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203B1 - 진공롤러 시스템 - Google Patents

진공롤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203B1
KR101047203B1 KR1020090085505A KR20090085505A KR101047203B1 KR 101047203 B1 KR101047203 B1 KR 101047203B1 KR 1020090085505 A KR1020090085505 A KR 1020090085505A KR 20090085505 A KR20090085505 A KR 20090085505A KR 101047203 B1 KR101047203 B1 KR 101047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vacuum
water
oi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7427A (ko
Inventor
송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욱 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욱 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욱 이앤지
Priority to KR1020090085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203B1/ko
Publication of KR20110027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12Auxiliary equipment particularly adapted for use with liquid-separating apparatus, e.g. control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롤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롤러, 진공펌프, 응축기, 압축기 및 모터로 이루어진 진공롤러 시스템 중에서 진공펌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진공롤러에서 흡입된 물 또는 기름만을 용이하게 추출하는 진공롤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종래에 진공롤러로부터 흡입된 물 또는 기름은 어떠한 분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배출함에 따라 토양, 물 등이 오염되는 환경적 문제점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고, 상기 물 또는 기름만을 분리하여 다시 활용할 수 있는 재활용 효과가 있다.
진공, 롤러, 진공펌프, 물, 기름

Description

진공롤러 시스템{A vacuum roller system}
본 발명은 진공롤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롤러, 진공펌프, 응축기, 압축기 및 모터로 이루어진 진공롤러 시스템 중에서 진공펌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진공롤러에서 흡입된 물 또는 기름만을 용이하게 추출하는 진공롤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서, 도 1은 종래의 흡수용 진공롤러 시스템 구성도로서, 상기 흡수용 진공롤러 시스템은 제 1 롤러(1)와 제 2 롤러(2)와 제 1 로타리조인트(3)와 제 2 로타리조인트(4)와 진공펌프(5)와 모터(6)와 보합수(7) 및 토출분리기(8)로 구성된다.
도 1과 같은 종래의 기술은 흡수용 진공 시스템으로서, 제 1 롤러(1)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제 2 롤러(2)가 배치되고 상기 이격된 간격사이로 철판, 알루미늄판, 필름 등과 같은 재질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철판, 알루미늄, 필름 등과 같은 재질에 묻은 물을 상기 제 1 롤러(1)와 제 2 롤러(2)에 구비된 부직포에 의해서 흡수된다.
이때, 제 1 롤러(1)의 한 측 회전축에 형성된 제 1 로타리조인트(3)와 제 2 롤러(2)의 한 측 회전축에 형성된 제 2 로타리조인트(4)를 통하여 진공펌프(5)에 흡수된 상기 물과 보합수가 함께 저장되며, 상기 물이 진공펌프에 전달되기 위한 동력을 모터(6)가 구동한다.
이후, 진공펌프(5)에 저장된 물과 보합수가 토출분리기(8)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종래의 기술로서, 도 2는 종래의 흡유용 진공 시스템 구성도로서, 상기 도 1에서 기술한 바와 유사하게 구성되고 단지 기름을 흡입할 경우의 종래 기술이다. 이와 같이, 기름을 흡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름과 냉각수가 혼합되어 폐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은 기름만을 분리할 수 없는 진공펌프 구조이고 이러한 기름만을 분리하는 구조를 갖는 진공펌프는 종래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롤러 시스템에 포함된 진공펌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물 또는 기름만을 분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진공롤러 시스템은 진공펌프를 포함한 진공롤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이 전자식 솔레노이드 벨브에 의해서 동작되는 에어실린더를 구비하고 하부에 수직으로 제 1 용액분리 칸막이가 구비된 덮개부와, 상기 에어실린더와 한 측이 연결되고 다른 한 측에 페킹이 구비되어 상기 전자식 솔레노이드 벨브의 제어에 따라 상하 운동하는 축부, 및 상기 제 1 용액분리 칸막이에 부딪치는 물 또는 기름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용액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용액분리 칸막이에 의해서 물 또는 기름이 제외된 공기만이 분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중심에 제 1 구멍이 형성된 제 1 칸막이가 구비되어 제 1 진공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칸막이 하부에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중심에 제 2 구멍이 형성된 제 2 칸막이가 구비되어 제 2 진공실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칸막이 하부에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중심에 제 3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구멍과 연장되게 관이 형성된 제 3 칸막이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축부의 페킹이 제 1 구멍에 삽입되는 경 우에는 제 1 진공실에 물 또는 기름이 축적되고 상기 축부의 페킹이 제 2 구멍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제 1 진공실에 축적된 물 또는 기름이 제 2 진공실에 축적된 후 다시 상기 축부의 페킹이 제 1 구멍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 3 칸막이에 형성된 관을 통하여 상기 물 또는 기름이 배출되는 바디부로 이루어진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에 진공롤러로부터 흡입된 물 또는 기름은 어떠한 분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배출함에 따라 토양, 물 등이 오염되는 환경적 문제점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고, 상기 물 또는 기름만을 분리하여 다시 활용할 수 있는 재활용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롤러 시스템 구성도로서, 상기 진공롤러 시스템은 철판, 알루미늄, 필름 등과 같은 재질 표면에 묻은 물 또는 기름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진공롤러(100)와, 상기 진공롤러(100)가 공기와 함께 흡입한 물 또는 기름을 배출하는 진공탱크(200)와, 상기 진공탱크(200)에 냉매를 제공하는 응축기(300)와; 상기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압축기(400) 및 상기 공기 압축기에 공기가 흡입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50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롤러 시스템 중에서 상기 진공탱크(200)는 별도의 특별한 구조적 특징없이 무작위로 공기와 함께 물 또는 기름을 흡입하고 있기 때문에 폐유가 발생하고 상기 폐유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 및 장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기와 물 또는 기름을 분리하는 진공탱크(200)를 제안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210)와 축부(220) 및 바디부(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부(210)는 상부에 에어실린더(211)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230)와 제 1 볼트(212) 제 1 너트(213)에 의해서 나사결합된다.
이와 같이 나사결합되는 이유는 상기 덮개부(210)를 개방하여 바디부(230) 내부에 형성된 진공실을 청소하고 또한 축부(220)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이, 덮개부(210)에 포함된 에어실린더(211)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벨브(214)와 연결되어 상기 축부(220)가 상하운동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덮개부(210) 하부에는 수직으로 제 1 용액분리칸막이(215)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용액분리칸막이(215)는 바디부(230)에 형성된 용액흡입구(234)와 일정간격 떨어지게 형성된다. 이는 용액흡입구(234)를 통하여 공기와 함께 포함된 물 또는 기름이 제 1 용액분리칸막이(215)에 강하게 부딪치면 상기 물 또는 기름만이 제 1 진공실(231-1)에 축적된다.
상기 축부(220)는 한 측이 상기 덮개부(210)의 하부 중심에 결합되고 다른 한 측은 두 플랜지 사이에 페킹(221)이 구성되고 상기 페킹(221) 하부에 왓셔를 끼운 후 너트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축부(200)가 상하 운동을 하면서 바디부 내부에 구비된 칸막이의 구멍을 열고 닫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칸막이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을 막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페킹(221)이 축에 구비됨에 따라 축부(200)가 위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상기 페킹(221)이 상기 구멍을 막지 않고 아래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상기 페킹(221)이 상기 구멍을 막는 작용을 수행한다.
상기 바디부(230)는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중심에 제 1 구멍이 형성된 제 1 칸막이(231)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칸막이(231) 하부에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중심에 제 2 구멍이 구비되며 제 2 칸막이(232)가 형성되며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중심에 제 3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구멍과 연장되게 관이 형성된 제 3 칸막이(233)가 구비된다.
또한, 바디부(230)는 상기 용액흡입구(234) 반대측 내주면에 제 2 용액분리칸막(236)이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용액분리칸막이(236)는 제 1 용액분리칸막이(215)와 같이 공기가 직접 배출되지 않고 2차적으로 공기에 혹시 남아 있는 물 또는 기름을 한번 더 부딪치도록 'ㄴ'자 형태로 내주면에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바디부(230)는 한 측면에 용액흡입구(234)가 형성되고 다른 한 측면에 관통된 배출구(235)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235)는 상기 제 1 용액분리칸막이(215)와 제 2 용액분리칸막 이(236)에 공기에 포함된 물 또는 기름이 부딪침에 따라 물 또는 기름이 제외된 공기만이 배출된다.
이에 따라 공기에 포함된 물 또는 기름은 제 1 진공실(231-1)에 축적되고 물 또는 기름이 제거된 공기는 제 1, 제 2 용액분리칸막이(215, 236)에 의해서 순환구조가 형성됨에 따라 공기는 순환구조에 따라 순환하면서 배출구(235)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바디부(230)는 제 1 칸막이(231)에 의해서 제 1 진공실(231-1)이 형성되고 제 2 칸막이(232)에 의해서 제 2 진공실(232-1)이 형성되는 바, 상기 제 2 진공실(232-1)을 이루는 바디부(230)는 서로 분리되며 결합하기 위해서는 제 2 볼트(232-2) 제 2 너트(232-3)로 나사결된다. 이는 제 2 칸막이(232)를 비롯하여 상기 제 2 칸막이(232)와 연장된 바디부(230) 내주면을 세척하기 위하여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특히, 제 1 칸막이(231)에 의해서 형성된 제 1 진공실(231-1)과 제 2 칸막이(232)에 의해서 형성된 제 2 진공실(232-2)이 거의 진공상태를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 1 칸막이(231)와 제 2 칸막이(232)의 거리는 적절해야 한다.
즉, 제 1 칸막이(231)와 제 2 칸막이(232)의 거리가 너무 넓으면 제 2 진공실(232-2)의 공간이 넓어짐으로 진공상태가 거의 100% 유지하기 곤란한 상태가 되고 제 1 칸막이(231)와 제 2 칸막이(232)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제 1 진공실(231-1)에 축적된 물 또는 기름이 넘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상기 물 또는 기름의 유량이 약 3리터 정도 담을 수 있는 거리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 3 칸막이(233)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 2 진공실(232-2)에 축적된 물 또는 기름이 배출된다.
다음으로, 바디부(230) 외주면에는 응축기(300)에 전달되는 냉매가 순환하는 파이프(24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바디부(230)에 흡입되는 물 또는 기름은 진공롤러(100)에서 흡입되는 것인 바, 상기 흡입되는 물 또는 기름은 온도가 높은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냉각하기 위해서 바디부(230) 외주면에 응축기(300)에서 전달되는 냉매가 순환되도록 하는 파이프(240)가 더 구비된 것이다.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진공롤러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진공롤러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롤러 시스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진공롤러 200 : 진공탱크
210 : 덮개부 211 : 에어실린더
212 : 제 1 볼트 213 : 제 1 너트
214 : 전자식 솔레노이드 벨브 215 : 제 1 용액분리칸막이
220 : 축부 221 : 페킹
230 : 바디부 231 : 제 1 칸막이
231-1 : 제 1 진공실 232 : 제 2 칸막이
233 : 제 3 칸막이 232-1 : 제 2 진공실
232-2 : 제 2 볼트 232-3 : 제 2 너트
234 : 용액흡입구 235 : 배출구
236 : 제 2 용액분리칸막이 240 : 파이프
300 : 응축기 400 : 압축기
500 : 모터

Claims (5)

  1. 진공펌프를 포함한 진공롤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벨브에 의해서 동작되는 에어실린더를 구비하고 하부에 수직으로 제 1 용액분리 칸막이가 구비된 덮개부와;
    상기 에어실린더와 한 측이 연결되고 다른 한 측에 페킹이 구비되어 상기 전자식 솔레노이드 벨브의 제어에 따라 상하 운동하는 축부와;
    상기 제 1 용액분리 칸막이에 부딪치는 물 또는 기름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용액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용액분리 칸막이에 의해서 물 또는 기름이 제외된 공기만이 분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중심에 제 1 구멍이 형성된 제 1 칸막이가 구비되어 제 1 진공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칸막이 하부에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중심에 제 2 구멍이 형성된 제 2 칸막이가 구비되어 제 2 진공실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칸막이 하부에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중심에 제 3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구멍과 연장되게 관이 형성된 제 3 칸막이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축부의 페킹이 제 1 구멍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제 1 진공실에 물 또는 기름이 축적되고 상기 축부의 페킹이 제 2 구멍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제 1 진공실에 축적된 물 또는 기름이 제 2 진공실에 축적된 후 다시 상기 축부의 페킹이 제 1 구멍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 3 칸막이에 형성된 관을 통하여 상기 물 또는 기름이 배출되는 바디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롤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배출구 인근에 'ㄴ'자형 제 2 용액분리 칸막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롤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외주면에 응축기에서 전달되는 냉매가 순환하는 파이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롤러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와 바디부는
    제 1 볼트와 제 1 너트로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롤러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진공실을 이루는 바디부는 분리되고 서로 결합하기 위하여 제 2 볼트와 제 2 너트로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롤러 시스템.
KR1020090085505A 2009-09-10 2009-09-10 진공롤러 시스템 KR101047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505A KR101047203B1 (ko) 2009-09-10 2009-09-10 진공롤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505A KR101047203B1 (ko) 2009-09-10 2009-09-10 진공롤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427A KR20110027427A (ko) 2011-03-16
KR101047203B1 true KR101047203B1 (ko) 2011-07-06

Family

ID=43934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505A KR101047203B1 (ko) 2009-09-10 2009-09-10 진공롤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2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69410B (zh) * 2022-10-12 2024-04-26 中国农业科学院兰州畜牧与兽药研究所 一种牦牛骨胶原蛋白溶液油水分离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944B1 (ko) 2003-06-04 2005-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기의 오일분리기
JP2007126993A (ja) 2005-11-01 2007-05-24 Toyota Industries Corp 真空ポンプ
JP2007231935A (ja) 2006-01-31 2007-09-13 Ebara Densan Ltd 真空ポンプユニット
JP4358906B2 (ja) 1994-07-29 2009-11-04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フルーイド セパレイション プロプライエタリィ リミテッド 分離装置と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8906B2 (ja) 1994-07-29 2009-11-04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フルーイド セパレイション プロプライエタリィ リミテッド 分離装置と方法
KR100512944B1 (ko) 2003-06-04 2005-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기의 오일분리기
JP2007126993A (ja) 2005-11-01 2007-05-24 Toyota Industries Corp 真空ポンプ
JP2007231935A (ja) 2006-01-31 2007-09-13 Ebara Densan Ltd 真空ポンプ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427A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893B1 (ko) 절삭유 흡입청소기
KR101047203B1 (ko) 진공롤러 시스템
CN108027157A (zh) 蒸发冷却器及蒸发冷却器的运用方法
WO2014154180A1 (zh) 低挥发性液体真空脱水方法与装置
CN204487369U (zh) 用于玻璃磨边机的磨头挡水部件
US20210301804A1 (en) Multi-cooling type cold trap
CN209189427U (zh) 一种新型多功能除垢机结构
CN209512258U (zh) 一种除湿机排水机构及包括其的除湿机
KR101151630B1 (ko) 폐열회수형 히트펌프의 폐수순환 자동세척식 증발장치
CN110201984B (zh) 一种含油物品微波去油回收装置及其使用方法
CN209848500U (zh) 一种碱性气体处理装置
CN107421016A (zh) 一种空调冷凝水回收利用系统
CN210386930U (zh) 一种含油物品微波去油回收装置
KR102111259B1 (ko)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 및 냉각탑
CN202024546U (zh) 多功能回汽过滤器
KR101373885B1 (ko) 수분 분리기를 포함하는 수분 포획 장치
CN207865806U (zh) 多功能快速冷却机
CN210358432U (zh) 一种测试用熟食冷却装置
CN210620719U (zh) 一种废润滑油循环蒸馏塔
CN107677022A (zh) 应用于氨水吸收式制冷的不凝气体分离、收集、排放装置
CN207356909U (zh) 一种酸洗池废气净化系统
CN217636869U (zh) 一种新型大容量冷却塔
CN216205403U (zh) 一种封闭式冷凝器装置
CN212158178U (zh) 一种冷灰桶循环冷却装置
CN218714218U (zh) 一种活动板房的房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