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107B1 - 장례식장 무인 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례식장 무인 촬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107B1
KR101044107B1 KR1020090027280A KR20090027280A KR101044107B1 KR 101044107 B1 KR101044107 B1 KR 101044107B1 KR 1020090027280 A KR1020090027280 A KR 1020090027280A KR 20090027280 A KR20090027280 A KR 20090027280A KR 101044107 B1 KR101044107 B1 KR 101044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eral
authentication key
unique authentication
terminal
funeral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8943A (ko
Inventor
김철호
Original Assignee
김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호 filed Critical 김철호
Priority to KR1020090027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107B1/ko
Publication of KR20100108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Abstract

본 발명은 장례식장 무인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는, N(N은 1보다 큰 정수이다)개의 장례식장과, 상기 장례식장 내부의 2개 이상의 빈소 및 식당을 포함한 특정 위치에 설치되며, 고유 인증키의 입력에 의해 1회의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된 2개 이상의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과, 상기 장례식장 단말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해당 위치의 촬영 각도 내의 장례 동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장례식장 단말로 전송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상기 장례식장 운영자의 이동 통신 단말; 및 상기 장례식장 내에, 상기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 및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설치하는 시스템 관리자의 서버로서, 상기 장례식장에 대한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고유 인증키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고유 인증키 데이터베이스에서 고유 인증키를 추출하여 이것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SMS 전송하는 관리 서버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례식장에서 1회의 장례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리퀘스트가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되는 경우, 상기 관리 서버는 1개의 고유 인증키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SMS 송신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수신된 고유 인증키를 상기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에 입력함으로써 1회의 장례 동영상 촬영이 허용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장례식장 무인 촬영 시스템{MANLESS PICTURE-TAKING SYSTEM IN FUNERAL PARLOR}
본 발명은 장례식장 내에서의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장례식장을 운영하는 운영자의 새로운 수익을 보장하고, 유가족과 조문객의 추모의 마음을 고양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장례절차는 병원의 장례식장 또는 전문 장례식장에서 2박 3일간의 조문객 문상을 받고, 장례식장 내에서의 입관식을 거쳐 망자를 준비된 묘에 안장하거나 화장함으로써 일단락된다. 그 후 유가족에 의해 행해지는 49제 등의 추모행사가 존재하지만, 조문객의 문상과 공식적인 장례절차는 장례식장에서 행해지는 것으로 종료된다.
그러나 유가족들은 망자의 죽음에 대한 슬픔으로 말미암아 극도로 정신이 없기 때문에 어떤 조문객이 장례식장에 찾아왔는지 제대로 기억조차 못하는 것이 통례이며, 단지 조문객이 자신의 이름을 남긴 방명록에 의지할 수 있을 뿐이었다. 따라서 조문객의 문상 행위를 포함한 장례식 동영상을 촬영해 두고, 해당 동영상 파일을 나중에 두고두고 재생할 수 있다면 망자의 유가족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결혼식과 달리 장례식의 경우에는, 카메라맨이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조문객이나 유가족을 직접 촬영하여 동영상을 제작하는 것은 장례라는 분위기상 매우 어색하며, 슬픔이 가득한 유가족의 입장에서 부적합하였다.
인터넷과 유무선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인터넷 또는 모바일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이에 기반하여 소정의 장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장례식장을 촬영하여 중계하고자 하는 시도가 행해졌다. 이를 위해서는 장례식장에 여러 가지 단말을 구축하여야 하며, 장례식장 내부의 네트워크 공사가 필수적이다. 장례식장 내에는 다수의 빈소가 마련되고 있고, 식당, 입관식을 위한 방 등이 추가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장례식장 운영자에게 있어서 그러한 공사에 투자되는 비용이 매우 크고, 네트워크 운영에 대한 노하우가 전무하기 때문에, 제대로 기획조차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장례식장 내부의 각 빈소와 식당, 입관식 거처 등에 모두 랜 공사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것에 소요되는 비용이 적지 않다. 또한, 장례식장은 장례식의 특성상 깨끗한 내부 인테리어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구성에 따른 랜 공사는 배선작업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공사도 수반되어야 하고, 결국 네트워크 공사에 소요되는 비용은 더욱 크게 지출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의 발명가는 위와 같은 전통적인 장례식 문화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한편, 장례식장 내부의 빈소, 식당, 입관식 거처 등에 대한 랜 공사를 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장례식 무인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례식장 운영자, 망자의 유가족 및 시스템 운영자에게 모두 이익이 될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함에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의 비즈니스 모델은 장례식장 운영자의 경제적인 이익 추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장례식장 운영자의 투자 비용을 최소화하고, 그러면서도 새로운 매출의 이익을 장례식장 운영자에게 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핵심적인 사항은 장례식장 내부에 랜 공사를 하지 않고도, 즉 장례식장 내부에 자체 네트워크 공사를 하지 않아도 무인 촬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의 비즈니스 모델은 망자의 유가족에게, 장례식 동안에 실시간으로 촬영된 동영상 파일을 제공함으로써 망자에 대한 추모의 정을 고양하는 한편, 장례가 끝난 다음 언제라도 어떤 조문객이 왔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셋째, 장례식 무인 촬영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 업자의 관점에서도, 무인 촬영이 개시될 때마다 일정 수익이 발생하도록 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N(N은 1보다 큰 정수이다)개의 장례식장;
상기 장례식장 내부의 2개 이상의 빈소 및 식당을 포함한 특정 위치에 설치되며, 고유 인증키의 입력에 의해 1회의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된 2개 이상의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
상기 장례식장 단말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해당 위치의 촬영 각도 내의 장례 동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장례식장 단말로 전송하는 디지털 카메라;
상기 장례식장 운영자의 이동 통신 단말; 및
상기 장례식장 내에, 상기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 및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설치하는 시스템 관리자의 서버로서, 상기 장례식장에 대한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고유 인증키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고유 인증키 데이터베이스에서 고유 인증키를 추출하여 이것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SMS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장례식장에서 1회의 장례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리퀘스트가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되는 경우, 상기 관리 서버는 1개의 고유 인증키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SMS 송신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수신된 고유 인증키를 상기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에 입력함으로써 1회의 장례 동영상 촬영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고유 인증키가 입력됨에 따라서 촬영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상기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에 설치된 프로그램은, 미리 세팅된 시간 범위 내에서만 촬영 동작을 하도록 시간 제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장례식장 운영자, 망자의 유가족 및 시스템 설치/운영 업자에게 모두 유리한 효과를 가져온다.
장례식장 운영자는 본 발명의 무인 촬영 시스템을 구축함에 있어서 무료로 각종 단말 및 장치를 관리자에게 제공을 받을 수 있고, 또한 일체의 관리 지원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경비 지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장례식장 내부에 랜 공사와 이에 수반되는 인테리어 공사를 하지 않아도 무인 촬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효과 대비 비용 절감 효과는 매우 크다 할 것이다. 또한, 무인 촬영에 대한 대가로서 상주 또는 유가족에게 수수료를 받아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매출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큰 이익을 거둘 수 있다.
또한, 망자의 유가족에게는, 장례식 동안 실시간 촬영된 동영상 파일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망자에 대한 추모의 정을 높일 수 있고, 어떤 조문객이 왔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무인 촬영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 업자의 관점에서도, 초기의 시스템 구축 비용과 사후 관리에 대한 비용을 유상 또는 무상으로 부담하지만, 1개의 장례식장에는 여러 개의 빈소가 있고, 1개의 빈소마다 월 평균 5회 이상의 장례식이 거 행된다는 점에서, 매 1회 촬영시마다 일정액 수수료를 장례식장 운영자에게 받아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장례식 운영자와 시스템 관리자는 새로운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이 되며, 유가족은 망자에 대한 기억과 추모의 정을 오랫동안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등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는 1개의 장례식장(10)만 도시되어 있으나, 시스템 내에는 N(N은 1보다 큰 정수)개의 장례식장(10)이 장례식장 회원으로서 시스템 내에 편입되어 있다.
장례식장(10)에는 다수의 빈소, 식당, 입관식 거처 등이 있고, 각각의 위치에 다수의 컴퓨터 단말(11)과 디지털 카메라(13)를 설치하여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장래식장(10)에 설치된 PC 또는 노트북 등의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11)에는 복수의 디지털 카메라(13)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디지털 카메라(13)는 장례식장(10) 내부의 빈소 등의 미리 세팅되는 특정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설치된 디지털 카메라는 해당 위치의 촬영 각도 내의 피사체, 즉 빈소와 유가족의 모습, 조문객의 조문 행위 등을 촬영하여,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11)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11)에는 촬영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촬영 구동을 하고 파일을 실시간으로 저장하게 된다. 또한,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11)의 저장 장치에는 수만 개 이상의 고유 인증 키가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유 인증 키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컴퓨터 단말(11)이 설치되면서 프로그램 잠금 장치가 되어 있기 때문에, 장례식장 운영자가 고유 인증 키에 대한 정보에 접근할 수 없도록 프로그래밍이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11)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은 두 가지의 실시 태양을 갖는다. 첫째 저장된 고유 인증 키를 입력하여야만 컴퓨터가 구동되고 윈도우가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고, 둘째는 컴퓨터의 윈도우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컴퓨터의 일반적인 기능은 구동되지만 고유 인증키를 입력하여야만 동영상 촬영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자의 실시 태양이 안전한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상기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11)은 장례식장 동영상 촬영 전용으로 설치된 것이기 때문에 전자의 실시 태양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후자의 방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에 방해가 되지 아니한다.
관리 서버(30)는 상기 장례식장 내에, 상기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 및 상기 디지털카메라를 설치하는 시스템 관리자의 서버이다. 관리 서버(30)는 장례식장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31), 고유 인증키 데이터베이스(32) 및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 및 디지털카메라 등의 장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또는 관리작업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 과금 데이터베이스 등 기타 데이터베이스(33)를 포함한다. 상기 고유 인증키 데이터베이스(32)는 수만 개 이상의 고유 인증키가 저장되어 있으며, 고유 인증키에 대한 정보는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11)에 설치 저장된 고유 인증키를 매치시키는 테이블로 조직될 수 있다. 또한, 고유 인증키 추출 이벤트가 해당 고유 인증키, 이를 사용한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11) 등에 대한 식별표지와 함께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한 번 사용한 고유 인증키가 다시 추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에 의해 추출된 고유 인증키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로 이동 통신 회사의 기지국(25)을 거쳐, 장례식장 운영자의 기등록된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된다. 이동 통신 단말로 수신한 상기 고유 인증키가 사용하고자 하는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11)로 입력됨으로써 소정의 장례식장 촬영이 개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즈니스 모델의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되는 장례식장(110)과 본 시스템을 운영하는 관리자(200)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편의상 인적 관계로 표현하였으나, 실제 비즈니스 모델에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시스템의 물적인 구성요소로 편입된다.
시스템 관리자(200)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촬영 시스템에 필요한 각종 기기(장례식장 단말 및 디지털 카메라 등의 하드웨어 기기와 이 기기에 설치되는 응용 소프트웨어 등)을 무상으로 구축해 줄 수 있다. 또한, 구축 이후의 유지보수를 무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대신에, 장례식장의 고객(상주 또는 유가족)으로부터 결제된 수수료 중 일부를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시스템 관리자(200)의 계좌로 이체하여, 관리 운영에 필요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예컨대 장례식장 단말 1개당 1회의 촬영에 대한 수수료 배분율을 20%로 정할 수 있다.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에 대한 촬영 횟수는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될 것이다(정확하게는 고유 인증키의 SMS 전송 횟수에 의해 카운팅 될 것이다). 장례식장(100)이 상주나 유가족으로부터 장례식장 무인 촬영 및 파일 제공 서비스에 대한 수수료를 계좌이체 또는 신용카드 결제 등으로 25만원 결제받았다면, 세팅된 20% 수수료 배분율에 따라서 5만원이 시스템 운영자 계좌로 이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층적인 결제 시스템을 통하여, 장례식장(100) 운영자는 서비스를 판매하는 것만으로는 20만원의 신규 매출이익을 창출할 수 있고, 시스템의 설치 및 관리는 무상으로 시스템 관리자(200)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그 매출이익은 장례식장(100)의 순이익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수료 배분율에 의해 수수료가 정확히 배분되기 위해서는 장례식장(100) 내에 설치되는 장례식장 단말의 촬영 회수가 정확히 카운팅되며, 그 동작이 제어될 필요가 있다. 이는 시스템 관리자(200)에 의한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의 설치시에 동반되는 고유 인증키에 의해 기동되는 응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 되며, 고유 인증키의 전송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고유한 방법에 의해 장례식장 내부에서 다수의 빈소와 다수의 단말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공사를 하지 않아도 된다.
장례식장(100)은 시스템 관리자(200)에게 촬영 리퀘스트를 전송한다. 촬영 리퀘스트는 인터넷, 모바일, 일반 전화망 등 유무선 망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리퀘스트에 따라서 시스템 관리자(200)는 자동으로 인증키 SMS를 장례식장(100)의 기저장된 이동 통신 단말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소정의 수수료를 시스템 관리자(200)의 계좌로 입금한다. 이것이 1회의 촬영에 대한 프로세스이며, 장례식장에는 다수의 빈소와 이에 따른 다수의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11)이 존재하고, 1회의 촬영은 통상 2박 3일로 제한되기 때문에, P회(P는 1보다 큰 정수)의 프로세스가 반복될 것이다.
도 3은 장례식장 내부의 컴퓨터 단말(11)에서 촬영을 개시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보다 소상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절차는 컴퓨터 단말(11)에 미리 설치되는 응용 소프트웨어에 의해 프로그램되어 있다. 시스템이 구축되고, 고객(상주나 유가족)에 의한 서비스 요청이 존재하여 인증키를 관리 서버에 요청하는 등의 촬영이 준비되면(S100), 장례식장의 이동 통신 단말은 관리 서버로부터 고유 인증키를 SMS 문자 메시지로 수신한다(S110).
다음으로,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에 수신받은 고유 인증키를 입력한다(S120). 고유 인증키가 입력되면,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은 해당 인증키 데이터가 저장된 다 수의 고유 인증키 데이터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30), 일치하지 않으면 종료하고 데이터가 상호 일치하면 장례식장 촬영 소프트웨어의 구동을 개시하여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촬영을 개시한다(S140).
다음으로, 상기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은 해당 촬영 시간(T)이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세팅된 기준 시간(To)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50), T<To이면 계속 촬영하고, T≥To이면 촬영을 종료한다. 이와 같은 같이하여 미리 세팅된 시간 범위 내에서만 촬영 동작을 하도록 구성한다. 촬영이 종료되면 동영상 파일들은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에 저장되며, USB 메모리, 이동식 하드디스크 등의 매체에 상기 파일을 저장하여 상주 또는 유가족에게 전달될 수 있다.
도 3이 단위 빈소에서 거행되는 소정의 장례식을 촬영하는 단말 측에서의 프로세스였다면, 도 4는 관리 서버에서의 개략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관리 서버가 장례식장으로부터 유무선 수단에 의해 인증키 전송 리퀘스트를 수신하면(S200), 관리 서버는 고유 인증키 데이터베이스에서 고유 인증키를 추출하고(S210), 기등록된 장례식장 운영자의 이동 통신 단말, 즉 장례식장 회원 휴대폰으로 추출한 고유 인증키를 SMS 문자 메시지로 전송한다(S220). 그리고 고유 인증키 전송 이벤트는 과금 데이터베이스에 함께 기록된다(S230). 또한, 관리 서버의 위와 같은 프로세스에 과금 프로세스가 병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에 의해 제 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례식장과 시스템 관리자의 비즈니스 모델에서의 작용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에서의 개략적인 촬영 프로세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의 촬영을 위한 관리 서버에서의 개략적인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Claims (2)

  1. N(N은 1보다 큰 정수이다)개의 장례식장;
    상기 장례식장 내부의 2개 이상의 빈소 및 식당을 포함한 특정 위치에 설치되며, 고유 인증키의 입력에 의해 1회의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된 2개 이상의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
    상기 장례식장 단말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해당 위치의 촬영 각도 내의 장례 동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장례식장 단말로 전송하는 디지털 카메라;
    상기 장례식장 운영자의 이동 통신 단말; 및
    상기 장례식장 내에, 상기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 및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설치하는 시스템 관리자의 서버로서, 상기 장례식장에 대한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고유 인증키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고유 인증키 데이터베이스에서 고유 인증키를 추출하여 이것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SMS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장례식장에서 1회의 장례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리퀘스트가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되는 경우, 상기 관리 서버는 1개의 고유 인증키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SMS 송신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 수신된 고유 인증키를 상기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에 입력함으로써 1회의 장례 동영상 촬영이 허용되도록 하며,
    상기 고유 인증키가 입력됨에 따라서 촬영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상기 장례식장 컴퓨터 단말에 설치된 프로그램은, 미리 세팅된 시간 범위 내에서만 촬영 동작을 하도록 시간 제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례식장 무인 촬영 시스템.
  2. 삭제
KR1020090027280A 2009-03-31 2009-03-31 장례식장 무인 촬영 시스템 KR101044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280A KR101044107B1 (ko) 2009-03-31 2009-03-31 장례식장 무인 촬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280A KR101044107B1 (ko) 2009-03-31 2009-03-31 장례식장 무인 촬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943A KR20100108943A (ko) 2010-10-08
KR101044107B1 true KR101044107B1 (ko) 2011-06-28

Family

ID=4313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280A KR101044107B1 (ko) 2009-03-31 2009-03-31 장례식장 무인 촬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1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667A (ko) * 2002-09-13 2002-10-12 고호영 영안실의 도난 방지 및 고인을 위한 편집시스템
JP2004194203A (ja) * 2002-12-13 2004-07-08 Canon Inc 撮影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334482A (ja) 2006-06-13 2007-12-27 Photo Mameda Biko:Kk 写真アルバム作成システム
KR20080078544A (ko) * 2007-02-12 2008-08-27 이갑형 모바일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667A (ko) * 2002-09-13 2002-10-12 고호영 영안실의 도난 방지 및 고인을 위한 편집시스템
JP2004194203A (ja) * 2002-12-13 2004-07-08 Canon Inc 撮影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334482A (ja) 2006-06-13 2007-12-27 Photo Mameda Biko:Kk 写真アルバム作成システム
KR20080078544A (ko) * 2007-02-12 2008-08-27 이갑형 모바일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943A (ko)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4858B2 (en) Real estate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program
CN104182798B (zh) 基于移动设备的自助订房方法及系统
CN105405296A (zh) 基于车牌识别的车辆控制进出系统及其方法
US9158780B2 (en) Information storage device and information service system
WO2017019938A9 (en) Integrated mobile parking and enforcement system
KR102325686B1 (ko) 제사식장을 이용한 제사 대행 시스템
JP202007181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端末
CN101923671A (zh) 数字社区综合服务系统
CN111369268A (zh) 房屋装修勘察系统
CN107886437A (zh) 主动查勘处理方法、系统、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2016126414A (ja) 顔照合システムおよび娯楽施設のサービス提供方法
CN104537006A (zh) 一种新型房产全景展示方法
KR101773320B1 (ko)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JP3234061U (ja) 遠隔臨場検査監督システム及び装置
KR101044107B1 (ko) 장례식장 무인 촬영 시스템
AU2014371881B2 (en) Mobile terminal, wo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ork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work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KR20220033706A (ko) 온라인 장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JP2023157932A (ja) 顔認証登録装置および顔認証登録方法
KR20200033608A (ko) 공간 대여 시스템
KR101229861B1 (ko) 원격 문상방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문상시스템
CN104935756B (zh) 用于在单呼叫中收集机密数据的系统和方法
CN107251067A (zh) 前端交易系统
KR20100107126A (ko) 사이버 빈소를 지원하는 무인 촬영 시스템
JP6522691B2 (ja) 人員在否確認システム
KR20200113855A (ko) 유기동물 후원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동물 후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