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722B1 - 오징어 할복장치 - Google Patents

오징어 할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722B1
KR101048722B1 KR1020090064739A KR20090064739A KR101048722B1 KR 101048722 B1 KR101048722 B1 KR 101048722B1 KR 1020090064739 A KR1020090064739 A KR 1020090064739A KR 20090064739 A KR20090064739 A KR 20090064739A KR 101048722 B1 KR101048722 B1 KR 101048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quid
chain
main bod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290A (ko
Inventor
양희창
Original Assignee
양희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희창 filed Critical 양희창
Priority to KR1020090064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722B1/ko
Publication of KR20110007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03Processing cephalopod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8Cutting fish into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징어를 자동으로 할복할 수 있는 오징어 할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축과 연동축을 오징어를 안착시킬 수 있는 다수개의 받침대를 부착하고 있는 이송체인으로 연결시켜 받침대에 의해 오징어들을 직선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송체인의 상측부에는 받침대들의 이송 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설치대를 연결축과 지지축에 의해 본체와 연결된 승강축의 연결판 및 고정축의 지지판에 고정시키며 설치대 외곽에는 안내봉이 형성된 커터를 고정하고 있는 다수개의 고정대를 종동축과 제2연동축을 연결하고 있는 회동체인으로 부착시켜서 회동체인의 커터들이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이송체인에 의해 직선 방향으로 이송되는 받침대의 오징어들을 할복할 수 있도록 된 오징어 할복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90064739
본체,모터,구동축,이송체인,받침대,설치대,회동체인,커터,승강축,간격조절수단

Description

오징어 할복장치{SQUID DISEMBOWEL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오징어를 자동으로 할복할 수 있는 오징어 할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축과 연동축을 오징어를 안착시킬 수 있는 다수개의 받침대를 부착하고 있는 이송체인으로 연결시켜 받침대에 의해 오징어들을 직선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송체인의 상측부에는 받침대들의 이송 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설치대를 연결축과 지지축에 의해 본체와 연결된 승강축의 연결판 및 고정축의 지지판에 고정시키며 설치대 외곽에는 안내봉이 형성된 커터를 고정하고 있는 다수개의 고정대를 종동축과 제2연동축을 연결하고 있는 회동체인으로 부착시켜서 회동체인의 커터들이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이송체인에 의해 직선 방향으로 이송되는 받침대의 오징어들을 할복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소정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설치된 설치대에 의해 이에 설치되는 회동체인의 커터가 이송체인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받침대의 오징어들을 순차적으로 할복하는 것이므로 정확한 할복작용을 얻을 수 있고 신속한 할복작용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한개의 모터를 사용하여 오징어의 이송작용과 커팅작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인 동력사용이 가능하며 관리가 용이하고 설치대의 전방부를 설치대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시켜 설치대 외곽으로 결합되는 회동체인의 커터들과 받침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오징어의 크기에 따라 조절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오징어를 자동으로 할복할 수 있는 오징어 할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오징어를 자동으로 할복하는 할복장치는, 한쌍의 로울러 또는 한쌍의 벨트 사이로 오징어를 이송시키면서 테이블 표면 중앙에 결합되는 칼날에 의해 오징어를 할복하는 기본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칼날이 고정된 상태에서 오징어를 이송시켜 할복을 하는 방식으로 오징어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로울러나 벨트의 간격을 조절하는 동시에 테이블의 커터 높이도 조절을 각각 개별적으로 해야 했기 때문에 조절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량을 증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의 종래기술은, 한쌍의 로울러 또는 벨트들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 칼날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등과 같이 여러개의 모터가 필요하였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동력을 사용하고 있어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설치된 설치대에 의해 이에 설치되는 회동체인의 커터가 이송체인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받침대의 오징어들을 순차적으로 할복하는 것이므로 정확한 할복작용을 얻을 수 있고 신속한 할복작용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한개의 모터를 사용하여 오징어의 이송작용과 커팅작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인 동력사용이 가능하며 관리가 용이하고 설치대의 전방부를 설치대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시켜 설치대 외곽으로 결합되는 회동체인의 커터들과 받침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오징어의 크기에 따라 조절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오징어를 자동으로 할복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축과 연동축을 오징어를 안착시킬 수 있는 다수개의 받침대를 부착하고 있는 이송체인으로 연결시켜 받침대에 의해 오징어들을 직선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송체인의 상측부에는 받침대들의 이송 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설치되는 설치대를 연결축과 지지축에 의해 본체와 연결된 승강축의 연결판 및 고정축의 지지판에 고정시키며 설치대 외곽에는 안내봉이 형성된 커터를 고정하고 있는 다수개의 고정대를 종동축과 제2연동 축을 연결하고 있는 회동체인으로 부착시켜서 회동체인의 커터들이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서 이송체인에 의해 직선 방향으로 이송되는 받침대의 오징어들을 할복할 수 있도록 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소정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설치된 설치대에 의해 이에 설치되는 회동체인의 커터가 이송체인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받침대의 오징어들을 순차적으로 할복하는 것이므로 정확한 할복작용을 얻을 수 있고 신속한 할복작용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한개의 모터를 사용하여 오징어의 이송작용과 커팅작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인 동력사용이 가능하며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설치대의 전방부를 설치대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시켜 설치대 외곽으로 결합되는 회동체인의 커터들과 받침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오징어의 크기에 따라 조절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오징어를 자동으로 할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01) 하측의 모터(102)와 체인으로 연결되는 본체(101) 후방의 구동축 (103)과 본체(101)의 전방으로 축설되는 제1연동축(105)을 연결하여 회전이동되는 이송체인(104)과,
상기 이송체인(104)에 결합되어 오징어의 몸체부(161)와 다리부(162)를 구분하여 안착시킬 수 있는 분기판(107)을 부착하고 있는 다수개의 받침대(106)와,
상기 받침대(106)에 부착되어 오징어 몸체부(161)를 탄력으로 받쳐주는 클립 (109)과,
상기 받침대(106)에 안착된 오징어 다리부(162)를 탄력으로 압지하기 위해 본체(101)에 결합된 지지관(155)과 지지관(155)을 관통하고 있고 상측부에 손잡이 (154)를 결합하고 있는 압지축(152) 사이에 탄성부재(153)를 탄설하고 있는 압지판 (151)과,
상기 구동축(103)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본체(101) 상측의 전동축 (111)과,
상기 전동축(111)의 회전방향을 전환시켜주기 위해 전동축(111)을 결합하고 있는 본체(101) 상측에 부착된 기어박스(112)와,
상기 기어박스(112)의 후측부로 노출되는 제1회전축(113)과,
상기 제1회전축(113)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본체(101)의 지지대(115)에 축설된 제2회전축(114)과,
상기 제2회전축(114)의 회전력을 유니버셜조인트(116)를 통해 전달받는 종동축(117)와,
상기 받침대(106)들의 이송 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설치되고 본체(101)의 탄성부재(134)에 의해 탄지되고 있는 승강축(133)과 연결된 연결판 (132)의 연결축(131) 및 본체(101)에 고정된 고정축(143)과 연결된 지지판(142)의 지지축(141)에 의해 지지되는 설치대(124)와,
상기 설치대(124) 일측부로 축설되는 제2연동축(119)의 스플로킷과 종동축 (117)의 스플로킷을 연결하여 회전이동을 하는 회동체인(118)과,
상기 회동체인(118) 외측부에 고정대(121)를 고정하고 있고 선단부에 안내봉 (123)을 형성하고 있는 다수개의 커터(122)와,
상기 설치대(124)의 전방부를 지지축(141)을 중심으로 회전이동시켜 설치대 (124) 외곽으로 결합되는 회동체인(118)의 커터(122)들과 이송체인(104)에 결합된 받침대(106)와의 간격를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승강축(133)의 상측부에 고정핀(136)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고정판(156)에 안착되는 이동편(135)과,
상기 이동편(135)에 헐겁게 결합되어 이동편(135)을 승강시키는 조절축(139)과,
상기 조절축(139)의 승강이 용이토록 고정판(156)에 장공으로 형성되어 조절축(139)을 결합시키고 있는 조절공(157)과,
상기 조절축(139)의 이동량을 캠 작용에 의해 조절하여 이동편(135)으로 전달하기 위해 조절축(139)에 결합 고정되는 편심판(137)과,
상기 편심판(137) 및 조절축(139)을 회전시키기 위해 후방부에는 조절축 (139)을 연결하고 있고 전방부에는 손잡이(140)를 결합하고 있는 연결편(138)으로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도 1은 본 발명 오징어 할복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오징어 할복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면으로서, 할복을 하기 위한 오징어들을 이송체인(104)에 부착된 다수개의 받침대 (106)에 안착시키되 받침대(106)에 부착된 분기판(109)의 좌측에는 오징어 몸체부 (161)를 그리고 우측에는 오징어 다리부(162)를 도 7에 나타낸 바와같이 안착시킨다.
또한, 상기 받침대(106)에 부착된 클립(109)이 오징어 몸체부(161)의 양측부를 눌러주기 때문에 오징어 몸체부(161)의 끝단부가 상측으로 부풀어 오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오징어가 받침대(106)에 안착된 상태에서 본체(101)의 콘트롤박스(도시안됨)의 시작보턴을 누르면 본체(101)하측에 안착된 모터(102)가 구동되면서 이와 체인으로 연결된 본체(101)중앙의 구동축(103)이 회전을 하고 구동축(103)의 스플로킷에 연결된 이송체인(103)도 회전이동을 하면서 제1연동축(105)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체인(104)의 회전에 의해 이송체인(104)에 부착되어 있는 다수개의 받침대(106)들이 오징어를 안착시킨 상태로 이송을 시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축(103)의 회전력은 체인을 통해 본체(101)상측에 장착된 전동축(111)을 회전시키고 상기 전동축(111)의 회전력은 기어박스(112)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기어박스(112)후측부로 노출된 제1회전축(113)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축(113)과 체인으로 연결된 지지대(115)의 제2회전축 (114)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회전축(114)과 유니버셜조인트(116)로 연결된 종동 축(117)도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종동축(117)의 스플로킷과 제2연동축(119)의 스플로킷을 연결하고 있는 회동체인(118)도 설치대(124)의 외곽을 회전이동 하게 된다.
상기 회동체인(118)의 회전이동에 의해 회동체인(118)에 고정대(121)를 부착하고 있고 전방에는 안내봉(123)을 형성하고 있는 다수개의 커터(122)들도 설정된 속도로 회전이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오징어를 안착하고 있는 이송체인(104)의 받침대(106)는 본체(10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반면, 상기 커터(122)들은 설치대(124)가 받침대(106)들의 이송 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받침대(106)의 이송방향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이송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체인(118)에 부착된 커터(122)의 안내봉(123)이 오징어 몸체부(161) 즉, 다리부(162)와 경계에 위치되는 몸체부(161)의 끝단부 상측을 걸면서 이송을 하게 되고 곧이어 안내봉(123)후측의 커터(122)가 이송을 하면서 오징어 몸체부 (161)를 도 7의 실선 위치에서 가상선 위치로 이송을 하게 되므로 몸체부 (161)의 할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물론, 상기 직선상으로 이송되는 받침대(106)의 속도와 대각선 방향으로 이송되는 커터(122)의 속도는 사전에 설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오징어 몸체(161)는 받침대(106)에 의해 이송되는 동안 받침대(106)의 속도보다 약간 빠르게 설정된 커터(122)에 의해 할복이 가능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상기 받침대(106)가 제2연동축(119)의 하측부에 도달하면 안내 봉(123)과 커터(122)가 오징어 몸체부(161)끝단으로 삽입되어 커팅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의 받침대(106)가 종동축(117)의 하측부에 도달하면 오징어 몸체부(161)의 커팅이 완료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순차적으로 할복이 완료된 오징어들은 배출통로(158)를 통해 배출되어 다음 공정으로 투입되어진다.
한편, 상기 커터(122)들의 커팅작업이 이루어 질때에는 오징어 다리부(162)를 압지하여 오징어 몸체부(161)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받침대(106)가 오징어를 안착시킨 상태로 이송을 하면 오징어 다리부(162)의 상면은 본체(101)에 결합된 압지판(151)에 의해 은은한 탄성력을 받게 되는바, 상기 압지판(151)의 압지축(152)은 본체(101)에 고정된 지지관(155)내부로 헐겁게 결합되어 있고 이들 사이에 탄설된 탄성부재(153)에 의해 이송중인 오징어 다리부(162)를 압지판(151)이 도 3에 나타낸 바와같이 압지하여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커터(122)의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배려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압지축(152) 상측부에 형성된 손잡이(154)는 오징어 커팅 도중 발생할지도 모를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여 압지판(151)을 강제로 들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할복하기 위한 오징어의 크기에 따라 회동체인(118)의 커터와 이송체인(104)의 받침대(106)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같이 손잡이(140)를 회전시키면 연결편(138)이 회전되면서 연결편(138)에 연결된 조절축(139)을 고정판(156)의 조절공(157)내에서 회 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축(139)은 편심판(137)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편심판(137)도 동일하게 회전을 하게 되는바, 상기의 편심판(137)은 도 5에 나타낸 바와같이 사방의 길이(a,b,c,d)가 모두 다르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의 길이 만큼 이동편(135) 및 이에 결합된 승강축(133)을 캠작용에 의해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조절축(139)의 회전에 의해 편심판(137)이 회전되어 최저 길이인 a면을 고정판(156)과 접촉시키고 있을 경우에는 이동편(135)과 승강축(133)은 최하측으로 하강한 상태가 되고 상기 조절축(139)의 회전에 의해 편심판(137)이 회전되어 최고 길이인 d면을 고정판(156)과 접촉시키고 있을 경우에는 이동편(135)과 승강축(133)은 최상측으로 상승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편심판(137)의 캠운동에 의해 승강축(133)은 탄성부재(134)를 압축 또는 이완시키면서 승강작용을 하게 되고 아울러 승강축(133)과 연결된 연결판(132)의 연결축(131)에 의해 설치대(124)의 전방부를 지지축(141)을 중심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같이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141)은 본체(101)의 고정축(143)에 연결된 지지판(142)에 의해 지지되면서 설치대(124)를 지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대(124)의 전방부가 승강되면 설치대(124)외곽으로 결합된 회동체인(118)의 전방부도 승강을 하게 됨으로 이에 결합된 안내봉(123) 및 커터 (122)와 받침대(106)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큰 오징어, 중간 오징어, 작은 오징에등을 가리지 않고 용이하게 할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오징어 할복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 도면
도 2는 본 발명 오징어 할복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면
도 3은 본 발명 오징어 할복장치의 압지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오징어 할복장치의 간격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오징어 할복장치의 설치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오징어 할복장치의 커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본체 102-모터
103-구동축 104-아송체인
105-제1연동축 106-받침대
107-분기판 108-삽입공
109-클립 111-전동축
112-기어박스 113-제1회전축
114-제2회전축 115-지지대
116-유니버셜조인트 117-종동축
118-회동체인 119-제2연동축
121-고정대 122-커터
123-안내봉 124-설치대
131-연결축 132-연결판
133-승강축 134-탄성부재
135-이동편 136-고정핀
137-편심판 138-연결편
139-조절축 140-손잡이
141-지지축 142-지지판
143-고정축 151-압지판
152-압지축 153-탄성부재
154-손잡이 155-지지관
156-고정판 157-조절공
158-배출통로 161-오징어 몸체부
162-오징어 다리부

Claims (2)

  1. 본체 하측의 모터와 체인으로 연결되는 본체 후방의 구동축과 본체의 전방으로 축설되는 제1연동축을 연결하여 회전이동되는 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에 결합되어 오징어의 몸체부와 다리부를 구분하여 안착시킬 수 있는 분기판을 부착하고 있는 다수개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부착되어 오징어 몸체부를 탄력으로 받쳐주는 클립과,
    상기 받침대에 안착된 오징어 다리부를 탄력으로 압지하기 위해 본체에 결합된 지지관과 지지관을 관통하고 있고 상측부에 손잡이를 결합하고 있는 압지축 사이에 탄성부재를 탄설하고 있는 압지판과,
    상기 구동축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본체 상측의 전동축과,
    상기 전동축의 회전방향을 전환시켜주기 위해 전동축을 결합하고 있는 본체 상측에 부착된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후측부로 노출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본체의 지지대에 축설된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력을 유니버셜조인트를 통해 전달받는 종동축와,
    상기 받침대들의 이송 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설치되고 본체의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되고 있는 승강축과 연결된 연결판의 연결축 및 본체에 고정된 고정축과 연결된 지지판의 지지축에 의해 지지되는 설치대와,
    상기 설치대 일측부로 축설되는 제2연동축의 스플로킷과 종동축의 스플로킷을 연결하여 회전이동을 하는 회동체인과,
    상기 회동체인 외측부에 고정대를 고정하고 있고 선단부에 안내봉을 형성하고 있는 다수개의 커터와,
    상기 설치대의 전방부를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시켜 설치대 외곽으로 결합되는 회동체인의 커터들과 이송체인에 결합된 받침대와의 간격를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할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승강축의 상측부에 고정핀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고정판에 안착되는 이동편과,
    상기 이동편에 헐겁게 결합되어 이동편을 승강시키는 조절축과,
    상기 조절축의 승강이 용이토록 고정판에 장공으로 형성되어 조절축을 결합시키고 있는 조절공과,
    상기 조절축의 이동량을 캠 작용에 의해 조절하여 이동편으로 전달하기 위해 조절축에 결합 고정되는 편심판과,
    상기 편심판 및 조절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후방부에는 조절축을 연결하고 있고 전방부에는 손잡이를 결합하고 있는 연결편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할복장치.
KR1020090064739A 2009-07-16 2009-07-16 오징어 할복장치 KR101048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739A KR101048722B1 (ko) 2009-07-16 2009-07-16 오징어 할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739A KR101048722B1 (ko) 2009-07-16 2009-07-16 오징어 할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290A KR20110007290A (ko) 2011-01-24
KR101048722B1 true KR101048722B1 (ko) 2011-07-14

Family

ID=4361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739A KR101048722B1 (ko) 2009-07-16 2009-07-16 오징어 할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7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770A1 (ko) * 2015-07-10 2017-01-19 김흥대 오징어 가공장치용 오징어 세팅 트레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043U (ko) * 1998-02-12 1999-09-15 최규환 오징어 할복 및 내장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043U (ko) * 1998-02-12 1999-09-15 최규환 오징어 할복 및 내장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770A1 (ko) * 2015-07-10 2017-01-19 김흥대 오징어 가공장치용 오징어 세팅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290A (ko) 2011-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93864B (zh) 一种联动式切片机
CN106945089B (zh) 左右切菜装置
CN206839745U (zh) 一种无心磨自动上料装置
CN106863445B (zh) 上下切菜装置
KR101048722B1 (ko) 오징어 할복장치
CN103250776A (zh) 一种压送切鱼腹装置
CN108906967B (zh) 一种全自动波形切板机
CN209846080U (zh) 切面机
CN109773517B (zh) 一种铝材切割运输装置
CN209598318U (zh) 一种可自动上料的圆管切割机
CN110301661A (zh) 大蒜修根装置及其修根方法
CN114043566B (zh) 魔芋切片装置及切片方法
KR101584637B1 (ko) 초음파 재단장치
CN110238890B (zh) 一种枳壳切割装置
CN203538240U (zh) 全自动智能切面机
CN220261527U (zh) 一种仿石砖生产加工固定装置
CN206465619U (zh) 刮刀快速调整机构
CN205575137U (zh) 可调式甘蔗理平机
CN211306548U (zh) 一种便于匀速进料的冲压装置
CN220408946U (zh) 一种海绵裁切装置
CN217837321U (zh) 一种板件的导正输送机构
CN218483047U (zh) 一种电路板表面贴装定位装置
CN218342210U (zh) 一种石晶hpl地板切边装置
CN221048525U (zh) 一种pcb板加工固定设备
CN219633975U (zh) 一种烟草加工用卷纸裁剪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