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635B1 - 전극판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전극판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635B1
KR101044635B1 KR1020100119454A KR20100119454A KR101044635B1 KR 101044635 B1 KR101044635 B1 KR 101044635B1 KR 1020100119454 A KR1020100119454 A KR 1020100119454A KR 20100119454 A KR20100119454 A KR 20100119454A KR 101044635 B1 KR101044635 B1 KR 101044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block
electrode plate
adsorption
block
centr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지준
이은후
Original Assignee
프로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프로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9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8B1/002
    • B08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electrostatic or magnetic gripp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세척장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한 제1 회전블럭; 전극판이 흡착 및 흡착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회전블럭의 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의 상기 제1 회전블럭 외측면에 장착되는 셋 이상의 제1 흡착대; 상기 제1 회전블럭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하며, 상기 제1 회전블럭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송 가능한 제2 회전블럭; 전극판이 흡착 및 흡착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2 회전블럭의 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의 상기 제2 회전블럭 외측면에 장착되는 셋 이상의 제2 흡착대; 상기 제1 흡착대에 흡착된 전극판의 외측면을 세척하는 제1 세척수단; 상기 제2 흡착대에 흡착된 전극판의 외측면을 세척하는 제2 세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세척장치는, 전극판의 손상 우려 없이 전극판을 자동으로 뒤집어가면서 전극판의 양면을 모두 세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극판 세척장치 {Apparatus for cleaning electrode plate}
본 발명은 전극판을 세척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자동 방식으로 전극판의 앞면과 뒷면을 세척할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극판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 가능성으로 인하여 근래에 많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근래에 개발되고 사용되는 것 가운데 대표적으로는 니켈수소(Ni-MH)전지와 리튬(Li)전지 및 리튬이온(Li-ion)전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리튬이온전지 및 리튬 폴리머 전지와 같은 이차 전지는 캔 내부에 전해액과 함께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전극 조립체는 쌍을 이루는 두 개의 전극판(양극판과 음극판) 및 상기 전극판 사이에 삽입되는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이차전지의 출력이 극대화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극판의 표면에 활물질이 균일한 두께로 도포 및 건조되어야 하는데, 활물질 도포 이전에 전극판의 표면을 세척하고, 전극판의 표면 평탄도를 검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때 종래에는, 전극판을 컨베이어 상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측을 향하는 전극판의 일면을 세척하는 과정과, 세척된 일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전극판을 뒤집는 과정과, 상측을 향하는 전극판의 타면을 세척하는 과정을 통하여 전극판의 양면을 세척하는 방법을 주로 활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전극판을 뒤집는 과정이 주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전극판을 자동으로 뒤집을 수도 있으나, 전극판을 뒤집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는 경우 전극판 세척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클램프 등을 이용하여 전극판을 뒤집는 경우 전극판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극판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와 전극판을 뒤집기 위한 장치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는 경우, 전극판 세척장치의 전체 크기가 현저히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전극판의 손상 우려 없이 전극판을 자동으로 뒤집어가면서 전극판의 양면을 모두 세척할 수 있고, 전극판을 이송하기 위한 구성과 전극판을 뒤집는 구성이 일체로 제작되어 구성이 간단하며 제품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는 전극판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세척장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한 제1 회전블럭; 전극판이 흡착 및 흡착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회전블럭의 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의 상기 제1 회전블럭 외측면에 장착되는 셋 이상의 제1 흡착대; 상기 제1 회전블럭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하며, 상기 제1 회전블럭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송 가능한 제2 회전블럭; 전극판이 흡착 및 흡착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2 회전블럭의 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의 상기 제2 회전블럭 외측면에 장착되는 셋 이상의 제2 흡착대; 상기 제1 흡착대에 흡착된 전극판의 외측면을 세척하는 제1 세척수단; 상기 제2 흡착대에 흡착된 전극판의 외측면을 세척하는 제2 세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회전블럭은, 상기 제1 흡착대에 안착된 전극판에 상기 제2 흡착대가 접촉되도록 일측으로 이송 가능하며, 상기 제1 회전블록과 제2 회전블록이 자전될 때 상기 제1 흡착대와 제2 흡착대가 상호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타측으로 이송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회전블럭과 제2 회전블럭은 중심축이 수평방향으로 병렬 배열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흡착대는 상기 제1 회전블럭의 상하좌우 외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2 흡착대는 상기 제2 회전블럭의 상하좌우 외측면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 회전블럭과 제2 회전블럭은 90도 주기로 회전되며, 상기 제1 세척수단과 제2 세척수단은, 제1 회전블럭의 하측 외주면에 위치되는 제1 흡착대에 흡착된 전극판과, 제2 회전블럭의 하측 외주면에 위치되는 제2 흡착대에 흡착된 전극판을 각각 세척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제1 세척수단과 제2 세척수단은, 상기 제1 회전블럭과 제2 회전블럭의 하측에 각각 위치되며, 제1 회전블럭과 제2 회전블럭의 배열방향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고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흡착대와 제2 흡착대는 상기 제1 회전블럭의 중심축과 제2 회전블럭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제1 회전블럭과 제2 회전블럭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1 흡착대와 제2 흡착대가 상기 제1 회전블럭의 중심축과 제2 회전블럭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흡착대와 제2 흡착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수단이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제1 흡착대와 제2 흡착대의 내부에는 전극판이 안착되는 면에 입구가 위치되는 흡착유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블럭과 제2 회전블럭은 중심축을 따라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해당 회전블럭에 구비된 흡착대 개수만큼의 외주홈이 형성되는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에 형성된 복수개의 외주홈은 해당 회전블럭에 구비된 흡착대의 흡착유로와 각각 1:1로 연통되고, 상기 각 외주홈으로 진공압을 인가 및 해제하는 진공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진공수단은, 외주홈이 형성된 지점의 상기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 외주면을 각각 둘러싸는 진공블럭과, 각각의 외주홈과 개별적으로 연통되도록 상기 진공블록에 장착되어 상기 외주홈에 독립적으로 진공압을 인가 및 해제하는 복수 개의 진공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는 상기 진공블럭이 고정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진공블럭과 끼워맞춤 방식으로 체결된다.
상기 제1 회전블럭 및 제2 회전블럭과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제1 회전블럭과 제2 회전블럭의 배열방향으로 연이어 배열되며, 배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3 회전블럭 및 제4 회전블럭; 전극판이 흡착 및 흡착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3 회전블럭의 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의 상기 제3 회전블럭 외측면에 장착되는 셋 이상의 제3 흡착대; 전극판이 흡착 및 흡착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4 회전블럭의 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의 상기 제4 회전블럭 외측면에 장착되는 셋 이상의 제4 흡착대; 상기 제3 흡착대와 제4 흡착대에 흡착된 전극판의 표면을 검사하는 제1 검사부 및 제2 검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3 회전블럭은, 상기 제2 흡착대에 안착된 전극판에 상기 제3 흡착대가 접촉되도록 일측으로 이송 가능하며, 상기 제2 회전블록과 제3 회전블록이 자전될 때 상기 제2 흡착대와 제3 흡착대가 상호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타측으로 이송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제4 회전블럭은, 상기 제3 흡착대에 안착된 전극판에 상기 제4 흡착대가 접촉되도록 일측으로 이송 가능하며, 상기 제3 회전블록과 제4 회전블록이 자전될 때 상기 제3 흡착대와 제4 흡착대가 상호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타측으로 이송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제3 회전블럭과 제4 회전블럭은 중심축이 수평방향으로 병렬 배열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3 흡착대는 상기 제3 회전블럭의 상하좌우 외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4 흡착대는 상기 제4 회전블럭의 상하좌우 외측면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3 회전블럭과 제4 회전블럭은 90도 주기로 회전되며, 상기 제1 검사부와 제2 검사부은, 제3 회전블럭의 상측 외주면에 위치되는 제3 흡착대에 흡착된 전극판과, 제4 회전블럭의 하측 외주면에 위치되는 제4 흡착대에 흡착된 전극판을 각각 검사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제3 흡착대와 제4 흡착대는 상기 제3 회전블럭의 중심축과 제4 회전블럭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제3 회전블럭과 제4 회전블럭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3 흡착대와 제4 흡착대가 상기 제3 회전블럭의 중심축과 제4 회전블럭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3 흡착대와 제4 흡착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수단이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제3 흡착대와 제4 흡착대의 내부에는 전극판이 안착되는 면에 입구가 위치되는 흡착유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3 회전블럭과 제4 회전블럭은 중심축을 따라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해당 회전블럭에 구비된 흡착대 개수만큼의 외주홈이 형성되는 제3 샤프트와 제4 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3 샤프트와 제4 샤프트에 형성된 복수개의 외주홈은 해당 회전블럭에 구비된 흡착대의 흡착유로와 각각 1:1로 연통되고, 상기 각 외주홈으로 진공압을 인가 및 해제하는 진공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진공수단은, 외주홈이 형성된 지점의 상기 제3 샤프트와 제4 샤프트 외주면을 각각 둘러싸는 진공블럭과, 각각의 외주홈과 개별적으로 연통되도록 상기 진공블록에 장착되어 상기 외주홈에 독립적으로 진공압을 인가 및 해제하는 복수 개의 진공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세척장치는, 전극판의 손상 우려 없이 전극판을 자동으로 뒤집어가면서 전극판의 양면을 모두 세척할 수 있고, 전극판을 이송하기 위한 구성과 전극판을 뒤집는 구성이 일체로 제작되므로 제품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세척된 전극판을 자동으로 뒤집어가면서 전극판의 양면을 모두 검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세척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세척장치에 포함되는 제1 회전블럭과 제1 흡착대와 진공수단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세척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세척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세척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세척장치에 포함되는 제1 회전블럭과 제1 흡착대와 진공수단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세척장치는 전극판(10)을 뒤집는 작업과 전극판(10)을 이송하는 작업을 한 번의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고, 전극판(10)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전극판(10)을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작동이 가능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세척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을 따라 돌출 형성된 제1 샤프트(112)를 중심으로 자전 가능한 제1 회전블럭(110)과, 전극판(10)이 흡착 및 흡착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제1 회전블럭(110)의 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상하좌우 방향)의 상기 제1 회전블럭(110) 외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4개의 제1 흡착대(111)와, 제1 회전블럭(110)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하며 제1 회전블럭(110)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송 가능한 제2 회전블럭(120)과, 전극판(10)이 흡착 및 흡착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제2 회전블럭(120)의 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상하좌우 방향)의 상기 제2 회전블럭(120) 외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4개의 제2 흡착대(121)와, 제1 흡착대(111)에 흡착된 전극판(10)의 외측면을 세척하는 제1 세척수단(210)과, 상기 제2 흡착대(121)에 흡착된 전극판(10)의 외측면을 세척하는 제2 세척수단(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판 세척장치를 이용하면, 제1 흡착대(111)에 전극판(10)을 흡착시킨 후 상기 전극판(10)이 제1 세척장치를 향하도록 제1 회전블럭(110)을 자전시킴으로써 전극판(10)의 일면 즉, 제1 흡착대(111)와 접촉된 반대면을 세척할 수 있고, 제1 흡착대(111)에 흡착된 전극판(10)을 제2 흡착대(121)에 흡착시킨 후 상기 전극판(10)이 제2 세척장치를 향하도록 제2 회전블럭(120)을 자전시킴으로써 전극판(10)의 타면 즉, 제2 흡착대(121)와 접촉된 반대면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판 세척장치는, 전극판(10)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와 전극판(10)을 뒤집는 장치를 각각 구비하지 아니하고 한 쌍의 회전블록만으로 전극판(10)을 이송시키면서 뒤집을 수 있으므로 구성이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전극판(10)의 양면을 제1 세척수단(210) 및 제2 세척수단(220) 측으로 빠르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전극판(10)을 세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단축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극판(10)이 하측을 향하도록 제1 회전블럭(110)이 회전되었을 때 전극판(10)이 제1 흡착대(111)로부터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극판(10)이 제1 흡착대(111)에 고정되어야 하는데, 클램프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전극판(10)을 제1 흡착대(111)에 고정시키게 되면 고정수단이 전극판(10)을 클램핑하는 과정에서 전극판(10)의 손상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클램핑된 부분은 세척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세척장치는 클램프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전극판(10)을 제1 흡착대(11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진공압을 이용한 흡착 방식으로 상기 전극판(10)을 제1 흡착대(111)에 고정시키는 구조로 구성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즉, 제1 흡착대(111)의 내부에는 전극판(10)이 안착되는 면에 입구가 위치되는 흡착유로(111a)가 형성되어, 상기 흡착유로(111a)에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경우 전극판(10)이 제1 흡착대(111)에 고정되고, 상기 흡착유로(111a)에 발생되었던 진공압을 해제시키는 경우 전극판(10)이 제1 흡착대(1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흡착유로(111a)에 진공압을 인가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제1 회전블럭(110)은 중심축을 따라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의 제1 샤프트(112)를 구비하고, 제1 샤프트(112)의 외저면에는 제1 회전블럭(110)에 구비된 흡착대 개수만큼의 외주홈(115)이 형성되며, 각 외주홈(115)은 제1 샤프트(112) 및 제1 회전블록 내에 형성된 내부유로(116)를 통해 각 흡착대의 흡착유로(111a)와 1:1로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각 외주홈(115)으로 진공압을 인가 및 해제하는 진공수단(50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흡착대(111)와 제1 회전블럭(110)이 형성되면, 진공수단(500)에 의해 외주홈(115)에 진공압이 인가되면, 외주홈(115)과 연통된 흡착유로(111a)에도 진공압이 형성되는바, 흡착유로(111a)의 입구를 덮도록 안착되는 전극판(10)은 제1 흡착대(111)에 흡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전극판(10)이 하측을 향하도록 제1 회전블럭(110)이 회전되더라도 전극판(10)은 제1 흡착대(111)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게 되고, 전극판(10)의 일면(제1 흡착대(111)와 접촉된 반대측면)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가려지지 아니하므로 전극판(10)의 일면을 보다 확실하게 세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외주홈(115)에 진공압을 인가 및 해제하기 위한 진공수단(500)은 외주홈(115)이 형성된 제1 샤프트(112)에 결합되어야 하는데, 제1 샤프트(112)가 회전될 때 상기 진공수단(500)이 함께 회전되면 진공압 공급을 위한 파이프 또는 호스가 꼬이는 등 진공수단(500)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공수단(500)은, 외주홈(115)이 형성된 지점의 상기 제1 샤프트(112)와 제2 샤프트(122) 외주면을 각각 둘러싸는 진공블럭(510)과, 각각의 외주홈(115)과 개별적으로 연통되도록 상기 진공블록에 장착되어 상기 외주홈(115)에 독립적으로 진공압을 인가 및 해제하는 복수 개의 진공노즐(5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1 샤프트(112)가 회전되더라도 진공블럭(510)이 함께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샤프트(112)와 제2 샤프트(122)는 상기 진공블럭(510)이 고정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진공블럭(510)과 끼워맞춤 방식으로 체결된다.
진공수단(500)이 상기 언급한 구조로 구성되면 제1 샤프트(112)가 회전되더라도 진공블럭(51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진공수단(5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진공블럭(510)은 고정되고 제1 샤프트(112)만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진공블럭(510)과 제1 샤프트(112)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지 아니하도록, 진공블럭(510)과 제1 샤프트(112)가 상호 접촉되는 면에는 제1 샤프트(11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오링 등과 같은 실링부재가 추가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회전블럭(120) 및 제2 흡착대(121)의 구조는 상기 설명한 제1 회전블럭(110) 및 제1 흡착대(111)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제2 회전블럭(120) 및 제2 흡착대(121)의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세척장치는 전극판(10)을 세척한 이후 전극판(10) 표면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전블럭(110)과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제1 회전블럭(110)과 제2 회전블럭(120)의 배열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연이어 배열되며 배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3 회전블럭(130) 및 제4 회전블럭(140)과, 상기 제3 회전블럭(130) 및 제4 회전블럭(140)에 각각 구비되는 제3 흡착대(131) 및 제4 흡착대(141)와, 상기 제3 흡착대(131)와 제4 흡착대(141)에 흡착된 전극판(10)의 표면을 검사하는 제1 검사부(410) 및 제2 검사부(42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블럭(110)과 제2 회전블럭(120)과 제3 회전블럭(130)과 제4 회전블럭(140)은, 일방향으로의 왕복이 반복적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나의 이송레일(미도시) 상에 안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다수 개의 기계부품을 하나의 이송레일 상에 안착시킨 후 이송레일을 따라 왕복시키는 이송장치는 제조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3 회전블럭(130)에 구비된 제3 샤프트(132)와 제4 회전브럭(140)에 구비된 제4 샤프트(142)는 상기 설명한 제1 샤프트(11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제3 흡착대(131) 및 제4 흡착대(141)는 상기 설명한 제1 흡착대(111)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고, 전극판(10) 표면을 검사하기 위한 제1 검사부(410) 및 제2 검사부(420)는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3 회전블럭(130), 제4 회전블럭(140), 제3 흡착대(131), 제4 흡착대(141), 제1 검사부(410), 제2 검사부(420)가 추가로 구비되면, 전극판(10)을 세척한 이후 전극판(10)의 표면을 검사하는 공정까지 자동으로 한 번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전극판(10)을 뒤집어가면서 전극판(10)의 양측 표면을 검사하는 과정은 이하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세척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전극판(10)을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는 제1 흡착대(111)로 전극판(10)을 공급한다. 전극판(10)이 공급되면 제1 흡착대(111)에 형성된 흡착유로(111a)에 진공압이 형성되어 전극판(10)은 제1 흡착대(111)에 흡착되고, 제1 회전블럭(110)은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되어 상기 전극판(10)이 하측에 마련된 제1 세척수단(210)을 향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흡착대에 모두 전극판(1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전블럭(110)은 90도 주기로 회전되는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에 안착된 전극판(10)이 하측을 향하도록 180도 회전되면 우측에 위치되는 제1 흡착대(111)에도 전극판(10)이 흡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처음으로 공급된 전극판(10)(이하 '첫 번째 전극판(10)'이라 약칭함)이 제1 세척수단(210)을 향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판(10)의 일면 즉, 제1 흡착대(111)와 접촉된 반대면이 제1 브러쉬(211)가 구비된 제1 세척수단(210)에 의해 세척된다. 하측에 위치하는 전극판(10)이 세척되는 동안, 상측에 위치하는 제1 흡착대(111)에는 새로운 전극판(10)이 안착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세척수단(210)과 제2 세척수단(220)이 제1 브러쉬(211) 및 제2 브러쉬(221)를 이용하여 전극판(10)을 세척하도록 구성되는 구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 세척수단(210)과 제2 세척수단(220)은 고압의 공기를 전극판(10)으로 불어냄으로써 전극판(10)을 세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세척수를 전극판(10)으로 분사함으로써 전극판(10)을 세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세척수단(210)이 항상 도 4에 도시된 지점에 위치되면 제1 회전블럭(110)이 회전될 때 제1 흡착대(111)가 제1 세척수단(210)에 간섭되므로, 상기 제1 세척수단(210)은 제1 회전블럭(110)이 회전될 때에는 하강되고 전극판(10)을 세척할 때에는 상승되도록 제1 승강실린더(310)에 의해 승강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세척수단(210)은, 전극판(10)의 일면 전체를 고르게 세척할 수 있도록 제1 회전블럭(110)과 제2 회전블럭(120)의 배열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1 슬라이드레일(311)을 타고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첫 번째 전극판(10)의 일면 세척이 완료되면, 제1 세척수단(210)이 하강된 후 두 번째 전극판(10)이 제1 세척수단(210)을 향하도록 제1 회전블럭(110)이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고, 제1 세척수단(210)이 다시 상승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 전극판(10)의 일면을 세척하게 된다. 이때, 첫 번째 전극판(10)은 제2 회전블럭(120)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두 번째 전극판(10)의 일면 세척이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블럭(120)은 우측에 위치되는 제2 흡착대(121)가 첫 번째 전극판(10)에 접촉되도록 제1 회전블럭(110)을 향하여 우측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제1 흡착대(111)에 흡착된 전극판(10)의 일면에 제2 흡착대(121)가 접촉되면, 제 2흡착대의 흡착유로(미도시)에 진공압이 형성되고 제1 흡착대(111)의 흡착유로(111a)에 형성되어있던 진공압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전극판(10)은 제2 흡착대(121)에 흡착된다. 상기 전극판(10)이 제2 흡착대(121)에 흡착되어 고정되면, 상기 제1 회전블록과 제2 회전블록이 자전될 때 상기 제1 흡착대(111)와 제2 흡착대(121)가 상호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제2 회전블럭(120)은 좌측으로 이동되어 원위치되고, 그 동안 두 번째 전극판(10)은 제1 세척수단(210)에 의해 일면이 세척된다.
제2 회전블럭(120)이 원위치된 후 제1 회전블럭(110)과 제2 회전블럭(120)이 각각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면, 첫 번째 전극판(10)은 제2 세척수단(220)을 향하게 되고 두 번째 전극판(10)은 제2 회전블럭(120)을 향하게 되며 세 번째 전극판(10)은 제1 세척수단(210)을 향하게 된다. 제2 세척수단(220)을 향하는 첫 번째 전극판(10)과 제1 세척수단(210)을 향하는 두 번째 전극판(10)은 각각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세척수단(220)과 제1 세척수단(210)에 의해 세척되는데, 제2 흡착대(121)에 흡착된 첫 번째 전극판(10)은 일면(제1 세척수단(210)에 의해 세척된 면)이 제2 흡착대(121)에 흡착되므로 타면(제1 세척수단(210)에 의해 세척되지 아니한 면)이 제2 세척수단(220)에 의해 세척된다. 즉, 제1 세척장치에 의해 일면이 세척된 전극판(10)은 제2 흡착대(121)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뒤집어진 후 타면이 제2 세척장치에 의해 세척되는바,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세척장치를 이용하면 전극판(10)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와 전극판(10)을 뒤집기 위한 장치를 각각 별도로 두지 아니하더라도 전극판(10)을 일측으로 이송해 가면서 전극판(10)의 양면을 모두 세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제2 세척수단(220)은 제1 세척수단(210)과 마찬가지로 제2 브러쉬(221)를 이용하여 전극판(10)을 세척하도록 구성되며, 제2 승강실린더(320)에 의해 승강 가능하고 제1 회전블럭(110)과 제2 회전블럭(120)의 배열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2 슬라이드레일(321)을 타고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회전블럭(110)과 제2 회전블럭(120)의 중심축이 수평방향으로 병렬 배열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제1 회전블럭(110)과 제2 회전블럭(120)의 중심축 방향은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열될 수도 있고,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흡착대(111)와 제2 흡착대(121)가 상기 제1 회전블럭(110)의 상하좌우 외측면과 상기 제2 회전블럭(120)의 상하좌우 외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제1 회전블럭(110) 및 제2 회전블럭(120)이 한 번에 90도씩 회전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제1 회전블럭(110) 및 제2 회전블럭(120)에 구비되는 제1 흡착대(111)와 제2 흡착대(121)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회전블럭(110) 및 제2 회전블럭(120)의 회전 각도도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블럭(110)과 제2 회전블럭(120)에 제1 흡착대(111)와 제2 흡착대(121)가 3개씩 구비되되, 상기 3개의 제1 흡착대(111)와 제2 흡착대(121)는 제1 회전블럭(110)의 중심축과 제2 회전블럭(1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즉, 120도의 사이각을 갖도록 배열되고, 이에 따라 제1 회전블럭(110) 및 제2 회전블럭(120)은 한 번에 120도씩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세척장치는, 제1 회전블럭(110)과 제2 회전블럭(1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정되어 제1 세척수단(210)과 제2 세척수단(220)이 상측을 향하는 전극판(10)을 세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측방을 향하는 전극판(10)을 세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측을 향하는 전극판(10)을 세척하게 되면 세척 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나 먼지가 아래로 떨어지면서 하측에 위치하는 전극판(10)을 오염시킬 수 있고, 측방을 향하는 전극판(10)을 세척하게 되면 이웃하는 전극판(10)이 재오염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세척수단(210)과 제2 세척수단(22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을 향하는 전극판(10) 즉, 제1 회전블럭(110) 및 제2 회전블럭(120)의 하측 외주면에 위치되는 제1 흡착대(111) 및 제2 흡착대(121)에 흡착된 전극판(10)을 각각 세척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제1 흡착대(111)에 흡착된 전극판(10)의 타면에 제2 흡착대(121)가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흡착대(121)의 이송거리가 너무 짧으면 제2 흡착대(121)가 상기 전극판(10)에 완전히 접촉되지 아니하므로 전극판(10)이 제2 흡착대(121)에 흡착되지 아니할 수 있고, 상기 제2 흡착대(121)의 이송거리가 너무 길면 제2 흡착대(121)가 전극판(10)에 과도하게 가압되어 상기 전극판(10)이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세척장치는 제2 흡착대(121)의 이송거리가 약간 길더라도 전극판(10)이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흡착대(111)와 제2 흡착대(121)는 상기 제1 회전블럭(110)의 중심축과 제2 회전블럭(12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제1 회전블럭(110)과 제2 회전블럭(120)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1 흡착대(111)와 제2 흡착대(121)가 상기 제1 회전블럭(110)의 중심축과 제2 회전블럭(12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흡착대(111)와 제2 흡착대(121)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수단(114)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이때, 제1 흡착대(111)와 제1 회전블럭(110) 간의 거리와 제2 흡착대(121)와 제2 회전블럭(120) 간의 거리가 변경되더라도 내부유로(116)와 흡착유로(111a)는 상호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유로(116)와 흡착유로(111a)는 양단이 각각 내부유로(116)와 흡착유로(111a)에 삽입되는 연결관(113)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연결관(113)과 내부유로(116) 사이 및 연결관(113)과 흡착유로(111a) 사이로 공기가 유출입되지 아니하도록, 연결관(113)과 내부유로(116) 사이 및 연결관(113)과 흡착유로(111a)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추가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전극판(10)과 세 번째 전극판(10)의 세척이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블럭(120)이 제1 회전블럭(110) 측으로 이송되어 두 번째 전극판(10)이 제2 흡착대(121)에 흡착되고, 제1 회전블럭(110)과 제2 회전블럭(120)이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 전극판(10)과 네 번째 전극판(10)의 세척이 수행된다. 이때, 첫 번째 전극판(10)은 제3 회전블럭(130)을 향하도록 위치되는바, 제3 회전블럭(130)이 제2 회전블럭(120) 측으로 이송되면 제3 회전블럭(130)의 우측에 장착된 제3 흡착대(131)가 첫 번째 전극판(10)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첫 번째 전극판(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흡착대(131)에 흡착될 수 있게 된다. 제2 흡착대(121)에 흡착되었던 전극판(10)이 제3 흡착대(131)에 흡착되는 과정은, 제1 흡착대(111)에 흡착되었던 전극판(10)이 제2 흡착대(121)에 흡착되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첫 번째 전극판(10)이 제3 흡착대(131)에 흡착되면, 제3 회전블럭(130)은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고, 제3 회전블럭(130)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1 검사부(4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전극판(10)의 일면을 검사하게 된다. 첫 번째 전극판(10)의 일면이 검사되는 동안, 다섯 번째 전극판(10)의 일면과 세 번째 전극판(10)의 타면은 제1 세척수단(210) 및 제2 세척수단(220)에 의해 세척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검사부(410)와 제2 검사부(420)가 제3 회전블럭(130) 및 제4 회전블럭(140)의 상측에 장착되어 상측을 향하도록 위치된 전극판(10)을 검사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제1 검사부(410)와 제2 검사부(420)는 제3 회전블럭(130) 및 제4 회전블럭(140)의 하측에 장착되어 하측을 향하도록 위치된 전극판(10)을 검사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3 회전블럭(130)과 제4 회전블럭(140)은 모두 시계방향으로 90도 씩 회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1 검사부(410)와 제2 검사부(420)가 제3 회전블럭(130)과 제4 회전블럭(140)의 하측에 장착되면, 전극판(10)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 및 먼지 등이 제1 검사부(410)와 제2 검사부(420)를 오염시키거나 제3 흡착대(131) 및 제4 흡착대(141)에 흡착된 전극판(10)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제1 검사부(410)와 제2 검사부(420)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회전블럭(130)과 제4 회전블럭(140)의 상측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첫 번째 전극판(10)의 일면 검사가 완료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롤러가 제1 회전롤러 측으로 이동하여 네 번째 전극판(10)이 제2 흡착대(121)에 흡착되고, 제3 회전롤러가 제2 회전롤러 측으로 이동하여 두 번째 전극판(10)이 제3 흡착대(131)에 흡착된다. 이 후, 제1 회전롤러 및 제2 회전롤러는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고 제3 회전롤러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 여섯 번째 전극판(10)의 일면과 네 번째 전극판(10)의 타면이 각각 제1 세척수단(210) 및 제2 세척수단(220)에 의해 세척되며, 두 번째 전극판(10)의 일면은 제1 검사부(410)에 의해 검사된다.
도 13에 도시된 검사 및 세척과정이 완료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롤러가 제1 회전롤러 측으로 이동하여 다섯 번째 전극판(10)이 제2 흡착대(121)에 흡착되고, 제3 회전롤러가 제2 회전롤러 측으로 이동하여 세 번째 전극판(10)이 제3 흡착대(131)에 흡착되며, 제4 회전롤러가 제3 회전롤러 측으로 이동하여 첫 번째 전극판(10)이 제4 흡착대(141)에 흡착된다. 이 후, 제1 회전롤러 및 제2 회전롤러는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고 제3 회전롤러 및 제4 회전롤러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 일곱 번째 전극판(10)의 일면과 다섯 번째 전극판(10)의 타면이 각각 제1 세척수단(210) 및 제2 세척수단(220)에 의해 세척되며, 세 번째 전극판(10)의 일면과 첫 번째 전극판(10)의 타면은 각각 제1 검사부(410)와 제2 검사부(420)에 의해 검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세척장치는, 각 회전롤러의 90도 회전과 수평방향으로의 1회 왕복이 반복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전극판(10)을 일측으로 연이어 이송함과 동시에 각 전극판(10)을 뒤집어가면서 전극판(10)의 양면을 모두 세척 및 검사할 수 있게 되는바, 생산성이 매우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극판 세척장치는, 전극판(10)의 양면 세척 및 검사를 위한 설비가 하나의 라인에 축약되어 있으므로, 장치 전체의 크기가 소형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전극판 110 : 제1 회전블럭
111 : 제1 흡착대 112 : 제1 중심축
113 : 연결관 114 : 탄성수단
115 : 외주홈 116 : 내부유로
120 : 제2 회전블럭 121 : 제1 흡착대
122 : 제2 중심축 130 : 제3 회전블럭
131 : 제3 흡착대 132 : 제3 중심축
140 : 제4 회전블럭 141 : 제4 흡착대
142 : 제4 중심축 210 : 제1 세척수단
211 : 제1 브러쉬 220 : 제2 세척수단
221 : 제2 브러쉬 310 : 제1 승강실린더
320 : 제2 승강실린더 410 : 제1 검사부
420 : 제2 검사부 500 : 진공수단
510 : 진공블럭 520 : 진공노즐

Claims (15)

  1.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한 제1 회전블럭;
    전극판이 흡착 및 흡착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회전블럭의 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의 상기 제1 회전블럭 외측면에 장착되는 셋 이상의 제1 흡착대;
    상기 제1 회전블럭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하며, 상기 제1 회전블럭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송 가능한 제2 회전블럭;
    전극판이 흡착 및 흡착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2 회전블럭의 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의 상기 제2 회전블럭 외측면에 장착되는 셋 이상의 제2 흡착대;
    상기 제1 흡착대에 흡착된 전극판의 외측면을 세척하는 제1 세척수단;
    상기 제2 흡착대에 흡착된 전극판의 외측면을 세척하는 제2 세척수단;
    상기 제1 회전블럭 및 제2 회전블럭과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제1 회전블럭과 제2 회전블럭의 배열방향으로 연이어 배열되며, 배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3 회전블럭 및 제4 회전블럭;
    전극판이 흡착 및 흡착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3 회전블럭의 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의 상기 제3 회전블럭 외측면에 장착되는 셋 이상의 제3 흡착대;
    전극판이 흡착 및 흡착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4 회전블럭의 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의 상기 제4 회전블럭 외측면에 장착되는 셋 이상의 제4 흡착대;
    상기 제3 흡착대와 제4 흡착대에 흡착된 전극판의 표면을 검사하는 제1 검사부 및 제2 검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블럭은, 상기 제1 흡착대에 안착된 전극판에 상기 제2 흡착대가 접촉되도록 일측으로 이송 가능하며, 상기 제1 회전블록과 제2 회전블록이 자전될 때 상기 제1 흡착대와 제2 흡착대가 상호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타측으로 이송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세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블럭과 제2 회전블럭은 중심축이 수평방향으로 병렬 배열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흡착대는 상기 제1 회전블럭의 상하좌우 외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2 흡착대는 상기 제2 회전블럭의 상하좌우 외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세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블럭과 제2 회전블럭은 90도 주기로 회전되며,
    상기 제1 세척수단과 제2 세척수단은, 제1 회전블럭의 하측 외주면에 위치되는 제1 흡착대에 흡착된 전극판과, 제2 회전블럭의 하측 외주면에 위치되는 제2 흡착대에 흡착된 전극판을 각각 세척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세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척수단과 제2 세척수단은, 상기 제1 회전블럭과 제2 회전블럭의 하측에 각각 위치되며, 제1 회전블럭과 제2 회전블럭의 배열방향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고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세척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착대와 제2 흡착대는, 상기 제1 회전블럭의 중심축과 제2 회전블럭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제1 회전블럭과 제2 회전블럭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1 흡착대와 제2 흡착대가 상기 제1 회전블럭의 중심축과 제2 회전블럭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흡착대와 제2 흡착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세척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착대와 제2 흡착대의 내부에는, 전극판이 안착되는 면에 입구가 위치되는 흡착유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블럭과 제2 회전블럭은, 중심축을 따라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해당 회전블럭에 구비된 흡착대 개수만큼의 외주홈이 형성되는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에 형성된 복수개의 외주홈은, 해당 회전블럭에 구비된 흡착대의 흡착유로와 각각 1:1로 연통되고,
    상기 각 외주홈으로 진공압을 인가 및 해제하는 진공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세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수단은, 외주홈이 형성된 지점의 상기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 외주면을 각각 둘러싸는 진공블럭과, 각각의 외주홈과 개별적으로 연통되도록 상기 진공블록에 장착되어 상기 외주홈에 독립적으로 진공압을 인가 및 해제하는 복수 개의 진공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는 상기 진공블럭이 고정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진공블럭과 끼워맞춤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세척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회전블럭은, 상기 제2 흡착대에 안착된 전극판에 상기 제3 흡착대가 접촉되도록 일측으로 이송 가능하며, 상기 제2 회전블록과 제3 회전블록이 자전될 때 상기 제2 흡착대와 제3 흡착대가 상호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타측으로 이송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제4 회전블럭은, 상기 제3 흡착대에 안착된 전극판에 상기 제4 흡착대가 접촉되도록 일측으로 이송 가능하며, 상기 제3 회전블록과 제4 회전블록이 자전될 때 상기 제3 흡착대와 제4 흡착대가 상호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타측으로 이송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세척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회전블럭과 제4 회전블럭은 중심축이 수평방향으로 병렬 배열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3 흡착대는 상기 제3 회전블럭의 상하좌우 외측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4 흡착대는 상기 제4 회전블럭의 상하좌우 외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세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회전블럭과 제4 회전블럭은 90도 주기로 회전되며,
    상기 제1 검사부와 제2 검사부은, 제3 회전블럭의 상측 외주면에 위치되는 제3 흡착대에 흡착된 전극판과, 제4 회전블럭의 하측 외주면에 위치되는 제4 흡착대에 흡착된 전극판을 각각 검사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세척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흡착대와 제4 흡착대는, 상기 제3 회전블럭의 중심축과 제4 회전블럭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제3 회전블럭과 제4 회전블럭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3 흡착대와 제4 흡착대가 상기 제3 회전블럭의 중심축과 제4 회전블럭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3 흡착대와 제4 흡착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세척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흡착대와 제4 흡착대의 내부에는, 전극판이 안착되는 면에 입구가 위치되는 흡착유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3 회전블럭과 제4 회전블럭은, 중심축을 따라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해당 회전블럭에 구비된 흡착대 개수만큼의 외주홈이 형성되는 제3 샤프트와 제4 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3 샤프트와 제4 샤프트에 형성된 복수개의 외주홈은, 해당 회전블럭에 구비된 흡착대의 흡착유로와 각각 1:1로 연통되고,
    상기 각 외주홈으로 진공압을 인가 및 해제하는 진공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세척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수단은, 외주홈이 형성된 지점의 상기 제3 샤프트와 제4 샤프트 외주면을 각각 둘러싸는 진공블럭과, 각각의 외주홈과 개별적으로 연통되도록 상기 진공블록에 장착되어 상기 외주홈에 독립적으로 진공압을 인가 및 해제하는 복수 개의 진공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세척장치.
KR1020100119454A 2010-11-29 2010-11-29 전극판 세척장치 KR101044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454A KR101044635B1 (ko) 2010-11-29 2010-11-29 전극판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454A KR101044635B1 (ko) 2010-11-29 2010-11-29 전극판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635B1 true KR101044635B1 (ko) 2011-06-29

Family

ID=44406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454A KR101044635B1 (ko) 2010-11-29 2010-11-29 전극판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6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854B1 (ko) 2007-03-27 2009-09-28 한동희 편광필름 부착장치
KR20100008412A (ko) * 2008-07-16 2010-01-26 이지현 진공흡착기
KR20100086242A (ko) * 2009-01-22 2010-07-30 한동희 보호필름 자동 부착장치 및 방법
KR20100102814A (ko) * 2009-03-12 2010-09-27 한동희 보호필름 자동 부착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854B1 (ko) 2007-03-27 2009-09-28 한동희 편광필름 부착장치
KR20100008412A (ko) * 2008-07-16 2010-01-26 이지현 진공흡착기
KR20100086242A (ko) * 2009-01-22 2010-07-30 한동희 보호필름 자동 부착장치 및 방법
KR20100102814A (ko) * 2009-03-12 2010-09-27 한동희 보호필름 자동 부착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64835B (zh) 基板处理装置
KR102071727B1 (ko) 연마 세정 기구,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TWI503861B (zh) 接合方法、電腦記憶媒體、接合裝置及接合系統
US9050634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20080199283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TWI689031B (zh) 基板搬送用手臂及基板處理裝置
CN109178534A (zh) 一种自动总装线生产线
US20080156361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JP2014082470A (ja) 基板処理装置
JP2019102788A (ja) 独立駆動式フィルム分離機構
CN111113180A (zh) 灯罩打磨机构及其组装设备
CN110310911A (zh) 半导体设备、晶圆传送机构及作业方法
CN107665841A (zh) 基板处理系统
KR101044635B1 (ko) 전극판 세척장치
KR20120026745A (ko) 반도체 패키지 싱귤레이션 장치
CN101065828B (zh) 用于晶片的湿式处理的设备及方法
CN107490724B (zh) 一种卷芯绝缘内阻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KR100902177B1 (ko) 카로셀 회전식 화학기계 연마장치
KR20220100772A (ko) 슬라이스된 웨이퍼의 세척, 분리 및 적재 장치
CN214848566U (zh) 一种硅片交接吸附装置
JP4579879B2 (ja) ポリッシング装置
WO2021017299A1 (zh) 一种iv、el双面测试传送装置
TW201733739A (zh) 基板保持模組、基板處理裝置、及基板處理方法
JP3897507B2 (ja) ポリッシング装置
KR20070120373A (ko) 웨이퍼 버퍼 스테이션 및 이를 구비한 반도체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