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504B1 - 아웃도어용 스틱 - Google Patents

아웃도어용 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504B1
KR101044504B1 KR1020110020703A KR20110020703A KR101044504B1 KR 101044504 B1 KR101044504 B1 KR 101044504B1 KR 1020110020703 A KR1020110020703 A KR 1020110020703A KR 20110020703 A KR20110020703 A KR 20110020703A KR 101044504 B1 KR101044504 B1 KR 101044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d
shaft bolt
lower support
stick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신
Original Assignee
김용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신 filed Critical 김용신
Priority to KR1020110020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504B1/ko
Priority to PCT/KR2012/000399 priority patent/WO2012121483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식 스틱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사용도중 길이조절구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아웃도어용 스틱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10)가 부착된 상부 지지봉(20)의 하부에 하부 지지봉(30)이 삽입되며, 상기 하부 지지봉(30) 상단에 축볼트(40)가 고정되고, 상기 축볼트(40)에는 하부 지지봉(30)의 회전에 의해 탄성적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면서 상부 지지봉(20)의 내벽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탄성앵커(50)가 구비되어 상,하 지지봉(20,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아웃도어용 스틱에 있어서; 상기 축볼트(40)는 하부 지지봉(30)과 회전방향에 대하여 인터로킹되거나 하부 지지봉(30)과 상관없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언로킹되는 것이 전환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Description

아웃도어용 스틱 {A Stick for use outdoor activities}
본 발명은 등산·트래킹용이나 스키용 또는 기타 다양한 야외활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아웃도어용 스틱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다단식 스틱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사용도중 사용자에 의한 비틀림력이나 기타 회전력을 받아 스틱 내부의 길이조절구가 느슨하게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틱 사용시의 불편함을 초래하거나 심각한 경우 스틱이 갑자기 수축되어 넘어지는 등 의도하지 않던 중대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구의 구조 및/또는 손잡이부분의 구조를 개량하여 의도하지 않은 회전력이나 비틀림력이 가해질 경우 길이조절구의 조임상태가 풀리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인 아웃도어용 스틱은 등산·트래킹용 지팡이, 스키용 스틱, 기타 각종 야외활동을 하면서 보행보조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봉의 상단에 손잡이가 부착된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등산용 지팡이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등산용 지팡이는 단순히 지팡이의 역할을 넘어 중요한 등반 도구 역할을 하는데, 이는 다리에만 의존하는 보행의 노동을 팔에 30% 정도 분담시킴으로써 체력소모를 줄이고 보행속도를 빠르게 해주기 때문이다.
한편, 등산용 지팡이는 등산로의 빙판이나 고르지 못한 곳에서의 균형을 유지하기 좋고, 하산 시에는 무릎의 충격을 덜어주는 그야말로 안전산행의 일등 도우미다. 등산용 지팡이는 체중의 힘을 분산시켜 주는 효과가 있지만 잘못 사용하면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온다. 가능하면 2개의 등산용 지팡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등산용 지팡이의 길이는 등산용 지팡이를 잡고 섰을 때 팔꿈치 관절의 각도가 90°가 이상적이며 경사로나 언덕을 오를 때는 이보다 10~15㎝ 길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등산용 지팡이를 비롯한 각종 아웃도어용 다단 스틱의 길이조절방식은 손잡이가 부착된 상부 지지봉의 하부에 하부 지지봉이 삽입되고 이 하부 지지봉 상단에는 축볼트가 고정되며, 상기 축볼트에는 하부지지봉의 회전에 의해 탄성적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면서 상부 지지봉의 내벽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탄성앵커가 구비되어 상기 축볼트와 탄성앵커의 결합정도에 따라서 상,하 지지봉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축볼트와 탄성앵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스틱용 길이조절구에 있어서는 사용도중 사용자에 의해 반복적으로 비틀림력이 가해지면서 이 비틀림력에 의해 조여져 있던 길이조절구가 느슨하게 풀리면서 사용에 불편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 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웃도어용 스틱의 사용도중 축볼트의 조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외력 즉 사용자의 하중 및 비틀림력이 가해지면서 길이조절구에 풀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손잡이가 부착된 상부 지지봉의 하부에 하부 지지봉이 삽입되며, 상기 하부 지지봉 상단에 축볼트가 고정되고, 상기 축볼트에는 하부지지봉의 회전에 의해 탄성적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면서 상부 지지봉의 내벽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탄성앵커가 구비되어 상,하 지지봉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아웃도어용 스틱에 있어서; 상기 축볼트는 하부 지지봉과 인터로킹되거나 하부 지지봉과 상관없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언로킹되는 것이 전환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아웃도어용 스틱을 제공함으로써 평상시에는 하부 지지봉이 축볼트와 언로킹 상태를 이루어 지지봉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길이조절구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고, 스틱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부 지지봉을 축볼트와 인터로킹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길이조절구를 이루는 탄성앵커를 오므려 길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아웃도어용 스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축볼트의 하단 외측에는 고정핀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봉의 상단에는 축볼트가 삽입되는 새들이 고정되되 상기 새들의 중앙에는 축볼트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새들의 하부에는 상기 축볼트가 상하로 승강하면서 축볼트 하단의 고정핀이 끼워져 축볼트와 하부 지지봉이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핀 고정홈이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기에는 상기 핀 고정홈은 관통공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핀 고정홈과 핀 고정홈 사이에는 고정핀이 핀 고정홈으로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새들과 앵커 사이에는 완충용 스프링이 설치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하부 지지봉과 축볼트가 언로킹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아웃도어용 스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손잡이 내부에는 완충용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는 상부 지지봉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부착된 아웃도어용 스틱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손잡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아웃도어용 스틱은 상기 상부 지지봉의 상단에 슬리브 캡이 끼워지고, 상부 지지봉의 상단 외측에는 스톱퍼가 고정되며, 상기 손잡이 내부에는 완충용 스프링과 회전캡이 차례대로 끼워지고, 상기 손잡이의 하단 외측에는 상부 지지봉의 하부에서 끼워진 고정캡이 결합되어 손잡이가 상부로는 이탈되지 않고 하중이 가해질 때 완충용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상부 지지봉의 하방으로 수축되거나 상부 지지봉과 상관없이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축볼트와 하부 지지봉이 회전방향에 대하여 인터로킹 및 언로킹 상태로 전환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스틱 사용시에는 길이조절구에 비틀림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등산이나 스키 등 각종 아웃도어 활동시 스틱의 사용도중 길이조절구가 의도하지 않게 풀리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스틱 사용시의 불편함을 해소함은 물론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등산용 스틱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풀린 상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A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부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손잡이가 눌리고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의한 아웃도어용 스틱이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 의한 아웃도어용 스틱은 손잡이(10)가 부착된 상부 지지봉(20)의 하부에 하부 지지봉(30)이 삽입되며, 상기 하부 지지봉(30) 상단에 축볼트(40)가 고정되고, 상기 축볼트(40)에는 하부 지지봉(30)의 회전에 의해 탄성적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면서 상부 지지봉(20)의 내벽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탄성앵커(50)가 구비되어 상,하 지지봉(20,30)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축볼트(40)는 하부 지지봉(30)과 인터로킹되거나 하부 지지봉(30)과 상관없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언로킹되는 것이 전환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평상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봉(30)이 축볼트(40)와 언로킹 상태를 이루어 상부 또는 하부 지지봉(20,3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길이조절구를 이루는 축볼트(40)와 탄성앵커(5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고, 상,하부 지지봉(20,30)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봉(30)을 축볼트(40)와 인터로킹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길이조절구를 이루는 탄성앵커(50)를 오므려 상부 지지봉(20)의 내면에서 이격시킴으로써 하부 지지봉(30)을 슬라이드 시켜 스틱을 임의의 길이로 조절한 후 재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아웃도어용 스틱의 구체적인 구조와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봉(3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봉(20)으로 삽입되는 축볼트(40)의 하단 외측에는 고정핀(42)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지지봉(30)의 상단에는 축볼트(40)가 삽입되는 새들(70)이 회전은 물론 이탈이 불가능하도록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축볼트(40)는 중간의 플랜지부(41)를 기준으로 그 아랫쪽은 새들(70)의 관통공(71)에 삽입되어 승강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환봉형태로 이루어진 축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부(43)의 대략 하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핀구멍(44)이 형성되어 있어 이 핀구멍(44)에 고정핀(42)이 삽입 고정되어 축부(43)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고 있다.
또, 상기 축볼트(40)의 상부 즉, 중간의 플랜지부(41) 상부로는 탄성앵커(50)가 끼워져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4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45)의 상부에서 상단까지는 수나사부(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나사부(46)에는 상광하협의 외경을 갖는 테이퍼형 이동체(60)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이동체(60)는 탄성앵커(50)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 회전은 억제된 상태에서 축볼트(40)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여기에 나사결합된 이동체(60)가 상하로 승강하면서 탄성앵커(50)를 벌려주거나 또는 탄성앵커(50) 자체의 탄성(수축력)에 의해 오므려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틱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임의의 위치에서 재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탄성앵커(5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그 하단부가 축볼트(40)의 플랜지부(41) 상부측에 끼움고정되며, 상부로는 축볼트(4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체(60)의 쐐기작용에 의해 벌어져 상부 지지봉(20)의 내벽에 밀착되는 밀착편(52)이 복수개(2개 내지 4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착편(52)의 외측은 상부 지지봉(20)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적정한 마찰력을 갖도록 표면에 돌기 또는 비드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의 길이조절구는 축볼트(40)에 나사결합된 이동체(60)가 회전이 억제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쐐기작용에 의해 탄성앵커(50)가 상부 지지봉(20)의 내벽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길이조절구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체 없이 테이퍼형의 축볼트(40)와 탄성앵커(50)만으로 이루어진 타입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 중 부호 47은 축볼트(40)의 수나사부(46)에 나사결합된 이동체(6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이다.
한편, 상기 축볼트(40)가 삽입되는 하부 지지봉(30)의 새들(70)은 그 중앙에 축볼트(40)가 삽입되는 관통공(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새들(70)의 하부에는 상기 축볼트(40)가 상하로 승강하면서 축볼트(40) 하단의 고정핀(42)이 끼워져 축볼트(40)와 하부 지지봉(30)이 인터로킹되어 함께 회전되는 핀 고정홈(7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핀 고정홈(72)은 관통공(71)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복수개(도면상으로는 십자형으로 4개)가 형성되고, 상기 핀 고정홈(72)과 핀 고정홈(72) 사이에는 고정핀(42)이 핀 고정홈(72)으로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7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73)는 끝 부분이 뾰죽한 산(山)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하부 지지봉(30)을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고정핀(42)이 가이드 돌기(73)의 끝부분에 닿아 사면(73a 또는 73b)을 타고 내려가면서 핀 고정홈(72)으로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길이조절구를 이루는 축볼트(40)와 탄성앵커(50)의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축볼트와 탄성앵커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길이조절구에 부가되는 이동체(60) 및 슬리브(70)의 형태 또한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어떠한 형태로의 변형도 가능하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 또는 변경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얼마든지 가능함이 자명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아웃도어용 스틱은 길이조절구를 조여서 사용할 때에는 축볼트(40)에 끼워진 탄성앵커(50)가 상부 지지봉(20)의 내벽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하부 지지봉(30)이 밀려 올라가면서 스틱이 수축될 여지는 없으나, 축볼트(40)의 축부(43) 길이가 새들(70)의 상하 높이보다는 길고 축볼트(40) 하단의 고정핀(42)이 새들(70) 하부의 핀 고정홈(72)에서 이탈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부 지지봉(20)과 하부 지지봉(30)은 회전방향에 대하여는 상호 인터로킹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자유로이 회전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하중이 가해지면서 비틀림력이 작용하더라도 길이조절구 즉, 축볼트와 탄성앵커 간의 조임상태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상태에서 하부 지지봉(30)을 손으로 잡아 아래로 당기면 축볼트(40) 하단의 고정핀(42)과 하부 지지봉(30) 상단에 고정된 새들(70)의 핀 고정홈(72) 사이의 거리만큼 하부 지지봉(30)이 뽑혀져 나올 수 있는데, 하부 지지봉(30)과 상부 지지봉(20)간의 틈새는 하부 지지봉(30) 상단에 견고하게 고정된 합성수지재 새들(70)의 외경을 적정한 칫수로 설계하는 것에 의해 적당한 마찰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사용시 빈번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작할 수 있다.
스틱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부 지지봉(30)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래로 잡아당기면 상부 지지봉(20)에서 하부 지지봉(30)이 약간 아래로 빠지게 되면서 상부 지지봉(20)의 내벽에 탄성앵커(50)가 밀착고정된 상태에서 승강이 억제된 축볼트(40)가 끼워진 하부 지지봉(30)의 새들(70)이 하강하게 되면서 축볼트(40) 하단의 고정핀(42)이 상기 새들(70)의 핀 고정홈으로 삽입되게 되면서 상호 언로킹상태를 유지하던 축볼트(40)와 새들(70)이 회전방향으로 인터로킹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 지지봉(20)을 한 손으로 잡고 하부 지지봉(30)을 또 다른 손으로 잡아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축볼트(40)가 회전하면서 이동체(60)을 상승시키게 됨으로써 이동체(60)에 의해 벌려져 있던 탄성앵커(50)가 자체의 수축력에 의해 오므려지게 되어 상부 지지봉(20)으로부터 이격되게 됨으로써 하부 지지봉(30)을 상부 지지봉(20)에 대하여 임의의 높이로 승강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스틱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틱을 임의의 길이로 조절한 상태에서 다시 하부 지지봉(30)을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축볼트(40)가 회전하면서 이동체(60)를 다시 하강시켜 탄성앵커(50)를 벌려주게 됨으로써 조정된 위치에서 상부 지지봉(20)의 내벽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며, 다만, 축볼트(40)와 새들(70) 사이에 완충용 스프링(80)이 설치되어 있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하부 지지봉(30)과 축볼트(40)가 회전방향에 대하여 인터로킹상태를 유지하고,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회전방향에 대하여 언로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완충용 스프링(80)은 이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가스식 또는 유압식 실린더로 대체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하다.
한편, 도 5는 도 1의 B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손잡이(10) 내부에는 완충용 스프링(12)이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10)는 상부 지지봉(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손잡이에서 가해지는 비틀림력 즉, 회전력이 길이조절구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부 지지봉(20)의 상단에는 슬리브 캡(22)이 끼워지고, 상부 지지봉(20)의 상단 외측에는 스톱퍼(24)가 고정되며, 상기 손잡이(10) 내부에는 완충용 스프링(12)과 회전캡(14)이 차례대로 끼워지고, 상기 손잡이(10)의 하단 외측에는 상부 지지봉(20)의 하부에서 끼워진 고정캡(26)이 결합되어 손잡이(10)가 상부 지지봉(20)의 상부로는 이탈되지 않고 손잡이(10)에 하중이 가해질 때 완충용 스프링(12)이 압축되면서 상부 지지봉(20)의 하방으로 수축되거나 상부 지지봉(20)과 상관없이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도면 중 부호 16은 고정캡(26)을 손잡이(10)에 결합시키기 위한 무두볼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손잡이 내부에 삽입되는 완충용 스프링(12)도 가스식 또는 유압식 실린더로 대체될 수 있으며, 스톱퍼(24)를 상부 지지봉(20)에 고정하는 방식 및 손잡이(10)와 고정캡(26)을 결합하는 방식은 용접이나 본딩 또는 리벳팅이나 고정나사를 사용하는 방식 중에서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 예에서 스틱의 손잡이가 눌리고 비틀림력이 가해지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손잡이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손잡이 내부의 완충용 스프링(12)이 압축되면서 손잡이(10)가 상부 지지봉(20)의 하부로 수축되게 되면서 충격을 흡수해주게 되는 것이며, 이때 손잡이(10)는 상부 지지봉(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손잡이나 스틱 즉, 상부 지지봉(20) 측에 비틀림력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스틱 내부의 길이조절구(도시 생략됨)에는 이 회전력 또는 비틀림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길이조절구가 의도하지 않게 풀리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완충기능 및 회전기능을 갖는 손잡이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의 스틱에 함께 설치할 수도 있고, 기존의 일반 길이조절구를 갖는 스틱에도 설치할 수 있는데, 양자 모두 길이조절구에 회전력 또는 비틀림력이 인가되어 길이조절구가 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0 : 손잡이 12 : 완충용 스프링
14 : 회전캡 16 : 무두볼트
20 : 상부 지지봉 22 : 슬리브 캡
24 : 스톱퍼 30 : 하부 지지봉
40 : 축볼트 41 : 플랜지부
42 : 고정핀 43 : 축부
44 : 핀구멍 45 : 고정돌기
46 : 수나사부 47 : 스냅링
50 : 탄성앵커 52 : 밀착편
60 : 이동체(쐐기) 70 : 새들
71 : 관통공 72 : 핀 고정홈
73 : 가이드 돌기 73a,73b : 사면
80 : 완충용 스프링

Claims (6)

  1. 손잡이(10)가 부착된 상부 지지봉(20)의 하부에 하부 지지봉(30)이 삽입되며, 상기 하부 지지봉(30) 상단에 축볼트(40)가 고정되고, 상기 축볼트(40)에는 하부 지지봉(30)의 회전에 의해 탄성적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면서 상부 지지봉(20)의 내벽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탄성앵커(50)가 구비되어 상,하 지지봉(20,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아웃도어용 스틱에 있어서;
    상기 축볼트(40)는 하부 지지봉(30)과 회전방향에 대하여 인터로킹되거나 하부 지지봉(30)과 상관없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언로킹되는 것이 전환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도어용 스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볼트(40)의 하단 외측에는 고정핀(42)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봉(30)의 상단에는 축볼트(40)가 삽입되는 새들(70)이 고정되되 상기 새들(70)의 중앙에는 축볼트(40)가 삽입되는 관통공(71)이 형성되며, 상기 새들(70)의 하부에는 상기 축볼트(40)가 상하로 승강하면서 축볼트(40) 하단의 고정핀(42)이 끼워져 축볼트(40)와 하부 지지봉(30)이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핀 고정홈(7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도어용 스틱.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핀 고정홈(72)은 관통공(71)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핀 고정홈(72)과 핀 고정홈(72) 사이에는 고정핀(42)이 핀 고정홈(72)으로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7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도어용 스틱.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축볼트(40)와 새들(70) 사이에는 완충용 스프링(80)이 설치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하부 지지봉(30)과 축볼트(40)가 회전방향에 대하여 인터로킹상태를 유지하고,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회전방향에 대하여 언로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도어용 스틱.
  5. 손잡이(10)가 부착된 상부 지지봉(20)의 하부에 하부 지지봉(30)이 삽입되며, 상기 하부 지지봉(30) 상단에 축볼트(40)가 고정되고, 상기 축볼트(40)에는 하부 지지봉(30)의 회전에 의해 탄성적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면서 상부 지지봉(20)의 내벽에 밀착 또는 이격되는 탄성앵커(50)가 구비되어 상,하 지지봉(20,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아웃도어용 스틱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 내부에는 완충용 스프링(12)이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10)는 상부 지지봉(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도어용 스틱.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봉(20)의 상단에는 슬리브 캡(22)이 끼워지고, 상부 지지봉(20)의 상단 외측에는 스톱퍼(24)가 고정되며, 상기 손잡이(10) 내부에는 완충용 스프링(12)과 회전캡(14)이 차례대로 끼워지고, 상기 손잡이(10)의 하단 외측에는 상부 지지봉(20)의 하부에서 끼워진 고정캡(26)이 결합되어 손잡이(10)가 상부 지지봉(20)의 상부로는 이탈되지 않고 손잡이(10)에 하중이 가해질 때 완충용 스프링(12)이 압축되면서 상부 지지봉(20)의 하방으로 수축되거나 상부 지지봉(20)과 상관없이 회전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도어용 스틱.
KR1020110020703A 2011-03-09 2011-03-09 아웃도어용 스틱 KR101044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703A KR101044504B1 (ko) 2011-03-09 2011-03-09 아웃도어용 스틱
PCT/KR2012/000399 WO2012121483A2 (ko) 2011-03-09 2012-01-17 아웃도어용 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703A KR101044504B1 (ko) 2011-03-09 2011-03-09 아웃도어용 스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504B1 true KR101044504B1 (ko) 2011-06-27

Family

ID=44406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703A KR101044504B1 (ko) 2011-03-09 2011-03-09 아웃도어용 스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44504B1 (ko)
WO (1) WO201212148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890B1 (ko) 2011-06-24 2011-08-29 오성듀랄루민(주) 등산용 다단식 지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20171A1 (de) * 2022-10-27 2024-05-15 Furrer Armin Griff, insbesondere für Trekkingstock und Trekkingstock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9384A (ko) * 1991-04-12 1992-11-19 가즈오 스기야마 나선형의 상호 유동 및 완충장치를 갖는 스키폴
KR20030040353A (ko) * 2000-07-11 2003-05-22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 파마 컴파니 4-페닐 치환된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 및 이의치료학적 용도
KR20030041698A (ko) * 2001-11-21 2003-05-2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디스펜서부 구조
KR20030054774A (ko) * 2001-12-26 2003-07-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제조용 스퍼터 및 이를 이용한 스퍼터링 방법
KR200341698Y1 (ko) 2003-11-21 2004-02-11 주식회사 키프코 보행용 폴
KR200340353Y1 (ko) 2003-10-21 2004-02-11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지팡이의 길이조절장치
KR200354774Y1 (ko) 2004-03-23 2004-06-30 김현길 다단식 지팡이의 탄력 단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1216A (ja) * 1996-01-24 1997-08-05 Masaru Ijuin 二段ばね付き杖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9384A (ko) * 1991-04-12 1992-11-19 가즈오 스기야마 나선형의 상호 유동 및 완충장치를 갖는 스키폴
KR20030040353A (ko) * 2000-07-11 2003-05-22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 파마 컴파니 4-페닐 치환된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 및 이의치료학적 용도
KR20030041698A (ko) * 2001-11-21 2003-05-2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디스펜서부 구조
KR20030054774A (ko) * 2001-12-26 2003-07-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제조용 스퍼터 및 이를 이용한 스퍼터링 방법
KR200340353Y1 (ko) 2003-10-21 2004-02-11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지팡이의 길이조절장치
KR200341698Y1 (ko) 2003-11-21 2004-02-11 주식회사 키프코 보행용 폴
KR200354774Y1 (ko) 2004-03-23 2004-06-30 김현길 다단식 지팡이의 탄력 단속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890B1 (ko) 2011-06-24 2011-08-29 오성듀랄루민(주) 등산용 다단식 지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21483A2 (ko) 2012-09-13
WO2012121483A3 (ko) 201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9373B1 (en) Equipment for use when sitting and when walking, skiing or the like
US20060231722A1 (en) Umbrella base clamp
KR101044504B1 (ko) 아웃도어용 스틱
KR101366722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JP2011526531A (ja) 松葉杖及び/又は杖用のスタビライザ支持装置
US9974367B2 (en) Base structure for walking stick
CA2955102C (en) Apparatus for aiding mobility of a user
KR100953888B1 (ko) 지팡이
KR101211200B1 (ko) 파이프 고정장치
KR101941672B1 (ko) 보조다리가 포함된 목발
JP4730824B2 (ja)
US2398534A (en) Crutch
KR100717170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목발
CN210962927U (zh) 一种医疗护理用拐杖
KR101206514B1 (ko) 완충성이 우수한 목발
EP3847922B1 (en) Length adjustment device
CN107616589A (zh) 一种登山杖
CN209270758U (zh) 高尔夫球袋上用于锁定球杆保护罩的开关锁
KR101389575B1 (ko) 완충 지팡이
CN207177711U (zh) 一种伸缩折叠梯
CN206443459U (zh) 活动座椅
KR20240032394A (ko) 이중의 완충 구조를 구비한 등산용 스틱
WO2015070328A1 (en) Multi-use impact tool
KR200215227Y1 (ko) 이동이 가능한 의자 지지발
CN212852745U (zh) 一种新型拐杖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