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916B1 - 암벽등반 구조물 - Google Patents

암벽등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916B1
KR101046916B1 KR1020080042188A KR20080042188A KR101046916B1 KR 101046916 B1 KR101046916 B1 KR 101046916B1 KR 1020080042188 A KR1020080042188 A KR 1020080042188A KR 20080042188 A KR20080042188 A KR 20080042188A KR 101046916 B1 KR101046916 B1 KR 101046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rock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6324A (ko
Inventor
백선필
김길완
Original Assignee
김길완
백선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완, 백선필 filed Critical 김길완
Priority to KR1020080042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916B1/ko
Publication of KR20090116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4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mountaineering, e.g. climbing-walls, grip elements for climbing-w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모든 방향에서 내부 시야가 확보되어 폐쇄 공간을 사전에 제거하고, 놀이 시설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縱)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서로 이어서 횡(橫)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연결 지점에서 각각 상부 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연장하고, 그 단부는 고정 구에 의해서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다수의 상부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중간에서 이들을 서로 이어주는 다수의 중간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 수평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중간 프레임의 내 측면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암벽 등반하도록 된 다수의 홀더; 및 상기 수직 프레임, 수평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중간 프레임들의 이음부에서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암벽등반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소에 무관하게 여성 또는 어린이들이 편리하게 암벽등반 연습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놀이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우범 지역을 사전에 완벽하게 제거하고, 놀이 시설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홀더들이 견고한 알루미늄 재료의 프레임에 설치됨으로써 암벽등반자의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인공 암벽 구조물, 프레임, 홀더, 체결 수단, 암벽등반

Description

암벽등반 구조물{Sport Climb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기둥형 프레임들을 간단한 조립 작업에 의해 실내 또는 실외의 소정 공간에 용이하게 설치가능하게 함으로써, 여성 또는 어린이들이 편리하게 암벽등반 연습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모든 방향에서 내부 시야가 확보되어 폐쇄 공간을 사전에 제거하고, 놀이 시설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암벽등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의 바쁜 생활 속에서 자연암벽까지 가기 위한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자연암벽과 비교하여 위험성이 없어 안전하게 암벽타기를 즐길 수 있는 운동이 인공암벽타기, 즉 스포츠 클라이밍(sport climbing)이다.
이와 같은 인공암벽은 암벽 등을 연상케 하는 인공 벽(또는 인공 구조물)에 손으로 파지하거나 발로 딛고 기어오를 수 있도록 돌출된 인공 홀더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부착시킨 것으로서, 특히 상대적으로 협소한 실내 또는 실외의 좁은 공 간의 벽면을 이용하므로 장소의 제약이 뒤따르지 않고, 가까운 곳에서 실제 암벽등반과 같은 운동 효과 및 성취감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 준다.
이와 같은 인공 암벽은 종래의 전문산악인의 훈련 코스로 알려진 것과 달리, 현재 일반인들에게 날씨 및 계절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즐길 수 있는 레져 스포츠의 하나로서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인공암벽 타기는 자연 암벽타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안전성을 보장하므로, 유치원생부터 노년층까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스포츠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인공 암벽타기는 유치원생, 초등학생 등의 어린이들과 여성들로부터 높은 호응도를 얻고 있으며, 많은 어린이들이 체력단련과 호연지기를 기르기 위하여 놀이터에서 인공암벽 타기 놀이를 즐기고 있다.
이와 같은 인공 암벽타기에 대한 남녀노소의 큰 관심 속에서, 종래에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공 암벽등반 구조물이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암벽등반 구조물(200)은 소정 간격으로 양 단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양단 측 지지프레임(220)과 상기 다수의 양단측 지지프레임(220) 사이에서 동일한 형상으로 배치되는 중간 측 지지프레임(230), 지면에 접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보강 프레임(250), 상기 다수의 양단측 지지프레임(220)과 중간측 지지프레임(23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판재 프레임(240), 및 상기 다수의 판재 프 레임(24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되어 있는 홀더(280)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양단측 지지프레임(220), 중간측 지지프레임(230) 및 보강 프레임(250)의 적어도 일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판재 프레임(240)이 연속적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암벽등반 구조물(200)은 다수의 판재 프레임(240)에 홀더(280)들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판재 프레임(240)이 암벽타기 연습중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제대로 지탱하지 못하여 탈락됨으로써 구조물 전체의 안전성을 위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홀더(280) 파손 등에 의해 추락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종래의 암벽등반 구조물(200) 구조는 판재 프레임(240)으로 인하여 외부에서 시야가 가려서 암벽등반 구조물(200)의 내측이 보이지 않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이는 종래의 암벽등반 구조물(200)이 놀이터에 설치되는 경우, 외부 시야로부터 가려서 내부가 보이지 않게 됨으로써 암벽등반 구조물(200)의 내부가 우범지역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내부의 밀폐성으로 인하여 청소년들의 탈선 현장이 쉽게 되며, 이는 안전한 놀이문화가 보장되어야 하는 공공 놀이 시설에서는 큰 설치 장애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수의 기둥형 프레임들을 간단한 조립 작업에 의해 실내 또는 실외의 소정 공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여성 또는 어린이들이 편리하게 암벽등반 연습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방향에서 내부 시야가 확보되어 놀이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우범 지역을 사전에 완벽하게 제거하고, 놀이 시설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암벽등반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목적으로서 홀더들이 구조적으로 견고한 프레임에 설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른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암벽등반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에 있어서,
종(縱)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서로 이어서 횡(橫)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연결 지점에서 각각 상부 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연장하 고, 그 단부는 고정 구에 의해서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다수의 상부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중간에서 이들을 서로 이어주는 다수의 중간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 수평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중간 프레임의 내 측면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암벽 등반하도록 된 다수의 홀더; 및
상기 수직 프레임, 수평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중간 프레임들의 이음부에서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벽등반 구조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수직 프레임, 수평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중간 프레임 중의 적어도 두 개가 내부에 끼워지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를 관통하여 그 내부에 끼워진 수직 프레임, 수평 프레임, 상부 프레임 또는 중간 프레임들을 연결구를 통하여 고정하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벽등반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너트는 연결구의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향하여 구멍을 통하여 끼워지며, 상기 볼트는 상기 연결구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상기 너트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암나사 부의 내부에 나사 결합하며, 상기 볼트는 너트의 암나사 부 내에서 그 끝단이 용접으로 너트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벽등반 구조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프레임은 그 양측 모서리를 따라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는 커버가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서 끼워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벽등반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폴리카보네이트 재료로 이루어진 투명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벽등반 구조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구는 8각형의 모서리를 갖는 구조이고, 그 각각의 모서리에는 상부 프레임의 상단이 끼워져서 결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단에는 수평 프레임들이 체결 수단을 통하여 횡으로 결합하여 8각형의 구조를 이루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벽등반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구는 상기 커버의 상단이 삽입되는 끼움홈이 모서리에 형성되고, 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 구에 커버를 결합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벽등반 구조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암벽등반 구조물끼리 서로 이어주는 연결 프레임들을 추가 포함하여 다수의 암벽등반 구조물들이 하나로 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벽등반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는 탄성고무 충격 방지 매트가 깔리거나 또는 모래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벽등반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암벽등반 구조물에 의하면 다수의 기둥형 프레임들을 볼트 및 너트 조립을 통하여 간단하게 실내 또는 실외의 소정 공간에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장소에 무관하게 여성 또는 어린이들이 편리하게 암벽등반 연습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둥형 프레임에 홀더가 부착되는 구조를 통하여 모든 방향에서 내부 시야가 확보되기 때문에 놀이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우범 지역을 사전에 완벽하게 제거하고, 놀이 시설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홀더들이 견고한 알루미늄 재료의 프레임에 설치됨으로써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고, 그에 따라서 홀더의 탈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암벽등반자의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암벽등반 구조물(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으로 실내 또는 실외에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암벽등반 구조물(1)은 종(縱)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10)을 갖는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10)의 상단을 서로 이어서 횡(橫)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 프레임(20)을 갖는데, 상기 수직 및 수평 프레임(10)(20)들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큰 틀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평 프레임(20)의 연결 지점에서 각각 상부 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연장하고, 그 단부는 고정 구(32)에 의해서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다수의 상부 프레임(30)을 구비하는데, 상기 상부 프레임(30)은 마치 지붕 프레임과 같이 수직 및 수평 프레임(10)(20)에 연결되어 안정된 일체형의 큰 틀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부 프레임(30)은 상기 고정 구(32)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각형의 모서리를 갖는 구조이고, 그 각각의 모서리에는 상부 프레임(30)의 상단이 끼워져서 결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30)의 하단에는 수평 프레임(20)들이 이후에 설명되는 체결 수단(50)을 통하여 횡으로 결합하여 8각형의 틀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8각형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원형이나 육각형 또는 다각형의 여러 형태의 구조물을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수직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의 그 중간에서 이들을 서로 이어주는 다수의 중간 프레임(40)들을 추가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중간 프레임(40)은 수직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20)의 중간을 열 십자형(+)으로 서로 이어 연결하여 줌으로써 본 발명이 더욱더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로 연결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중간 프레임(40)은 그 내측에 홀더(70)들이 부착되는 경우, 수직 프레임(10)과 더불어서 많은 수의 홀더(70)들이 연이어서 배치되도록 하여 보다 다양한 암벽 타기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수직 프레임(10), 수평 프레임(20), 상부 프레임(30) 및 중간 프레임(40)들은 모두 중공형 알루미늄 합금 재료로 이루어지고, 단면 계수가 큰 중공형의 기둥형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경량이면서 구조적으로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프레임들은 하나의 큰 틀로 조립되면 본 발명의 암벽등반 구조물(1)은 견고한 지지 구조체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 프레임(10), 수평 프레임(20), 상부 프레임(30) 및 중간 프레임(40)들의 이음부에서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체결 수단(5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체결 수단(50)은 도 2에서 상세도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프레임(10), 수평 프레임(20), 상부 프레임(30) 및 중간 프레임(40) 중의 적어도 두 개가 내부에 끼워지는 연결구(52)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구(52)를 관통하 여 그 내부에 끼워진 수직 프레임(10), 수평 프레임(20), 상부 프레임(30) 또는 중간 프레임(40)들을 연결구(52)에 고정하는 볼트(54)와 너트(56)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연결구(52)는 도 1에서 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프레임(10), 수평 프레임(20), 상부 프레임(30) 및 중간 프레임(40)들을 모두 내부에 끼워서 하나로 연결하는 4방향 구조(52a)이거나, 수직 프레임(10)과 중간 프레임(40) 또는 수평 프레임(20)과 중간 프레임(40)들을 내부에 끼워서 볼트(54)와 너트(56)로서 서로 연결하는 3방향 구조(52b)이며, 알루미늄 재료로 성형 제작되어 구조적으로 견고하다.
또한 상기 연결구(52)에 결합되는 너트(56)는 연결구(52)의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향하여 구멍(58)을 통하여 끼워지며, 상기 볼트(54)는 상기 연결구(52)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상기 너트(56)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암나사 부(56a)의 내부에 나사 결합한다. 이와 같은 경우, 이는 조립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는데, 너트(56)는 그 외주면이 봉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연결구(52)에 마련된 구멍(58)으로 쉽게 끼워지며, 볼트(54)는 그 외주면의 숫나사 부(54a)가 연결구(5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향하여 상기 너트(56)의 암나사 부(56a)에 나사결합된다. 이와 같은 경우 연결구(52)의 바깥쪽에서는 너트(56)의 회전이 자유로워서 쉽게 너트(56)를 볼트(54)에 나사결합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너트(56)를 볼트(54)에 나사결합시킨 다음에는 너트(56)의 암나사 부(56a)에 볼트(54)를 용접으 로 고정하는 과정이 연결구(52)의 바깥쪽에서 쉽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체결 수단(50)의 볼트(54)와 너트(56)는 연결구(52)의 내부에 끼워진 수직 프레임(10), 수평 프레임(20), 상부 프레임(30) 또는 중간 프레임(40)들을 연결구(52)에 고정하며, 상기 너트(56)의 암나사 부(56a)에 볼트(54)의 숫 나사부(54a)가 고정된 다음에는, 상기 볼트(54)는 너트(56)의 암나사 부(56a) 내에서 그 끝단이 용접부(60)를 통하여 너트(56)에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견고한 결합 구조를 통하여 본 발명은 상기 수직 프레임(10), 수평 프레임(20), 상부 프레임(30) 및 중간 프레임(40)들을 하나의 큰 틀로 조립하여 견고한 지지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 프레임(10), 수평 프레임(20), 상부 프레임(30) 및 중간 프레임(40)의 내 측면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암벽 등반하도록 된 다수의 홀더(70)들을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홀더(70)들은 각각 수직 프레임(10), 수평 프레임(20), 상부 프레임(30) 및 중간 프레임(40)의 내 측면으로 볼트(54) 및 너트(56)를 통하여 연결되어 암벽 등반자들이 이것들을 쥐고서 암벽 등반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부가적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30)의 사이에 커버(80)가 장착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3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 측 모서리를 따라서 요홈(36)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36)에는 커버(80)의 양측 모서리가 상기 상부 프레임(30) 사이에서 끼워져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되는 구조이다. 상기 커버(8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료로 이루어진 투명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내부로 향한 시야를 가리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와 같은 커버(80)는 그 상단이 고정 구(32)에도 끼워지는데, 상기 고정 구(32)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80)의 상단이 삽입되는 끼움 홈(32a)이 모서리에 형성되고, 스크류(미 도시)를 이용하여 고정 구(32)에 커버(80)를 결합시켜 안정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 프레임(10), 수평 프레임(20), 상부 프레임(30) 및 중간 프레임(40)들이 체결 수단(50)을 통하여 큰 틀로 결합되고, 그 각각의 수직 프레임(10), 수평 프레임(20), 상부 프레임(30) 및 중간 프레임(40)들의 내측 면에 다수의 홀더(70)가 부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30)의 사이에 커버(80)가 결합되면 본 발명은 대략 가로 2.7m, 세로 2.7m, 높이 2.7m의 크기를 갖는 하나의 단위 유닛의 암벽등반 구조물(1)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단위 유닛의 암벽등반 구조물(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가 연결 프레임(90)들을 통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다수의 암벽등반 구조물(1)들이 하나로 연결된 통합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암벽등반 구조물(1)은 그 바닥에 탄성고무로 이루어진 충격 방지 매트(100) 또는 모래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암벽등반 구조물(1)은 종(縱)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10), 횡(橫)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수평 프레임(20), 중간 프레임(40)과 상부 프레임(30)들이 체결 수단(50)을 통하여 8각형의 안정된 일체형의 큰 틀로 조립된다.
이와 같은 경우, 체결 수단(50)은 수직 프레임(10), 수평 프레임(20), 상부 프레임(30) 또는 중간 프레임(40)들이 내부에 끼워지는 연결구(52)와 볼트(54) 및 너트(56)의 조립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실내나 실외에 본 발명은 쉽게 조립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10), 수평 프레임(20), 상부 프레임(30) 및 중간 프레임(40)의 내측면에 다수의 홀더(70)들이 고정되는데, 이와 같은 홀더(70)들은 구조적으로 견고한 알루미늄 재료의 중공형 기둥형 프레임에 고정됨으로써 암벽 등반자들이 홀더(70)들을 쥐고서 매달려도 충분하게 그 무게를 지탱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안정된 암벽 등반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 수직 프레임(10), 수평 프레임(20), 상부 프레임(30) 및 중간 프레임(40)들이 체결 수단(50)을 통하여 큰 틀로 결합되고, 그 각각의 수직 프레임(10), 수평 프레임(20), 상부 프레임(30) 및 중간 프레 임(40)들의 내측 면에 다수의 홀더(70)가 부착되면 구조물이 수직 프레임(10)과 중간 프레임(40)을 통하여 서있는 상태로 지탱되므로, 내부가 막히지 않게 되어 외부로부터 완벽하게 시야가 확보된다.
따라서 놀이 공간에서 폐쇄 공간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게 되어 각종 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기둥형 프레임들을 볼트(54) 및 너트(56) 조립을 통하여 간단하게 실내 또는 실외의 소정 공간에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장소에 무관하게 여성 또는 어린이들이 편리하게 암벽등반 연습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계절에 무관하게 또한 초심자와 고급자들 모두에게 암벽등반 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둥형의 수직 프레임(10)과 중간 프레임(40)을 통하여 구조물을 지지하기 때문에 모든 방향에서 내부 시야가 확보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놀이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탈선 지역을 사전에 완벽하게 제거하고, 놀이 시설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홀더(70)들이 경량이면서도 구조적으로 견고한 알루미늄 재료의 프레임에 설치됨으로써 암벽 등반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고, 그에 따라서 홀더(70)의 탈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암벽등반자의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바닥에는 탄성고무로 이루어진 충격 방지 매트 또는 모래를 포설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암벽 등반자를 보호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에서 8각형의 구조물로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 또는 원형의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프레임이 모두 알루미늄 재료로 이루어졌지만 이는 다른 종류의 금속재료나 목재 등으로 대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실시 예의 수정 또는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벽등반 구조물과 그 부품들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벽등반 구조물과 체결 수단을 단면으로 확대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벽등반 구조물에 구비된 부품의 상세도로서,
a)도는 고정 구의 사시도, b)도는 상부 프레임의 절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벽등반 구조물이 연결 프레임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다수가 하나로 결합된 구조물을 형성한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구조에 따른 암벽등반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a)도는 터널형 구조, b)도는 돔형 구조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에 따른 암벽등반 구조물 10..... 수직 프레임
20..... 수평 프레임 30..... 상부 프레임
32..... 고정구 40..... 중간 프레임
50..... 체결 수단 52..... 연결구
52a.... 4방향 구조 52b..... 3방향 구조
54..... 볼트 54a.... 숫나사 부
56..... 너트 56a.... 암나사 부
58..... 구멍 70..... 홀더
80..... 커버 90..... 연결 프레임
100.... 충격 방지 매트
200..... 종래의 암벽등반 구조물 220..... 양단측 지지프레임
230..... 중간 측 지지프레임 240..... 판재 프레임
250..... 보강 프레임 280..... 홀더

Claims (6)

  1.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에 있어서,
    종(縱)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서로 이어서 횡(橫)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연결 지점에서 각각 상부 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연장하고, 그 단부는 고정 구에 의해서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다수의 상부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중간에서 이들을 서로 이어주는 다수의 중간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 수평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중간 프레임의 내 측면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암벽 등반하도록 된 다수의 홀더; 및
    상기 수직 프레임, 수평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중간 프레임들의 이음부에서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수직 프레임, 수평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중간 프레임 중의 적어도 두 개가 내부에 끼워지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를 관통하여 그 내부에 끼워진 수직 프레임, 수평 프레임, 상부 프레임 또는 중간 프레임들을 연결구를 통하여 고정하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벽등반 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연결구의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향하여 구멍을 통하여 끼워지며, 상기 볼트는 상기 연결구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상기 너트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암나사 부의 내부에 나사 결합하며, 상기 볼트는 너트의 암나사 부 내에서 그 끝단이 용접으로 너트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벽등반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그 양측 모서리를 따라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는 커버가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서 끼워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벽등반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는 8각형의 모서리를 갖는 구조이고, 그 각각의 모서리에는 상부 프레임의 상단이 끼워져서 결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단에는 수평 프레임들이 체결 수단을 통하여 횡으로 결합하여 8각형의 구조를 이루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벽등반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는 상기 커버의 상단이 삽입되는 끼움 홈이 모서리에 형성되고, 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 구에 커버를 결합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벽등반 구조물.
KR1020080042188A 2008-05-07 2008-05-07 암벽등반 구조물 KR101046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188A KR101046916B1 (ko) 2008-05-07 2008-05-07 암벽등반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188A KR101046916B1 (ko) 2008-05-07 2008-05-07 암벽등반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324A KR20090116324A (ko) 2009-11-11
KR101046916B1 true KR101046916B1 (ko) 2011-07-07

Family

ID=4160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188A KR101046916B1 (ko) 2008-05-07 2008-05-07 암벽등반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9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649B1 (ko) * 2010-08-17 2011-04-29 클라임코리아 주식회사 인공암벽 설치 구조
US11478386B2 (en) 2016-08-29 2022-10-25 Boutique La Vie En Rose Inc. Absorbent products for articles of cloth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6337A (en) 1993-04-21 1994-07-05 Pardella Eugene C Gymnastic assembly for small children
US5356354A (en) 1993-11-08 1994-10-18 Owens Kevin W Soft, modular, play equipment system for toddlers
KR200270775Y1 (ko) * 2001-12-28 2002-04-03 주식회사 키즈월드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KR20070003270A (ko) * 2005-07-01 2007-01-05 주식회사 지앤텔 코리아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6337A (en) 1993-04-21 1994-07-05 Pardella Eugene C Gymnastic assembly for small children
US5356354A (en) 1993-11-08 1994-10-18 Owens Kevin W Soft, modular, play equipment system for toddlers
KR200270775Y1 (ko) * 2001-12-28 2002-04-03 주식회사 키즈월드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KR20070003270A (ko) * 2005-07-01 2007-01-05 주식회사 지앤텔 코리아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324A (ko)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39144B2 (en) A guardrail and method for assembling it
US5599006A (en) Self stable fence
CA2732064C (en) Modular stage, kit for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CA2291919C (en) Recreation deck with central load bearing member
KR101046916B1 (ko) 암벽등반 구조물
KR100934130B1 (ko)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KR100972125B1 (ko) 암벽등반용 사출패널.
KR200367705Y1 (ko) 운동 경기를 위한 설비 장치
KR20210019302A (ko) 설치가 용이한 조립식 수영장
JP2010528794A (ja) 規定に即したリバウンドを有する負傷防止スポーツ用ゴール
KR101631566B1 (ko)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760539B1 (ko)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JP5712587B2 (ja) トライフットボール競技場
KR200290587Y1 (ko) 암벽등반연습을 위한 구조물
AU675261B2 (en) Play structure with multiple play spaces
KR20210031052A (ko) 3d 프린팅 기법으로 제작된 설치가 용이한 조립식 수영장
JPH10159043A (ja) 転落防止柵用支柱及びそれを用いた柵体
KR20080023799A (ko) 조립식 축구장
CN211705838U (zh) 多边球体抱石攀岩装置
JPH10159395A (ja) 転落防止柵用支柱及びそれを用いた柵体
KR100475485B1 (ko) 암벽등반연습을 위한 구조물
ES2296466B1 (es) Sistema de construccion de paredes para la formacion de depositos y similares.
KR100334333B1 (ko) 조립식 휴대용 풀장
EP2852712B1 (en) Frame assembly system for geodesic framed structures
FR2845613A1 (fr) Equipement sporti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