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259B1 -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 및 냉각탑 - Google Patents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 및 냉각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259B1
KR102111259B1 KR1020180117266A KR20180117266A KR102111259B1 KR 102111259 B1 KR102111259 B1 KR 102111259B1 KR 1020180117266 A KR1020180117266 A KR 1020180117266A KR 20180117266 A KR20180117266 A KR 20180117266A KR 102111259 B1 KR102111259 B1 KR 102111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water treatment
cooling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7919A (ko
Inventor
구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인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인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인기계
Priority to KR1020180117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259B1/ko
Publication of KR20200037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F28F27/003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t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025/005Liquid collection; Liquid treatment; Liquid recirculation; Addition of make-up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 및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의 일 양태는, 냉각탑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를 전기 분해하는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장치는, 냉각수를 전기 분해하는 수처리 유닛; 상기 수처리 유닛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 파이프; 및 상기 수처리 유닛에 의하여 전기 분해된 냉각수를 배출하는 배수 파이프; 를 포함하고,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의 일부가 상기 급수 파이프에 의하여 상기 수처리 유닛에 공급되고, 상기 수처리 유닛에 의하여 전기 분해된 냉각수는, 상기 배수 파이프에 의하여 배출되어 순환을 위하여 상기 냉각탑의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수와 합류된다.

Description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 및 냉각탑{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COOLING TOWER AND COOLING TOWER}
본 발명은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 및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냉각탑은, 냉각탑은 공조 장치 또는 냉동기, 즉 냉동사이클을 유동하는 냉매의 응축에 사용된 냉각수를 공기와 접촉시켜서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냉각탑은, 고온의 냉각수를 열교환하기 위하여 공기 중으로 냉각수를 분사하거나 유동하는 냉각수가 송풍되는 공기와 접촉하도록 한다.
한편, 냉각수가 고온으로 상승함으로써, 미생물이나 화학물질에 의하여 냉각수가 오염되고, 오염된 냉각수에 의하여 파이프의 스케일이나 부식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수에 화학물질을 첨가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는데, 비용의 증가와 화학물질에 의한 2차 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냉각수를 물리적 또는/및 전기적으로 수처리하는 기술의 경우에는, 냉각수의 순환사이클과 별개로 수처리를 위하여 냉각수를 순환시켜야 하므로, 수처리를 위한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수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염과 같은 이물질을 배출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수처리를 장치의 운전이 번거로워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5100호(명칭: 전기응집을 이용한 냉각탑 살균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89481호(명칭: 냉각탑의 냉각 순환수 수질개선을 위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냉각수의 수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 및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수의 수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 및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의 일 양태는, 냉각탑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를 전기 분해하는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장치는, 냉각수를 전기 분해하는 수처리 유닛; 상기 수처리 유닛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 파이프; 및 상기 수처리 유닛에 의하여 전기 분해된 냉각수를 배출하는 배수 파이프; 를 포함하고,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의 일부가 상기 급수 파이프에 의하여 상기 수처리 유닛에 공급되고, 상기 수처리 유닛에 의하여 전기 분해된 냉각수는, 상기 배수 파이프에 의하여 배출되어 순환을 위하여 상기 냉각탑의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수와 합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급수 파이프의 양단은,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부 및 상기 수처리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배수 파이프의 양단은,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후 상기 냉각탑의 외부로 배출되어 순환하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순환 파이프 및 상기 수처리 유닛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수처리 유닛은, 상기 급수 파이프에 의하여 냉각수를 공급받고, 상기 배수 파이프에 의하여 냉각수가 배출되는 수처리 하우징; 및 상기 수처리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급수 파이프에 의하여 공급되어 상기 수처리 하우징을 유동하는 냉각수를 전기 분해하는 한쌍의 전극;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수처리 하우징의 내부에서는, 상기 급수 파이프 및 배수 파이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냉각수가 유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기 배수 파이프의 일측에서 분지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이물질 배출 파이프; 상기 급수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밸브; 상기 배수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밸브; 및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3밸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밸브와 상기 제3밸브는, 서로 교호되게 상기 급수 파이프 및 배수 파이프와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를 개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배수 파이프는,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가 분지되는 일측을 중심으로 양측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밸브 중 어느 일방은, 그 내부 압력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기준 압력의 절대값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급수 파이프 및 배수 파이프 중 어느 일방의 개도를 조절하고, 상기 제1 및 제2밸브 중 나머지 타방은, 상기 급수 파이프 및 배수 파이프 중 나머지 타방을 개방 또는 차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밸브가 상기 급수 파이프 및 배수 파이프를 완전하게 개방한 상태에서, 그 내부 압력의 절대값이 상기 기준 압력의 절대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밸브가 상기 급수 파이프 및 배수 파이프를 차폐하고, 상기 제3밸브가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를 개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그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 중의 이물질의 유동을 간섭하는 유동 간섭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각탑의 일 양태는,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 및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되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부;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급수부에서 급수되는 냉각수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충진재; 상기 충진재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냉각수의 순환을 위하여 냉각수를 압송하는 순환 펌프, 및 상기 순환 펌프에 의하여 압송되는 냉각수가 그 내부를 유동하여 상기 집수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순환 파이프를 포함하는 순환부; 및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냉각수를 전기 분해하여 수처리하는 수처리 장치;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순환 펌프에 의하여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냉각수가 압송되어 상기 순환 파이프의 내부를 유동하면, 상기 순환 파이프의 내부 압력이 저하되어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냉각수의 일부가 상기 수처리 장치의 내부로 공급되어 전기 분해된 후 상기 순환 파이프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수처리 장치는, 냉각수를 전기 분해하는 수처리 유닛;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냉각수가 그 내부를 유동하여 상기 수처리 유닛으로 공급되는 급수 파이프; 및 상기 수처리 유닛에 의하여 전기 분해된 냉각수가 그 내부를 유동하여 상기 순환 파이프로 배출되는 배수 파이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급수 파이프의 양단은, 상기 집수부 및 수처리 유닛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배수 파이프의 양단은, 상기 순환 파이프 및 수처리 유닛에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수처리 유닛은, 상기 급수 파이프 및 배수 파이프의 일단이 각각 연결되는 수처리 하우징; 및 상기 수처리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을 인가받아서 냉각수를 전기 분해하는 한쌍의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 파이프의 내부를 유동하여 상기 수처리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된 냉각수가 상기 전극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기 분해된 후 상기 배수 파이프의 내부를 유동하여 상기 순환 파이프의 내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수처리 하우징은, 상기 급수 파이프 및 배수 파이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유동 단면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수처리 장치는, 상기 배수 파이프의 일측에서 분지되어 상기 수처리 장치의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배수 파이프의 내부에 잔존하는 냉각수가 그 내부를 유동하여 냉각수의 전기 분해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이물질 배출 파이프; 상기 급수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밸브; 상기 배수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밸브; 및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3밸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밸브에 의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 및 배수 파이프는 개방되고, 상기 제3밸브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는 차폐된 경우에는, 상기 순환 펌프가 동작하면,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냉각수의 일부가 상기 급수 파이프의 내부를 유동하여 상기 수처리 유닛에 공급된 후 상기 수처리 유닛에 의하여 전기 분해되어 상기 배수 파이프의 내부를 유동하여 상기 순환 파이프의 내부로 배출되고, 상기 제1 및 제2밸브에 의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 및 배수 파이프는 차폐되고, 상기 제3밸브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는 개방된 경우에는, 상기 급수 파이프, 수처리 유닛 및 배수 파이프의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냉각수와 함께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수처리 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배수 파이프는,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가 분지되는 일측을 중심으로 양측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수처리 장치는,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밸브 중 어느 일방은, 상기 압력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수처리 장치의 내부 압력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기준 압력의 절대값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급수 파이프 및 배수 파이프 중 어느 일방의 개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1 및 제2밸브 중 나머지 타방은, 상기 급수 파이프 및 배수 파이프 중 나머지 타방을 개방 또는 차폐하고, 상기 압력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수처리 장치의 내부 압력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기준 압력의 절대값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밸브 중 어느 일방에 의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 및 배수 파이프 중 어느 일방의 개도가 조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밸브에 의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 및 배수 파이프가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수처리 장치의 내부 압력의 절대값이 상기 기준 압력의 절대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밸브에 의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 및 배수 파이프는 차폐되고, 상기 제3밸브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는 개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수처리 장치는, 그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 중의 이물질의 유동을 간섭하는 유동 간섭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 및 냉각탑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수처리 장치로의 냉각수의 공급 및 수처리 장치로부터의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냉각수를 수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처리 장치의 내부 압력에 따라서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여 수처리 장치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속을 조절하거나 밸브를 개폐하여 수처리 장치의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수의 수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 및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각탑을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수처리 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각탑에서의 수처리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각탑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각탑을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수처리 장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냉각탑(1)은, 케이싱(100), 급수부(200), 송풍부(300), 충진재(400), 집수부(500), 순환부(600) 및 수처리 장치(7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00)은, 상기 냉각탑(1)을 구성하는 구성 부품이 설치되는 소정의 공간을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부(200)는, 열교환 대상이 되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풍부(300)는,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충진재(400)는, 상기 급수부(20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와 상기 송풍부(300)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곳이고, 상기 집수부(500)는 상기 충진재(400)에서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곳이다. 또한, 상기 순환부(600)는, 상기 집수부(500)에 집수된 냉각수를 배수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수처리 장치(700)는, 상기 집수부(500)에 집수된 냉각수를 전기 분해하여 수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케이싱(100)은, 외관을 정의하는 것으로, 적어도 양측면 및 상면을 포함하는 소정의 형상, 예를 들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00)에는 흡기구(110) 및 배기구(120)가 형성된다. 상기 흡기구(110)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곳이고, 상기 배기구(120)는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기구(110)가, 상기 케이싱(100)의 양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배기구(120)는 상기 케이싱(100)의 상면 중앙부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00)의 상면에는 팬 스택(130)이 구비된다. 상기 팬 스택(130)은,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팬 스택(130)은, 상기 케이싱(100)의 상면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상방으로 연장되고, 그 상하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예를 들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00)는, 한쌍의 급수조(210) 및 노즐(220)을 포함한다. 상기 급수조(210)는 공기와 열교환될 냉각수가 저장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노즐(220)은 상기 급수조(210)에 저장된 냉각수가 상기 충진재(400)를 향하여 분사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수부(200)가 상기 흡기구(110)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양측에 위치되는 한쌍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급수부(200)는, 상기 배기구(120)의 수직 방향으로의 사영(projection, 射影)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한편, 상기 송풍부(300)는, 송풍 팬(310) 및 송풍 모터(320)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 팬(310)은 상기 케이싱(100)의 내외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송풍 팬(310)이 회전하면, 상기 흡기구(11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어 냉각수와 열교환하고, 냉각수와 열교환한 공기가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송풍 팬(310)으로는, 예를 들면, 축류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송풍 모터(320)는 상기 송풍 팬(31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충진재(400)는 상기 흡기구(110)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양측에 위치되는 한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충진재(400)도, 상기 급수부(200)와 유사하게, 상기 배기구(120)의 수직 방향으로의 사영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220)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상기 충진재(400)의 표면 또는 상기 충진재(400) 사이의 공간을 따라서 유동하면서 상기 흡기구(11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접촉되어 열교환된다.
상기 집수부(500)에는, 상기 충진재(400)의 표면을 따라서 유동하면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집수부(500)가, 집수 가이드(510) 및 집수 탱크(520)를 포함한다. 상기 집수 가이드(510)는, 상기 충진재(40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위치된다. 이때 상기 집수 가이드(510)는, 상기 케이싱(100)의 하부 중앙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수 탱크(520)는, 상기 집수 가이드(510) 사이 및 그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00)의 하부 중앙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충진재(400)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는, 상기 집수 가이드(510)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집수 탱크(520)에 집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부(600)는, 순환 펌프(미도시) 및 순환 파이프(610)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부(600)는, 상기 집수부(500)에 집수된 냉각수, 실질적으로 상기 집수 탱크(520)에 집수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냉각수를 압송한다. 그리고 상기 순환 파이프(610)는, 상기 순환 펌프에 의하여 압송되는 냉각수가 그 내부를 유동하여 상기 집수부(5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곳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순환 파이프(610)의 일단은, 상기 집수 탱크(520)의 일측에 연결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순환 펌프에 의하여 상기 집수부(500)에 집수된 냉각수가 압송되어 상기 순환 파이프(610)의 내부를 유동하면, 상기 순환 파이프(610)의 내부 압력이 저하되어 상기 집수부(500)에 집수된 냉각수의 일부가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로 공급되어 전기 분해된 후 상기 순환 파이프(610)로 배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처리 장치(700)는, 수처리 유닛(710),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처리 유닛(710)은, 냉각수를 전기 분해하여 수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처리 유닛(710)이, 수처리 하우징(711) 및 한쌍의 전극(712)(도 3 및 도 4 참조)을 포함한다. 상기 수처리 하우징(711)은, 예를 들면, 중공의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의 일단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712)은, 상기 수처리 하우징(711)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을 인가받아서 냉각수를 전기 분해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처리 하우징(711)이,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유동 단면적을 갖는다. 이는, 상기 수처리 하우징(711)의 내부에서의 냉각수의 유동 속도를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의 내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감소시켜서, 상대적으로 상기 수처리 하우징(711)의 내부에서 상기 전극(712)에 의하여 전기 분해되는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급수 파이프(720)는, 상기 집수부(500)에 집수된 냉각수가 그 내부를 유동하여 상기 수처리 유닛(710)으로 공급되는 곳이고, 상기 배수 파이프(730)는, 상기 수처리 유닛(710)에 의하여 전기 분해된 냉각수가 그 내부를 유동하여 상기 순환 파이프(610)로 배출되는 곳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720)의 양단은, 상기 집수부(500) 및 수처리 유닛(710)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배수 파이프(730)의 양단은, 상기 순환 파이프(610) 및 수처리 유닛(710)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수처리 장치(700)는,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 및 제1 내지 제3밸브(V1)(V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는, 상기 배수 파이프(730)의 일측에서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외부로 분지되고, 상기 배수 파이프(730)의 내부에 잔존하는 냉각수가 그 내부를 유동하여 냉각수의 전기 분해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밸브(V1)(V2)는,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배수 파이프(730) 및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를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와 상기 제3밸브(미도시)는,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와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를 서로 교호되게 개폐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배수 파이프(730)는,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를 통한 냉각수 및 이물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가 분지되는 일측을 중심으로 양측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에 의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는 개방되고, 상기 제3밸브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는 차폐되는 경우에는, 상기 순환 펌프가 동작하면, 상기 집수부(500)에 집수된 냉각수의 일부가 상기 급수 파이프(720)의 내부를 유동하여 상기 수처리 유닛(710)에 공급된 후 상기 수처리 유닛(710)에 의하여 전기 분해되어 상기 배수 파이프(730)의 내부를 유동하여 상기 순환 파이프(610)의 내부로 배출된다. 반대로,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에 의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는 차폐되고, 상기 제3밸브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는 개방된 경우에는, 상기 급수 파이프(720), 수처리 유닛(710) 및 배수 파이프(730)의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냉각수와 함께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를 통하여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처리 장치(700)가,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 센서(P)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 중 어느 일방은, 상기 압력 감지 센서(P)가 감지한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 압력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기준 압력의 절대값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 중 어느 일방의 개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 중 나머지 타방은,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 중 나머지 타방을 개방 또는 차폐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밸브(V1)는, 상기 급수 파이프(720)를 개폐함과 동시에 상기 급수 파이프(720)의 개도를 조절하고, 상기 제2밸브(V2)는, 상기 배수 파이프(730)를 개폐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력 감지 센서(P)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 압력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기준 압력의 절대값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 중 어느 일방에 의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 중 어느 일방의 개도가 조절된다.
여기서, '기준 압력'이란, 기설계된 유량의 냉각수가 상기 수처리 장치(700)를 유동하는 경우에 상기 압력 감지 센서(P)가 감지한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 압력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력 감지 센서(P)가 감지한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 압력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 중 어느 일방이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 중 어느 일방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로 냉각수가 펌프(미도시) 등에 의하여 강제로 압송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순환 파이프(610)의 내부를 냉각수가 유동하는 과정에서의 상기 순환 파이프(610)의 내부 압력의 저하에 따른 상기 집수 탱크(520)와 순환 파이프(610) 사이의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집수 탱크(520)에 집수된 냉각수가 상기 수처리 장치(700)를 유동하여 상기 순환 파이프(610)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 압력의 절대값이 상기 기준 압력의 절대값 미만으로 저하되면,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 중 어느 일방의 개도를 증가시킨다. 반대로,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 초과로 증가되면,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 중 어느 일방의 개도를 감소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에 의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가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 감지 센서(P)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 압력의 절대값이 상기 기준 압력의 절대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집수 탱크(520)에서 상기 수처리 장치(700)로의 냉각수의 유동이 차단되고,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에 잔존하는 냉각수가 이물질과 함께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를 통하여 배출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에 의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가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 감지 센서(P)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 압력의 절대값이 상기 기준 압력의 절대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에 의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는 차폐되고, 상기 제3밸브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는 개방된다.
상기 수처리 장치(700)는, 유동 간섭 부재(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간섭 부재(750)는,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 중의 이물질의 유동을 간섭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유동 간섭 부재(750)는, 상기 배수 파이프(730)의 내주면에서 상기 배수 파이프(730)의 내부를 냉각수가 유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배수 파이프(730)의 내부 공간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중량이 큰 이물질이 냉각수와 함께 상기 배수 파이프(73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상기 유동 간섭 부재(750)에 간섭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각탑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각탑에서의 수처리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이다.
먼저, 냉각탑(1)에서의 냉각수의 열교환 과정을 살펴보면, 송풍 모터(320)에 의하여 송풍 팬(310)이 회전하면, 흡기구(110)를 통하여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충진재(400)를 통과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 팬(310)의 계속적인 회전에 의하여 상기 충진재(400)를 통과한 공기는,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급수부(200), 실질적으로 급수조(210)에 저장된 냉각수가 노즐(220)을 통하여 분사되면, 상기 충진재(400)를 통과하면서 상기 흡기구(11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접촉하여 열교환된다. 그리고 상기 충진재(400)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는, 집수부(500)에 집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충진재(400)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공기는, 집수 가이드(510)에 의하여 안내되어 집수 탱크(520)에 집수된다.
다음으로, 상기 집수 탱크(520)에 집수된 냉각수는, 상기 냉각탑(1)과 다른 설비 사이를 순환한다. 즉, 순환 펌프가 상기 집수 탱크(520)에 집수된 냉각수를 압송하면, 순환 파이프(610)를 통하여 상기 냉각탑(1)의 외부로 배출되어 다른 설비 등을 유동한 후 다시 상기 급수부(200)로 공급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밸브(V1)(V2)에 의하여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는 개방되고, 제3밸브에 의하여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가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순환 펌프가 동작하면, 상기 순환 펌프에 의하여 상기 집수부(500)에 집수된 냉각수가 압송되어 상기 순환 파이프(610)의 내부를 유동하면, 상기 순환 파이프(610)의 내부 압력이 저하된다. 그런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에는, 실질적으로 대기압이 작용하므로, 상기 집수 탱크(520)에 집수된 냉각수가 상기 급수 파이프(720)를 통하여 수처리 유닛(710)으로 공급되고, 상기 수처리 유닛(710)에서 상기 배수 파이프(730)를 통하여 상기 순환 파이프(610)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수처리 유닛(71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는, 전극(712)에 전원이 인가되면, 이에 의하여 전기 분해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압력 감지 센서(P)가 감지한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 압력이 기준 압력, 즉 기설계된 유량의 냉각수가 상기 수처리 장치(700)를 유동하는 경우의 압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 중 어느 일방의 개도가 조절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를 기설계된 유량의 냉각수가 유동함으로써, 충분한 전기 분해에 따른 효율적인 수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처리 유닛(710)에서의 냉각수의 전기 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이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 특히, 상기 배수 파이프(730)의 내부에 잔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이물질의 유동이 유동 간섭 부재(750)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배수 파이프(730)의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의 양이 더욱 증가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배수 파이프(730)의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의 양이 증가되면, 이에 의하여 냉각수의 유동이 방해받음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 압력이 증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에 의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가 완전하게 개방된 경우에도, 상기 압력 감지 센서(P)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 압력이 상기 기준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가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를 차폐하고, 상기 제3밸브가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를 개방한다. 따라서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냉각수와 함께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를 통하여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에는, 냉각탑 중 직교류형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대향류형에도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동 간섭 부재가 상기 배수 파이프의 내주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한정되었으나, 상기 배수 파이프의 내부에 장착되는 필터가 상기 유동 간섭 부재로 사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1: 냉각탑 100: 케이싱
110: 흡기구 200: 급수부
300: 송풍부 400: 충진재
500: 집수부 600: 순환부
700: 수처리 장치 710: 수처리 유닛
720: 급수 파이프 730: 배수 파이프
740: 이물질 배출 파이프 750: 유동 간섭 부재
V1: 밸브 P: 압력 감지 센서

Claims (20)

  1. 냉각탑(1)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를 전기 분해하는 수처리 장치(700)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장치(700)는,
    냉각수를 전기 분해하는 수처리 유닛(710);
    상기 수처리 유닛(710)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 파이프(720);
    상기 수처리 유닛(710)에 의하여 전기 분해된 냉각수를 배출하는 배수 파이프(730);
    상기 배수 파이프(730)의 일측에서 분지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
    상기 급수 파이프(7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밸브(V1);
    상기 배수 파이프(7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밸브(V2); 및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3밸브; 를 포함하고,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의 일부가 상기 급수 파이프(720)에 의하여 상기 수처리 유닛(710)에 공급되고, 상기 수처리 유닛(710)에 의하여 전기 분해된 냉각수는, 상기 배수 파이프(730)에 의하여 배출되어 순환을 위하여 상기 냉각탑(1)의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수와 합류되며,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와 상기 제3밸브는, 서로 교호되게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와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를 개폐하며,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 중 어느 일방은, 그 내부 압력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기준 압력의 절대값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 중 어느 일방의 개도를 조절하고,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 중 나머지 타방은,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 중 나머지 타방을 개방 또는 차폐하는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파이프(720)의 양단은,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부(500) 및 상기 수처리 유닛(710)에 연결되고,
    상기 배수 파이프(730)의 양단은, 상기 집수부(500)에 집수된 후 상기 냉각탑(1)의 외부로 배출되어 순환하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순환 파이프(610) 및 상기 수처리 유닛(710)에 연결되는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유닛(710)은,
    상기 급수 파이프(720)에 의하여 냉각수를 공급받고, 상기 배수 파이프(730)에 의하여 냉각수가 배출되는 수처리 하우징(711); 및
    상기 수처리 하우징(711)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급수 파이프(720)에 의하여 공급되어 상기 수처리 하우징(711)을 유동하는 냉각수를 전기 분해하는 한쌍의 전극(712); 을 포함하는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하우징(711)의 내부에서는,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냉각수가 유동되는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파이프(730)는,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가 분지되는 일측을 중심으로 양측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가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를 완전하게 개방한 상태에서, 그 내부 압력의 절대값이 상기 기준 압력의 절대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가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를 차폐하고, 상기 제3밸브가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를 개방하는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파이프(73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 중의 이물질의 유동을 간섭하는 유동 간섭 부재(750)를 더 포함하는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
  10.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110) 및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120)가 형성되는 케이싱(100);
    상기 흡기구(11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되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200);
    상기 흡기구(11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배기구(12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부(300);
    상기 흡기구(110)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급수부(200)에서 급수되는 냉각수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충진재(400);
    상기 충진재(400)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각수가 집수되는 집수부(500);
    상기 집수부(500)에 집수된 냉각수의 순환을 위하여 냉각수를 압송하는 순환 펌프, 및 상기 순환 펌프에 의하여 압송되는 냉각수가 그 내부를 유동하여 상기 집수부(5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순환 파이프(610)를 포함하는 순환부(600); 및
    상기 집수부(500)에 집수된 냉각수를 전기 분해하여 수처리하는 수처리 장치(700); 를 포함하고,
    상기 수처리 장치(700)는,
    냉각수를 전기 분해하는 수처리 유닛(710);
    상기 집수부(500)에 집수된 냉각수가 그 내부를 유동하여 상기 수처리 유닛(710)으로 공급되는 급수 파이프(720); 및
    상기 수처리 유닛(710)에 의하여 전기 분해된 냉각수가 그 내부를 유동하여 상기 순환 파이프(610)로 배출되는 배수 파이프(730); 를 포함하는 냉각탑.
    상기 수처리 장치(700)는,
    상기 배수 파이프(730)의 일측에서 분지되어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배수 파이프(730)의 내부에 잔존하는 냉각수가 그 내부를 유동하여 냉각수의 전기 분해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
    상기 급수 파이프(7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밸브(V1);
    상기 배수 파이프(7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밸브(V2); 및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3밸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에 의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는 개방되고, 상기 제3밸브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는 차폐된 경우에는, 상기 순환 펌프가 동작하면, 상기 집수부(500)에 집수된 냉각수의 일부가 상기 급수 파이프(720)의 내부를 유동하여 상기 수처리 유닛(710)에 공급된 후 상기 수처리 유닛(710)에 의하여 전기 분해되어 상기 배수 파이프(730)의 내부를 유동하여 상기 순환 파이프(610)의 내부로 배출되고,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에 의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는 차폐되고, 상기 제3밸브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는 개방된 경우에는, 상기 급수 파이프(720), 수처리 유닛(710) 및 배수 파이프(730)의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냉각수와 함께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를 통하여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탑.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펌프에 의하여 상기 집수부(500)에 집수된 냉각수가 압송되어 상기 순환 파이프(610)의 내부를 유동하면, 상기 순환 파이프(610)의 내부 압력이 저하되어 상기 집수부(500)에 집수된 냉각수의 일부가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로 공급되어 전기 분해된 후 상기 순환 파이프(610)로 배출되는 냉각탑.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파이프(720)의 양단은, 상기 집수부(500) 및 수처리 유닛(710)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배수 파이프(730)의 양단은, 상기 순환 파이프(610) 및 수처리 유닛(710)에 각각 연결되는 냉각탑.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유닛(710)은,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의 일단이 각각 연결되는 수처리 하우징(711); 및
    상기 수처리 하우징(711)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을 인가받아서 냉각수를 전기 분해하는 한쌍의 전극(712); 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 파이프(720)의 내부를 유동하여 상기 수처리 하우징(711)의 내부로 공급된 냉각수가 상기 전극(712)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기 분해된 후 상기 배수 파이프(730)의 내부를 유동하여 상기 순환 파이프(610)의 내부로 배출되는 냉각탑.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하우징(711)은,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유동 단면적을 갖는 냉각탑.
  16. 삭제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파이프(730)는,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가 분지되는 일측을 중심으로 양측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냉각탑.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장치(700)는,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 센서(P)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 중 어느 일방은, 상기 압력 감지 센서(P)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 압력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기준 압력의 절대값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 중 어느 일방의 개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 중 나머지 타방은,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 중 나머지 타방을 개방 또는 차폐하고,
    상기 압력 감지 센서(P)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 압력의 절대값이 기설정된 기준 압력의 절대값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 중 어느 일방에 의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 중 어느 일방의 개도가 조절되는 냉각탑.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에 의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가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압력 감지 센서(P)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수처리 장치(700)의 내부 압력의 절대값이 상기 기준 압력의 절대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밸브(V1)(V2)에 의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720) 및 배수 파이프(730)는 차폐되고, 상기 제3밸브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 배출 파이프(740)는 개방되는 냉각탑.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장치(700)는, 그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 중의 이물질의 유동을 간섭하는 유동 간섭 부재(750)를 더 포함하는 냉각탑.
KR1020180117266A 2018-10-02 2018-10-02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 및 냉각탑 KR102111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266A KR102111259B1 (ko) 2018-10-02 2018-10-02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 및 냉각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266A KR102111259B1 (ko) 2018-10-02 2018-10-02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 및 냉각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919A KR20200037919A (ko) 2020-04-10
KR102111259B1 true KR102111259B1 (ko) 2020-05-15

Family

ID=70292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266A KR102111259B1 (ko) 2018-10-02 2018-10-02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 및 냉각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685B1 (ko) 2020-09-16 2021-04-01 주식회사 경인기계 냉각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1549A (ja) * 2004-06-10 2005-12-22 Tobishima Corp 冷却塔維持制御システム
JP2015097988A (ja) * 2013-11-19 2015-05-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気分解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温度調節水供給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5100B1 (ko) 1996-09-11 1999-04-15 대우중공업주식회사 무인운반차의 화물 감지장치
KR100938556B1 (ko) * 2008-03-09 2010-01-22 서종대 냉각탑의 보급수 및 강제배수 시스템
KR101689481B1 (ko) 2015-10-30 2016-12-2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냉각탑의 냉각 순환수 수질개선을 위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1549A (ja) * 2004-06-10 2005-12-22 Tobishima Corp 冷却塔維持制御システム
JP2015097988A (ja) * 2013-11-19 2015-05-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気分解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温度調節水供給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685B1 (ko) 2020-09-16 2021-04-01 주식회사 경인기계 냉각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919A (ko) 202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9201B2 (en) Thermosyphon coolers for cooling systems with cooling towers
JP7165171B2 (ja) 一定の体積の液体を通して気体流を生成して処理するための装置並びに前記装置を実行するための設備及び方法
JP5897606B2 (ja) 製氷機の清浄度を向上及び維持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649974B1 (ko) 자동세척장치의 세척액 저장탱크장치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JP2007143611A (ja) 衣類乾燥機
EP0931993B1 (en) Evaporative condensation type ammonia refrigeration unit
KR20160136197A (ko) 의류 건조기
KR102111259B1 (ko) 냉각탑용 수처리 장치 및 냉각탑
KR100938556B1 (ko) 냉각탑의 보급수 및 강제배수 시스템
JP4238263B2 (ja) 冷却システム
KR101573215B1 (ko) 공기조화기의 세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524172B1 (de) Wärmeübertrageranordnung
US6096177A (en) Electrolyzed water production apparatus
CN209189427U (zh) 一种新型多功能除垢机结构
KR101953670B1 (ko) 냉각용 순환수의 스케일 제거 기능을 가지는 냉각탑
CN110721560A (zh) 废气收集处理装置及工件清洗系统
JP2008309413A (ja) 密閉型冷却塔およびその排水方法
JP4730586B2 (ja) 汚染物質除去装置
KR101828950B1 (ko) 냉각탑용 백연저감장치
KR101047203B1 (ko) 진공롤러 시스템
KR102663925B1 (ko) 제철소 전용 공기조화기
KR200181076Y1 (ko) 컨테이너형 차압 예냉장치
KR100623512B1 (ko) 가금류의 폭기 세척조 에어드라이어
JP2005134035A (ja) 密閉式冷却塔
CN118034416A (zh) 一种外置式环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