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353B1 - 수평압착이 가능한 밴드압착기 - Google Patents
수평압착이 가능한 밴드압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9353B1 KR101049353B1 KR1020090025873A KR20090025873A KR101049353B1 KR 101049353 B1 KR101049353 B1 KR 101049353B1 KR 1020090025873 A KR1020090025873 A KR 1020090025873A KR 20090025873 A KR20090025873 A KR 20090025873A KR 101049353 B1 KR101049353 B1 KR 1010493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ing block
- band
- roller
- recess
- upper roll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수평압착이 가능한 밴드압착기(90)는, 측방플레이트(110)가 대향하여 이격되도록 지지로드(120)가 개재되어 형성된 프레임(100)과, 상기 측방플레이트(110) 사이의 하방에 지지되어 회전하며 표면(210)에 너얼링이 형성된 하부롤러(200)와, 상기 하부롤러(200)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측방플레이트(110) 사이에 지지되고 표면(310)에 너얼링이 형성된 상부롤러(300)와, 상기 상부롤러(300)의 상하운동을 컨트롤하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는 수직이송부(400)로 구성되는 밴드압착기(90)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측방플레이트(110)의 양측방으로 관통되고 상방으로 개방된 요부(115)와, 상기 측방플레이트(110)의 요부(115) 양측에 위치하는 외측면(117)에 상부롤러(300)의 상하이송을 안내하도록 볼트에 의해 부착되고 요부(115)의 내측방으로 돌출되는 안내플레이트(130)가 구성되고, 상기 수직이송부(400)는 상기 대향하는 안내플레이트(130)에 끼워져서 수직이송이 가능한 가이딩블럭(410)과, 상기 가이딩블럭(410)을 상하 이송시키는 구동부(420)와, 상기 가이딩블럭(410)의 미세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미세조정부(430)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롤러(300)의 양측에서 지지하는 가이딩블럭(410)이 연동되어 작동함으로써, 밴드(B)의 일측면이 경사지게 기울어지지 않도록 고르게 압착하여 제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밴드, 압착기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평압착이 가능한 밴드압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가압롤러를 상하운동시키는 양측 가이딩블럭이 연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가이딩블럭에 지지되는 가압롤러가 수평상태로 밴드를 압착하도록 구성한, 수평압착이 가능한 밴드압착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합성수지로 성형된 밴드가 밴드압착기를 통해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밴드압착기의 가압롤러가 경사지게 밴드를 가압하여 밴드의 일측면이 경사지게 성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밴드압착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박스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해 박스의 외측면에 감기어 결속되는 밴드(B)는 폴리에스테르(PET) 등의 합성수지제를 용융시킨 후, 인발가공하여 제작한다.
이러한 밴드(B)는 박스 결속 시, 연신하게 되면, 박스의 개방이 방지되도록 강하게 압박할 수 없기 때문에, 인발가공하면서 최대한 인장시켜서 인장강도가 증 가되도록 한다. 그리고, 밴드압착기(1)를 통해 양측면에 요철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하여, 밴딩기를 통해 박스를 결속할 때, 밴드를 효율적으로 인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밴드(B)를 잡아당길 때, 슬립현상이 방지되어 인장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밴드압착기(1)를 통해 밴드(B)를 압착하게 됨으로써, 연성이 제거되어 밴드(B)의 인장강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처럼 합성수지 밴드(B)에 요철을 성형시키고 인장강도가 부여되도록 하는 밴드압착기(1)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지기능을 하도록 프레임(10)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의 하방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하부롤러(20)와 상기 하부롤러(20)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10)에 지지되는 상부롤러(30)가 구성되며, 상기 상부롤러(30)의 상하운동을 컨트롤하는 수직이송부(4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상호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형성된 판상의 측방플레이트(11)가 구성되고, 상기 측방플레이트(11) 사이에 개재되어 이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지지로드(13)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방플레이트(11)는 양측방으로 관통되고 상방으로 개방되어 상기 상부롤러(30)의 상하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요부(15, 凹部)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이송부(40)는 상기 요부(15)의 내측 수직면(17)에 끼워져서 상하로 이송이 가능한 가이딩블럭(41)이 구성되고, 상기 측방플레이트(11)의 상단에 부착되어 상기 요부(15)를 덮는 지지플레이트(43)가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플레이 트(43)에는 상기 요부(15)와 연통되는 탭홀(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탭홀을 통해 체결되며, 하단이 상기 가이딩블럭(41)의 상단에 회전이 가능하고 이탈이 방지되도록 연결되는 스크류(45)가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45)의 상단에는 핸들(47)이 고정된다.
상기 하부롤러(20)는 양측으로 돌출된 샤프트(21)가 상기 대향하는 측방플레이트(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부롤러(30)는 상기 하부롤러(20)에 평행하도록 상기 대향하는 가이딩블럭(41)에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롤러(20)와 상부롤러(30)의 표면에는 상기 밴드(B)의 양측면에 요철이 형성된다.
상기 종래기술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양측 대향하는 핸들(47) 중 일측 핸들(47)을 돌려서 일측 스크류(45)의 회전에 의해 일측 가이딩블럭(41)이 하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대측 핸들(47)을 돌려서 상대측 스크류(45)의 회전에 의해 상대측 가이딩블럭(41)이 내려가도록 하여 상부롤러(30)가 하강하도록 하여 상부롤러(30)와 하부롤러(20) 사이가 원하는 이격간격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나서, 밴드(B)가 상기 상부롤러(30)와 하부롤러(20) 사이를 지나도록 하면, 상기 이격간격만큼 압착되어 강도가 증가되고, 양측 표면에는 상기 상부롤러(30)와 하부롤러(20) 표면(23, 33)의 너링에 의해 요철이 형성된다.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하면, 상부롤러의 양측에서 지지하는 가이딩블럭이 연동되지 않고, 각각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제각기 수직이동함으로써, 상부롤러를 수평상태로 제어하는 작업이 어려워서 숙련자가 아니고서는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 2에서처럼, 밴드의 일측은 가압되고 상대측은 덜 압축되어 밴드의 상면이 경사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밴드 사용 시, 상기 덜 압축된 부분이 연신되어 밴드가 느슨해짐으로써 결속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압축된 부분에 인장력이 집중되어 상기 압축된 부분에서 절단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상기 가이딩블럭이 요부의 내측 수직면에 끼워지기 때문에 상기 요부의 내측 수직면을 정확하게 수직이 되도록 가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만약, 상기 수직면이 테이퍼지게 되어 상기 요부의 폭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된다면, 상기 가이딩블럭은 원활하게 이송할 수 없게 됨은 물론이다. 이처럼, 상기 요부의 내측 수직면을 정확히 수직이 되도록 가공할 경우, 가공공정이 까다롭고, 경사지게 가공되어 보정할 경우에는, 상기 측방플레이트를 분해하여 다시 재가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수평압착이 가능한 밴드압착기는, 측방플레이트가 대향하여 이격되도록 지지로드가 개재되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측방플레이트 사이의 하방 에 지지되어 회전하며 표면에 너얼링이 형성된 하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측방플레이트 사이에 지지되고 표면에 너얼링이 형성된 상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의 상하운동을 컨트롤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수직이송부로 구성되는 밴드압착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측방플레이트의 양측방으로 관통되고 상방으로 개방된 요부와, 상기 측방플레이트의 요부 양측에 위치하는 외측면에 상부롤러의 상하이송을 안내하도록 볼트에 의해 부착되고 요부의 내측방으로 돌출되는 안내플레이트가 구성되고, 상기 수직이송부는 상기 대향하는 안내플레이트에 끼워져서 수직이송이 가능한 가이딩블럭과, 상기 가이딩블럭을 상하 이송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가이딩블럭의 미세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미세조정부로 구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평압착이 가능한 밴드압착기는, 상부롤러의 양측에서 지지하는 가이딩블럭이 연동되어 작동함으로써, 상부롤러가 양측 가이딩블럭에 수평으로 지지된 상태라면, 핸들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부롤러는 수평상태에서 상하로 이송가능하게 된다. 또한, 미세하게 상부롤러가 경사지더라도 미세조정부에 의해 충분히 보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서, 밴드의 일측면이 경사지지 않도록 고르게 압착하여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내플레이트는 볼트에 의해 측방플레이트에 부착됨으로써 이탈이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요부의 내측 수직면을 수직이 되도록 정교하게 가 공할 필요가 없다. 단지, 상기 안내플레이트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면이 수직이 되도록 가공하면 됨으로써 작업이 수월하게 된다. 즉, 크기가 큰 측방플레이트의 요부를 가공하지 않고, 측방플레이트보다 크기가 작은 안내플레이트의 대향하는 내측면을 가공하면 됨으로써 가공이 쉽고, 만약, 조립 후에도 안내플레이트의 내측면이 수직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안내플레이트만 이탈시켜서 보정하면 되기 때문에 수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압착이 가능한 밴드압착기의 전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압착이 가능한 밴드압착기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평압착이 가능한 밴드압착기의 측방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6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평압착이 가능한 밴드압착기에 미세조정부가 더 구성되는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PET) 등 합성수지로 성형된 밴드(B)를 압착하여 인장강도를 증가시키고, 마찰계수를 증대시키고 양측면에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 밴드압착기(90)가 사용된다.
이러한 밴드압착기(90)는, 지지기능을 하도록 측방플레이트(110)가 대향하여 이격되도록 지지로드(120)가 개재되어 형성된 프레임(100)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 임(100)의 측방플레이트(110) 사이의 하방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하부롤러(200)와 상기 하부롤러(200)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측방플레이트(110) 사이에 지지되는 상부롤러(300)가 구성되며, 상기 하부롤러(200)와 상부롤러(300)의 표면(210, 310)에는 상기 밴드(B)의 양측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롤러(300)의 상하운동을 컨트롤하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는 수직이송부(4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롤러(300)의 양측을 연동으로 상하이송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부롤러(300)의 수평제어를 비숙련자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기 대향하는 측방플레이트(110)는 양측방(넓은 면이 형성된 방향)으로 관통되고 상방으로 개방되어 상기 상부롤러(300)의 상하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요부(115, 凹部)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방플레이트(110)의 요부(115) 양측에 위치하는 외측면(117)에 상부롤러(300)의 상하이송을 안내하도록 볼트에 의해 부착되는 안내플레이트(130)가 구성되는데, 상기 안내플레이트(130)는 요부(115)의 내측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부분(131)은 상호 대향하는 내측면(133)이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내플레이트(130)는 요부(115)의 양측에 부착됨으로써 상호 대향하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수직이송부(400)는 상기 대향하는 안내플레이트(130)에 끼워져서 수직이송이 가능한 가이딩블럭(410)과 상기 가이딩블럭(410)을 상하 이송시키는 구동부(420)와 상기 가이딩블럭(410)의 미세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미세조정부(430)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딩블럭(410)은 전방면(411, 밴드가 배출되는 쪽 면) 및 후방면(413)에 상기 안내플레이트(130)에 끼워지는 수직홈(415)이 상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420)는 양측 측방플레이트(110)의 상단에 고정되는 커버플레이트(421)가 구성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421)를 관통하여 양측 가이딩블럭(410) 수직 상방에 위치하는 회전관(422)이 수직이동 없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회전관(422)은 내측면에 암나사부(423)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회전관(422)은 커버플레이트(421) 상부로 돌출된 부분에 나사기어(424)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421)의 상면에 수평하게 장착되어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나사기어(424)에 대향하는 회전축(425)과 상기 회전축(425)에 고정되어 상기 각 나사기어(424)에 맞물리는 또 다른 각각의 나사기어(426)가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425)의 일측 종단부에는 핸들(H)이 고정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관(422)에 끼워져 체결되는 나선축(427)이 구성되는데 하단은 상기 가이딩블럭(410)에 회전이 방지되도록 고정된다.
상기 회전관(422)이 수직이동 없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일례로서, 상기 회전관(422)은 하방에 플랜지(F)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나사기어(424)가 고정된 하부에는 수나사부(S)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F)와 커버플레이트(421)의 하면 사이에 드러스트 베어링(L)이 개재되고, 상기 나사기어(424)와 커버플레이트(421)의 상면 사이에 드러스트 베어링(M)이 개재되도록 한 후, 상기 수나사부(S)에 로크너트(N)가 체결되어 상기 드러스트 베어링(M)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425)이 커버플레이트(421)의 상면에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일례로서 상기 상면에 베어링유니트(U)를 고정한 후, 상기 베어링유니트(U)를 관통함으로써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미세조정부(430)는 상기 가이딩블럭(410)의 하면에 전후방으로 관통되는 하부홈(431)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홈(431)의 상면(432)은 전방(밴드가 배출되는 쪽)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방플레이트(110)의 전방면(434)에서 상기 요부(115)로 관통하는 통공(435)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435)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방면(434)에 베어링이 수용된 하우징(436)이 부착되고, 상기 하우징(436)과 통공(435)을 관통하여 상기 요부(115)까지 연장되는 나선축(437)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딩블럭(410)의 하부홈(431)에 삽입되는 쐐기(438)가 구성되고, 상기 쐐기(438)의 전방면에는 탭홀(439)이 형성되어 상기 나선축(437)이 체결된다. 상기 쐐기(438)는 상면(432)이 상기 하부홈(431)의 상면(432)에 부합되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통공(435)의 위치는 상기 쐐기(438)의 하면(T)이 요부(115)의 하면(116)에 접하도록 높이가 조정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롤러(300)는 상기 하부롤러(200)에 평행하도록 상기 대향하는 가이딩블럭(410)에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롤러(200)와 상부롤러(300)의 표면(210, 310)에는 상기 밴드(B)의 양측면에 요철이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핸들(H)을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축(425)에 고정된 나사기어(426)가 회전하게 되어, 이로 인해서 상기 나사기어(426)에 맞물린 다른 나사기어(424)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회전관(422)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관(422)과 회전축(425)은 교차하지 않고 평행하지 않지만 나사기어(424, 426)에 의해서 동력 전달이 가능한 것임은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각 나선축(427)은 상하이송하게 되어 상기 가이딩블럭(410)은 상기 안내플레이트(130)를 따라 연동으로 상하이송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상기 핸들(H)을 돌려 상기 상부롤러(300)를 하향시켜 하부롤러(200)와의 사이에 원하는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나선축(427)은 회전관(422)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호 피치 사이에 형성된 유격으로 인해서 미세하게 상하로 흔들리게 된다. 따라서, 양측 가이딩블럭(410)이 연동으로 하강한다고 하더라도 상부롤러(300)의 수평이 맞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미세조정부(430)의 나선축(437)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쐐기(438)가 전후진하게 되어 쐐기(438)의 상면(432)과 상기 하부홈(431)의 상면(432)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부합함으로써, 상기 가이딩블럭(410)을 상하방향으로 미세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피치의 유격으로 인해서 상하로 미세하게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롤러(300) 내지는 하부롤러(200)를 모터(미도시)에 연 계시켜 회전시키고나서, 상부롤러(300)와 하부롤러(200) 사이로 밴드(B)가 통과하도록 하면, 압착되면서 밴드(B)의 양면에는 요철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안내플레이트(130)는 볼트에 의해 측방플레이트(110)에 부착됨으로써 이탈이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요부(115)의 내측 수직면(119)을 수직이 되도록 정교하게 가공할 필요가 없다. 단지, 상기 안내플레이트(130)의 상호 대향하는 내측면(133)이 수직이 되도록 가공하면 됨으로써 작업이 수월하게 된다.
즉, 크기가 큰 측방플레이트(110)의 요부(115)를 가공하지 않고, 측방플레이트(110)보다 크기가 작은 안내플레이트(130)의 대향하는 내측면(133)을 가공하면 됨으로써 가공이 쉽고, 만약, 조립 후에도 안내플레이트(130)의 내측면(133)이 수직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안내플레이트(130)만 이탈시켜서 보정하면 되기 때문에 수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합성수지로 성형된 밴드가 밴드압착기를 통해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밴드압착기의 가압롤러가 경사지게 밴드를 가압하여 밴드의 일측면이 경사지게 성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밴드압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압착이 가능한 밴드압착기의 전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압착이 가능한 밴드압착기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평압착이 가능한 밴드압착기의 측방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6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평압착이 가능한 밴드압착기에 미세조정부가 더 구성되는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프레임 110: 측방플레이트
115: 요부 120: 지지로드
130: 안내플레이트 200: 하부롤러
300: 상부롤러 400: 수직이송부
410: 가이딩블럭 415: 수직홈
420: 구동부 421: 커버플레이트
422: 회전관 424, 426: 나사기어
425: 회전축 430: 미세조정부
431: 하부홈 435: 통공
436: 하우징 437: 나선축
438: 쐐기
Claims (2)
- 측방플레이트(110)가 대향하여 이격되도록 지지로드(120)가 개재되어 형성된 프레임(100)과,상기 측방플레이트(110) 사이의 하방에 지지되어 회전하며 표면(210)에 너얼링이 형성된 하부롤러(200)와,상기 하부롤러(200)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측방플레이트(110) 사이에 지지되고 표면(310)에 너얼링이 형성된 상부롤러(300)와,상기 상부롤러(300)의 상하운동을 컨트롤하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는 수직이송부(400)로 구성되는 밴드압착기(90)에 있어서;상기 프레임(100)은 측방플레이트(110)의 양측방으로 관통되고 상방으로 개방된 요부(115)와,상기 측방플레이트(110)의 요부(115) 양측에 위치하는 외측면(117)에 상부롤러(300)의 상하이송을 안내하도록 볼트에 의해 부착되고 요부(115)의 내측방으로 돌출되는 안내플레이트(130)가 구성되고,상기 수직이송부(400)는 상기 대향하는 안내플레이트(130)에 끼워져서 수직이송이 가능한 가이딩블럭(410)과,상기 가이딩블럭(410)을 상하 이송시키는 구동부(420)와,상기 가이딩블럭(410)의 미세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미세조정부(430)로 구성되고,상기 가이딩블럭(410)은 전방면(411) 및 후방면(413)에 상기 안내플레이트(130)에 끼워지도록 상하로 관통된 수직홈(415)이 구성되고,상기 구동부(420)는 양측 측방플레이트(110)의 상단에 고정되는 커버플레이트(421)와,상기 커버플레이트(421)를 관통하여 양측 가이딩블럭(410) 수직 상방에 위치하고 수직이동없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내측에 암나사부(423)가 형성된 회전관(422)과,상기 회전관(422)에서 커버플레이트(421) 상부로 돌출된 부분에 고정된 나사기어(424)와,상기 커버플레이트(421)의 상면에 수평하게 장착되어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나사기어(424)에 대향하는 회전축(425)과,상기 회전축(425)에 고정되어 상기 나사기어(424)에 맞물리는 나사기어(426)와,상기 회전축(425)의 일측 종단부에 고정되는 핸들(H)과,상기 회전관(422)에 끼워져 체결되고 하단은 상기 가이딩블럭(410)에 회전이 방지되도록 고정된 나선축(427)으로 구성되고,상기 회전관(422)의 하방에 형성된 플랜지(F)와,상기 회전관(422)에서 나사기어(424)의 하부에 형성된 수나사부(S)와,상기 플랜지(F)와 상기 커버플레이트(421)의 하면 사이에 개재되는 드러스트 베어링(L)과,상기 나사기어(424)와 커버플레이트(421)의 상면 사이에 개재된 드러스트 베어링(M)과,상기 수나사부(S)에 체결되어 상기 드러스트 베어링(M)을 가압하는 로크너트(N)가 구성되고,상기 미세조정부(430)는 상기 가이딩 블럭(410)의 하면에 전후방으로 관통되고 내측 상면(432)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하부홈(431)과,상기 측방플레이트(110)의 전방면(434)에서 상기 요부(115)로 관통하는 통공(435)과,상기 통공(435)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방면(434)에 베어링이 수용되어 부착된 하우징(436)과,상기 하우징(436)과 통공(435)을 관통하여 상기 요부(115)까지 연장되는 나선축(437)과,상기 나선축(437)이 체결되는 탭홀(439)이 전방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홈(431)에 삽입되는 쐐기(438)가 구성되고,상기 쐐기(438)는 상면(433)이 상기 하부홈(431)의 상면(432)에 부합되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압착이 가능한 밴드압착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5873A KR101049353B1 (ko) | 2009-03-26 | 2009-03-26 | 수평압착이 가능한 밴드압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5873A KR101049353B1 (ko) | 2009-03-26 | 2009-03-26 | 수평압착이 가능한 밴드압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7669A KR20100107669A (ko) | 2010-10-06 |
KR101049353B1 true KR101049353B1 (ko) | 2011-07-13 |
Family
ID=43129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5873A KR101049353B1 (ko) | 2009-03-26 | 2009-03-26 | 수평압착이 가능한 밴드압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935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433894B (zh) * | 2013-08-09 | 2015-09-30 |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 一种加工机器 |
KR200485933Y1 (ko) * | 2017-03-24 | 2018-03-14 | 서항교 | 오징어 확장 가공장치 |
-
2009
- 2009-03-26 KR KR1020090025873A patent/KR101049353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7669A (ko) | 2010-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9353B1 (ko) | 수평압착이 가능한 밴드압착기 | |
EP2987589B1 (en) | Compression line spring grinding device and grinding method | |
CN102247973B (zh) | 一种金属塑料复合板用剥离机 | |
US907923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urving metal panels | |
JP2016117035A (ja) | ジョークラッシャ | |
CN218985949U (zh) | 一种压花机高效换辊机构 | |
KR20050021411A (ko) |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 |
CN210528064U (zh) | 变速线缆输送机 | |
KR101271498B1 (ko) | 프레스용 기어의 가압 위치 조절장치 | |
CN116175925A (zh) | 一种挤出机可调节底座 | |
KR100450872B1 (ko) |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 조절기구 | |
US20050139095A1 (en) | Compacting press for bulk materials | |
CN213322180U (zh) | 中密度防水纤维基材滚压机 | |
CN208896263U (zh) | 一种拼板机的木条压平机构 | |
CN113619186A (zh) | 一种具有整合连接结构的污水处理用泥饼压合装置 | |
CN111146640B (zh) | 一种电缆连接装置 | |
EP3572356B1 (en) | Device for loosening solidified material | |
CN219968632U (zh) | 全自动发泡机用发泡模具锁止机构 | |
CN110328891B (zh) | 一种压力机的进料装置 | |
CN220079526U (zh) | 一种布料切割机 | |
CN205455805U (zh) | 一种可自动上油的糖膏滚压机 | |
KR100516178B1 (ko) | 반도체 이송용 피더 구동장치의 회전커버 | |
CN217495263U (zh) | 压合成型装置 | |
CN112909695B (zh) | 一种用于电子元件的导电片制造设备 | |
CN213997501U (zh) | 一种便于更换压模的压力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