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746B1 - 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746B1
KR101045746B1 KR1020087026139A KR20087026139A KR101045746B1 KR 101045746 B1 KR101045746 B1 KR 101045746B1 KR 1020087026139 A KR1020087026139 A KR 1020087026139A KR 20087026139 A KR20087026139 A KR 20087026139A KR 101045746 B1 KR101045746 B1 KR 101045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receiving
frequency
reception
ra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6980A (ko
Inventor
도시아끼 시게모리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6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7Endoradiosondes
    • A61B5/073Intestinal transmit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doscop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수신 시스템은,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 메가헤르쯔대로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A1)와, 수신 안테나(A1)에 의해 수신된 수신 신호를 기가헤르쯔의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22)와 이 주파수 변환부(22)에 의해 변환된 주파수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23)를 구비한 본체부와, 케이블(21a)을 구비한 안테나 유닛(2a)과, 수신 안테나(2a)로부터 송신된 기가헤르쯔대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31)와, 수신 안테나(31)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는 수신부(32)와, 화상 정보 등을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33)를 구비한 외부 유닛(2b)을 구비하고,안테나 유닛(2a)과 외부 유닛(2b)을 무선 접속한다.
Figure R1020087026139
안테나 유닛, 수신 시스템, 캡슐형 내시경, 수신 안테나, 외부 유닛

Description

수신 시스템{RECEIVING SYSTEM}
본 발명은, 피검체내 도입 장치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유닛 및 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내시경의 분야에서는,촬상 기능과 무선 통신 기능이 장비된 캡슐형 내시경이 등장하고 있다. 이 캡슐형 내시경에서는, 관찰(검사)을 위해서 피검체인 피험자의 입으로부터 삼켜진 후, 피험자의 생체로부터 자연 배출될 때까지의 관찰 기간, 예를 들면 위, 소장 등의 장기의 내부(체강 내)를 그 연동 운동에 수반하여 이동하고, 촬상 기능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촬상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이 캡슐형 내시경은, 이들 장기 내를 이동하는 이 관찰 기간, 캡슐형 내시경에 의해 체강 내에서 촬상된 화상 정보를, 무선 통신 기능에 의해 순차적으로, 피검체의 외부에 송신하고, 외부의 수신 시스템에 의해 수신됨으로써, 촬상된 화상 정보가 외부의 수신 시스템 내의 메모리에 축적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피험자는, 이 무선 통신 기능과 메모리 기능을 구비한 수신 시스템을 휴대함으로써, 캡슐형 내시경을 삼킨 후, 배출될 때까지의 관찰 기간에도, 부자유스럽게 하는 것 없이 자유롭게 행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의사 혹은 간호사는, 캡슐형 내시경에 의한 관찰 후, 수신 시스템의 메모리에 축적된 체강 내의 화상 정보를 디스 플레이 등의 표시 수단에 표시시킴으로써 진단할 수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31186호 공보(제3 페이지, 도 1)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종래의 캡슐형 내시경 시스템은, 캡슐형 내시경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안테나 유닛과, 이 안테나 유닛이 수신 처리한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신호, 경우에 따라서는 무선 주파수 신호 등을 처리하여 화상 정보를 생성하여, 기억하는 외부 유닛을 구비하고,안테나 유닛과 외부 유닛은, 커넥터 접속 혹은 커넥터를 통해서 케이블 접속되어 있었다. 여기에서, 이 커넥터는, 안테나 유닛과 외부 유닛의 사이의 삽탈에 의해 커넥터 기능의 열화가 다른 부품에 비교하여 일반적으로 내용연수가 짧고, 특히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고주파 커넥터로 되면 내용연수가 더욱 짧아진다. 이 결과, 안테나 유닛과 외부 유닛을 커넥터를 이용하여 접속한 형태의 수신 시스템에서는, 전체적인 내용연수가 이 커넥터에 의해 짧아지게 되어, 수신 시스템 전체의 내용연수를 길게 할 수 없어, 수신 시스템의 장기 수명화를 저해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안테나 유닛과 외부 유닛이 커넥터를 이용하여 접속된 수신 시스템에서는, 수신 안테나를 피검체의 외부 표면의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수신 시스템을 피검체인 환자에 장착할 때, 안테나 유닛과 외부 유닛의 사이를 커넥터 접속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배선 처리 작업이 번잡해짐과 함께, 환자의 신체적 부담이 크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은, 의료 장치이기 때문에,알콜 등에 의해 빈번하게 소독 처리가 행해지지만, 안테나 유닛과 외부 유닛이 커넥터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는 경우, 소독시의 방적(防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커넥터 부분을 캡으로 덮도록 하고 있지만, 이 캡은 조작성이 나쁘며, 더구나 손상되기 쉽고, 소실의 우려도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신 시스템의 장기 수명화, 피검체에의 수신 안테나 장착 시에서의 수신 시스템 배선 처리 작업의 신체적 부담의 경감 및 수신 시스템의 방적성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안테나 유닛 및 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안테나 유닛은, 피검체의 외부 표면에 배치되고, 피검체 내부에 도입된 피검체 도입 장치로부터 제1 주파수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와, 상기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제1 주파수의 수신 신호를 제2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 수단과 상기 제2 주파수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를 구비하고,피검체 외부에 장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수신 안테나와 상기 본체부의 사이를 접속하는 신호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본 발명에 관한 안테나 유닛은, 상기 수신 안테나 및 상기 신호선은 복수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는, 각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는 수신 강도 검출 수단과, 상기 수신 강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선택 제어 수단과,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 중에서 상기 선택 제어 수단에 의해 선택된 수신 안테나로 절환하는 절환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본 발명에 관한 안테나 유닛은, 상기 본체부는, 방적성을 갖는 케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본 발명에 관한 수신 시스템은, 피검체의 외부 표면에 배치되며, 피검체 내부에 도입된 피검체 도입 장치로부터 제1 주파수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안테나와, 상기 제1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제1 주파수의 수신 신호를 제2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 수단과 상기 제2 주파수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를 갖고,피검체 외부에 장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제1 수신 안테나와 상기 본체부의 사이를 접속하는 신호선을 구비한 안테나 유닛과,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제2 주파수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안테나와, 상기 제2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한 무선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피검체 도입 장치로부터 보내진 정보를 얻는 수신 처리 수단을 구비한 외부 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본 발명에 관한 수신 시스템은, 상기 제1 수신 안테나 및 상기 신호선은 복수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는, 각 제1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는 수신 강도 검출 수단과, 상기 수신 강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선택 제어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제1 수신 안테나 중에서 상기 선택 제어 수단에 의 해 선택된 제1 수신 안테나로 절환하는 절환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본 발명에 관한 수신 시스템은,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선택 제어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를 식별하는 선택 안테나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주파수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상기 피검체 도입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삽입, 중첩하는 변환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본 발명에 관한 수신 시스템은, 상기 본체부는, 각 제1 수신 안테나를 각각 식별하는 안테나 식별 정보와, 상기 수신 강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각 제1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의 각 수신 강도를 상기 제2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주파수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상기 피검체 도입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삽입, 중첩하는 변환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안테나 유닛이, 피검체의 외부 표면에 배치되고, 피검체 내부에 도입된 피검체 도입 장치로부터 제1 주파수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며, 신호선을 통해서 입력된 제1 주파수의 수신 신호를 주파수 변환 수단에 의해 제2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상기 제2 주파수 신호를 송신 안테나를 통해 무선 신호로서 송신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안테나 유닛과 외부 유닛 사이의 접속이 무선으로 행해져서, 안테나 유닛과 외부 유닛 사이의 접속에, 일반적으로 내용연수가 짧은 커넥터를 불필요로 하기 때문에, 안테나 유닛 전체 혹은 수신 시스템 전체의 내용연수를 길게 할 수가 있어,그 수명을 길게 할 수 있음과 함께,피검체상에서 안테나 유닛과 외부 유닛 사이를 접속하는 케이블 배선 처리라고 하는 번잡한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어, 피검체인 환자의 신체적 부담을 경감할 수가 있으며,또한,커넥터를 불필요로 하기 때문에, 방적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피검체 내 정보 취득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안테나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안테나 유닛의 조립 처리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안테나 유닛에 대한 소독 작업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피검체 내 정보 취득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삽입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성분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삽입부로부터 출력된 신호 성분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피검체
2, 202: 수신 시스템
2a, 202a: 안테나 유닛
2b, 202b: 외부 유닛
3: 캡슐형 내시경
4: 표시 장치
5: 휴대형 기록 매체
21a: 케이블
22: 주파수 변환부
23: 송신 안테나
24, 37: 전원 공급부
24a: 전지 수용부
24b: 전지
24c: 덮개부
25: 시일 부재
26a, 26b: 케이스
7: 접착제
28: 소독액
31, A1∼An: 수신 안테나
32: 수신부
33, 233: 신호 처리부
34: 제어부
35: 기억부
36: 표시부
241a: 구멍부
241c: 돌출부
221: 선택부
225: 강도 검출부
226: 선택 제어부
227: 변환부
228: 삽입부
<발명을 실시하시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이하, 간단히 '실시 형태'라고 함)인 안테나 유닛 및 수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부분의 두께와 폭과의 관계, 각각의 부분의 두께의 비율 등은 현실과 상이한 것에 유의하길 바라며, 도면의 상호간에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도면의 기재에서,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또한,이하에서는,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수신 시스템을 피검체 내 정보 취득 시스템에 적용한 예를 이용하여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을 행하지만, 안테나 유닛 및 수신 시스템의 적용 분야로서, 피검체 내 정보 취득 시스템에 한정하여 해석할 필요가 없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무선형의 피검체 내 정보 취득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서, 피검체 내 정보 취득 시스템은, 피검체(1)의 체 내에 도입되고, 체강 내 화상을 촬상하여 수신 시스템(2)에 대하여 화상 정보 등을 송신하는 캡슐형 내시경(3)과, 무선 수신 기능을 갖는 수신 시스템(2)을 구비한다. 또한,피검체 내 정보 취득 시스템은, 수신 시스템(2)이 수신한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체강 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4)와, 수신 시스템(2)과 표시 장치(4) 사이의 데이터 수수를 행하기 위한 휴대형 기록 매체(5)를 구비한다.
수신 시스템(2)은, 수신 안테나(A1)를 갖는 안테나 유닛(2a)과, 수신 안테나(A1)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의 처리 등을 행하는 외부 유닛(2b)을 구비한다. 수신 시스템(2)은, 안테나 유닛(2a)과 외부 유닛(2b) 사이를 무선 접속함으로써, 안테나 유닛(2a)이 수신한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외부 유닛(2b) 측에 출력한다. 이 무선 접속에 의해, 안테나 유닛(2a)과 외부 유닛(2b)의 사이는, 커넥터 접속 혹은 커넥터를 이용한 케이블이 접속되는 일이 없다.
표시 장치(4)는, 캡슐형 내시경(3)에 의해 촬상된 체강 내 화상을 표시 및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형 기록 매체(5)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표시 및 화상 처리를 행하는 워크스테이션 등을 갖는다. 표시 장치(4)는, CRT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 직접 화상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되고, 프린터 등과 같이, 다른 매체에 화상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휴대형 기록 매체(5)는, 외부 유닛(2b) 및 표시 장치(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며, 양자에 대한 삽입 장착시에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휴대형 기록 매체(5)는, 캡슐형 내시경(3)이 피검체(1)의 체강 내를 이동하고 있는 동안, 외부 유닛(2b)에 삽입 장착되고,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 송신된 화상 정보 등을 기록한다. 그리고,캡슐형 내시경(3)이 피검체(1)로부터 배출된 후, 즉, 피검체(1)의 내부의 촬상이 끝난 후에는, 외부 유닛(2b)으로부터 취출되고, 표시 장치(4)에 삽입 장착되며, 표시 장치(4)는, 휴대형 기록 매체(5)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낸다. 예를 들면, 외부 유닛(2b)과 표시 장치(4) 사이의 정보의 수수를 컴팩트 플래시(등록 상표) 메모리 등의 휴대형 기록 매체(5)에 의해 행함으로써, 외부 유닛(2b)과 표시 장치(4) 사이가 유선 접속된 경우와 달리,피검체(1)가 체강 내의 촬영 중에 자유롭게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여기서는, 외부 유닛(2b)과 표시 장치(4) 사이의 정보의 수수에 휴대형 기록 매체(5)를 사용하였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외부 유닛(2b)에 내장형의 다른 기록 장치,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4) 사이의 정보의 수수를 위해서, 쌍방을 유선 또는 무선 접속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수신 시스템(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수신 시스템(2)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유닛(2a)은, 수신 안테나(A1)와, 주파수 변환부(22)와, 송신 안테나(23)와, 전원 공급부(24)를 구비한다. 수신 안테나(A1)는,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 제1 주파수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수신 안테나(A1)는, 예를 들면, 루프 안테나에 의해 실현되며, 이 루프 안테나는, 점착 등에 의해 피검체(1)의 체외 표면상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주파수 변환부(22)는, 수신 안테나(A1)를 통해서 수신한 제1 주파수의 무선 신호를, 제1 주파수와 서로 다른 제2 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 메가헤르쯔대의 주파수에서 무선 신호가 송신되고, 수신 안테나(A1)가 이 메가헤르쯔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주파수 변환부(22)는, 수신 안테나(A1)가 수신한 제1 주파수인 메가헤르쯔대의 주파수 신호를 제2 주파수인 기가헤르쯔대의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업컨버트를 행한다. 송신 안테나(23)는, 주파수 변환부(22)에 의해 변환된 제2 주파수의 수신 신호를 송신한다. 전원 공급부(24)는, 안테나 유닛(2a) 내의 각 부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한편,외부 유닛(2b)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안테나(31)와, 수신부(32)와, 신호 처리부(33)와, 제어부(34)와, 기억부(35)와, 표시부(36)와, 전원 공급부(37)를 구비한다. 수신 안테나(31)는, 안테나 유닛(2a)으로부터 송신된 제2 주파수의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송신 안테나(23)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의 주파수가 기가헤르쯔대의 주파수인 경우, 수신 안테나(31)는, 기가헤르쯔대의 주파수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수신부(32)는, 수신 안테나(31)를 통해서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하여 복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등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 신호 처리부(33)는, 수신부(32)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화상 정보 등의 추출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34)는, 외부 유닛(2b)에 대한 전체적인 제 어를 행함과 함께,신호 처리부(33)를 통해서 입력된 화상 정보 등의 정보의 출력 제어를 행한다. 기억부(35)는, 캡슐형 내시경(3)에 의해 촬상된 화상 정보 등을 기억한다. 표시부(36)는, 캡슐형 내시경(3)에 의해 촬상된 화상 정보 등을 표시한다. 또한,전원 공급부(37)는, 전술한 외부 유닛(2b) 각 부에 대한 전력을 공급한다.
이 실시 형태 1에 관한 수신 시스템(2)은, 안테나 유닛(2a)과 외부 유닛(2b) 사이의 접속을 무선으로 행하도록 하고 있으며, 안테나 유닛(2a)과 외부 유닛(2b)을 커넥터 또는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유선 접속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내용연수가 짧은 커넥터를 이용하지 않고, 수신 시스템(2) 전체의 내용연수를 길게 할 수가 있어,수신 시스템(2) 전체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이 실시 형태 1에 관한 수신 시스템(2)에서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안테나 유닛(2a)과 외부 유닛(2b)을 유선 접속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피검체(1) 상에서 안테나 유닛(2a)과 외부 유닛(2b)의 사이를 접속하는 케이블 배선 처리라고 하는 번잡한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어, 피검체인 환자의 신체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이 실시 형태 1에서의 안테나 유닛(2a)은, 전원 공급부(24)를 구성하는 전지의 장착 처리 및 케이스의 조립 등의 조립 처리를 행할 때, 시일 부재나 접착제를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방적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안테나 유닛(2a)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유닛(2a)의 상면으로부터는, 도시 하지 않은 안테나(A1)와 안테나 유닛(2a) 본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신호선인 케이블(21a)이 신장되어 있다. 또한,안테나 유닛(2a)은, 예를 들면, 측면에, 전원 공급부(24)를 구성하는 전지(24b)를 수용하는 전지 수용부(24a)가 설치되어 있다. 전지 수용부(24a)는, 전지(24b)가 장착된 후, 덮개부(24c)를 이용하여 막아진다. 덮개부(24c)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돌출부(241c)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지 수용부(24a)는, 이 돌출부(241c)와 끼워 맞추는 구멍부(241a)를 구비한다. 또한,덮개부(24c)와 전지 수용부(24a)의 사이에는, 전지 수용부(24a)의 개구 형상에 대응하는 크기의 무단(無端) 형상을 갖고, 또한, 탄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형성된 시일 부재(25)를 구비한다.
안테나 유닛(2a)은, 전지 수용부(24a)에 전지(24b)를 장착한 후, 전지 수용부(24a)와 덮개부(24c)의 사이에, 시일 부재(25)를 배치한 상태에서, 덮개부(24c)의 돌출부(241c)를 전지 수용부(24a)의 구멍부(241a)에 끼워 넣고, 덮개부(24c)로 전지 수용부(24a)를 막는다. 덮개부(24c)와 전지 수용부(24a)의 사이에 배치된 시일 부재(25)는, 덮개부(24c) 및 전지 수용부(24a)의 주연이 당접함으로써, 덮개부(24c)와 전지 수용부(24a)의 공극부를 막아, 전지 수용부(24a)를 통하는 안테나 유닛(2a) 내에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유닛(2a)이 2개의 케이스(26a, 26b)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는, 수지 재료 등으로 형성된 접착제(27)를 이용하여 방적성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유닛(2a)은, 케이스(26a) 또는 케이스(26b) 중 적어도 한 쪽의 접합부에 수지 재료 등으로 형성된 접착 제(27)를 도포 후, 케이스(26a)와 케이스(26b)의 각각에, 도 4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의 외력을 부가하여 케이스(26a)와 케이스(26b)를 접합하여 조립된다. 접착제(27)는, 케이스(26a, 26b) 사이의 공극부를 막아, 케이스(26a, 26b)의 공극부를 통하는 안테나 유닛(2a) 내에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 형태 1에서의 안테나 유닛(2a)은, 외부 접속을 위한 커넥터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시일 부재나 접착제를 공극부에 배치하여 조립할 수 있어, 높은 방적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결과, 이 실시 형태 1에 관한 안테나 유닛(2a)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독액(28) 내에 안테나 유닛(2a)을 그대로 침지하여 안테나 유닛(2a)의 소독 작업을 행한 경우에도, 안테나 유닛(2a) 내부에 소독액이 침입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소독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 1에서는, 1개의 수신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이 실시 형태 2에서는, 복수의 수신 안테나를 구비하고,이들 수신 안테나를 절환함으로써 캡슐형 내시경(3)이 촬상한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 2에 관한 수신 시스템(202)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에서의 안테나 유닛(2a) 대신에, 복수의 수신 안테나(A1∼An)를 갖는 안테나 유닛(202a)과, 실시 형태 1에서의 외부 유닛(2b) 대신에, 안테나 유닛(202a)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외부 유닛(202b)을 구비한다. 또한,각 수신 안 테나(A1∼An)는, 피검체(1)가 착용하는 재킷 등의 의류의 표면에 첨부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수신 시스템(20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수신 시스템(202)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 유닛(202a)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안테나 유닛(2a)과 비교하고, 수신 안테나(A1∼An), 선택부(221), 강도 검출부(225), 선택 제어부(226), 변환부(227), 삽입부(228)를 더 구비한 구성을 갖는다.
선택부(221)는, 각 수신 안테나(A1∼An)가 수신한 무선 신호를 강도 검출부(225)에 출력한 후, 선택 제어부(226)의 제어 하에, 수신 안테나(A1∼An) 중에서 무선 신호의 수신에 알맞는 안테나 A를 선택하고, 이 선택한 수신 안테나 A를 통해서 수신된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주파수 변환부(22)에 출력한다. 주파수 변환부(22)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선택부(221)로부터 출력된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제1 주파수로부터, 제1 주파수와 서로 다른 제2 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강도 검출부(225)는, 각 안테나(A1∼An)에서 수신한 무선 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고, 이들 강도에 대응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한다. 선택 제어부(226)는, 강도 검출부(225)로부터 출력된, 수신 강도에 대응한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하는 수신 안테나(A)를 결정하고, 선택부(221)에 대하여 지시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선택 제어부(226)는, 선택한 수신 안테나(A1∼An)를 나타내는 번호 정보 및 각 수신 안테나(A1∼An)의 수신 강도를 나타내는 강도 정보를 출력한다. 변환부(227)는, 선택 제어부(226)로부터 출력된 번호 정보 및 강도 정보를, 제2 주파수인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삽입부(228)는, 주파수 변환부(22)로부터 출력된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의 수신 신호에, 변환부(227)로부터 출력된 번호 정보 및 강도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삽입, 중첩하여, 출력한다. 또한,주파수 변환부(22) 및 변환부(227)로부터 삽입부(228)에 입력되는 신호는, 어느 것이나 제2 주파수로 변환되어 있다. 그리고,송신 안테나(23)는, 삽입부로부터 출력된,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의 신호와, 선택 제어부(226)로부터 출력된 번호 정보, 강도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2 주파수에서 송신 안테나(23)로부터 송신한다.
한편,외부 유닛(202b)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신호 처리부(33) 대신에, 신호 처리부(233)를 설치하고 있다. 신호 처리부(233)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수신 안테나(31)를 통해서 수신하여 수신부(3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 송신된 화상 정보 등을 추출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233)는, 선택 제어부(226)로부터 출력된 번호 정보, 강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번호 정보 및 강도 정보에 기초하여, 캡슐형 내시경(3)의 피검체(1) 내에서의 위치를 검출하고, 이 검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출력한다. 제어부(34)는, 신호 처리부(233)로부터 출력된 화상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기억부(35), 표시부(36)에 출력한다.
이 실시 형태 2에서의 안테나 유닛(202a)은, 무선 신호의 수신 안테나로서 선택된 수신 안테나(A1∼An)를 나타내는 번호 정보 및 각 수신 안테나(A1∼An)의 수신 강도를 나타내는 강도 정보를, 제2 주파수인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삽입, 중첩하여, 외부 유닛(202b) 측에 무선으로 송신하고 있다.
이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수신 시스템(202)에서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안테나 유닛(202a)과 외부 유닛(202b) 사이의 접속을 무선으로 행하도록 하고 있으며, 안테나 유닛(202a)과 외부 유닛(202b)을 커넥터 또는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유선 접속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내용연수가 짧은 커넥터를 이용하지 않고, 수신 시스템(202) 전체의 내용연수를 길게 할 수가 있어,수신 시스템(2) 전체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또한,이 실시 형태 2에 관한 수신 시스템(202)에서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케이블을 이용하여 안테나 유닛(202a)과 외부 유닛(202b)을 유선 접속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피검체(1) 상에서 안테나 유닛(202a)과 외부 유닛(202b)의 사이를 접속하는 케이블 배선 처리 등의 번잡한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어, 피검체인 환자의 신체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이 실시 형태 2에서의 안테나 유닛(202a)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전원 공급부(24)를 구성하는 전지의 장착 처리 및 케이스의 조립 등의 조립 처리를 행할 때, 시일 부재나 접착제를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방적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안테나 유닛(202a)의 삽입부(228)는, 선택 제어부(226)로부터 출력된 번호 정보, 강도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의 송신된 무선 신호에 중첩하여 출력하여도 되며, 또한,삽입하여 출력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가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228)는, 1매의 화상에 대응한 1프레임 기간 Tf 중,화상 정보가 포함되는 화상 정보 기간 Tb의 앞에 설정되며 소정의 동기 신호 성분이 포함되는 아이들링 기간 Ta에, 번호 정보 Dn 및 강도 정보 Dp에 대응하는 신호를 중첩하여도 된다. 또한,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228)는, 1프레임 기간 Tf 중, 아이들링 기간 Ta2 후인 화상 정보 기간 Tb2의 후에, 번호 정보 Dn 및 강도 정보 Dp에 대응하는 신호를 삽입한 삽입 기간 Tc를 설정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삽입부(228)는, 캡슐형 내시경(3)의 위치 정보를 구할 수 있도록, 1프레임 기간 중 어느 것으로도 외부 유닛(202b)의 신호 처리부(233)가 추출 가능한 위치에, 번호 정보 및 강도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중첩, 삽입하면 된다.
또한,안테나 유닛(2a, 202a)은,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의 주파수의 정수배의 주파수나,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의 주파수로부터 떨어진 주파수로서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의 주파수와의 혼동을 일으키지 않는 주파수로 변환하여 송신하면 된다. 이 경우, 외부 유닛(2b, 202b)은, 수신 안테나(31)에서, 안테나 유닛(2a, 202a)의 송신 안테나(23)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이 경우에도, 안테나 유닛(2a, 202a)과 외부 유닛(2b, 202b)의 사이가 무선 접속되기 때문에, 수신 시스템(2, 202)은, 기가헤르쯔대의 주파수에서 송신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이 경우, 수신 시스템(2, 202)의 주위에 기가헤르쯔대의 주파수의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가 배치되어 있던 경우에도, 안테나 유닛(2a, 202a)으로부터 외부 유닛(2b, 202b)에 송신된 무선 신호와, 이들 장치로부터 출력된 기가헤르쯔대 의 주파수의 전파가 간섭하는 것 없이, 안테나 유닛(2a, 202a)은,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정확하게 외부 유닛(2b, 202b)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안테나 유닛(2a, 202a)은, 캡슐형 내시경(3)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암호화한 후, 송신 안테나(23)로부터 암호화한 무선 신호를 송신하여도 된다. 여기에서, 외부 유닛(2b, 202b)은, 수신 안테나(31)를 통해서 수신한 신호를 복호화하여 화상 정보 등을 취득한다. 이 경우, 안테나 유닛(2a, 202a)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한 대역의 주파수를 수신하는 장치가 수신 시스템(2, 202)의 주위에 배치된 경우에도, 이들 장치에 의해, 안테나 유닛(2a, 202a)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가 처리되지 않고, 수신 시스템(2, 202) 및 주변 장치에서의 처리 정보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전술한 안테나 유닛(2a, 202a)은, 각각 전원 공급부(24)를 구비하도록 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외부 유닛(2b, 202b)측으로부터 무선 급전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유닛 및 수신 시스템은, 피검체 내 도입 장치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유닛 및 수신 시스템에 유용하며, 특히, 피검체인 환자의 신체적 부담을 경감하고자 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피검체의 외부 표면에 배치되며, 피검체 내부에 도입된 피검체 도입 장치로부터 제1 주파수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안테나와,
    상기 제1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제1 주파수의 수신 신호를 제2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 수단과 상기 제2 주파수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를 갖고, 피검체 외부에 장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제1 수신 안테나와 상기 본체부의 사이를 접속하는 신호선
    을 구비한 안테나 유닛과,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제2 주파수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안테나와,
    상기 제2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한 무선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피검체 도입 장치로부터 보내진 정보를 얻는 수신 처리 수단
    을 구비한 외부 유닛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신 안테나 및 상기 신호선은 복수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는,
    각 제1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는 수신 강도 검출 수단과,
    상기 수신 강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선택 제어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제1 수신 안테나 중에서 상기 선택 제어 수단에 의해 선택된 제1 수신 안테나로 절환하는 절환 수단과,
    상기 선택 제어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수신 안테나를 식별하는 선택 안테나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주파수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상기 피검체 도입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삽입, 중첩하는 변환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시스템.
  7. 피검체의 외부 표면에 배치되며, 피검체 내부에 도입된 피검체 도입 장치로부터 제1 주파수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안테나와,
    상기 제1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제1 주파수의 수신 신호를 제2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 수단과 상기 제2 주파수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를 갖고, 피검체 외부에 장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제1 수신 안테나와 상기 본체부의 사이를 접속하는 신호선
    을 구비한 안테나 유닛과,
    상기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제2 주파수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안테나와,
    상기 제2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한 무선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피검체 도입 장치로부터 보내진 정보를 얻는 수신 처리 수단
    을 구비한 외부 유닛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신 안테나 및 상기 신호선은 복수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는,
    각 제1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는 수신 강도 검출 수단과,
    상기 수신 강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선택 제어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제1 수신 안테나 중에서 상기 선택 제어 수단에 의해 선택된 제1 수신 안테나로 절환하는 절환 수단과,
    각 제1 수신 안테나를 각각 식별하는 안테나 식별 정보와, 상기 수신 강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각 제1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의 각 수신 강도를 상기 제2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주파수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상기 피검체 도입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삽입, 중첩하는 변환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시스템.
KR1020087026139A 2006-04-26 2007-04-25 수신 시스템 KR101045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22683 2006-04-26
JP2006122683A JP2007289528A (ja) 2006-04-26 2006-04-26 アンテナユニットおよび受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980A KR20080106980A (ko) 2008-12-09
KR101045746B1 true KR101045746B1 (ko) 2011-06-30

Family

ID=3865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139A KR101045746B1 (ko) 2006-04-26 2007-04-25 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054731A1 (ko)
EP (1) EP2011430B1 (ko)
JP (1) JP2007289528A (ko)
KR (1) KR101045746B1 (ko)
CN (1) CN101431933B (ko)
AU (1) AU2007244368B2 (ko)
WO (1) WO20071259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4560A1 (ja) * 2009-08-28 2011-03-03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受信システム
WO2012046605A1 (ja) * 2010-10-08 2012-04-12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
EP2647329A4 (en) * 2010-11-29 2016-01-13 Olympus Corp RECEPTION DEVICE AND CAPSULE TYPE ENDOSCOPE SYSTEM
WO2012165426A1 (ja) * 2011-05-30 2012-12-06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アンテナおよびアンテナホルダー
WO2015054837A1 (en) * 2013-10-16 2015-04-23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Signal sequence estimation
US11607120B2 (en) * 2018-04-09 2023-03-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apsule endoscopic receiving device, capsule endoscope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of capsule endoscopic receiving device
JP7154803B2 (ja) * 2018-04-12 2022-10-18 オムロン株式会社 生体情報測定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0144862A1 (ja) * 2019-01-11 2020-07-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プセル型内視鏡システム及び受信装置
WO2020202531A1 (ja) * 2019-04-04 2020-10-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受信システム
KR102387675B1 (ko) * 2020-11-16 2022-04-1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광원 구동용 전원 라인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캡슐형 내시경 및 캡슐형 내시경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5244A (ja) 2004-09-07 2006-03-23 Olympus Corp 受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810949D1 (de) * 1997-10-15 2004-04-15 Nokia Corp Mobiles Telefon für Internet-Anwendungen
JP4080662B2 (ja) 2000-02-15 2008-04-23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電力送信システム
EP1329189B1 (en) * 2002-01-18 2009-11-04 Olympus Corporation Endoscopic capsule
US20040146013A1 (en) * 2003-01-22 2004-07-29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ime division duplex relay system with high speed automatic up-link and down-link detection
JP2005205077A (ja) * 2004-01-26 2005-08-04 Olympus Corp カプセル型内視鏡
CA2564122A1 (en) * 2004-04-28 2005-11-10 Transoma Medical,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7616092B2 (en) * 2004-05-11 2009-11-10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Wireless transponder for a security system
JP4526315B2 (ja) * 2004-07-07 2010-08-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被検体内導入装置および被検体内情報取得システム
US7454167B2 (en) * 2004-07-14 2008-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cho cancellation in a wireless repeater using cross-polarized antenna elements
DE602005027857D1 (de) * 2004-09-07 2011-06-16 Olympus Corp Empfangsvorrichtung mit antenneneinheit
JP4523376B2 (ja) * 2004-10-01 2010-08-1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5244A (ja) 2004-09-07 2006-03-23 Olympus Corp 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244368A1 (en) 2007-11-08
JP2007289528A (ja) 2007-11-08
EP2011430B1 (en) 2011-11-09
AU2007244368B2 (en) 2010-07-01
WO2007125962A1 (ja) 2007-11-08
US20090054731A1 (en) 2009-02-26
CN101431933A (zh) 2009-05-13
EP2011430A4 (en) 2009-08-26
KR20080106980A (ko) 2008-12-09
CN101431933B (zh) 2010-12-22
EP2011430A1 (en) 200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746B1 (ko) 수신 시스템
JP4477524B2 (ja) 検出装置および検出装置の製造方法
AU2006300438B2 (en) Examinee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US8348832B2 (en) Intra-subject information acquiring system
US7962098B2 (en) Antenna unit and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847075B2 (ja) 受信装置
EP1920704A1 (en) Receiver apparatus
EP1967124B1 (en) In vivo image display apparatus and receiving system
WO2005102143A1 (ja) 受信装置
US7492320B2 (en) Antenna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tenna unit
EP1795114A1 (en)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 system
JP4624815B2 (ja) 受信装置
JP4663279B2 (ja) 受信装置、医療装置および識別情報生成登録方法
JP2009279180A (ja) アンテナユニット
JP2005277740A (ja) 受信装置
JP2006075244A (ja) 受信装置
WO2020246006A1 (ja) アンテナ装置及びアンテナシステム
WO2012073761A1 (ja) 送受信装置、アンテナユニットおよび被検体内導入システム
JP2005296044A (ja) 受信装置
JP2006000146A (ja) 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