이 연속하여 형성된다. 엠보싱소자들의 사이에는 삼각형 모양의 골이 형성되며, 골과 골이 만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볼 때, 여섯 개의 엠보싱소자들이 모여 하나의 정육각형(상부에서 보았을 때)을 이룬다. 엠보싱소자의 밑면은 10 ㎛ 내지 200 ㎛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엠보싱시트를 통해 나타난 이미지를 나타내는 모습이며, 광학시트(60) 상에 이미지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엠보싱시트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엠보싱시트를 통해 나타난 이미지를 나타내는 모습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엠보싱면(69)은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물결 형상을 가지며, 산과 골은 조명기구의 상하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다(즉, 산과 골은 조명기구의 상하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됨).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엠보싱시트를 통해 나타난 이미지를 나타내는 모습이며, 광학시트(60) 상에 이미지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점광원장치는 점광원변환시트(7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점광원 타입의 광원(74)은 면광원 타입의 광원(74)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1은 면광원 타입의 광원(74) 및 점광원변환시트(76)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점광원변환시트(76)는 복수의 관통홀들(76a)을 가지며, 광원(74)으로부터 조사된 광은 관통홀(76a)을 통해 각각 방출되며, 이때, 관통홀(76a)의 형상에 의해 방출된 광은 점광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입력소켓(2)은 와이어(72)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출력소켓(4)은 와이어(72)의 타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소켓(1)을 입력소켓(2)에 체결한 후 전원플러그(P)를 외부전원에 연결하면, 전류는 연결소켓(1)을 통해 입력소켓(2)에 인가될 수 있으며, 인가된 전류는 와이어(72)를 통해 광원(74)에 공급된다. 스위치(S)는 연결소켓(1)을 통해 인가되는 전류를 단속하며, 이를 통해 광원들(74)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점멸할 수 있다.
출력소켓(4)은 별도의 연장케이블을 통해 다른 조명기구의 입력소켓에 연결될 수 있으며, 와이어(72)의 내부를 흐르는 전류는 출력소켓(4)을 통해 다른 조명기구의 입력소켓에 인가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조명기구를 여러 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즉, 연장케이블은 와이어(W)와 와이어(W)의 양측에 연결된 연장소켓(3,5)을 구비하며, 연장소켓(3)은 입력소켓(2)에 연결되고 연장소켓(5)은 출력소켓(4)에 연결되어 복수의 조명기구들을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부링(12)은 하나 이상의 상부연결바(1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부연결바(14)는 상부링(12)의 중심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상부연결바들(14)은 서로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부연결바들(14)은 상부면에 제공된 상부지지고리들(15)을 가지며, 와이어(W)는 상부지지고리들(15)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천정(도시안함)에 고정되어 조명기구를 천정에 매달아 설치할 수 있다. 하부링(32)은 하나 이상의 하부연결바(34)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하부연결바(34)는 하부링(32)의 중심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하부연결바들(34)은 서로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상부링 및 상부밴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에 도시한 하부링 및 하부밴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링(12)은 상부연결고리들(13)을 가지며, 상부연결고리들(13)은 광원(74)이 설치되는 내부공간과 대향되는 하부면에 배치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링(32)은 하부연결고리들(33)을 가지며, 하부연결고리들(33)은 광원(74)이 설치되는 내부공간과 대향되는 상부면에 배치된다. 앞서 설명한 와이어(72)는 상부연결고리들(13) 및 하부연결고리들(33)에 의해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부연결바(14)는 상부링(12)의 중앙에 위치하는 상부홀(18)을 가지며, 와이어(72)의 입력측 및 출력측은 상부홀(18)을 통해 상부연결바(14)의 상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입력소켓(2)은 와이어(72)의 입력측에 연결되며, 출력소켓(4)은 와이어(72)의 출력측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72)는 상부연결바(14)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고정플러그(17) 및 보조홀더(19)를 각각 관통하며, 고정플러그(17) 및 보조홀더(19)는 와이어(72)를 고정하여 와이어(7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밴드(42)는 상부링(12)에 연결되며, 광학시트(60)의 상부변은 상부밴드(42)와 상부링(12) 사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부링(12)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상부고정홀들(12a)을 가지며, 상부밴드(42)는 상부고정홀(12a)에 삽입고정되는 상부후크(44)를 구비한다. 상부밴드(42)는 상부링(12)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부후크(44)는 상부링(12)의 상부로부터 상부고정홀(12a)에 삽입설치되어 상부밴드(42)가 상부링(1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찬가지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밴드(52)는 하부링(32)에 연결되며, 광학시트(60)의 하부변은 하부밴드(52)와 하부링(32) 사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하부링(32)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하부고정홀들(32a)을 가지며, 하부밴드(52)는 하부고정홀(32a)에 삽입고정되는 하부후크(54)를 구비한다. 하부밴드(52)는 하부링(32)의 외측에 배치되며, 하부후크(54)는 하부링(32)의 하부로부터 하부고정홀(32a)에 삽입설치되어 하부밴드(52)가 하부링(3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5는 도 1에 도시한 상부링 및 하부링에 각각 고정된 상부밴드 및 하부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한 광학시트와 광학시트에 고정된 상부밴드 및 하부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시트(60)는 사각 형상일 수 있으며, 광학시트(60)의 상부변은 상부밴드(42)에 고정되고 광학시트(60)의 하부변은 하부밴드(52)에 고정된다. 상부밴드(42)는 하부를 향해 돌출된 상부후크(44)를 구비하며, 상부밴드(42)는 상부후크(44)를 통해 상부링(12)에 고정된다. 하부밴드(52)는 상부를 향해 돌출된 하부후크(54)를 구비하며, 하부밴드(52)는 하부후크(54)를 통해 하부링(32)에 고정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학시트(60)는 상부밴드(42) 및 하부밴드(52)에 의해 상부링(12) 및 하부링(32)에 연결되며, 연결된 상태에서 광학시트(60)가 완전한 원통 형상을 이루기 위해서는 광학시트(60)의 좌측변과 우측변을 연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하나의 지퍼이빨(62a)이 광학시트(60)의 우측변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지퍼이빨(62b)이 광학시트(60)의 좌측변에 연결될 수 있다. 지퍼이빨(62a,62b)은 초음파 융착 방식을 통해 광학시트(60)에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더(64)는 지퍼이빨(62a,62b)을 따라 이동하여 두 개의 지퍼이빨(62a,62b)을 연결하며, 이를 통해 광학시트(60)의 좌측변과 우측변은 서로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원(74)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좌측변과 우측변의 이음새를 통해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지퍼이빨(62a,62b) 및 슬라이더(64)를 통해 광학시트(60)의 두 변을 연결할 경우, 원통 형상의 조명기구를 용이하게 제작하거나 분해할 수 있다. 즉, 광학시트(60) 자체를 원통 형상으로 제작할 경우, 광학시트(60)의 부피로 인해 운반이나 수납이 곤란하다. 반면에, 사각형의 광학시트(60) 중 두 변은 상부밴드(42) 및 하부밴드(52)에 연결하고, 광학시트(60) 중 나머지 두 변은 지퍼이빨(62a,62b) 및 슬라이더(64)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통 형상의 광학시트(60)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명기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할 경우, 사용자는 역순으로 조명기구를 분해할 수 있으며, 광학시트(60)는 사각형의 시트(sheet) 형상이므로, 둥글게 말아 용이하게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하다.
조명기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치(S)를 작동하여 와이어(72)에 전류를 공급하면, 광원(74)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점멸할 수 있다. 이때, 광원(74)으로부터 광학시트(60)를 향해 조사된 광은 광학시트(60)에 의해 반사되어 광원(74)을 향하며, 광원(74)과 광학시트(60) 사이에서 수렴되어 일정한 형상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즉, 광원(74)은 점광원 타입이므로 일정한 형태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없으나, 광학시트(60)의 일면에 패터닝된 엠보싱면(69)은 재귀반사를 통해 조사된 광으로부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이미지는 엠보싱면(69)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므로, 엠보싱면(69)의 형상을 달리함으로써 생성되는 이미지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구별되는 내용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이하에서 생략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다.
조명기구는 보조연결구(82) 및 지지프레임(84), 그리고 지지홀더(85)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연결바(34)는 하부링(32)의 중앙에 위치하는 하부홀(38)을 가지며, 하부홀(38)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연결구(82)는 하부홀(38)에 삽입고정되며, 보조연결구(82)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은 하부홀(38)의 나사산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보조연결구(82)는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이며, 지지프레임(84)의 상단은 보조연결구(82)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지지프레임(84)은 지면에 설치되어 조명기구를 지지하며, 지지프레임(84)의 상단은 보조연결구(82)를 관통하는 체결구(예를 들어, 나사와 같은)를 통해 보조연결구(82)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이때, 조명기구의 안정한 지지를 위해 세 개 이상의 지지프레임들(84)이 제공될 수 있으며, 세 개 이상의 지지프레임들(84)은 일정 각도를 이루어 조명기구를 지지한다. 이때, 지지홀더(85)를 통해 지지프레임(84)의 상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지지홀더(85)는 지지프레임(84)의 상부를 조여 조명기구의 하중에 의해 지지프레임들(84)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홀더(85)는 별도의 체결구(예를 들어, 나사와 같은)를 통해 지지프레임들(84)을 단단하게 조일 수 있다. 한편, 와이어(72)의 입력측 및 출력측은 하부홀(38)에 삽입된 지지프레임들(83)의 사이를 통과하여 하부연결바(34)의 하부로 인출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하부링 및 하부밴드와 보조연결구 및 지지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9는 도 17에 도시한 상부링 및 상부밴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링(32)은 하부연결고리들(33)을 가지며, 하부연결고리들(33)은 광원(74)이 설치되는 내부공간과 대향되는 상부면에 배치된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링(12)은 상부연결고리들(13)을 가지며, 상부연결고리들(13)은 광원(74)이 설치되는 내부공간과 대향되는 하부면에 배치된다. 앞서 설명한 와이어(72)는 상부연결고리들(13) 및 하부연결고리들(33)에 의해 각각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밴드(52)는 하부링(32)에 연결되며, 광학시트(60)의 하부변은 하부밴드(52)와 하부링(32) 사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하부링(32)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하부고정홀들(32a)을 가지며, 하부밴드(52)는 하부고정홀(32a)에 삽입고정되는 하부후크(54)를 구비한다. 하부밴드(52)는 하부링(32)의 외측에 배치되며, 하부후크(54)는 하부링(32)의 하부로부터 하부고정홀(32a)에 삽입설치되어 하부밴드(52)가 하부링(3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밴드(42)는 상부링(12)에 연결되며, 광학시트(60)의 상부변은 상부밴드(42)와 상부링(12) 사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부링(12)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상부고정홀들(12a)을 가지며, 상부밴드(42)는 상부고정홀(12a)에 삽입고정되는 상부후크(44)를 구비한다. 상부밴드(42)는 상부링(12)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부후크(44)는 상부링(12)의 상부로부터 상부고정홀(12a)에 삽입설치되어 상부밴드(42)가 상부링(1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1은 도 20에 도시한 광섬유와 광원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기구는 원통형의 투명관(92) 및 지지판(94), 그리고 지지판(94)에 고정된 복수의 광섬유들(75)을 포함할 수 있다. 광섬유들(75)은 투명관(92)의 길이방향과 대체로 나란하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광섬유들(75)의 상단부는 지지판(94)에 형성된 관통홀들(94a)을 각각 관통하여 지지판(94)의 상부에 설치된 광원(74)에 연결된다. 광원(74)으로부터 발산된 광은 광섬유들(75)의 내부를 통과하며, 이를 통해 광섬유들(75)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일종의 점광원(도 16에 검게 표시한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광학시트(60)는 투명관(92)의 일면(예를 들어, 내면이나 외면)에 나선 형상으로 부착되며, 광학시트(60)가 부착된 부분의 경우, 광섬유(75)로부터 점광원 형태로 제공된 광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다. 광학시트(60)가 부착되지 않은 부분의 경우, 광섬유(75)로부터 제공된 광이 투명관(92)을 통해 단순 투과된다.
한편, 인쇄회로기판(PCB)(96) 및 전원공급장치(SMPS)(98)는 지지판(94)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96)은 광원(74)에 연결되며, 컨트롤러(96a)는 인쇄회로기판(96)에 실장되어 광원(74)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컨트롤러(96a)에 입력된 프로그램을 변경할 경우, 광원(74)의 점멸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98)는 전원플러그(P)에 연결되며, 전원플러그(P)를 통해 전류가 공급되면, 공급된 전류를 원하는 형태로 변환하여 인쇄회로기판(96)에 공급한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연결소켓 2 : 입력소켓
4 : 출력소켓 11 : 상부개구
12 : 상부링 13 : 상부연결고리
14 : 상부연결바 15 : 상부지지고리
17 : 고정플러그 18 : 상부홀
19 : 보조홀더 31 : 하부개구
32 : 하부링 33 : 하부연결고리
34 : 하부연결바 42 : 상부밴드
44 : 상부후크 52 : 하부밴드
54 : 하부후크 60 : 광학시트
62a, 62b : 지퍼이빨(teeth) 64 : 슬라이더
72 : 와이어 82 : 보조연결구
84 : 지지프레임 85 : 지지홀더

Claims (6)

  1. 점광원 형태의 광을 조사하는 점광원장치;
    상기 점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재귀반사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점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집광 및 확산하는 엠보싱면을 구비하는 엠보싱 시트와, 집광된 상기 광을 상기 엠보싱면을 향해 반사하는 반사시트를 구비하는 광학시트;
    상기 광학시트의 제1 변이 둘레를 따라 연결되는 상부링; 및
    상기 제1 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상기 광학시트의 제2 변이 둘레를 따라 연결되는 하부링을 포함하되,
    상기 광학시트는 상기 제1 및 제2 변과 인접한 상기 광학시트의 제3 및 제4 변이 서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차단된 내부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점광원장치는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광학시트를 향해 광을 조사하여 상기 이미지는 상기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은 상기 상부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링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상부고정홀들을 가지고, 상기 하부링은 상기 하부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링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하부고정홀들을 가지며,
    상기 조명기구는,
    상기 상부링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변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링의 상부로부터 상기 상부고정홀들에 각각 삽입설치되는 복수의 상부후크들을 구비하는 상부밴드; 및
    상기 하부링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변이 고정되며, 상기 하부링의 하부로부터 상기 하부고정홀들에 각각 삽입설치되는 복수의 하부후크들을 구비하는 하부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은 상기 상부링의 중심을 가로지르며 상기 내부공간과 대향하는 일면에 상기 상부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상부연결고리들을 구비하는 상부연결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링은 상기 하부링의 중심을 가로지르며 상기 내부공간과 대향하는 일면에 상기 하부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하부연결고리들을 구비하는 하부연결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점광원 장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에 전류를 인가하며, 상기 상부연결고리들 및 상기 하부연결고리들에 고정되는 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광원 장치는 상기 와이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류가 입력되는 입력소켓 및 상기 와이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내부를 흐르는 전류가 출력되는 출력소켓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6. 삭제
KR1020110007948A 2011-01-26 2011-01-26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KR101049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948A KR101049738B1 (ko) 2011-01-26 2011-01-26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PCT/KR2012/000316 WO2012102502A2 (ko) 2011-01-26 2012-01-13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CN2012800056345A CN103348181A (zh) 2011-01-26 2012-01-13 含光学片的照明灯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948A KR101049738B1 (ko) 2011-01-26 2011-01-26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738B1 true KR101049738B1 (ko) 2011-07-19

Family

ID=4492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948A KR101049738B1 (ko) 2011-01-26 2011-01-26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049738B1 (ko)
CN (1) CN103348181A (ko)
WO (1) WO201210250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523B1 (ko) * 2015-06-08 2015-09-17 김재현 장식성이 우수한 천정 인테리어 조명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953A (ko) * 2001-01-19 2002-07-25 주식회사 다카포 발광장치가 구비된 깃대
KR20080029034A (ko) * 2006-09-28 200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9350A (en) * 1974-08-07 1976-04-06 Smith Richard D Ornamental lighting device
CN2030687U (zh) * 1987-10-28 1989-01-11 徐建国 可变化的彩色亮线图案多用途灯具
JP2001202040A (ja) * 2000-01-17 2001-07-27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反射材、反射材の製造方法および内照表示装置
CN2929449Y (zh) * 2006-06-30 2007-08-01 寿文杰 带框架和金葱片造型的灯串
KR20080093205A (ko) * 2007-04-16 2008-10-21 이범희 발광다이오드식 조명구조
KR100905502B1 (ko) * 2008-11-10 2009-07-01 현대통신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953A (ko) * 2001-01-19 2002-07-25 주식회사 다카포 발광장치가 구비된 깃대
KR20080029034A (ko) * 2006-09-28 200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523B1 (ko) * 2015-06-08 2015-09-17 김재현 장식성이 우수한 천정 인테리어 조명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02502A2 (ko) 2012-08-02
WO2012102502A3 (ko) 2012-10-04
CN103348181A (zh) 2013-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892Y1 (ko) 최대 집광효과에 도달할 수 있는 조명장치
KR101417562B1 (ko) 조명 장치
JP3149590U (ja) Ledを光源とする照明装置
TW200627638A (en) LED light system
EP1730589A1 (en) Flashlight for forming uniform image
JP2011028996A (ja) Led光源ユニット、面状照明装置及び看板
JP6486926B2 (ja) 発光装置
RU2707185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5202692B2 (ja) 照明装置
KR101115394B1 (ko) 조명장치
CN207527398U (zh) 一种补光灯及摄像机
KR101049738B1 (ko)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JP6146793B2 (ja) 発光装置用レンズ、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JP5713819B2 (ja) 接続ユニット
JP5918835B2 (ja) 照明装置
CN104105996A (zh) 使用微光学元件以用于由点源照射的发光形象结构中的深度感知
JP2011175780A (ja) 照明器具
KR20090126408A (ko) 측 단면 조명 방식의 화면 장치
JP2005183591A (ja) 発光装置及び照明器具
JP3152991U (ja) 光反射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JP2013093283A (ja) 照明器具
KR101127993B1 (ko) Led 면등
JP4461782B2 (ja) 照明器具
JP6273648B2 (ja) 照明器具
US20150168639A1 (en) Light-emitting device for generating a specific light pattern and light-guiding unit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