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775Y1 -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 Google Patents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0775Y1 KR200270775Y1 KR2020010040600U KR20010040600U KR200270775Y1 KR 200270775 Y1 KR200270775 Y1 KR 200270775Y1 KR 2020010040600 U KR2020010040600 U KR 2020010040600U KR 20010040600 U KR20010040600 U KR 20010040600U KR 200270775 Y1 KR200270775 Y1 KR 20027077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children
- coupling
- connecting member
- hol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부재 및 체결부재,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조립식 설치물에 관한 것으로, 연결부재와 체결부재의 상호 결합구조를 연결부재의 내부곡률과 체결부재의 외부곡률이 상호 대응되어 회전가능케 개선하고, 연결부재 및 체결부재, 지지판의 결합시 사용되는 결합구 및 그 결합구가 고정되는 체결부재의 결합공의 구조를 개선하며, 다양한 길이를 갖는 연결부재에 별도의 통공을 형성하여, 로프 및 그네 또는 미끄럼틀 등을 고정할 수 있게 하며, 별도의 암벽돌기, 라운드 연결부재 등의 장착이 가능하여,
외주면이 라운드된 체결부재의 체결관 및 체결아암에 결합된 회전이 가능한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부재와 체결부재의 상호 연결이 매우 간소화되고, 지지판의 결합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여성을 포함한 누구나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하며, 보다 다양한 설치물의 운영이 가능하여 장소 및 놀이대상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변경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로프, 그네, 암벽, 미끄럼틀 등 다양한 놀이구에 의해 쉽게 식상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연결부재 및 체결부재,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조립식 설치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부재 및 체결부재의 구조를 회전이 가능하도록 개선하여 상호간의 조립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하게 하고, 지지판의 조립시에 사용되는 결합구 및 그 결합구가 고정되는 체결부재의 결합공을 개선함으로서 누구나 쉽게 지지판의 결합 및 분해가 가능한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이다.
근래에 들어 대도시에 사는 어린이 또는 유아들은 옥외의 놀이공간이 점차축소되어가고, 갖가지 사고의 위험때문에 실내에서 주로 놀이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유아원이나 유치원 등에서도 안전하고 위생적인 실내놀이기구를 주로 사용케 함으로서, 유아 및 어린이들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전기한 시대적인 흐름에 부응하여 근래에 들어 다양한 방향으로의 결합이 가능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에 거치되어 결합부재 및 연결부재에 동시 결합되는 지지판으로 구성된 조립식 놀이장치가 안출되어 실내에서 직접 조립, 설치하여 어린이들이 보다 흥미롭게 즐길 수 있도록 한 조립장치가 안출된 바 있다.
이러한 조립장치는 다양한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간이 결합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연속으로 상호 결합되는 것이며, 다수의 연결부재 및 결합부재의 결합은 조립장치의 프레임 또는 골격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골격이 완성된 조립장치에는 또다른 지지판을 조립하여 그 지지판이 마루 또는 바닥면의 역활을 담당하게 함으로서, 안전하면서도 흥미로운 조립장치의 사용이 가능케 한 바 있다.
그러나, 전기한 조립장치는 연결부재와 체결부재의 조립에 있어서, 반드시 연결부재 및 체결부재의 방향으로 서로 일치시켜 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며, 조립이 완성된 후 결합구에 의해 상호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하나라도 그 방향이 일치하지 않고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연결부재 및 체결부재가 상호 회전이 불가능한 평면 결합구조로 되어 있어, 조립된 장치 전체를 다시 역순으로 해체하여 재조립하여야 하는 불합리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연결부재와 체결부재 및 지지판의 결합 고정시 사용되는 결합구는, 결합구의 하부 주면에 형성된 돌기가 체결부재의 결합공을 파고 들며 강제 압입되게 하는 방식이어서 유아원이나 유치원과 같이 여성이 주로 운영자인 곳에서는 여성의 힘으로 이를 조립하는 것이 여간 힘든일이 아닐 수 없는 것이다.
또한, 한번 설치된 조립 장치는 여타의 부속물이나 놀이구를 추가 설치하지 못하므로 빠르고 현란한 것을 좋아하는 유아 및 어린이의 특성상 쉽게 식상하고 질리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연결부재와 체결부재의 상호 결합구조를 연결부재의 내부곡률과 체결부재의 외부곡률이 상호 대응되어 회전되도록 개선하고, 연결부재 및 체결부재, 지지판의 결합시 사용되는 결합구 및 그 결합구가 고정되는 체결부재의 결합공의 구조를 개선하며,
다양한 길이를 갖는 체결부재에 별도의 통공을 형성하여, 로프 및 그네 또는 미끄럼틀 등을 고정할 수 있게 하며, 별도의 암벽돌기, 라운드 연결부재 등의 장착이 가능하여,
단면상 원형에 의해 상호 회전이 가능하여 연결부재와 체결부재의 연결이 매우 간소화되고, 지지판의 결합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여성을 포함한 누구나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하며,
보다 다양한 설치물의 운영이 가능하여 장소 및 놀이대상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변경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로프, 그네, 암벽, 미끄럼틀 등 다양한 놀이구에 의해 쉽게 식상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조립식 설치물의 전체 결합 사시도
도 2a 및 도 2c는 본 고안 조립식 설치물에 사용되는 연결부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a는 일자형 연결부재 사시도
도 2b는 곡선형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2c는 연결부재의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g는 본 고안 조립식 설치물에 사용되는 체결부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a는 엘보우형 체결부재의 사시도
도 3b는 교차형 체결부재 사시도
도 3c는 3방향 체결부재 사시도
도 3d는 4방향 체결부재 사시도
도 3e는 5방향 체결부재 사시도
도 3f는 6방향 체결부재 사시도
도 3g는 본 고안 체결부재의 체결관 단면도
도 3h는 본 고안 체결부재의 체결아암 단면도
도 4a 및 도 4c는 본 고안 조립식 설치물의 연결부재 및 체결부재, 지지판의 결합단면도로서,
도 4a는 체결부재의 체결관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b는 체결부재의 체결아암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c는 결합구의 타실시예를 보인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조립식 설치물의 이중체결부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조립식 설치물에 미끄럼틀을 결합한 요부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조립식 설치물에 로프를 형성한 요부사시도
도 8은 본 고안 조립식 설치물에 암벽경사면을 형성한 요부사시도
도 9는 본 고안 조립식 설치물에 그네를 결합한 요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연결부재 11,11' : 결합공
12,12' : 보조공
20 : 체결부재 21 : 체결관
22 : 체결아암 23 : 체결공
24,24' : 연장부 25,25' : 돌조
26,26' : 돌조 27,27' : 단턱
28,28' : 측면T홈
30 : 지지판 31 : 결합공
40 : 결합구 41,41' : 돌조
42 : 나사산
50 : 미끄럼틀 60 : 로프
70 : 그네
80 : 암벽돌기 81 : 플랜지
82 : 나사공
90 : 이중체결부재 91,91' : 체결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조립식 설치물의 전체 설치사시도이다.
다양한 길이를 갖고, 좌우 양단에 결합공(11)(11')이 형성된 관체상의 연결부재(10)와, 전기한 연결부재(10)가 결합되는 체결관(21) 및 체결아암(22) 및 그 체결관(21) 및 체결아암(22)에 형성된 체결공(23)을 갖는 체결부재(20)와, 전기한 연결부재(10)의 결합공(11)(11')과 체결부재(20)의 체결공(23)에 동시 결합되는 결합공(31)을 갖는 지지판(30)이 별도의 결합구(40)에 의해 상호 조립되는 공지의 조립식 유희물에 있어서,
전기한 연결부재(10)는 결합공(11)(11')의 이격공간부에 다수의 보조공(12)(12')을 형성하고,
전기한 체결부재(20)의 원통체상 체결관(21)의 체결공(23) 내측주면에는 별도의 연장부(24)(24')를 형성하고, 그 연장부(24)(24')의 단부에는 이격된 돌조(25)(25')를 형성하고,
체결부재(20)의 체결아암(22)은 그 외주면을 연결부재(10)의 내주면 곡률과 일치되는 곡률이 형성되게 하여 상호회전이 가능케 하고, 체결아암(22)의 체결공(23)은, 하나의 체결공(23)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관통된 체결공(23)의 양단에는 보다 확장된 크기의 단턱(27)(27')을 형성하여, 단턱(27)(27')에는 이격된 또다른 돌조(26)(26')를 형성하며,
전기한 체결공(23)의 직각방향에는 측면T홈(28)(28')에 의해 측면이 연통되게 하며,
전기한 결합구(40)의 하측 단부에는 좌우 돌조(41)(41')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전기한 체결부재(20)를, 체결관(21)과 체결아암(22)이 90°의 각도로 벌어진 엘보우형으로 형성하거나,
체결관(21)과 체결아암(22)이 90°의 간격으로 순차 형성된 교차형, 3방향으로 체결관(21)과 체결아암(22)이 형성된 3-way 복합형, 4방향으로 체결관(21)과 체결아암(22)이 형성된 4-way 복합형, 5방향으로 체결관(21)과 체결아암(22)이 형성된 5-way 복합형, 6방향으로 체결관(21)과 체결아암(22)이 형성된 6-way 복합형 등에 모두 적용하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연결부재(10)를 일정한 곡률을 갖는 원호형으로 제작하므로 설치물의 모서리나 코너 등에 유해한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게 하거나,
다수의 보조공(12)(12')을 갖는 연결부재(10)에 미끄럼틀(50)를 고정하여 사용되게 하거나,
다수의 보조공(12)(12')을 갖는 연결부재(10)에 별도의 로프(60)를 교차형으로 서로 엮어 로프에 의한 사다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다수의 보조공(12)(12')을 갖는 연결부재(10)에 별도의 그네(70)를 걸어 사용되게 하거나,
플랜지(81)에 나사공(82)이 형성된 암벽돌기(80)를 별도 형성하여, 이를 전기한 연결부재(10)에 결합하여 경사상의 암벽등반용으로 사용되게 할 수도 있으며,
전기한 결합구(40)에는 별도의 나사산(42)을 형성하여 그 나사산(42)에 의해 결합구(40)가 체결부재(20)의 체결공(23)에 강제 압입되게 하거나,
전기한 연결부재(10)가 삽입되는 관체상의 체결관(91)(91')이 평행되게 일체로 형성된 이중체결부재(90)를 별도로 형성하여, 상기한 연결부재(10)가 평행되게 이격 고정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은 다양한 형상의 체결부재(20) 및 각각의 체결부재(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10)의 결합에 의해 어떠한 형상이던지 구현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유동적인 형상의 자유로움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의 규모와 주로 사용하는 연령층에 따라 그 크기 및 형태의 자유로움을 꾀할 수 있는 것이다.또한, 관체상의 연결부재(10)의 내주면 곡률과 체결부재(20)의 체결관(21) 및 체결아암(22)의 외주면 곡률이 서로 동일하여, 체결부재(20)의 체결관(21) 또는 체결아암(22)에 연결부재(10)를 결합하게 되면, 종래의 평면적 결합에 의한 비회전 결합이 아닌 상호 대응되는 곡률에 의해 연결부재(10)의 회전이 가능하여 보다 용이하게 연결부재(10)와 체결부재(20)의 결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2a의 도시와 같이 직선형의 연결부재(10)와 도 2b의 도시와 같은 곡선형의 연결부재(10)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설치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인데,여기서, 직선형의 연결부재(10)는 종방향 및 횡방향, 수직방향으로의 설치물을 확장시키는 역활을 하며, 설치물의 전체적인 골격 역활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곡선형의 연결부재(10)는 설치물의 모서리나 손잡이로 사용되는 부분 등에 결합함으로서, 완만한 곡선에 의해 어린이들이 다치거나 찔리는 위험이 없는것이며, 손잡이로 사용되는 곡선형의 연결부재(10)는 보다 부드러우면서도 자연스러운 설치물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도 2c의 도시와 같이 연결부재(10)에 형성된 결합공(11)(11')은 별도의 결합구(40)에 의해 체결부재(20)와 결합하기 위한 것이며, 별도의 보조공(12)(12')은 다양한 유희시설 즉, 미끄럼틀(50)이나 로프(60)를 엮어 그물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횡상으로 결합된 연결부재(10)의 보조공(12)(12')에 그네(70)를 묶어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부재(10)를 다양한 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체결부재(20)는 도 3a의 도시와 같이 90°방향으로 절곡된 엘보우형이 있는 것이며, 엘보우형 체결부재(20)는 일측의 체결관(21)과 타측의 체결아암(22)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체결관(21)과 체결아암(22)에 형성된 체결공(23)을 이용하여 전기한 연결부재(10)의 결합공(11)(11')과 별도의 결합구(4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도 3b의 도시와 같이 90°간격으로 체결관(21)과 체결아암(22)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교차형 체결부재(20)에 의해 사방으로 연결부재(10)가 위치하는 결합형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c의 도시와 같이 하나의 체결관(21)과 두개의 체결아암(22)으로 이루어진 3방향 체결부재(20)를 이용하여 연결부재(10)가 3방향으로 연결되는 체결부재(20)를 형성하거나, 도 3d의 도시와 같이 두개의 체결관(21)과 두개의 체결아암(22)으로 이루어진 4방향 체결부재(20)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의 입체적인 4방향 연결부재(10)의 결합이 가능케 하는 것이다.
또한, 도 3e의 도시와 같이 두개의 체결관(21)과 세방향의 체결아암(22)으로 이루어진 5방향 체결부재(20)와, 두방향의 체결관(21)과 네방향의 체결아암(22)으로 이루어진 6방향 체결부재(20)를 각각 형성하여 이에 의해 다양한 방향의 연결부재(10)의 분기 및 형성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3g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체결부재(20)의 체결관(21)은 체결공(23)의 내측에 별도의 연장부(24)(24')를 형성하여 체결공(23)을 보다 견고하게 형성하며, 체결공(23) 연장부(24)(24')의 하단에는 이격된 돌조(25)(25')를 형성하여, 별도의 결합구(40)에 형성된 돌조(41)(41')가 전기한 연장부(24)(24')의 돌조(25)(25')에 엇갈리면서 결합구(40)의 회전은 방지되게 하면서도 연결부재(10)와 체결부재(20)간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 3h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체결부재의 체결아암(22)은 하나의 체결공(23)을 관통되게 형성하되, 그 체결공(23)의 각 단부에는 보다 큰 내경의 단턱(27)(27')을 형성하며, 단턱(27)(27')에는 또다른 돌조(26)(2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결합구(40)의 돌조(41)(41')가 전기한 체결공(23)을 관통하여 단턱(27)(27')의 돌조(26)(26')와 결합구(40)의 돌조(41)(41')가 서로 엇갈리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며,
전기한 체결공(23)의 직각방향 좌우에는 측면T홈(28)(28')을 형성하여 보다 길이가 짧은 결합구(40)를 이용하여 지지판(30)을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연결부재(10)와 체결부재(20)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 용도에 따라서 별도의 지지판(30)을 이용하여 바닥이나 측벽 등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인데,지지판(30)의 결합공(31)과 연결부재(10)의 결합공(11)(11'), 체결부재(20)의 체결공(23)을 서로 일치시켜 별도의 결합구(40)에 의해 고정하면 도 4a 및 도 4b의 도시와 같이 견고한 결합이 되는 것이다.
즉, 도 4a의 결합단면도와 같이 체결부재(20)의 체결관(21)에 연결부재(10) 및 지지판(30)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짧은 길이의 결합구(40)를 사용하여 결합구(40)에 형성된 돌조(41)(41')가 체결공(23) 내측의 돌조(26)(26')에 엇갈리면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도 4b의 도시와 같이 체결부재(20)의 체결아암(22)에 연결부재(10) 및 지지판(30)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보다 긴 길이를 갖는 결합구(40)를 이용하여 결합구(40)의 돌조(41)(41')가 하나의 체결공(23)을 관통하여 타측 단턱(27)(27')에 형성된 돌조(26)(26')에 엇갈리며 고정되게 하는 것이며,
90°의 각도로 또다른 지지판(30)을 결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전기한 체결공(23)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측면T홈(28)(28')에 보다 짧은 길이의 결합구(40)를 사용하여 연결부재(10) 및 체결부재(20), 지지판(30)을 결합하는 것인데, 지지판(30)의 결합공(31)과 연결부재(10)의 결합공(11)을 통과한 결합구(40)의 돌조(41)(41')는 결합구(40)의 회전에 의해 측면T홈(28)(28')에 걸리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며, 측면T홈(28)(28')에도 전기한 바와 같은 돌조(26)(2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구(40)의 돌조(41)(41')가 서로 엇갈리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도 4c의 도시와 같이 결합구(40)에 별도의 나사산(42)을 형성하여, 연결부재(10) 및 체결부재(20), 지지판(30)이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구(40)가 지지판(30)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된 후 결합구(40)의 나사산(42)이 체결부재(20)의 체결공(23) 내측을 파고 들며 고정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5는 이중체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하나의 횡상 연결부재(10)에 또다른 연결부재(10)를 평행되게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전기한 이중체결부재(90)를 이용하여 상호 평행되게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즉, 두개의 체결관(91)(91')에 각각 연결부재(10)를 삽입하고, 연결부재(10)의 양단을 체결부재(20)에 의해 마감하면 이중체결부재(90)가 고정되는 것이며, 이중체결부재(90)는 단순히 체결관(91)(91')에 의해 연결부재(10)에 삽입만 되어 있는 것이므로, 하나의 연결부재(10)는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이중체결부재(90)를 이용하여 다양한 유희물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인데,
도 6의 도시와 같이 다수의 연결부재(10)에 미끄럼틀(50)을 결합함으로서, 견고하게 결합된 미끄럼틀(50)을 이용하여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도 7의 도시와 같이 이중체결부재(90)에 의해 설치물의 일측으로 경사면을 갖는 연결부재(10) 및 체결부재(20)의 결합상태를 형성하고, 그 연결부재(10)의 보조공(12)(12')에 로프(60)를 삽입하고, 그 로프(60)를 서로 엮어 경사상의 연결부재(10) 및 체결부재(20)에 그물망이 형성되게 함으로서, 그물망을 이용하여 어린이들이 놀이를 즐길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도 8의 도시와 같이 경사상으로 형성된 연결부재(10) 및 체결부재(20)에 지지판(30)을 결합하여 경사면이 형성되게 한 후,
별도의 암벽돌기(80)를 그 연결부재(10) 또는 지지판(30)에 고정하여 그 암벽돌기(80)에 의해 어린이들이 위아래로 오르내리면서 놀이를 할 수 있는 것이며,
암벽돌기(80)에는 전후 플랜지(81) 및 그 플랜지(81)에 형성된 나사공(82)을 이용하여 연결부재(10) 또는 지지판(30)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9의 도시와 같이 연결부재(10) 및 체결부재(20)를 이용하여 그네(70)를 걸 수 있게 결합 형성함으로서, 본 고안 설치물에 의해서도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므로 그네(70)를 걸어 어린이들이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은 연결부재와 체결부재의 상호 연결이 매우 간소화되고, 지지판의 결합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여성을 포함한 누구나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하며,
보다 다양한 설치물의 운영이 가능하여 장소 및 놀이대상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변경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로프, 그네, 암벽, 미끄럼틀 등 다양한 놀이구에 의해 쉽게 식상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4)
- 다양한 길이를 갖고, 좌우 양단에 결합공(11)(11')이 형성된 관체상의 연결부재(10)와, 전기한 연결부재(10)가 결합되는 체결관(21) 및 체결아암(22) 및 그 체결관(21) 및 체결아암(22)에 형성된 체결공(23)을 갖는 체결부재(20)와, 전기한 연결부재(10)의 결합공(11)(11')과 체결부재(20)의 체결공(23)에 동시 결합되는 결합공(31)을 갖는 지지판(30)이 별도의 결합구(40)에 의해 상호 조립되는 공지의 조립식 유희물에 있어서,전기한 연결부재(10)는 결합공(11)(11')의 이격공간부에 다수의 보조공(12)(12')을 형성하고,전기한 체결부재(20)는 관통체상 체결관(21)의 체결공(23) 내측주면에는 별도의 연장부(24)(24')를 형성하고, 그 연장부(24)(24')의 단부에는 이격된 돌조(25)(25')를 형성하며,체결부재(20)의 체결아암(22)은 그 외주면을 연결부재(10)의 내주면 곡률과 일치되는 곡률이 형성되게 하여 상호 회전가능케 하고, 체결아암(22)의 체결공(23)은, 하나의 체결공(23)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관통된 체결공(23)의 양단에는 보다 확장된 크기의 단턱(27)(27')을 형성하여, 단턱(27)(27')에는 이격된 또다른 돌조(26)(26')를 형성하며,전기한 체결공(23)과 직각방향의 좌우에는 측면T홈(28)(28')에 의해 측면이 연통되게 하며,전기한 결합구(40)의 하측 단부에는 좌우 돌조(41)(41')를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 제 1항에 있어서, 체결부재(20)를, 체결관(21)과 체결아암(22)이 90°의 각도로 벌어진 엘보우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 제 1항에 있어서, 체결부재(20)를, 체결관(21)과 체결아암(22)이 90°의 간격으로 순차 형성된 교차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 제 1항에 있어서, 체결부재(20)를, 3방향으로 체결관(21)과 체결아암(22)이 형성된 3-way 복합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 제 1항에 있어서, 체결부재(20)를, 4방향으로 체결관(21)과 체결아암(22)이 형성된 4-way 복합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 제 1항에 있어서, 체결부재(20)를, 5방향으로 체결관(21)과 체결아암(22)이 형성된 5-way 복합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 제 1항에 있어서, 체결부재(20)를, 6방향으로 체결관(21)과 체결아암(22)이 형성된 6-way 복합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 제 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10)를, 일정한 곡률을 갖는 원호형으로 제작하므로 설치물의 모서리나 코너 등에 유해한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 제 1항에 있어서, 다수의 보조공(12)(12')을 갖는 연결부재(10)의 보조공(12)(12')에 미끄럼틀(50)를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 제 1항에 있어서, 다수의 보조공(12)(12')을 갖는 연결부재(10)의 보조공(12)(12')에 별도의 로프(60)를 교차형으로 서로 엮어 로프에 의한 사다리형상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 제 1항에 있어서, 다수의 보조공(12)(12')을 갖는 연결부재(10)의 보조공(12)(12')에 별도의 그네(70)를 걸어 사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 제 1항에 있어서, 플랜지(81)에 나사공(82)이 형성된 암벽돌기(80)를 별도 형성하여, 이를 전기한 연결부재(10)에 결합하여 경사상의 암벽등반용으로 사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 제 1항에 있어서, 결합구(40)에는 별도의 나사산(42)을 형성하여 그 나사산(42)에 의해 결합구(40)가 체결부재(20)의 체결공(23)에 강제 압입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 제 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10)가 삽입되는 관체상의 체결관(91)(91')이 평행되게 일체로 형성된 이중체결부재(90)를 별도로 형성하여, 상기한 연결부재(10)가 평행되게 이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40600U KR200270775Y1 (ko) | 2001-12-28 | 2001-12-28 |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40600U KR200270775Y1 (ko) | 2001-12-28 | 2001-12-28 |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0775Y1 true KR200270775Y1 (ko) | 2002-04-03 |
Family
ID=7307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40600U KR200270775Y1 (ko) | 2001-12-28 | 2001-12-28 |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0775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6916B1 (ko) * | 2008-05-07 | 2011-07-07 | 김길완 | 암벽등반 구조물 |
KR200478199Y1 (ko) * | 2014-06-12 | 2015-09-08 | 최은호 | 자기 체중을 이용한 전신 운동용 접이식 봉 운동 기구 |
KR200492185Y1 (ko) * | 2019-07-29 | 2020-08-25 | 한재우 | 조립식 정글짐 |
-
2001
- 2001-12-28 KR KR2020010040600U patent/KR20027077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6916B1 (ko) * | 2008-05-07 | 2011-07-07 | 김길완 | 암벽등반 구조물 |
KR200478199Y1 (ko) * | 2014-06-12 | 2015-09-08 | 최은호 | 자기 체중을 이용한 전신 운동용 접이식 봉 운동 기구 |
KR200492185Y1 (ko) * | 2019-07-29 | 2020-08-25 | 한재우 | 조립식 정글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45464A (en) | Sustainable assembly blocks | |
US7316598B1 (en) | Toy construction set | |
US6461215B1 (en) | Toy building set comprising a tubular, elongated, flexible toy building element, and such a toy building element | |
US5318470A (en) | Modular construction assembly | |
US6273778B1 (en) | Toy building set | |
US4369965A (en) | Playground climber and slide | |
KR101162570B1 (ko) | 정글짐 연결 구조 | |
US20100285718A1 (en) | Construction toy | |
KR101622886B1 (ko) | 확장 변형 가능한 모듈화된 구조체 놀이기구 | |
US6966813B2 (en) | Modular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toy structures | |
KR200270775Y1 (ko) |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 |
US6146232A (en) | Toy logs having novel shape | |
US4603853A (en) | Modular frame structure and building system | |
US4775349A (en) | Take apart toy structure | |
KR20110019908A (ko) | 정글짐 연결 구조 | |
US7677949B1 (en) | Construction kit for constructing a play structure | |
KR200298737Y1 (ko) |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 |
US4775350A (en) | Take apart toy structure | |
CN201664507U (zh) | 组合式秋千结构 | |
KR200290587Y1 (ko) | 암벽등반연습을 위한 구조물 | |
KR102524792B1 (ko) | 복합 입방형 놀이기구 | |
KR200478621Y1 (ko) | 베이비룸이 부설되는 회전 미끄럼틀 | |
KR100404980B1 (ko) | 트러스 구조물용 관절 연결체 | |
GB2096474A (en) | A trackway construction set | |
KR200247925Y1 (ko) | 조립식 트러스구조를 가진 비닐하우스 뼈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