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1953A - 발광장치가 구비된 깃대 - Google Patents

발광장치가 구비된 깃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1953A
KR20020061953A KR1020010003094A KR20010003094A KR20020061953A KR 20020061953 A KR20020061953 A KR 20020061953A KR 1020010003094 A KR1020010003094 A KR 1020010003094A KR 20010003094 A KR20010003094 A KR 20010003094A KR 20020061953 A KR20020061953 A KR 20020061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post
emitting element
upper pipe
flag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카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카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카포
Priority to KR1020010003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1953A/ko
Publication of KR20020061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95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2Flagp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66Stands for fla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깃봉; 상기 깃봉 또는 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납되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전원공급부에 접속되어 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깃대가 제공된다.
본 발광장치가 구비된 깃대는, 야간에 깃봉 및 포스트가 발광되므로 식별이 용이하고 뛰어난 미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광장치가 구비된 깃대{Flagpole including light-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발광장치가 구비된 깃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旗)를 지지하는 깃대가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와 더불어 뛰어난 미관을 제공하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깃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깃대는 포스트(Post)와 깃봉으로 구성되어 국가나 단체를 상징하는 기(旗)는 물론, 경기장이나 행사장에서의 경축, 홍보용 기를 지지하게 된다.
기(旗)는 시각적 인식을 목적으로 하므로 사람이 눈으로 볼 수 없을 때는 그 존재가치를 잃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용되는 기(旗)를 살펴보면, 주간에는 상관없으나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는 이를 식별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비록,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3049호에 개시된 전구 내장형 국기봉과 같이 깃봉에 조명장치를 구비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전구를 사용하므로 전력소모가 클 뿐만 아니라 외관이 단순하므로 시선을 모으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단점이 있다.
한편, 현재 사용되는 깃대를 살펴보면, 포스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는 제품의 경우에는 길이가 길 경우 운반이 용이하지 않고, 복수개의 파이프로 포스트가 구성되는 제품의 경우에는 조립을 하거나 소정길이가 되도록 손으로 펼쳐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2029호에 개시된 절첩식 국기봉을 살펴보면,손으로 깃대를 펼쳐야 함은 물론 깃대를 펼쳤을 때 수나사부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을 해야 하므로 제작 및 사용에 있어서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깃대를 구성하는 포스트 및 깃봉이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미관이 뛰어나고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게 되는 깃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르면, 자동으로 포스트의 길이가 늘어나도록 하는 간단한 구조의 길이조절 장치가 구비되는 깃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가 구비된 깃대의 외관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가 구비된 깃대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깃대에 있어서, 포스트의 길이를 줄였을 때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 기면 10: 포스트 11: 광섬유
12: 발광소자 13: 도전선 15: 회전관
16: 광센서 17: 돌기 19: 스위치
20: 탄성부재 25: 깃봉 26: 전원공급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가 구비된 깃대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깃봉; 상기 깃봉 또는 포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납되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전원공급부에 접속되어 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깃대는, 포스트에 수납되는 복수개의 광섬유; 및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광섬유의 일단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부파이프; 상기 하부파이프에 수납되어 슬라이딩하며 하부파이프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출입되는 상부파이프; 상부파이프의 상단에 결합되는 깃봉; 상부파이프에 대해서 하부파이프 상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포스트의 길이를 줄였을 때 상부파이프가 하부파이프에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는 깃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깃봉에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발광소자가 수납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파이프에는 발광소자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광섬유가 수납되어 상부파이프 외측면을 통과하여 빛이 외부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깃대는 깃봉 및 포스트에서 발광이 이루어지므로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며 뛰어난 미관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걸림수단을 풀어주면 자동으로 포스트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며 상부파이프에 감겨있는 기면(旗面)을 풀어주면 채비가 끝나게 되므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기(旗)를 게양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가 구비된 깃대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깃대는 기면(1)이 부착되는 포스트(10)와; 상기 포스트(10)의 상단에 결합되는 깃봉(25)을 포함한다.
포스트(10)는 바람직하게 파이프(Pipe) 형태로 구성되어 기면(1)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기면(1)에는 홀더(Holder)(2)를 구비하여 포스트(10) 외주면의 홈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포스트(10)에 기면(1)을 간편히 탈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포스트(10)의 하단에는 캡(9)이 구비되며, 포스트(10)의 내부에는 전원공급부(26)가 수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26)는 도전선(13)을 통해발광소자(12)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발광소자(12)로는 다양한 종류의 소자가 채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발광색이 다양하며 소형이면서 전력소모가 적은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가 채용된다. 이때, 발광소자(12)는 깃봉(25)에 수납되도록 포스트(1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포스트(10)의 하단에 설치한 후 광섬유(11)를 이용해 여러 지점으로 빛이 분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포스트(10)의 하단에 발광소자(12)를 설치하고 상기 발광소자(12)의 발광부에 복수개의 광섬유(11) 일단이 대향되도록 하여 포스트(10)의 측면 혹은 깃봉(25)의 내부에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스트(10)는 빛이 통과하여 외부로 진행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깃봉(25)은 바람직하게 투명 혹은 반투명 재료로 구성되어 포스트(10)의 상단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깃봉(25)은 기(旗)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축구경기를 경축하거나 응원하기 위해서는 축구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깃봉(25)과 포스트(10) 사이에는 이들을 상호 결합하는 커넥터(Connector)(14)가 개재된다. 이때, 커넥터(14)의 상단에는 전술한 발광소자(12)가 설치되어 깃봉(25)에 수납되고, 커넥터(14)의 외측면에는 전원공급부(26)에 접속되어 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19)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밝은 곳에서는 발광소자(12)가 발광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커넥터(14)의 외측면에는 주변의 조명환경이 기준조도 이하일 경우에만 발광소자(12)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광 센서(Photo Sensor)(16)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 센서(16)는 전원공급부(26)에 접속되어 광 감지 정도에 따라 회로를 개폐하는 소자로서 바람직하게 CdS나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와 같은 광소자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깃대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스위치(19)를 켜면, 포스트(10) 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발광소자(12)에 전원이 공급되어 발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발광소자(12)에는 복수개 광섬유(11)의 일단이 접속되어 포스트(11)의 여러지점으로 광(光)이 분배된다. 아울러, 깃봉(25)에 수납된 발광소자(12)도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됨으로써 투명 혹은 반투명의 깃봉(25)을 통과해 사방으로 빛이 퍼져나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스트(10)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깃대가 제공된다. 여기서,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 부재는 동일한 구성요소임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깃대는 하부파이프(10b)와; 상기 하부파이프(10b)에 수납되어 슬라이딩하며 하부파이프(10b) 상단 개구부를 통해 출입되는 상부파이프(10a)와; 상기 상부파이프(10a)가 출입될 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0)를 포함한다.
상부파이프(10a)는 하부파이프(10b)의 하단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며 하부파이프(10b) 상단의 개구부를 통해 출입된다. 이때, 상부파이프(10a)의 하단과 하부파이프(10b)의 상단에는, 상부파이프(10a)가 하부파이프(10b) 상단의개구부 밖으로 완전히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부파이프(10a)의 외주에는, 기면(1)이 용이하게 상부파이프(10a)의 외주면에 감길 수 있도록 하며 하부파이프(10b) 내에서 기면(1)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관(15)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관(15)은 상부파이프(10a)를 둘러싸는 투명한 파이프로서, 홀더(2)를 통해 상부파이프(10a)에 고정되어 있는 기면(1)이 상부파이프(10a) 외주면에 감길 수 있도록 회전관(15)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면(1)을 상부파이프(10a)에 감아서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 회전관(15)을 돌리면 절개홈을 통해 기면(1)이 회전관(15) 내부로 들어오면서 상부파이프(10a)의 외주면에 감기게 된다. 반면에, 기면(1)을 펼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회전관(15)을 잡고 기면(1)을 잡아당기면 상부파이프(10a)가 회전되며 회전관(15)의 절개홈을 통해 기면(1)이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부파이프(10a)의 하단에는 탄성부재(20)가 결합된다. 탄성부재(20)로는 바람직하게 용수철이 채용되어, 일단이 하부파이프(10b) 하단의 캡(9)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파이프(10a)에 대해서 하부파이프(10b) 상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포스트(10)의 길이가 늘어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20)는 포스트(10)의 길이가 늘어난 후에도 상부파이프(10a)에 힘을 가하게 되므로 상부파이프(10a)가 다시 하부파이프(10b)로 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재의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파이프(10a)를 하부파이프(10b)에 잠입시켜 포스트(10)의 길이를 줄일 경우에, 탄성부재(20)에 의해 복원력을 받는 상부파이프(10a)를 고정시키기 위해 걸림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수단은 하부파이프(10b)의 일측에 상부파이프(10a)의 일측이 걸리도록 하는 장치로서 바람직하게 상부파이프(10a)에 결합되는 커넥터(14)의 외측면에는 탄성체(17a)에 의해 지지되는 돌기(17)를 형성하고, 하부파이프(10b) 상단의 일측에는 삽입공을 형성하여 상기 돌기(17)가 삽입공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포스트(10)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 하부파이프(10b)에 상부파이프(10a)를 밀어 넣으면 하부파이프(10b)의 삽입공에 상부파이프(10a)의 돌기(17)가 걸리게 되고, 반대로 포스트(10)의 길이를 늘이기 위해 상기 돌기(17)를 눌러주면 삽입공에서 상기 돌기(17)가 이탈되며 상부파이프(10a)가 하부파이프(10b)로부터 방출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깃대에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발광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깃봉(25)과 상부파이프(10a) 사이에 개재되는 커넥터(14)에 발광소자(12)를 구비하여 깃봉(25)에 발광소자(12)가 수납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부파이프(10a) 내부의 중공에 발광소자(12)가 결합된 복수개의 광섬유(11)와 전원공급부(26)를 수납하고 지지판(8)을 구비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광섬유(11)는 그 길이를 각각 달리하여 상부파이프(10a) 내부의 여러 지점으로 빛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넥터(14)의 상단에는, 발광소자(12)를 설치하지 않고 상부파이프(10a) 내에 수납된 광섬유(1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섬유(11) 단부(端部)가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섬유(11) 단부가 깃봉(25) 내에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광(光)이 투명 혹은 반투명의 깃봉(25)을 통과하여 사방으로 진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상기 상부파이프(10a) 하단의 외측면에는 상기 전원공급부(26)에 접속되어 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19)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19)의 위치가 상부파이프(10a) 하단에 한정되지 않고 포스트(10) 상의 다양한 지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가 구비된 깃대의 동작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깃대를 이용해 기(旗)를 게양하기 위해 사용자는 먼저, 걸림수단을 풀어서 포스트(10)의 길이가 늘어나도록 해야 한다. 즉, 하부파이프(10b)의 삽입공에 돌출되며 걸려있는 돌기(17)를 누름으로써 탄성부재(20)의 탄성력으로 상부파이프(10a)가 하부파이프(10b)로부터 방출되도록 한다. 다음, 상부파이프(10a)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구비된 회전관(15)을 잡고 기면(1)의 끝부분을 잡아 당기면 상부파이프(10a)의 외주면에 감겨있는 기면(1)이 풀리게 된다. 이때, 복수개의 광섬유(11)가 수납되어 있는 투명한 상부파이프(10a)가 드러나게 되고 상부파이프(10a) 하단의 스위치(19)를 켜면 기(旗)를 게양하기 위한 채비가 끝나게 된다. 한편, 주변이 어두워져서 기준조도 이하가 되면 광 센서(16)가 이를 감지하여 상부파이프(10a)에 수납된 발광소자(12)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발광소자(12)가 발광됨으로써 광섬유(11)를 통해 상부파이프(10a) 상의 여러지점에서 빛이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상부파이프(10a)의 상단에 구비되는 발광소자(12)도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됨으로써 투명 혹은 반투명의 깃봉(25)을 통과해 사방으로 빛이 퍼져나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깃대에 따르면, 깃대를 구성하는 깃봉 및 포스트가 발광되므로 야간에 식별이 용이함은 물론, 뛰어난 미관을 통해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깃대에는 간단한 구조의 길이조절 장치가 구비되어 기(旗)를 게양하고자 할 때 걸림수단만 풀어주면 포스트의 길이가 자동으로 늘어나게 된다. 아울러, 기면이 깃대의 상부파이프에 감기면서 회전관에 수납되므로 관리가 간편하고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포스트(10);
    상기 포스트(10)의 상단에 결합되는 깃봉(25);
    상기 깃봉(25) 또는 포스트(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납되는 발광소자(12);
    상기 발광소자(1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6); 및
    전원공급부(26)에 접속되어 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19);를 포함하는 깃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0)의 중공에 수납되어 발광소자(12)에서 방출되는 빛을 포스트(10) 상의 여러지점으로 분배시키는 복수개의 광섬유(11)를 더 포함하는 깃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주변 조명환경이 기준조도 이하일 경우에만 발광소자(12)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광 센서(16)를 더 포함하는 깃대.
  4. 하부파이프(10b);
    상기 하부파이프(10b)에 수납되어 슬라이딩하며 하부파이프(10b)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출입되는 상부파이프(10a);
    상부파이프(10a)의 상단에 결합되는 깃봉(25);
    상부파이프(10a)에 대해서 하부파이프(10b) 상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0); 및
    포스트(10)의 길이를 줄였을 때 상부파이프(10a)가 하부파이프(10b)에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는 깃대.
  5. 제 4항에 있어서,
    회전시 기면(1)이 유입되어 상부파이프(10a)의 외주면에 감기도록 그 외주면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파이프(10a)의 외주를 둘러싸며 구비되는 회전관(15)을 더 포함하는 깃대.
  6. 제 4항에 있어서,
    깃봉(25)에 수납되는 발광소자(12);
    상기 발광소자(1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6); 및
    전원공급부(26)에 접속되어 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19)를 더 포함하는 깃대.
  7. 제 4항에 있어서,
    전원공급부(26);
    발광소자(12);
    상부파이프(10a)에 수납되어 상기 발광소자(12)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부파이프(10a) 상의 여러지점으로 분배하는 복수개의 광섬유(11); 및
    전원공급부(26)에 접속되어 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19)를 더 포함하는 깃대.
  8. 제 4항에 있어서,
    발광소자(12);
    그 일단이 상기 발광소자(12)와 대향하며 배치되고 그 타단은 상부파이프(10a)의 중공을 거쳐 깃봉(25) 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섬유(11);
    상기 발광소자(1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6); 및
    전원공급부(26)에 접속되어 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19)를 더 포함하는 깃대.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변 조명환경이 기준조도 이하일 경우에만 발광소자(12)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광 센서(16)를 더 포함하는 깃대.
KR1020010003094A 2001-01-19 2001-01-19 발광장치가 구비된 깃대 KR20020061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094A KR20020061953A (ko) 2001-01-19 2001-01-19 발광장치가 구비된 깃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094A KR20020061953A (ko) 2001-01-19 2001-01-19 발광장치가 구비된 깃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953A true KR20020061953A (ko) 2002-07-25

Family

ID=2769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094A KR20020061953A (ko) 2001-01-19 2001-01-19 발광장치가 구비된 깃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19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599B1 (ko) * 2007-12-13 2009-02-12 장병용 이벤트용 발광 현수식 기
KR101049738B1 (ko) * 2011-01-26 2011-07-19 주식회사 큐텍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599B1 (ko) * 2007-12-13 2009-02-12 장병용 이벤트용 발광 현수식 기
KR101049738B1 (ko) * 2011-01-26 2011-07-19 주식회사 큐텍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WO2012102502A2 (ko) * 2011-01-26 2012-08-02 주식회사 큐텍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WO2012102502A3 (ko) * 2011-01-26 2012-10-04 주식회사 큐텍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CN103348181A (zh) * 2011-01-26 2013-10-09 株式公司星福光 含光学片的照明灯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6109A (en) Lighted jewelry ornaments
US5070435A (en) Illuminated scenic glass
US20080304289A1 (en) LED night light with more than 1 optics means
US20060262531A1 (en) LED illuminated necklace
US5577831A (en) Light-emitting structure of a decorative toy
US5664879A (en) Candlestick having lightening device
US5865533A (en) Imitated fireworks bulb set for Christmas tree decoration
US6869208B2 (en) Illuminated animated ornament
US6499853B2 (en) Night-light with changeable color light
US6145999A (en) Battery device
KR20020061953A (ko) 발광장치가 구비된 깃대
KR101468543B1 (ko) 응원도구
JP2004014280A (ja) 照明具
US6857765B2 (en) Decorative lighting equipment
JP2005273130A (ja) 花輪用発光装置
JP2016077297A (ja) 離脱防止用の釣竿の口栓
WO1999050915A1 (fr) Emetteur de lumiere
US6269566B1 (en) Glass water ball with light emitting device
JP2002083501A (ja) 携帯型ライトと簡易ランタン
EP0290690A1 (en) Optical fibre ornamented light set
KR101963662B1 (ko) 접이식 엘이디 조명기구
US7278752B2 (en) Device for providing internal illumination of live flowers and other products
US20020181248A1 (en) Lighting display toy
US20060176683A1 (en) Outdoor light
JP2014091885A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