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715B1 -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715B1
KR101554715B1 KR1020130031936A KR20130031936A KR101554715B1 KR 101554715 B1 KR101554715 B1 KR 101554715B1 KR 1020130031936 A KR1020130031936 A KR 1020130031936A KR 20130031936 A KR20130031936 A KR 20130031936A KR 101554715 B1 KR101554715 B1 KR 101554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mine drainage
water
partition wall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7727A (ko
Inventor
우성필
Original Assignee
우성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필 filed Critical 우성필
Priority to KR1020130031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715B1/ko
Publication of KR20140117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산배수가 유입되는 유입로와, 상기 유입로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유로와, 상기 유로의 내부에 충진되는 여과재와, 상기 유로의 상부에 형성되는 수경녹지 및 상기 유로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정화수가 방출되는 배출로를 포함하되, 상기 유로는 좁은 면적 내에서 최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광산배수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고효율 자연정화를 실현할 수 있는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Apparatus for purifying mine drainage with integrated flow channel and green tract}
본 발명은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연복합광물 매질체와 식물수경정화 기술을 융합하여 최고 효율을 발휘할 수 있는 수경녹지 유로를 통해 중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고효율 자연 정화가 가능한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오염원이나 비점오염원에 의해 발생하는 특정 오염수에 대한 유입 또는 방류 지역에서는 유입수 오염 근원에 따른 다양한 기술로 수질을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지자체 시행령에 따라 의무적인 환경기초시설을 통한 1차 수처리 후의 방류수와 자연발생적 점비점오염원의 원수에 대하여 각 환경별로 효과적인 수질정화 특화기술 및 특별 시방에 의한 고효율 자연정화의 표준설계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광산배수를 포함한 특정 오염수와 같은 폐수의 관리는 통상 플랜트 위주의 각종 설비와 장비 운전 및 그에 따른 부대시설 운영을 통해 물리ㆍ화학적으로 처리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비효율, 고비용의 부담이 있고, 사후 유지관리 수처리에 필요한 추가적인 기술로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중화, 산화, 화학제, 응접제, 준설, 퇴수 등의 화학물리적 수처리 기술이 알려져 있으나, 이는 2차 근원성 오염원을 발생시키는 역친환경 공법으로 일시적인 수처리에 불과할 뿐이며, 또한 고효율 설비와 장비 등을 이용하기도 하나 이 역시 역자연정화에 의한 한시적인 수단에 불과하고 제2의 근원성 오염원의 요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침전지, 침강지, 소택지, 인공습지, 정화식물 등을 이용한 친환경 공법도 적용하고 있으나, 특히 광산배수 및 각종 오염수, 대용량 담수, 최대 면적지 내의 목표 수질에서 수질정화 설계용량 부족에 따른 저효율성의 한계가 있고, 겨울철에는 시설에 따라 결빙으로 사용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운영상 유지관리 면에서도 실용적이지 못하고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친환경적 공법에 의하더라도 오염원의 특성에 따른 정화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주변 지역을 2차 오염원으로 확대시킬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처럼 각종 특정 오염수 및 중금속 거동성이 강한 광산배수와 같은 폐수는 수질정화 방법이 제한적이며, 환경적으로도 한계성이 있을 뿐 아니라 유지관리 면에서도 시간과 인력이 지속적으로 투자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다. 특히, 광해피해지역의 광산배수와 같은 중금속성 산성수 유입 지역은 현실적인 대책이 미흡하여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은 물론 2차 환경오염의 근원성이 되고 있다.
한편, 식물환경복원을 통한 식물 자연정화 공법을 고려할수도 있으나 현재까지 자연정화를 위해서는 초본류 이상의 식물체를 적극적이고 직접적으로 인용한 예를 찾기 어려우며, 특히, pH 3~4 이하의 강산성 광산배수와 같은 오염수 정체지역 내에서는 특정 식물체 외의 일반 수목들은 뿌리 활착이 어려운 식생환경으로 평가 되고 있기 때문에 현실적인 대안을 찾고자 노력 중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경공법으로 산성수에서 식물체의 안정적인 뿌리 활착과 식생조건을 제공하여 중장기적이고, 고효율의 자연정화를 실현하고, 좁은 부지에서도 최대의 효율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치가 가능한 유로 수경녹지를 공원화하여 생태와 환경도 복원할 수 있는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기시나 갈수기 또는 동절기에도 수질정화에 충분한 대응 능력을 보유하고, 무동력, 무인 시스템을 통해 인건비, 유지비 등 제반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광산배수가 유입되는 유입로와, 상기 유입로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유로와, 상기 유로의 내부에 충진되는 여과재와, 상기 유로의 상부에 형성되는 수경녹지 및 상기 유로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정화수가 방출되는 배출로를 포함하되, 상기 유로는 좁은 면적 내에서 최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광산배수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유입로와 상기 유로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광산배수가 하부로 통과할 수 있도록 내측 상단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중력자압작용격벽과, 상기 중력자압작용격벽의 하부로 이송된 광산배수가 상승하여 낙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력자압작용격벽의 후방 하단에 설치되는 유량조절격벽을 갖는 유량대응조절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량대응조절조의 일측 상단에는 오버플로우되는 광산배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파이프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로와 상기 배출로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정화수가 하부로 통과할 수 있도록 내측 상단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중력자압작용격벽과, 상기 중력자압작용격벽의 하부로 이송된 정화수의 일정량이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중력자압작용격벽의 후방 하단에 설치되는 유량저장격벽을 갖는 유량유지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량대응조절조와 상기 유로 사이 및 상기 유로와 상기 유량유지조 사이에는 통수형 칸막이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경녹지는 상기 유로의 상부에 차례대로 적층되는 활성토, 유기물, 양질토, 식재토로 이루어지는 토양층과, 상기 토양층의 상부에 식재되는 조경수 식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여과재는 천연복합광물과 친자연소재 매질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복합광물의 여과재와 식물체들의 탄소동화 작용 등 자연에너지 융합작용을 통해 친환경적으로 수질을 자연정화할 수 있으며, 집적식 연장 유로에 의해 광산배수를 장시간 체류시키게 하여 정화함으로써 자연정화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유로를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최대 효율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치가 가능하여 부지 마련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로의 상부에 수경녹지를 형성하여 안정적인 식생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높은 자연정화 효율 뿐 아니라 생태ㆍ환경복원 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수처리 시설에 필요한 각종 부대시설의 용지로 활용 가능한 경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아울러, 1회 시설로 영구적인 운영이 가능하고, 무동력, 무인 시스템이기 때문에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
도 5는 도 1의 C-C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 도 5는 도 1의 C-C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100)는 유입로(110)와, 유로(120)와, 여과재(130)와, 수경녹지(140) 및 배출로(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입로(110)는 광산배수의 유입을 위한 것으로 상기 유로(120)의 전단에 형성된다.
상기 유로(120)는 상기 유입로(110)를 통해 유입된 광산배수를 통과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입로(110)에 일단부가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유입로(110)와 상기 유로(120) 사이에는 유량대응조절조(16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로(120)가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유로(120)를 일측과 타측이 반복적으로 개방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일정 면적에서 최장 거리 유로를 조성하여 광산배수의 체류 시간을 장기화하고, 이를 통해 수질정화 효율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좁은 부지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광산배수는 상기 유로(120)의 일측과 타측을 왕복하면서 이송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여과재(130)와 상기 수경녹지(140)의 복합 작용에 의해 장시간 동안 정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120)의 밀집된 구조로 인해 협곡, 계곡, 협소한 장소, 소규모의 소택지 등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부지의 확보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여과재(130)는 광산배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로(120) 내부에 충진된다. 상기 여과재(130)는 통수가 원활하고 공극을 가진 비대칭형의 매질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음이온 복합광물류, 석회석, 친자연소재 등과 같은 천연복합광물을 수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처럼 선택적으로 적용된 다공질 매질체의 친환경 에너지는 광산배수 및 각종 오염 유입수에 음이온을 제공하고, 오염물질을 산소 활성, 산화, 중화, 응집침전, 고형화 함으로써 정화하게 된다. 그리고 오염물질은 상술한 천연복합광물 매질체의 공극에 의해 미생물의 생착, 증식, 순환되는 미생물 자연활성과 매질체들에 의한 표층토로 투수삼투압 증발산 효과를 통해서도 제거되며, 이를 통해 유로 내 저장수가 활성화 되어 수경식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경녹지(140)는 상기 여과재(130)와 함께 광산배수를 식물체에 의해 자연정화 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유로(120)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수경녹지(140)의 토양층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례대로 적층되는 활성토(141), 유기물(142), 양질토(143) 및 식재토(144)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기물(142)로는 퇴비, 볏짚, 낙엽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토양층에는 교목이나 관목과 같은 대형 식물체가 식재된다. 일반의 대형 조경수 식물체는 유기물, 중금속, 기타 수질오염 인자를 선택적으로 집중ㆍ다량 흡수 제거할 수 있으며, 수질 오염의 근원성에 적합한 수종을 선택적으로 식재하여 선별적인 수질정화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수경식생환경의 조성을 통해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수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토양층에 식물체를 식재하면 식물체의 광합성 등을 통해 자연발생적 에너지 발산과 흡수가 이루어져 친환경적인 고효율 자연정화 수처리가 가능하고, 특히, 광해지역의 광산배수 및 기타 유입 오염수 처리를 위한 각종 시설물, 소택지 조성 등에 따른 주변 환경의 직간접적인 환경파괴, 경관훼손을 방지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지역이 녹지공원화 되기 때문에 환경복원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기 배출로(150)는 정화수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로(120)의 후단에 형성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광산배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정화하기 위해 다른 구성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는 바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유로(120)의 전단에는 유량대응조절조(16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량대응조절조(160)는 상기 유입로(110)와 상기 유로(120) 사이에 형성되며, 중력자압작용격벽(161)과 유량조절격벽(1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력자압작용격벽(161)은 상기 유입로(110)를 통해 유입된 광산배수를 중력자압에 의해 폭기조(164)로 자연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량대응조절조(160)의 내측 상단에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중력자압작용격벽(161)은 하부로 광산배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유량대응조절조(160)의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 설치된다.
상기 유량조절격벽(162)은 광산배수의 저장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중력자압작용격벽(161)의 후방에 이격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유량조절격벽(162)은 상기 중력자압작용격벽(161)과 반대로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설치되며, 이로 인해 상기 중력자압작용격벽(161)의 하부로 유입된 광산배수가 상승하여 상기 유량조절격벽(162)의 상단에서 낙하될 수 있다. 따라서 광산배수는 상기 유량조절격벽(162)을 통과하면서 자연 낙차에 의해 자연폭기되기 때문에 폭기조(164)에서 산화작용이 촉진되어 1차적인 중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유량대응조절조(160)의 일측에는 배수파이프(16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수파이프(163)는 유입되는 광산배수의 오버플로우(Over flow)를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량대응조절조(160)의 전방 일측 상단에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유량이 많은 우기시 상기 유량대응조절조(160)에 광산배수가 일정량 이상 유입되면 상기 배수파이프(163)를 통해 정화구역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유로(120)의 유량이 일정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로(120)의 후단에는 유량유지조(17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량유지조(170)는 상기 유로(120)와 상기 배출로(150) 사이에 형성되며, 중력자압작용격벽(171)과 유량저장격벽(17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력자압작용격벽(171)은 상기 유로(120)를 통해 배출되는 정화수를 중력자압에 의해 자연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량유지조(170)의 내측 상단에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중력자압작용격벽(171)은 하부로 정화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유량유지조(170)의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 설치된다.
상기 유량저장격벽(172)은 정화수를 일정량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중력자압작용격벽(171)의 후방에 이격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유량저장격벽(172)은 상기 중력자압작용격벽(171)과 반대로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중력자압작용격벽(171)의 하부로 유입된 정화수가 상승하여 상기 유량저장격벽(172)의 상단에서 낙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120)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이 제거된 정화수가 배출 전 최종적으로 다시 낙차에 의해 자연폭기되기 때문에 정화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유량이 적은 갈수기에는 상기 유량저장격벽(172)에 의해 정화수가 일정량 보존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량저장격벽(172)이 없을 경우에는 상기 중력자압작용격벽(171)의 하부를 통과한 정화수가 그대로 배출되지만 상기 유량저장격벽(172)이 존재하면 그 높이만큼 정화수의 배출이 방지되어 상기 유로(120)에서 정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갈수기에도 상기 유로(120) 내에 광산배수가 일정량 집적되어 정체되고, 이로 인해 광산배수의 양에 무관하게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량대응조절조(160)와 상기 유량유지조(170)에 의해 상기 유로(120)를 집적식으로 구성하여 유로 내의 통수성과 자연유속 생성에 의한 광산배수 활성 및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광산배수를 활성수 상태로 장시간 집적하여 효과적인 정화 효율과 중요한 수경식생환경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량대응조절조(160) 및 상기 유로(120) 사이와, 상기 유로(120)와 상기 유량유지조(170) 사이에는 철망 구조의 통수성 칸막이(180)(181)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통수성 칸막이(180)(181)는 상기 여과재(130)의 매질체가 상기 유량대응조절조(160) 및 상기 유량유지조(170)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유량대응조절조(160)와 상기 유량유지조(170)의 일측 상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90)(191)가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광산배수의 최초 유입시와 최종 배출시의 수질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광산배수가 상기 유입로(110)를 통해 상기 유량대응조절조(160) 내부로 유입된다. 이 경우, 광산배수의 양이 상기 유량대응조절조(160)의 용량을 초과할 때에는 상기 배수파이프(163)를 통해 정화구역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유량의 조절이 이루어진다.
이후, 광산배수는 중력자압에 의해 상기 유량대응조절조(160)의 후방으로 이송되어 상기 중력자압작용격벽(161)의 하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광산배수는 바로 흐르지 않고 상기 유량조절격벽(162)에 의해 차단되어 상승한 후 상기 유량조절격벽(162)의 상단에서 후방 폭기조(164)로 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유량조절격벽(162)의 높이만큼 낙차가 발생하여 자연폭기가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산화작용에 의해 1차적으로 중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계속하여, 자연폭기된 광산배수는 상기 통수형 칸막이(180)를 통해 상기 유로(120)에 유입되고, 상기 유로(120)의 일측과 타측으로 반복 순환되면서 후단으로 이송된다. 이 경우, 광산배수는 상기 유로(120)를 거치면서 상기 여과재(130)와 상기 수경녹지(140)의 복합 작용을 통해 정화가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재(130)를 구성하는 음이온 복합광물, 석회석, 친자연소재 등의 친환경 에너지에 의해 광산배수에 음이온이 제공되고, 오염물질이 산소활성, 산화, 중화, 응집침전, 고형화 되며, 이와 동시에 천연복합광물 매질체의 공극 활성에 따른 미생물 생착, 증식, 순환을 통해 수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경녹지(140)에 식재된 교목, 관목 등 각종 수목의 뿌리 활착과 안정적인 식생환경 제공으로 식물체들의 고효율 자정정화 작용이 이루어짐으로써 장기적인 수질정화의 안정성이 확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오염물질이 제거된 정화수는 최종적으로 상기 통수성 칸막이(181)를 통해 상기 유량유지조(170)에 유입된다. 정화수는 상기 중력자압작용격벽(171)의 하부로 유입되어 상승한 후 상기 유량저장격벽(172)을 타고 상승한 후 후방으로 떨어지며, 이 과정에서 자연폭기가 이루어져 추가적인 중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갈수기에는 상기 유량저장격벽(172)에 의해 정화수가 바로 배수되지 않고, 일정량이 저장되기 때문에 상기 여과재(130)와 상기 수경녹지(140)의 복합작용에 의한 정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유량유지조(170)에서 배출된 정화수는 상기 배출구(150)를 통해 정화구역, 소택지 또는 하천으로 방류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
110 : 유입로 120 : 유로
130 : 여과재 140 : 수경녹지
141 : 활성토 142 : 유기물
143 : 양질토 144 : 식재토
150 : 배출로 160 : 유량대응조절조
161 : 중력자압작용격벽 162 : 유량조절격벽
163 : 배수파이프 164 : 폭기조
170 : 유량유지조 171 : 중력자압작용격벽
172 : 유량저장격벽 180, 181 : 통수성 칸막이
190, 191 : 덮개

Claims (7)

  1. 삭제
  2. 광산배수가 유입되는 유입로와, 상기 유입로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지는 유로와, 상기 유로의 내부에 충진되는 여과재와, 상기 유로의 상부에 형성되는 수경녹지 및 상기 유로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정화수가 방출되는 배출로를 포함하는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로와 상기 유로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광산배수가 하부로 통과할 수 있도록 내측 상단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중력자압작용격벽과, 상기 중력자압작용격벽의 하부로 이송된 광산배수가 상승하여 낙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력자압작용격벽의 후방 하단에 설치되는 유량조절격벽을 갖는 유량대응조절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대응조절조의 일측 상단에는 오버플로우되는 광산배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파이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와 상기 배출로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정화수가 하부로 통과할 수 있도록 내측 상단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중력자압작용격벽과, 상기 중력자압작용격벽의 하부로 이송된 정화수의 일정량이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중력자압작용격벽의 후방 하단에 설치되는 유량저장격벽을 갖는 유량유지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대응조절조와 상기 유로 사이 및 상기 유로와 상기 유량유지조 사이에는 통수형 칸막이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녹지는 상기 유로의 상부에 차례대로 적층되는 활성토, 유기물, 양질토, 식재토로 이루어지는 토양층과, 상기 토양층의 상부에 식재되는 조경수 식물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는 천연복합광물 매질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
KR1020130031936A 2013-03-26 2013-03-26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 KR101554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936A KR101554715B1 (ko) 2013-03-26 2013-03-26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936A KR101554715B1 (ko) 2013-03-26 2013-03-26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727A KR20140117727A (ko) 2014-10-08
KR101554715B1 true KR101554715B1 (ko) 2015-09-22

Family

ID=51990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936A KR101554715B1 (ko) 2013-03-26 2013-03-26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7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6405A (zh) * 2019-08-30 2019-12-03 江西理工大学 复合人工湿地就地去除稀土矿区氨氮污染的方法及系统
CN111018125A (zh) * 2019-12-31 2020-04-17 内蒙古蒙草矿山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矿区疏干水净化系统及其建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149B1 (ko) * 2006-12-08 2007-12-21 주식회사 아썸 수처리를 위한 인공습지
KR101070477B1 (ko) * 2009-01-13 2011-10-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준자연정화식 광산배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산배수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149B1 (ko) * 2006-12-08 2007-12-21 주식회사 아썸 수처리를 위한 인공습지
KR101070477B1 (ko) * 2009-01-13 2011-10-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준자연정화식 광산배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산배수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727A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313B1 (ko) 생태복원을 위한 수생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US8940170B2 (en) Triple-chambered wetland biofilter treatment system
CN100497207C (zh) 反冲洗、曝气型潜流湿地水体净化设备及水体净化方法
CN104003574B (zh) 一种适用于农田排水沟渠的迷宫式生态净化池
KR101294715B1 (ko)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0818912B1 (ko) 수생초목을 이용한 오수의 자연고도 정화장치
CN104986860A (zh) 一种无动力净化河水的生态处理工艺
CN100595169C (zh) 一种水净化回用生态系统
JP3787610B2 (ja) 有用植物を用いた水質浄化方法及びその装置
CN105461075A (zh) 一种城市径流面源污染深度处理及回用工艺
IL21215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 reusing graywater including for use in home and garden
CN103896462B (zh) 一种湿地植物清污系统
KR101868230B1 (ko) 저영향개발 시설의 화분 교체식 식생 구조체
KR101218769B1 (ko) 생태도랑을 이용한 도시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0601908B1 (ko) 우수저류연못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정화 및 친수시설활용방법과 그 장치
CN108178315B (zh) 一种中水同步资源化处理方法及雨水花园系统
KR100561171B1 (ko) 무동력 수로형 인공습지 및 이를 이용한 자연형하천정화공법
KR101554715B1 (ko)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
KR100477532B1 (ko) 연못의 수질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364973B (zh) 一种污水处理系统及其应用和污水处理方法
RU2358916C1 (ru) Сооружение для очистки и регулирования качества дренажных вод
JP2007144265A (ja) 雨水濾過調整システム
CN102951736B (zh) 一种花园湿地净化工艺及其花园湿地
CN207958057U (zh) 雨水处理系统
KR101326581B1 (ko) 비점오염제거를 위한 수생식물식재용 성장박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