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576B1 - 그라인딩 장치의 결로 혼입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그라인딩 장치의 결로 혼입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576B1
KR101044576B1 KR1020100085010A KR20100085010A KR101044576B1 KR 101044576 B1 KR101044576 B1 KR 101044576B1 KR 1020100085010 A KR1020100085010 A KR 1020100085010A KR 20100085010 A KR20100085010 A KR 20100085010A KR 101044576 B1 KR101044576 B1 KR 101044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densation
bowl
cooling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김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호 filed Critical 김진호
Priority to KR1020100085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B02C13/18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6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1815Cooling or he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24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인딩 장치의 결로 혼입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조는 내부로 냉각수가 유입되는 내관체(14)의 외주면 위치에 진공 챔버 영역(15)을 사이에 두고 외관체(16)가 결합된 구조의 냉각 관체(18)와, 상기 외관체(16)의 상단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내관체(14)의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관(11)을 연결하는 커넥터(20)와, 상기 커넥터(20)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냉각 관체(18)의 상기 외관체(16) 둘레부 장착되어 상기 커넥터(20)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는 상기 냉각수 공급관(11)과 상기 냉각 관체(18)의 사이의 연결부에서 생기는 결로에 의한 수분을 수집하는 보울(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라인딩 장치의 결로 혼입 방지 구조{Condensation adulteration prevention implement for grinding machine}
본 발명은 그라인딩 장치의 결로 혼입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린트용 잉크나 페인트와 같은 그라인딩 재료를 그라인딩 작업할 때에 결로에 의해 물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바스켓 밀의 결로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페인트는 고유 색상의 페인트안료와 수지 및 용제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페인트 등을 그라인딩하기 위하여 바스켓밀(Basket mill)을 사용하며, 페인트 잉크 이외에도 프린터 잉크 등을 그라인딩하기 위해서도 바스켓밀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바스켓밀은 페인트나 프린터 잉크를 보다 미세한 입자로 그라인딩함으로써 페인트나 잉크 등의 품질 향상을 기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바스켓밀은 통형상의 그라인딩 배럴과, 이러한 그라인딩 배럴에 직립 방향으로 내장되며 하단부측에는 그라인딩 블레이드가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로테이션 샤프트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때, 로테이션 샤프트의 하측부가 관통하는 베이스는 그라인딩 배럴에 내장되고 로테이션 샤프트의 상측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부재는 그라인딩 배럴의 상측부로 노출 설치되는 한편, 상기 샤프트 지지부재와 베이스에 상하단부 각각 지지되는 복수개의 냉각 관체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페인트나 프린트용 잉크과 같이 그라인딩을 하기 위한 재료를 그라인딩 베슬에 투입하여 로테이션 샤프트를 회전시킴에 따라 그라인딩 블레이드에 의해 그라인딩 베슬에서 그라인딩 재료가 작은 입자상으로 그라인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그라인딩 작업시에 열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열에 의해 그라인딩 재료가 경화되어 물성이 변할 수 있으며, 심하면 경화되기도 하므로, 상기 냉각 관체(18)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냉각을 시켜주게 된다.
이때, 냉각 관체는 냉각수 공급관에 연결되어 내부로 냉각수가 유입되는 내관체와, 이러한 내관체의 외주면을 커버하는 외관체로 구성되는데, 외관체와 내관체 사이의 공간부는 진공 챔버로 만들어서 그라인딩 베슬에 내장된 냉각 관체에 공기의 접촉률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결로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즉, 냉각 관체 내부 자체를 진공 챔버 영역으로 만들어서 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결로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냉각 관체에서 그라인딩 베슬 내부로 투입되는 부분은 상기와 같은 진공 챔버를 형성하여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고 하지만, 냉각 관체의 상측 일부는 그라인딩 베슬의 외부로 노출되어 냉각 관체의 상단부에 커넥터를 매개로 냉각수 공급관을 연결해야 하며, 이처럼 냉각 관체와 냉각수 공급관이 연결되는 부분의 외표면에는 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결로 현상이 생기고, 이러한 결로에 의해 생긴 수분이 그라인딩 베슬로 침투되어, 프린트 잉크나 페인트 등의 그라인딩 재료의 불량을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페인트나 잉크 자체가 수성이라면 그다지 문제될 것이 없으나, 잉크나 페인트에 대부분 유성이고, 이러한 유성의 그라인딩 재료(예를 들어, 유성 잉크)에 결로에 의해 생긴 물이 혼입되어 들어가 버리면 바로 물과 기름이 섞이지 않아서 물들이 기름 위에 부유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의 제품이 출시되면 물이 있는 곳은 칠해지지 않고 곧바로 불량이 되는 것이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결로에 의해 생긴 물이 그라인딩 재료에 혼입되면 안되는 것이다.
따라서, 프린트용 잉크나 페인트 등을 그라인딩 할 때에 결로에 의해 물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현재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린트용 잉크나 페인트와 같은 그라인딩 재료를 그라인딩 작업할 때에 결로에 의해 물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그라인딩 재품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바스켓 밀의 결로 방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로 냉각수가 유입되는 내관체(14)의 외주면 위치에 진공 챔버 영역(15)을 사이에 두고 외관체(16)가 결합된 구조의 냉각 관체(18)와, 상기 외관체(16)의 상단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내관체(14)의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관을 연결하는 커넥터(20)와, 상기 커넥터(20)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냉각 관체(18)의 상기 외관체(16) 둘레부 장착되어 상기 커넥터(20)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는 상기 냉각수 공급관과 상기 냉각 관체(18)의 사이의 연결부에서 생기는 결로에 의한 수분을 수집하는 보울(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장치의 결로 혼입 방지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그라인딩 장치의 그라인딩 베슬의 상면으로 노출 설치된 냉각 관체와 냉각수 공급관이 연결되는 부분의 외표면에 공기와의 접촉 등에 의한 결로 현상으로 인하여 수분이 생기면, 상기 냉각 관체의 외관체를 타고 내려오는 수분이 외관체의 외주면에 구비된 보울에 수집되어서 그라인딩 베슬의 내부로 침투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프린트 잉크나 페인트 등의 그라인딩 재료가 수분 침투에 의해 불량으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결로에 의해 생긴 수분이 냉각 관체를 타고 내려가다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보울에 의해 차단되어 그라인딩 재료로 침투되는 경우가 전혀 없으므로, 수분 침투로 인해 고가의 잉크나 페인트가 불량으로 되버리는 심각한 문제를 근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커넥터와 냉각 관체의 연결 부분과 커넥터와 냉각수 공급관의 연결 부분을 아예 밀봉하여 공기 접촉을 차단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로서, 공기 접촉으로 인해 결로가 생기는 것을 실링부재에 의해 아예 없도록 하므로, 결로에 의한 수분이 그라인딩 재료에 침투하는 현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조와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조와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조와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부로 냉각수가 소통되는 내관체(14)의 외주면 위치에 진공 챔버 영역(15)을 사이에 두고 외관체(16)가 결합된 구조의 냉각 관체(18)와, 상기 외관체(16)의 상단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내관체(14)의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관(11)을 연결하는 커넥터(20)와, 이러한 커넥터(20)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도록 냉각 관체(18)의 상기 외관체(16) 둘레부 장착되어 커넥터(20)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는 냉각수 공급관(11)과 냉각 관체(18)의 사이의 연결부에서 생기는 결로에 의한 수분을 수집하는 보울(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장치(특히, 바스켓 밀)의 결로 혼입 방지 구조이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10은 그라인딩 장치의 일종인 바스켓 밀이며, 부호 12는 그라인딩되기 위한 재료가 투입되는 그라인딩 베슬이다. 또한, 부호 13은 내관체(14)와 외관체(16) 사이의 진공 챔버 영역(15)의 진공이 세어나가지 않도록 막아주는 실링재이다. 그리고, 부호 17은 바스켓 밀의 회전 중심축, 부호 17a는 모터에 벨트로 연결되는 풀리, 부호 18은 회전 중심축에 연결된 그라인딩 로터, 부호 18a는 그라인딩 로터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그라인딩 핀, 부호 19는 그라인딩 재료 입자가 드나드는 소통공(40h)을 갖는 순환 배럴체이다.
상기 보울(30)은 상단부가 개구되고 하단부에는 슬리브부(32)가 구비된 사발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보울(30) 하단부측의 슬리브부(32)를 냉각 관체(18)의 외관체(16) 외주면에 끼우고, 슬리브부(32)를 관통하는 가압볼트(34)를 조여서 보울(30)이 외관체(16)의 외주면에 고정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결로에 의해 생기는 수분이 아래로 세지 않도록 슬리브부(32)와 외관체(16) 사이에는 실링재(36)가 개재되어 있다. 실링부재(36)는 가압볼트(34) 상부 위치의 슬리브부(32) 내주면에 개재됨으로써 수분이 보울(30) 아래로 세는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가압볼트(34) 사이로도 수분이 세어 나가 아래로 흘러내리는 현상을 근절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실링부재(36)는 가압볼트(34)의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에 이중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20)는 냉각 관체(18)를 구성하는 외관체(16)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외관체(16)와 내관체(14) 사이의 진공 챔버 영역(15)에서 진공이 세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넥터(20)의 중앙부에는 내관체(14)의 내부로 냉각수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냉각수홀(22)이 형성되며, 커넥터(20)의 외관체(16) 위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커넥터(20)의 상단부 위치에는 단턱부에 걸쳐지는 지지판부(42)(도 4 참조)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판부(42)의 하부 위치에서 보울(30)이 냉각 관체(18)를 구성하는 외관체(16)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부(42)에는 상향으로 연장되어 어퍼 보울(30)을 형성하는 폐루프형의 측벽부(40)가 구비되며, 동시에 지지판부(42)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하는 통공(40h)이 구비되어, 결로시 어퍼 보울(30)에 수집된 수분이 지지판부(42)의 통공(40h)을 통해 아래의 보울(30)로 흘러내려 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울(30)에는 결로시 수집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아울렛 포트(30a)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아울렛 포트(30a)는 보울(30)의 바닥부 또는 하부 위치에 구비되고, 이러한 아울렛 포트(30a)에는 튜브가 연결되고, 튜브에는 밸브(31)가 구비되어, 보울(30)에 수집된 수분을 밸브(31)를 열어서 보울(30)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그라인딩 장치의 그라인딩 베슬 상면으로 노출 설치된 냉각 관체(18)와 냉각수 공급관(11)이 연결되는 부분의 외표면에 공기와의 접촉 등에 의한 결로 현상으로 인하여 수분이 생기면, 상기 냉각 관체(18)의 외관체(16)를 타고 내려오는 수분이 외관체(16)의 외주면에 구비된 보울(30)에 수집되어서 그라인딩 베슬의 내부로 침투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프린트 잉크나 페인트 등의 그라인딩 재료가 수분 침투에 의해 불량으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결로로 생긴 수분이 냉각 관체(18)를 타고 내려가다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보울(30)에 의해 차단되어 그라인딩 재료로 침투되는 경우가 전혀 없으므로, 수분 침투로 인해 고가의 잉크나 페인트가 불량으로 되버리는 심각한 문제를 근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울(30)의 상부 위치에도 지지판부(42)와 폐루프형의 측벽부(40)에 의해 형성된 어퍼 보울을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어퍼 보울 부분에 1차로 수분을 받아내고, 지지판부(42)에 형성된 통공(42h)을 통해 아래로 흘려보내 보울(30)에 수분을 받아놓았다가 밸브(31)를 열고 외부로 배출하면 되므로, 사용성 등의 측면에서 보다 우수하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20)와 냉각 관체(18)의 연결 부분과 커넥터(20)와 냉각수 공급관(11)의 연결 부분을 밀봉하여 공기 접촉을 차단하는 실링부재(50)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커넥터(20)의 외주면 위치에는 단턱부에 걸쳐지는 지지판부(42)가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50)는 커넥터(20)와 냉각수 공급관(11)의 연결 부위에서 지지판부(42)의 상면까지 커버하는 상측 실링부재(50A)와, 커넥터(20)와 냉각 관체(18)의 연결 부분에서 지지판부(42)의 저면까지 커버하는 하측 실링부재(50B)로 구성될 수 있다. 하측 실링부재(50B)만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실링부재(50)는 합성수지 또는 밀봉성 고무커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6의 실시예는 냉각 관체(18)와 냉각수 공급관(11)의 연결 부분이 아예 공기와 차단되지 않도록 밀봉하는 구조로서, 공기 접촉으로 인해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므로, 결로에 의한 수분이 그라인딩 재료에 침투하는 현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인데, 도 7의 실시예의 경우, 지지판부(42) 및 측벽부(40)에 의해 형성된 어퍼 보울 부분과 아래의 보울(30)에 더하여 커넥터(20)와 냉각 관체(18)의 연결 부분과 커넥터(20)와 냉각수 공급관(11)의 연결 부분을 밀봉하여 공기 접촉을 차단하는 실링부재(50)를 구비한 구성으로서, 도 7에서는 공기 접촉을 아예 차단하여 결로를 방지하고, 혹시라도 결로가 생기는 경우에 대비하여 어퍼 보울 부분과 아래의 보울(30)에 의해 수분을 방지하는 보다 완전한 수분 혼입 방지구조를 가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도 하측 실링부재(50B)만 구비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실링부재(50)에 의해 결로를 방지하는 구조를 취한 경우에는 쿨링을 위한 냉각수가 열을 뺏기는 경우를 최소화하므로, 냉각 효율도 보다 높이는 장점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4. 내관체 16. 외관체
18. 냉각 관체 20. 커넥터
30. 보울 31. 밸브
32. 슬리브부 34. 가압볼트
40. 측벽부 50. 실링부재

Claims (8)

  1. 내부로 냉각수가 유입되는 내관체(14)의 외주면 위치에 진공 챔버 영역(15)을 사이에 두고 외관체(16)가 결합된 구조의 냉각 관체(18)와, 상기 외관체(16)의 상단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내관체(14)의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관(11)을 연결하는 커넥터(20)와, 상기 커넥터(20)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냉각 관체(18)의 상기 외관체(16) 둘레부 장착되어 상기 커넥터(20)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는 상기 냉각수 공급관(11)과 상기 냉각 관체(18)의 사이의 연결부에서 생기는 결로에 의한 수분을 수집하는 보울(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장치의 결로 혼입 방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30)에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아울렛 포트(30a)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장치의 결로 혼입 방지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30)의 하단부에는 슬리브부(32)가 구비되고, 상기 슬리브부(32)와 상기 냉각 관체(18)의 상기 외관체(16) 외주면 사이에는 실링재가 개재되며, 상기 슬리브부(32)를 관통하는 가압볼트(34)에 의해 상기 보울(30)이 상기 외관체(16)의 외주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장치의 결로 혼입 방지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0)의 상단부에는 단턱부에 걸쳐지는 지지판부(42)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부(42)에는 상향으로 연장되어 어퍼 보울(30)을 형성하는 측벽부(4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부(42)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하는 통공(40h)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장치의 결로 혼입 방지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0)와 상기 냉각 관체(18)의 연결 부분, 및 상기 커넥터(20)와 냉각수 공급관(11)의 연결 부분을 밀봉하여 공기 접촉을 차단하는 실링부재(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장치의 결로 혼입 방지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0)의 상단부에는 단턱부에 걸쳐지는 지지판부(42)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부(42)에는 상향으로 연장되어 어퍼 보울(30)을 형성하는 측벽부(4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부(42)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하는 통공(40h)이 구비되며, 상기 실링부재(50)는 상기 커넥터(20)와 냉각수 공급관(11)의 연결 부위에서 상기 지지판부(42)의 상면까지 커버하는 상측 실링부재(50A)와, 상기 커넥터(20)와 상기 냉각 관체(18)의 연결 부분에서 상기 지지판부(42)의 저면까지 커버하는 하측 실링부재(50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장치의 결로 혼입 방지 구조.
















  7. 삭제
  8. 삭제
KR1020100085010A 2010-08-31 2010-08-31 그라인딩 장치의 결로 혼입 방지 구조 KR101044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010A KR101044576B1 (ko) 2010-08-31 2010-08-31 그라인딩 장치의 결로 혼입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010A KR101044576B1 (ko) 2010-08-31 2010-08-31 그라인딩 장치의 결로 혼입 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576B1 true KR101044576B1 (ko) 2011-06-30

Family

ID=44406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010A KR101044576B1 (ko) 2010-08-31 2010-08-31 그라인딩 장치의 결로 혼입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5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69276A (zh) * 2014-01-22 2014-05-07 武汉科技大学 一种精细控温研磨装置
CN106140406A (zh) * 2016-07-31 2016-11-23 浙江宏电环保设备制造有限公司 自动化水冷球磨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405A (ja) * 1994-06-06 1995-12-19 Mitsubishi Heavy Ind Ltd 湿式媒体分散装置
KR19980086931A (ko) * 1997-05-13 1998-12-05 맥아들 존 제이 착색제를 그라인딩하기 위한 방법
JP2000279918A (ja) 1999-03-29 2000-10-10 Honda Motor Co Ltd 塗料滓の処理方法
KR20070023860A (ko) * 2005-08-25 2007-03-02 베스트화학기계공업(주) 횡형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405A (ja) * 1994-06-06 1995-12-19 Mitsubishi Heavy Ind Ltd 湿式媒体分散装置
KR19980086931A (ko) * 1997-05-13 1998-12-05 맥아들 존 제이 착색제를 그라인딩하기 위한 방법
JP2000279918A (ja) 1999-03-29 2000-10-10 Honda Motor Co Ltd 塗料滓の処理方法
KR20070023860A (ko) * 2005-08-25 2007-03-02 베스트화학기계공업(주) 횡형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69276A (zh) * 2014-01-22 2014-05-07 武汉科技大学 一种精细控温研磨装置
CN106140406A (zh) * 2016-07-31 2016-11-23 浙江宏电环保设备制造有限公司 自动化水冷球磨机
CN106140406B (zh) * 2016-07-31 2018-06-05 浙江宏电环保设备制造有限公司 自动化水冷球磨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8247B2 (en) Agitator ball mill
KR101044576B1 (ko) 그라인딩 장치의 결로 혼입 방지 구조
CN102292146A (zh) 搅拌磨
EP0899004B1 (en) Dispersion method and dispersing apparatus
CN108452896A (zh) 一种间隙分离式研磨机
CN103341460A (zh) 复合轮毂轴承自动清洗机
US4106116A (en) Dispersing apparatus
CN210632226U (zh) 一种油墨砂磨机
CN212814152U (zh) 一种叶类蔬菜清洗设备
KR20140133300A (ko) 비드밀
PL231194B1 (pl) Dyspergator przepływowy
JP5406446B2 (ja) 粉砕処理システム及び粉砕処理方法
CN219187189U (zh) 一种立式介质研磨机构
CN113402928A (zh) 一种水墨配方及生产工艺
KR100727029B1 (ko) 횡형밀
JP2013128930A (ja) 粉砕処理システム及びメディア回収方法
CN111904300B (zh) 一种清洗效果好的食品加工机
CN208082605U (zh) 一种间隙分离式研磨机
CN217472816U (zh) 一种润版液循环过滤装置
CN220803592U (zh) 一种立式砂磨机
CN215312839U (zh) 一种球磨机进料装置
CN216261249U (zh) 一种美术涂料研磨装置
CN218872424U (zh) 研磨机
CN214682113U (zh) 打碎式研磨的油墨研磨机
CN110548429B (zh) 制备超细浆料的固液混合设备及其混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