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323B1 - 호소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호소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323B1
KR101049323B1 KR20080092565A KR20080092565A KR101049323B1 KR 101049323 B1 KR101049323 B1 KR 101049323B1 KR 20080092565 A KR20080092565 A KR 20080092565A KR 20080092565 A KR20080092565 A KR 20080092565A KR 101049323 B1 KR101049323 B1 KR 101049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eal
water
inlet pipe
lime
reac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92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3611A (ko
Inventor
정연태
길준우
강연식
임주환
전인성
김학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080092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323B1/ko
Publication of KR20100033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8Off-grid powered water treatment
    • Y02A20/212Solar-powered wastewater sewage treatment, e.g. spray evap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호소 정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호소내 오수를 분리막을 통과시켜 고형물을 여과하고, 석회층이 포함된 반응조에서 일정 기간동안 반응시켜 용존인을 제거함으로써 호소의 수질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존인이 제거될 수 있는 양만큼의 석회를 사용하므로 과량의 석회를 사용함으로 인한 부작용이 없으며, 용존인이 제거되는데 충분한 순환주기에 맞추어 호소의 물을 순환시키므로 인의 제거 효율이 상승된다.
호소, 석회, 인

Description

호소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Lake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호소 정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호소 상부 또는 하부의 물을 별도의 유입관을 통해 태양열 펌프를 이용하여 끌어올리고 이를 석회층이 형성된 반응조에서 일정 시간동안 정화시켜 인을 제거하고 다시 호소로 순환시키는 호소 정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에 따른 경제 성장 및 도시화로 인하여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등을 포함한 각종 오수의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오수는 제대로 된 처리과정없이 호수, 저수지, 댐등에 유입된다.
오수속에는 다량의 질소, 인등이 함유되어 있어 국내의 호소 대부분은 과도한 영양염류의 유입으로 인한 부영양화 상태에 접어들기 시작하였고, 이로 인해 해마다 여름철이면 조류의 대량증식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황산동, 살초제와 같은 약품을 투약하여 조류를 사멸시키기도 하지만 동성분이 중금속의 일종이고 살초제도 독성이 있어서 수 중생물의 서식에 영향을 주게 된다.
공개 실용신안 제1996-28930에서는 조류 제거 장치를 장착한 조류제거선을 제조하여 부유조체 및 물이끼등을 강제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장치 설비비등 경제성 측면에서 합당하지 않으며, 실제적으로 이러한 설비를 이용한 조류 제거 효과를 명확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특허등록공고 제174365호는 부영양화된 호소수를 침전조에 유입시키고, 여기에 응집제를 가하여 교반하고, 이를 응결조로 이동하여 응결시킨 후, 슬러지 형태로 제조하여 조류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응집제의 사용 비용, 침전조, 응결조, 저장조 등의 설비비등 경제적 측면이나 광범위한 호소나 저수지등에는 적합하지 않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부영양화의 원인 영양소인 인을 저감시키고 태양열을 이용하여 별도의 전력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며 주기에 맞춰 정화된 물이 순환되게 하는 호소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인을 제거하고 인의 제거에 필요한 적정량의 석회만을 사용하며 일정 주기동안 석회와 인을 반응시키는 호소 정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호소의 전체 깊이에 대하여 수면으로부터 1/3지점 이상에 위치하여 호소 상부의 물을 반응조로 공급하는 제1유입관; 상기 제1유입관에 연결되어 호소 상부의 물을 끌어올리는 제1태양열 펌프; 호소 전체 깊이에 대하여 수면으로부터 2/3지점 이하에 위치하여 호소 하부의 물을 반응조로 공급하는 제2유입관; 상기 제2유입관에 연결되어 호소 하부의 물을 끌어올리는 제2태양열 펌프; 상기 제1유입관 및 제2유입관으로부터 호소내의 물을 공급받아 일정 시간 정화시키는 석회층을 포함하는 반응조; 및 상기 반응조의 하부 및 호소와 연결되고, 반응조내의 물을 호소로 순환시키는 이송관을 포함하는 호소 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반응조는 인공습지일 수 있다.
상기 반응조는 상기 반응조의 상부에 위치하며 호소내 고형물과 액체를 분리하는 분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관 또는 제2유입관의 하부에는 분리막을 포함한 여과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송관에는 순환주기에 맞춰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석회층은 생석회, 소석회 및 탄산석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관의 직경은 4 내지 10 인치일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절기에는 제1유입관, 동절기에는 제2유입관을 통해 태양열 펌프를 이용하여 호소의 물을 끌어올리는 유입 단계; 상기 유입관의 물이 반응조로 유입되기 전에 분리막을 통과하면서 고체와 액체가 분리되는 여과 단계; 상기 분리막을 통과한 물이 상기 반응조로 공급되고 상기 반응조내의 석회층과 반응되는 정화 단계; 및 상기 정화 단계를 거친 물이 이송관을 통하여 호소로 다시 유입되는 순환 단계를 포함하는 호소 정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순환 주기는 30 내지 35일일 수 있다.
상기 석회층은 석회의 농도가 0.3 내지 0.5mM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면 부영양화의 원인이 되는 인 성분을 제거할 수 있고 조류의 번성을 막을 수 있어 호소 수질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상부와 하부의 물의 오염정도에 따라 여름철은 호소 상부의 물을, 겨울철은 하부의 물을 끌어올려 정화할 수 있으므로 호소내 수질 향상에 더욱 효과적이다.
공정이 단순하고 설비비가 많이 들지 않아 경제적이며, 태양열 펌프를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호소내 인의 제거에 효과적인 석회의 농도 범위를 알고 있으므로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석회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과다한 소석회의 사용으로 pH가 상승되어 수중 식물이 폐사되는 경우도 막을 수 있다. 또한, 인이 효율적으로 제거되는 순환주기에 맞추어 정화된 물을 순환시키므로, 인이 제거 효율이 상승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소 정화 장치(1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소 정화 장치(100)는 반응조(110); 제1유입관(120); 제1태양열 펌프(121); 제2유입관(130); 제2태양열 펌프(131); 및 이송관(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호소 정화 장치(100)는 호소내 위치와 두께가 다른 제1유입관(120) 및 제2유입관(130)을 포함하므로 호소 상부에서 조류가 번식하는 봄 또는 여름철에는 제1유입관(120)을 이용하여 호소 상부의 물을 정화할 수 있고, 영양물질이 하부에 쌓여있는 겨울철에는 제2유입관(130)을 이용하여 호소 하부의 물을 정화할 수 있어 수질향상에 효과적이다.
또한, 순환 주기를 알고 순환주기에 맞추어 정화된 물을 호소로 순환시키므로 인의 제거 효율이 상승한다. 태양열 펌프(121, 131)를 이용하므로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비용도 절감된다.
상기 반응조(110)는 제1유입관(120) 및 제2유입관(130)으로부터 호소내 물을 공급받아 정화시키며, 석회층(11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반응조(110)는 분리막(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호소내의 물이 유입관을 통하여 반응조(110)로 공급되기 전 상기 분리막(112)을 통하여 고형물과 액체가 분리되며, 상기 분리막(112)을 통과한 액체는 반응조(110)내의 석회층(111)을 통과하면서 인과 석회가 반응하여 호소내 물의 인 성분이 제거되게 된다.
상기 반응조(110)의 크기는 당업자가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석회층(111)은 생석회, 소석회 및 탄산석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막(112)은 상기 반응조(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호소내 고형물과 액체를 분리한다.
호소내 오수가 반응조(110)로 공급되기 전에 상기 분리막(112)을 거쳐 고형물과 액체가 분리되고, 액체 오수는 반응조(110)내에서 정화되며, 분리된 고형물은 건조되어 퇴비등으로 사용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상기 분리막(112)의 세공의 크기는 호소내 고형물이 액체와 분리될 수 있는 크기이면 제한이 없다.
상기 제1유입관(120)은 호소 전체 깊이에 대하여 수면으로부터 1/3지점 이상에 위치하고, 호소 상부의 물을 반응조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유입관(120)을 통해 호소 상부의 물이 반응조(110)로 공급되어 호소 상부의 물이 정화될 수 있다. 봄이나 여름철에는 겨울철에 비해 수온이 상승하며, 조류가 수표면을 덮을 정도로 과대하게 번식하므로 상기 제1유입관(120)을 통하여 호소 상부의 물을 중점적으로 정화시킨다.
상기 제1유입관(120)의 두께는 당업자가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태양열 펌프(121)는 상기 제1유입관(120)과 연결되고 호소 상부의 물을 제1유입관(120)으로 끌어올린다.
상기 제1태양열 펌프(121)는 태양열로 작동되므로 별도의 전력이 필요없어 전력비용이 절감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제2유입관(130)은 호소 전체 깊이에 대하여 수면으로부터 2/3지점 이하에 위치하고, 호소 하부의 물을 상기 반응조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겨울철에는 수온이 낮고 부영양화된 조류의 사체가 호소 하부에 쌓여있어 상층부는 탁도가 낮고 맑은 상태일 때가 많다. 또한 부영양화의 원인이 되는 영양물질이 하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2유입관(130)을 이용하여 하부의 물을 정화하는 것이 수질향상에 효율적이다.
상기 제2유입관(130)의 직경은 4 내지 10 인치 인 것이 적당하다. 4 인치보다 작으며 호수 하부에 있는 고형물을 흡수하기가 어렵고, 상기보다 직경이 크면 장치의 설치나 운영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태양열 펌프(131)는 상기 제2유입관(130)과 연결되고, 호소 하부의 물을 상기 반응조(11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태양열 펌프(131)는 태양열로 작동이 되므로 전력비용이 절감되고,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송관(140)은 상기 반응조(110)의 하부 및 호소와 연결되어 있고, 반응조(110)내의 물을 호소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관(140)에는 센서(142) 및 이송펌프(143)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이송관(140)을 통해 순환 주기에 맞추어 반응조(110)내에서 석회층(111)과 반응하여 정화된 물을 호소로 이송시키므로 인의 제거가 완전히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반응조(110)내 물이 호소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상기 센서(142)는 이송관 및 밸브(141)와 연결되어 순환주기에 맞춰 자동으 로 밸브의 개폐를 조절한다.
상기 이송 펌프(143)는 이송관이 지상에 설치되는 경우 태양열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소 정화 장치(2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소 정화 장치(200)는 도 1에 따른 호소 정화 장치(100)와 반응조, 제1유입관 및 제2유입관이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소 정화 장치(200)를 반응조, 제1유입관 및 제2유입관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호소 정화 장치(200)는 도 1 에 따른 호소 정화 장치(10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소 정화 장치(200)는 인공습지(210); 제1유입관(220); 제2유입관(230); 및 이송관(140)을 포함한다.
상기 인공습지(210)는 제1유입관(220) 및 제2유입관(230)으로부터 호소내 물을 공급받아 정화시키며, 석회층(111)을 포함한다.
상기 인공 습지(210)는 석회층(111)을 포함하여 호수내 오수가 상기 석회층(111)을 거치면서 인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인공습지(210)의 크기는 당업자가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인공습지(210)의 양측의 가장자리에는 정화능력 및 경관적 가치가 뛰어난 수생식물을 선정하여 식재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관(220)은 호소 전체 깊이에 대하여 수면으로부터 1/3이상의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1유입관(220)의 하부에는 분리막이 포함된 제1여과장치(22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유입관(220)을 통해 호소 상부의 물이 인공 습지(210)로 공급되며 인공습지(210)로 공급되기 전에 분리막이 포함된 제1여과장치(222)를 통과하므로 호소내 오수의 고형물이 액체와 분리되어 걸러진다.
상기 제2유입관(230)은 호소 전체 깊이에 대하여 수면으로부터 2/3이하의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2유입관(230)의 하부에는 분리막이 포함된 제2여과장치(23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유입관(230)을 통해 호소 하부의 물이 인공 습지(210)로 공급되며 인공습지(210)로 공급되기 전에 분리막이 포함된 제2여과장치(232)를 통과하므로 호소내 오수의 고형물이 액체와 분리되어 걸러진다.
상기 이송관(140)은 상기 인공습지(210)의 하부 및 호소와 연결되어 있고, 인공습지(210)내의 물을 호소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관에는 센서(142) 및 이송펌프(243)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입 단계; 여과 단계; 정화 단계; 및 순환 단계를 포함하는 호소 정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순환주기는 30 내지 35일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화단계에서 상기 석회층내 석회의 농도는 0.3 내지 0.5mM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호소 정화 방법은 계절에 따라 호소의 오염상태가 달라짐에 따라 상이한 유입관을 사용하므로 수질 정화에 더 효율적이다. 또한, 인의 농도를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인 30 내지 35일을 순환 주기로 하므로 인의 제거 효율이 높다. 인의 제거에 필요한 석회의 농도에 맞추어 석회층이 형성되므로 석회를 과량 사용하여 수중생물이 파괴되는등의 부작용도 막을 수 있다.
상기 유입 단계는 하절기에는 제1유입관, 동절기에는 제2유입관을 통해 태양열 펌프를 이용하여 호소의 물을 끌어올리는 단계이다.
하절기에는 호소 상부에서 조류가 과대하게 번성하며 호소 상부의 오염이 심하므로 제1유입관을 통해 호소 상부의 물을 반응조로 유입하여 정화시키고, 동절기에는 호소 하부의 오염이 심하고 고형물이 많으므로 관의 직경이 넓은 제2유입관을 통해 반응조로 물을 공급한다.
상기 여과 단계는 상기 유입관의 물이 반응조로 유입되기 전에 분리막을 통과하면서 고체와 액체가 분리되는 단계이다.
상기 여과 단계에서 호소내 오수중 고형물이 분리된다. 분리된 고형물은 건조하여 퇴비등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정화 단계는 상기 분리막을 통과한 물이 반응조로 공급되고 반응조내의 석회층과 반응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석회층의 석회의 농도는 0.3 내지 0.5mM일 수 있다.
상기 석회층내 칼슘이온은 하기 화학식 1과 같이 여러 형태의 인산이온과 반응하여 인산칼슘침전물을 형성하여 용존인을 제거한다.
[화학식 1]
Ca2 + + HPO4 2 - → CaHPO4
Ca2 + + 2HPO4 - → Ca(H2PO4)2
3Ca2 + + 2PO4 3 - → Ca3(PO4)2
5Ca2 + + 3PO4 2 - + OH- → Ca5(PO4)3OH
석회층내 석회의 농도는 0.3 내지 0.5mM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5mM이 될 수 있다. 석회의 농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으면 인의 제거 효율이 감소하며, 상기 농도 이상으로 과량으로 사용되면 소석회를 사용한 경우에는 OH- 이온으로 인해 pH가 상승하게 되므로 수중생물이 폐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응조로 유입 되는 오수의 양에 따라 0.5mM의 농도가 되는 석회의 양을 계산하여 석회층을 형성하거나, 석회의 농도가 상기의 농도가 되도록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순환 단계는 상기 정화 단계를 거친 물이 이송관을 통하여 호소로 다시 유입되는 단계이다. 이 때, 순환주기는 30 내지 35일 일 수 있다.
탄산이온과 인산이온이 반응하여 용존인이 제거되는 반응이 평형에 도달하는 데는 약 30일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30 내지 35일의 순환주기로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보다 순환주기가 짧으면 인의 제거효율이 감소되며, 상기 보다 순환주기가 길면 인의 제거율은 동일하면서 시간만 소요되게 된다.
이하, 용존인의 제거에 필요한 석회의 양 및 순화주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1>
열역학적으로 가장 안정한 염으로 알려진 인산염인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hydroxyl apatite)가 포화된 수용액에 석회석(calcite)을 농도별로 가하고, 이 때 인의 농도, 칼슘의 농도, 이온 strength 및 pH를 측정하여 이를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 1]
calcite(mM) pH Ionic strength(M) soluble P(M) soluble Ca(M)
0.0 7.13 0.0002 3.54×10-5 5.91×10-5
0.1 7.62 0.0003 2.13×10-6 1.04×10-4
0.2 7.90 0.0006 2.88×10-7 2.01×10-4
0.3 8.07 0.0009 9.28×10-8 3.00×10-4
0.4 8.19 0.0015 4.31×10-8 4.00×10-4
0.5 8.28 0.0015 2.52×10-8 4.94×10-4
0.6 8.28 0.0015 2.52×10-8 4.94×10-4
1.0 8.28 0.0015 2.52×10-8 4.94×10-4
10.0 8.28 0.0015 2.52×10-8 4.94×10-4
infinite 8.28 0.0015 2.52×10-8 4.94×10-4
상기 표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산칼슘의 농도가 0.5mM까지 증가함에 따라서 용액의 pH가 상승하고 그 이상이 되면 pH 가 8.28에서 더 이상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탄산칼슘의 존재는 인의 농도를 3.54x10-5 M 에서 2.52x10-8 M 으로 1400배나 감소시킨다.
<실험예 2>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가 포화된 수용액에 소석회(Ca(OH)2, lime)의 양을 변화시켜 가하고, 이 때 인의 농도, 칼슘의 농도, 이온 strength 및 pH를 측정하여 이를 하기 표 2 에 나타내었다.
[표 2]
lime (mM) pH Ionic strength(M) soluble P(M) soluble Ca(M)
0.0 7.13 0.0002 3.54×10-5 5.91×10-5
0.1 7.62 0.0003 2.13×10-6 1.04×10-4
0.2 7.90 0.0006 2.88×10-7 2.01×10-4
0.3 8.07 0.0009 9.28×10-8 3.00×10-4
0.4 8.19 0.0012 4.31×10-8 4.00×10-4
0.5 8.29 0.0015 2.44×10-8 5.00×10-4
0.6 8.36 0.0018 1.56×10-8 6.00×10-4
1.0 8.56 0.0029 5.01×10-9 1.00×10-3
10.0 9.24 0.0189 2.85×10-10 1.00×10-2
100.0 9.66 0.0892 9.09×10-11 1.00×10-1
1000.0 9.99 0.3852 9.09×10-11 1.00
상기 표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석회의 경우 탄산칼슘과 달리 그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용액의 pH, 이온세기, 칼슘의 농도가 소석회의 농도와 비례하여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H의 계속적인 상승으로 수중 식물이 폐사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실험예 3>
공기와 접촉한 상태에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가 포화된 수용액에 석회석을 가할 경우 평형에 도달하기까지의 과정에 대하여 접촉시간에 따른 농도의 변화를 PHREEQC1 program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공기의 압력은 1atm, 온도는 25℃로 가정하였으며, 석회석의 양은 포화상태에 다다를수 있도록 충분한 양이 가해진다고 가정하였다.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가 포화된 수용액에 석회석(calcite)를 가하면 석회석이 녹으면서 탄산이온이 생성되고 이 탄산이온이 수소이온의 수용체로 작용함으로서 용액의 pH는 상승하게 된다. 시간에 따른 pH 변화와 칼슘이온 및 인의 농도변화를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었다. 도 3 및 도 4 에 의하면, pH가 약 7.40에서 상승하여 약 8.28에서 평형에 도달하고, Ca2 +의 농도는 1.21 × 10-4 M 에서 4.94 × 10-4M 로 4배 정도 증가하고 인의 농도는 7.29 × 10-5 M에서 4.73 × 10-7 M로 150배 가량 감소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은 대략 30 일 정도로 반응이 매우 느린 편이기 때문에 반응시간을 1달 이상 주어야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소 정화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소 정화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와 석회석과의 반응에서 시간의 변화에 따른 pH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와 석회석과의 반응에서 시간의 변화에 따른 칼슘 이온과 인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10)

  1. 호소 전체 깊이에 대하여 수면으로부터 1/3이상의 지점에 위치하여 호소 상부의 물을 반응조로 공급하는 제1유입관;
    상기 제1유입관에 연결되고 호소 상부의 물을 끌어올리는 제1태양열 펌프;
    호소 전체 깊이에 대하여 수면으로부터 2/3이하의 지점에 위치하여 호소 하부의 물을 반응조로 공급하는 제2유입관;
    상기 제2유입관에 연결되어 호소 하부의 물을 끌어올리는 제2태양열 펌프;
    상기 제1유입관 및 제2유입관으로부터 호소내의 물을 공급받아 일정 시간 정화시키는 석회층을 포함하는 반응조;
    상기 반응조의 상부에 위치하며 호소내 고형물과 액체를 분리하는 분리막;
    상기 반응조의 하부 및 호소와 연결되고, 상기 반응조의 물을 호소로 이송시키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에 설치되는 밸브;
    상기 이송관에 설치되는 제3 태양열 펌프;
    상기 이송관의 순환 주기에 맞추어 상기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석회층은 생석회, 소석회 및 탄산석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형성되며,
    상기 석회층은 석회의 농도가 0.3 내지 0.5mM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유입관의 직경은 4 내지 10 인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순환주기는 30 내지 35 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소 정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080092565A 2008-09-22 2008-09-22 호소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049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2565A KR101049323B1 (ko) 2008-09-22 2008-09-22 호소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2565A KR101049323B1 (ko) 2008-09-22 2008-09-22 호소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611A KR20100033611A (ko) 2010-03-31
KR101049323B1 true KR101049323B1 (ko) 2011-07-13

Family

ID=42182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92565A KR101049323B1 (ko) 2008-09-22 2008-09-22 호소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3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877B1 (ko) * 2017-07-21 2018-02-02 박구현 순환식 폐쇄성 수역 정화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544B1 (ko) * 2014-04-30 2016-06-27 이종식 수중 담체 장치, 수체 순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생태계 활성화 시스템
KR101652302B1 (ko) * 2015-01-14 2016-08-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여과식 호소 정화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5377A (ja) 1997-02-24 1998-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藻類制御装置
KR20030009891A (ko) * 2001-07-24 2003-02-05 유명진 석회석을 사용한 모래여과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래여과장치
KR20060025593A (ko) * 2006-02-14 2006-03-21 양승재 솔라펌핑 수질정화 생태연못
KR20070109242A (ko) * 2006-05-10 2007-11-15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연못의 수질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5377A (ja) 1997-02-24 1998-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藻類制御装置
KR20030009891A (ko) * 2001-07-24 2003-02-05 유명진 석회석을 사용한 모래여과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래여과장치
KR20060025593A (ko) * 2006-02-14 2006-03-21 양승재 솔라펌핑 수질정화 생태연못
KR20070109242A (ko) * 2006-05-10 2007-11-15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연못의 수질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877B1 (ko) * 2017-07-21 2018-02-02 박구현 순환식 폐쇄성 수역 정화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611A (ko)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7653B2 (en) Removal and recovery of phosphate from liquid streams
Smolders et al. Sulphate-mediated iron limitation and eutrophication in aquatic ecosystems
US20090255862A1 (en) Eco-treament system
CN111233165A (zh) 一种复合型脱磷滤料
Vanotti et al. Removing and recovering nitrogen and phosphorus from animal manure
AU2018335227B2 (en) Decoupled multi-trophic production facility with bio reactor unit
Dryden et al. Feature. Renovated Waste Water Creates Recreational Lake
KR101049323B1 (ko) 호소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CN109607971A (zh) 矿山酸性废水生态处理系统及处理方法
CN109626763A (zh) 一种采用组合工艺净化湖泊水的系统及方法
Eliassen et al. Removal of nitrogen and phosphorus from waste water
Kalyuzhnyi et al. Integrated mechanical, 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treatment of liquid manure streams
JP2005074407A (ja) 水質浄化施設
Ratanatamskul et al. The use of a zeolite-iron column for residual ammonia and phosphorus removal in the effluent from a membrane process as an on-site small-scale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CN105906063A (zh) 一种人工湿地系统及采用人工湿地系统处理氮磷废水的方法
KR100453199B1 (ko) 기능성세라믹에 의한 호수 수질정화장치 및 방법
CN109574390A (zh) 一种酸性不锈钢废水的回收方法
KR100919777B1 (ko) 고도처리용 고체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54715B1 (ko)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
CN102503045A (zh) 一种生物膜污水处理方法
CN212222564U (zh) 一种序批式流化床污水处理系统、控制系统
Guyer et al. An Introduction to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RU2700474C1 (ru) Способ гидроботан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водных сред, загрязненных мышьяксодержащими соединениями
CN207537272U (zh) 一种污水厂处理装置
CN111377538A (zh) 一种序批式流化床污水处理系统、控制系统及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