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442B1 - 연탄난로 - Google Patents
연탄난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47442B1 KR101047442B1 KR1020090027364A KR20090027364A KR101047442B1 KR 101047442 B1 KR101047442 B1 KR 101047442B1 KR 1020090027364 A KR1020090027364 A KR 1020090027364A KR 20090027364 A KR20090027364 A KR 20090027364A KR 101047442 B1 KR101047442 B1 KR 1010474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quettes
- briquette
- opening
- main body
- burn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5/00—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화덕과, 지렛대와, 핀으로 구성되어짐에 따라 실내에서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연탄난로와 달리 연소된 연탄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불씨가 남아 있는 연탄을 외부로 배출하지 않아 연탄가스가 대량으로 실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불씨가 남아 있는 연탄의 불씨가 실내에 떨어져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의 유입구가 실외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유입관과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연탄이 연소시 실내공기에서 산소가 줄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유입구를 통해 실내에 연탄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탄난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탄난로는,
상단에 연탄을 투입하기 위한 덮개가 마련되고, 일측에 내부에서 연탄이 연소시 발생하는 연탄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와 연소된 연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1개폐체가 마련되고, 하단에 연소된 연탄을 교체시 떨어지는 잔재를 수거하기 위한 수거통과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되, 본체의 제1개폐체와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어 연소된 연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2개폐체가 마련된 화덕과;
상기 본체의 제1개폐체의 측면에 탈부착되되, 중심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하 는 제1회전체가 마련되고, 일단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제2회전체가 마련되고, 제2회전체와 부착되며 홀이 형성된 가이드부재가 마련된 지렛대와;
지렛대의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홀에 삽입이 되는 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탄난로, 연탄, 본체, 화덕, 지렛대, 핀, 개폐체, 수거통, 유입구, 회전체, 가이드부재, 실내, 연탄가스, 불씨, 화재
Description
본 발명은 본체와, 화덕과, 지렛대와, 핀으로 구성되어짐에 따라 실내에서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연탄난로와 달리 연소된 연탄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불씨가 남아 있는 연탄을 외부로 배출하지 않아 연탄가스가 대량으로 실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불씨가 남아 있는 연탄의 불씨가 실내에 떨어져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의 유입구가 실외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유입관과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연탄이 연소시 실내공기에서 산소가 줄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유입구를 통해 실내에 연탄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탄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탄난로는 고유가시대에 따라 다른 난방용품에 비해 난방의 비용을 적게 소요된다는 이점이 있어 사용하고 있는 곳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연탄은 연소하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이산화황(SO2)과 일산화탄소(CO)등의 연탄가스가 발생함에 따라 사람, 동물뿐만 아니라 재배 및 관상용 식물에 악영향을 주고 있으며, 특히 실내에서 사용되는 연탄난로일 경우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연탄난로의 구조를 대략 살펴보면,
일반적인 연탄난로(A')는 본체(10) 내부에 연탄(50)을 적층 삽입하기 위한 화덕(20)이 배치되고, 상부에는 연탄(50)을 교체하기 위한 덮개(11)가 설치되며, 상부 일측에는 연탄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12)가 마련되고, 배출구(12)와 연결되는 배출관(12a)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화력조절을 위한 조절체(15b) 및 연소된 연탄(60)의 교체시 떨어지는 잔재를 수거하기 위한 수거통(14)이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연탄난로의 사용상에 있어서, 연소된 연탄을 교체시 불씨가 남아 있는 상부의 연탄과 연소된 연탄을 외부로 옮기고, 외부로 옮긴 불씨가 남아 있는 연탄을 내부로 삽입 후 새로운 연탄을 불씨가 남아 있는 연탄 위에 올려둔다.
실내에서 설치된 연탄난로일 경우 상기와 같은 연소된 연탄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불씨가 남아 있는 연탄을 외부로 옮기면서 연탄가스가 대량으로 실내에 유입되어 사람이나 동·식물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불씨가 남아 있는 연탄의 불씨가 실내에 떨어져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 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과 문제점을 감안 및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체와, 화덕과, 지렛대와, 핀으로 구성되어짐에 따라 실내에서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연탄난로와 달리 연소된 연탄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불씨가 남아 있는 연탄을 외부로 배출하지 않아 연탄가스가 대량으로 실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불씨가 남아 있는 연탄의 불씨가 실내에 떨어져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의 유입구가 실외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유입관과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연탄이 연소시 실내공기에서 산소가 줄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유입구를 통해 실내에 연탄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탄난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연탄난로는,
상단에 연탄을 투입하기 위한 덮개가 마련되고, 일측에 내부에서 연탄이 연소시 발생하는 연탄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와 연소된 연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1개폐체가 마련되고, 하단에 연소된 연탄을 교체시 떨어지는 잔재를 수거하기 위한 수거통과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되, 본체의 제1개폐체와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어 연소된 연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2개폐체가 마련된 화덕과;
상기 본체의 제1개폐체의 측면에 탈부착되되, 중심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제1회전체가 마련되고, 일단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제2회전체가 마련되고, 제2회전체와 부착되며 홀이 형성된 가이드부재가 마련된 지렛대와;
지렛대의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홀에 삽입이 되는 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내에서 설치되어 사용되는 일반적인 연탄난로와 달리 연소된 연탄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불씨가 남아 있는 연탄을 외부로 배출하지 않아 연탄가스가 대량으로 실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불씨가 남아 있는 연탄의 불씨가 실내에 떨어져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의 유입구가 실외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유입관과 연결되어 있어, 연탄이 연소시 실내공기에서 산소가 줄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유입구를 통해 실내에 연탄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의 유입구에 조절체가 마련되어 있어 실외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하여 연탄난로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연탄난로에 비해 연소된 연탄을 새로운 연탄으로 교체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탄난로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탄난로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탄난로의 제1개폐체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연탄난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연탄난로에서 연소된 연탄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탄난로(A)는 본체(10)와, 화덕(20)과, 지렛대(30)와, 핀(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단에 연탄(50)을 투입하기 위한 덮개(11)가 마련되고, 일측에 내부에서 연탄(50)이 연소시 발생하는 연탄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12)와 연소된 연탄(60)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1개폐체(13)가 마련되고, 하단에 연소된 연탄(60)을 교체시 떨어지는 잔재를 수거하기 위한 수거통(14)과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15)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체(10)에서 상기 제1개폐체(13)는 일반적인 연탄(50)의 크기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개폐체(13)는 일반적인 연탄(50)의 크기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것은 연소 된 연탄(60)을 외부로 배출시 본체(10)와의 충돌을 최소화하여 잔재가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할 뿐만 아니라 연소된 연탄(60)을 외부로 배출시 연소된 연탄(60)의 하단에 떠받칠 수 있는 받침도구(70)를 연소된 연탄(60)의 하단으로 원활하게 삽입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에서 연소된 연탄(60)을 떠받치는 받침도구(70)는 종류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15)는 실외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유입관(15a)과 연결되되, 유입관(15a)에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체(15b)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입구(15)는 실외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유입관(15a)과 연결됨에 따라, 실내공기를 소진시켜 연탄(50)을 연소하는 일반적인 연탄난로(A')와 달리 유입되는 실외공기로 연탄(50)을 연소함으로써 실내공기에서 산소가 줄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시 발생하는 연탄가스가 유입구(15)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체(15b)가 마련됨에 따라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조절하여 화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화덕(20)은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되되, 본체(10)의 제1개폐체(13)와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어 연소된 연탄(60)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2개폐체(21)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화덕(20)에서 제2개폐체(21)는 일반적인 연탄(50)의 크기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개폐체(21)는 일반적인 연탄(50)의 크기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것은 연소된 연탄(60)을 외부로 배출시 화덕(20)과의 충돌을 최소화하여 잔재가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제1개폐체(13)와 화덕(20)의 제2개폐체(21)는 제1개폐체(13)의 내면부에 제2개폐체(21)의 외면부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개폐체(13)의 내면부에 제2개폐체(21)의 외면부가 부착되는 것은 연소된 연탄(60)을 외부로 배출시 제1개폐체(13)와 제2개폐체(21)를 각각 나누어 개방하는 것에 비해 동시에 제1개폐체(13)와 제2개폐체(21)를 개방할 수 있어 사용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지렛대(30)는 본체의 제1개폐체(15)의 측면에 탈부착되되, 중심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제1회전체(31)가 마련되고, 일단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제2회전체(32)가 마련되고, 제2회전체(32)와 부착되며 홀이 형성된 가이드부재(33)가 마련된 것이다.
지렛대(30)의 중심부에 제1회전체(31)가 마련됨에 따라 가이드부재(33)가 마련되지 않은 일단부의 움직임으로 가이드부재(33)의 상·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 는 위치에 맞추어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지렛대(30)의 일단부에 제2회전체(32)가 마련됨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가이드부재(33)가 어떠한 위치에서도 수평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핀(40)은 지렛대(30)의 가이드부재(33)에 형성된 홀에 삽입이 되는 것이다.
핀(40)의 형상과 크기는 가이드부재(33)의 홀의 형상에 따른 크기에 벗어나지 않는 한, 형상과 크기에 구애받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연탄난로(A)를 통해 연소된 연탄(60)을 새로운 연탄(50)으로 교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제1개폐체(13)를 전방으로 개방함과 동시에 제2개폐체(21)도 전방으로 개방하고, 본체(10)에 부착된 지렛대(30)에서 가이드부재(33)가 마련되지 않은 일단부를 아래로 눌러 가이드부재(33)를 완전히 연소된 연탄(60)과 불씨가 남아 있는 연탄(50) 사이의 위치에 있도록 하고, 가이드부재(33)의 홀에 핀(40)을 삽입시켜 연소된 연탄(60)과 불씨가 남아 있는 연탄(50) 사이를 분리시키고, 가이드부재(33)가 마련되지 않은 일단부를 더 아래로 눌러 가이드부재(33)가 위로 올라감과 동시에 불씨가 남아 있는 연탄(50)도 위로 올라가고, 받침도구(70)를 연소된 연탄(60)의 하단에 삽입한 후 연소된 연탄(60)을 외부 로 배출시키고, 가이드부재(33)가 마련되지 않은 일단부를 올려 불씨가 남아 있는 연탄(50)을 아래로 옮기고, 가이드부재(33)의 홀에 삽입된 핀(40)을 발취하고, 제1개폐체(13)와 제2개폐체(21)를 폐쇄하고, 본체(10)의 덮개(11)를 개방하고, 개방된 덮개(10) 사이로 새로운 연탄(50)을 투입한 후 덮개(11)을 폐쇄한다.
상기의 과정에서 완전히 연소된 연탄(60)과 불씨가 남아 있는 연탄(50) 사이에 핀(40)을 삽입함에 따라 연소된 연탄(60)과 불씨가 남아 있는 연탄(50)의 부셔진 잔재가 본체(10)의 하단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연탄난로(A)의 본체(10)에 수거통(14)이 마련되어 있어 완전히 연소된 연탄(60)과 불씨가 남아 있는 연탄(50) 사이에 핀(40)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부셔진 잔재를 수거통(14)에 수거하여 간단히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연탄난로의 단면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탄난로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탄난로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탄난로의 제1개폐체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연탄난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연탄난로에서 연소된 연탄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연탄난로 A' : 일반적인 연탄난로
10 : 본체 11 : 덮개
12 : 배출구 13 : 제1개폐체
14 : 수거통 15 : 유입구
15a : 유입관 15b : 조절체
20 : 화덕 21 : 제2개폐체
30 : 지렛대 31 : 제1회전체
32 : 제2회전체 33 : 가이드부재
40 : 핀 50 : 연탄
60 : 연소된 연탄 70 : 받침도구
Claims (3)
- 상단에 연탄을 투입하기 위한 덮개가 마련되고, 일측에 내부에서 연탄이 연소시 발생하는 연탄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와 연소된 연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1개폐체가 마련되고, 하단에 연소된 연탄을 교체시 떨어지는 잔재를 수거하기 위한 수거통과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가 마련된 본체와;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되, 본체의 제1개폐체와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어 연소된 연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2개폐체가 마련된 화덕과;상기 본체의 제1개폐체의 측면에 탈부착되되, 중심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제1회전체가 마련되고, 일단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제2회전체가 마련되고, 제2회전체와 부착되며 홀이 형성된 가이드부재가 마련된 지렛대와;지렛대의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홀에 삽입이 되는 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난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의 유입구는 실외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유입관과 연결되되, 유입관에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난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의 제1개폐체와 화덕의 제2개폐체는 제1개폐체의 내면부에 제2개폐체의 외면부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난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7364A KR101047442B1 (ko) | 2009-03-31 | 2009-03-31 | 연탄난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7364A KR101047442B1 (ko) | 2009-03-31 | 2009-03-31 | 연탄난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9003A KR20100109003A (ko) | 2010-10-08 |
KR101047442B1 true KR101047442B1 (ko) | 2011-07-08 |
Family
ID=4313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7364A KR101047442B1 (ko) | 2009-03-31 | 2009-03-31 | 연탄난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4744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754670B (zh) * | 2011-04-28 | 2015-09-23 | 李旭亮 | 一种炭炉及炭炉上的清灰装置 |
KR200465917Y1 (ko) * | 2011-11-18 | 2013-03-25 | 이성근 | 하부배출식 연탄용 화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4500Y1 (ko) * | 1985-11-04 | 1989-07-08 | 변상복 | 개량 구멍탄 온수 보일러 |
KR20070015832A (ko) * | 2005-08-01 | 2007-02-06 | 최경화 | 난방기구 |
-
2009
- 2009-03-31 KR KR1020090027364A patent/KR10104744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4500Y1 (ko) * | 1985-11-04 | 1989-07-08 | 변상복 | 개량 구멍탄 온수 보일러 |
KR20070015832A (ko) * | 2005-08-01 | 2007-02-06 | 최경화 | 난방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9003A (ko) | 2010-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67284B2 (en) | Pellet fueled grill with cleanout port | |
KR101138127B1 (ko) | 하향식 연소방식을 채용한 화목 난로 | |
EP3333487A2 (en) | Wood-burning appliance | |
KR101047442B1 (ko) | 연탄난로 | |
CN202757151U (zh) | 燃生物质和可燃垃圾的气化燃烧炉 | |
CN203501214U (zh) | 取暖炉 | |
JP2008107005A (ja) | 燃焼器具 | |
CN201206644Y (zh) | 生物质燃气气化炉联动多用阀门 | |
CN203608823U (zh) | 食品熏烤、烘烤装置 | |
CN110319434A (zh) | 一种烤烟用的生物质成型颗粒燃烧一体炉 | |
CN207990677U (zh) | 高效气化烤火炉 | |
CN102798118B (zh) | 旋风式锅炉 | |
KR200475915Y1 (ko) | 화목난로용 연소장치 | |
CN201582856U (zh) | 一种取暖炉 | |
KR20140010196A (ko) | 고형연료 및 연탄 겸용 연소장치 | |
KR20160118705A (ko) | 벽난로 | |
CN105910436B (zh) | 一种带燃气燃烧及二氧化碳灭火的锻造炉 | |
KR102251182B1 (ko) | 화목 난로 | |
CN201021810Y (zh) | 多功能固体燃料炉 | |
CN209706128U (zh) | 一种火力可控的燃烧炉 | |
CN112648640B (zh) | 一种生物质燃料炊事水暖通炕一体炉 | |
CN203571802U (zh) | 有三条排烟道的高效节能柴火灶 | |
CN208804713U (zh) | 一种旋转式多功能壁炉 | |
CN102954497A (zh) | 便携式生物质炊事炉 | |
CN218495025U (zh) | 多功能生物质移动式组装灶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