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320B1 -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320B1
KR101773320B1 KR1020170015830A KR20170015830A KR101773320B1 KR 101773320 B1 KR101773320 B1 KR 101773320B1 KR 1020170015830 A KR1020170015830 A KR 1020170015830A KR 20170015830 A KR20170015830 A KR 20170015830A KR 101773320 B1 KR101773320 B1 KR 101773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eral
menu
setting
resid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해정
Original Assignee
오해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해정 filed Critical 오해정
Priority to KR1020170015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상의 가상 공간에 빈소를 구축하고, 구축된 가상 공간의 빈소에 대한 알림메시지를 발송하며, 인터넷을 통해 조문 및 조의금을 지불할 수 있고, 사진 등을 첨부하여 추모록을 작성할 수 있는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은, 상주단말기, 조문객단말기 및 장례식장구축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례식장구축서버는 접속에 따라 상주 또는 조문객인지를 판단하여 상주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주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조문객인 것으로 판단되면 조문객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되, 상기 상주 인터페이스에는 장례방식을 선택하고, 선택된 장례방식에 해당되는 제례용품을 설정하는 빈소구축메뉴; 사진 또는 동영상의 업로드 여부를 설정하는 추모록설정메뉴; 조의금 정보를 설정하는 조의금설정메뉴; 상기 조문객단말기로 발송되는 안내메시지 정보를 설정하는 안내메시지 설정메뉴; 및 상기 조문객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추모록을 확인하는 추모록확인메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문객인터페이스에는 상기 빈소구축메뉴를 통해 구축된 빈소에 입장하는 빈소입장메뉴; 상기 추모록설정메뉴를 통해 설정된 추모록에 추모글을 작성하는 추모록작성메뉴; 및 상기 조의금설정메뉴에 의해 설정된 정보로 조의금을 지불하는 조의금지불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CONSTRUCTING VIRTUAL FUNERAL PARLO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넷상의 가상 공간에 빈소를 구축하고, 구축된 가상 공간의 빈소에 대한 알림메시지를 발송하며, 인터넷을 통해 조문 및 조의금을 지불할 수 있고, 사진 등을 첨부하여 추모록을 작성할 수 있는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인구 사회적 환경변화와 경제발전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장례 환경 또한 급격히 변화고 있다. 즉, 핵가족화, 가족구조 변화 및 경제활동 인구의 증가 등으로 장례문화가 편리주의로 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득수준의 증가와 문화수준의 향상으로 장사수요가 고급화, 다양화되고 있으며, 이 같은 상황은 향후 저출산 고령사회의 진입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장례문화를 사회적인 측면으로 살펴보면, 고인에 대한 애도와 함께 고인으로 보내주는 의례라는 점, 유족들로 하여금 고인을 잃은 슬픔으로부터 정상적인 생활을 하도록 도와준다는 점 및 죽음에 대한 인식을 통해 현재의 삶을 더욱 의미 있게 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죽음을 다루는 장례문화는 고인을 애도하고 유족들의 안부를 물으며, 조의금을 전달하기 위해서 직접 빈소를 찾는 형태의 조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장례문화에 따른 장례식 기간은 일반적으로 3일째에 발인을 진행하게 되는 데, 사회적 활동 범위가 증가하면서 시간 또는 거리 등의 제약에 따라 장례식 기간에 빈소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인터넷을 통해 조의를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장례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인터넷을 통해 조의를 수행할 수 있는 장례 시스템 중 하나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1331호에 인터넷 기반의 결혼 및 장례 절차 지원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장례/혼례 절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인터넷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CCTV, 표시장치 및 단말기 등을 구비하여 온라인을 통해 조의를 표하거나 조의금을 송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조의를 수행할 수 있는 장례 시스템 중 다른 하나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7610호에 사이버 문상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상주의 접속을 허용하고 사이버 조문을 위한 사이버 빈소를 등록하는 상주 인터페이스부와; 조문객의 접속을 허용하여 상기 빈소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선택된 빈소에 대한 조문 서비스 목록을 제공하는 조문객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등록된 빈소를 저장하여 채널을 할당하고, 조문객의 문상 메시지 전송 또는 영상 통화 요청 및 부의금 지불 중 선택된 하나의 서비스를 처리하는 조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들은 빈소를 구성하기 위한 세부적 내용이 배제되어 있어 특정 장례절차에 대한 진행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례식의 상주가 여러 명인 경우 상기의 종래 기술로는 각 상주의 조문객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0-0121331 A (2010. 11. 17.) KR 10-2012-0097610 A (2012. 09. 05.)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소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터넷상의 가상 공간에 선택된 장례방식 대한 빈소를 구축할 수 있는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주에 대응되는 각각의 조문객에게 구축된 가상 공간의 빈소를 안내하는 알림메시지를 조문객단말기로 개별 발송하여, 조문객단말기를 이용한 가상 공간의 빈소에 접속할 수 있는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아울러, 인터넷을 통해 조문 및 조의금을 지불할 수 있고, 사진 등을 첨부하여 추모록을 작성할 수 있는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은, 상주단말기, 조문객단말기 및 장례식장구축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례식장구축서버는 접속에 따라 상주 또는 조문객인지를 판단하여 상주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주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조문객인 것으로 판단되면 조문객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되, 상기 상주 인터페이스에는 장례방식을 선택하고, 선택된 장례방식에 해당되는 제례용품을 설정하는 빈소구축메뉴; 사진 또는 동영상의 업로드 여부를 설정하는 추모록설정메뉴; 조의금 정보를 설정하는 조의금설정메뉴; 상기 조문객단말기로 발송되는 안내메시지 정보를 설정하는 안내메시지 설정메뉴; 및 상기 조문객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추모록을 확인하는 추모록확인메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문객인터페이스에는 상기 빈소구축메뉴를 통해 구축된 빈소에 입장하는 빈소입장메뉴; 상기 추모록설정메뉴를 통해 설정된 추모록에 추모글을 작성하는 추모록작성메뉴; 및 상기 조의금설정메뉴에 의해 설정된 정보로 조의금을 지불하는 조의금지불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빈소구축메뉴에는 불교식, 기독교식 및 천주교식 중에서 선택되도록 표시되는 장례방식선택 인터페이스; 및 상기 장례방식선택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장례방식에 대응하여 빈소의 전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천정부, 바닥부 및 배면부에 배치되는 장례용품을 표시하는 빈소설정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모록설정메뉴에는 추모 글자수 설정, 사진 업로드 설정 및 동영상 업로드 설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주단말기 복수의 상주에 따라 복수 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주에 대응하여 추모록설정메뉴, 조의금설정메뉴 및 안내메시지 설정메뉴가 개별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방법은 (a) 상기 상주단말기 또는 조문객단말기로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장례식장구축서버에 접속하는 접속단계; (b) 상기 접속단계의 인증을 통해 상주인 것으로 판단되면, 등록된 상주 중에서 해당 상주를 선택하는 상주선택단계; (c) 상기 상주선택에 따라 선택된 해당 상주에 대한 빈소 구축메뉴, 추모록 설정메뉴, 조의금 설정메뉴, 안내메시지 설정메뉴 및 추모록 확인 메뉴를 표시하는 상주메뉴 표시단계; (d) 상기 접속에 따라 인증과정을 통해 조문객인 것으로 판단되면, 빈소 입장메뉴, 추모록 작성메뉴 및 조의금 지불메뉴를 포함하는 조문객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조문객인터페이스 표시단계; 및 (e) 구축된 빈소에 대한 기간이 만료된 경우, 상기 빈소의 구축된 기간동안 설정된 빈소의 정보 및 저장된 추모록을 컴퓨터에서 읽기 가능한 파일로 생성하는 장례정보파일생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간 및 거리의 제약을 받지않는 인터넷 가상 공간에 유족의 장례방식에 대응하는 빈소를 구축할 수 있으므로, 쉽고 편리하게 조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주 각각에 연계되는 조문객단말기로 가상 공간에 구축된 빈소를 안내할 수 있고, 가상 공간의 빈소를 방문한 조문객을 상주별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에 적용된 장례식장구축서버에서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에 적용된 일 실시 예의 초기 인터페이스, 상주로 로그인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의 인터페이스 및 장례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에 적용된 일 실시 예의 작성된 알림메시지 및 조문객단말기에 표시되는 일 실시 예의 알림메시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에 적용된 작성된 추모록을 확인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에 적용된 조문객단말기의 일 실시 예의 초기 인터페이스 및 빈소에 입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에 적용된 추모록 작성의 일 실시 예의 인터페이스 및 조의금을 지불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방법에서 빈소구축에 대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방법에서 조의금설정에 대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방법에서 안내메시지설정에 대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방법에서 조문객인터페이스의 표시에 대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인터넷상의 가상 공간에 빈소를 구축하고, 구축된 가상 공간의 빈소에 대한 알림메시지를 발송하며, 인터넷을 통해 조문 및 조의금을 지불할 수 있고, 사진 등을 첨부하여 추모록을 작성할 수 있는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은 상주단말기(100), 조문객단말기(200) 및 장례식장구축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주단말기(100) 및 조문객단말기(200)는 상기 장례식장구축서버(300)에 접속하여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상 빈소를 구축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것으로서,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 (Enterprise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 또는 Portable Navigation Device), 휴대용 게임 콘솔(Handheld Game Console),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및 e-북(e-Book) 중에서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주단말기(100) 및 조문객단말기(200)의 구분은 상기 장례식장구축서버(300)에 접속하여 인증을 통해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원가입 등의 인증과정을 통해 인증받은 아이디(ID, identification)로 접속한 경우에는 상주단말기(100)로 판단하고, 손님(Guest)으로 접속한 경우에는 조문객단말기(200)로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인증받은 상기 아이디로 다수의 상주가 등록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례식장구축서버(300)는 상기 상주단말기(100) 및 조문객단말기(200)의 접속을 허용하고, 상기 상주단말기(100) 및 조문객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요청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단말기 확인부(301), 회원DB(302), 장례식장정보DB(303) 및 인터페이스부(3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말기 확인부(301)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단말기를 확인하여 상주인지 또는 조문객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 확인부(301)의 확인을 통해 단말기를 인증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회원DB(302)가 구비된다.
회원DB(302)에는 가입 또는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 관리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상주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가입된 회원은 인증 또는 요청에 의해 상주로서 권리를 획득하게 된다.
인터페이스부(304)는 상기 단말기 확인부(301)에서 확인된 결과에 따라 상주인 것으로 판단되게 되면 상주인터페이스(310)를 표시하고, 조문객인 것으로 판단되게 되면 조문객인터페이스(320)를 표시하게 된다.
즉, 단말기를 통해 장례식장구축서버(300)에 동일한 아이디로 접속되면 상기 장례식장구축서버(300)는 상주단말기(100)로 판단하여 그에 대응되는 상주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인증된 아이디가 아닌 손님으로 접속되면 조문객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되는 상주인터페이스(310) 및 조문객인터페이스(320)는 장례식장DB(303)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표시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에 적용된 장례식장구축서버에서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주인터페이스(310)에는 빈소구축메뉴(311), 추모록설정메뉴(312), 조의금설정메뉴(313), 안내메시지설정메뉴(314) 및 추모록확인메뉴(31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빈소구축메뉴(311)는 장례정보를 입력하고, 장례방식을 선택하며, 선택된 장례방식에 해당되는 제례용품을 설정하여 가상의 빈소를 구축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례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장례정보 입력인터페이스, 장례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장례방식 인터페이스 및 선택된 장례방식에 대응되는 장례용품을 배치하기 위한 빈소설정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장례정보에는 고인의 성명과 사회적 명분 등을 포함하는 고인 정보, 상주의 성명과 사회적 명분을 포함하는 상주 정보, 고인과 상주와의 관계,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장례식장 정보 및 발인 정보 등이 표시되고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주 정보에는 상주의 성명, 전화번호, 이메일(e-mail) 및 계좌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장례방식에는 불교식(또는 유교식), 기독교식 및 천주교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각 방식에 따라 배치되는 장례용품이 다르게 구성된다.
기본적인 장례물품에는 초, 촛대, 근조화환, 위패, 근조기, 제단, 제수음식, 향로, 향, 혼백, 헌화 및 영정사진이 포함된다.
불교식 장례방식에 사용되는 장례물품에는 상기 기본적인 장례용품에 더하여 불교(유교)식 장례용품이 추가되고, 마찬가지로 기독교식 장례방식에는 상기 기본적인 장례용품에 더하여 기독교식 장례용품이 추가되며, 천주교식 장례방식에는 상기 기본적인 장례용품에 더하여 천주교식 장례용품이 추가된다.
추가되는 불교식 장례용품에는 불교식 배경음악, 불상 및 불경 등이 포함되고, 추가되는 기독교식 장례용품에는 기독교식 배경음악, 십자가 및 성경 등이 포함되며, 추가되는 천주교식 장례용품에는 천주교식 배경음악, 성모마리아상 및 성수세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장례물품 중에서 영정사진은 상주단말기(100)를 통해 업로드 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빈소설정 인터페이스는 상기 장례방식선택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장례방식에 대응하여 빈소의 전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천정부, 바닥부 및 배면부에 배치되는 장례용품이 선택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에서 기본적인 장례물품과 각 장례방식에 따른 추가되는 장례용품은 전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선택된 장례용품이 배치되는 전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천정부, 바닥부 및 배면부에 대한 배경 이미지는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장례식장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장례식장의 사진(이미지)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프라인의 장례식장 빈소 사진을 데이터로 저장하고, 입력된 장례식장 정보와 저장된 장례식장을 비교하여 동일한 장례식장인 경우, 해당되는 빈소 사진을 전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천정부, 바닥부 및 배면부에 대한 배경 이미지로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좌측면부와 우측면부 각각에는 상주를 표시하는 아바타, 고인을 추모하는 그림, 사진 및 장례정보 등이 선택되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천정부에는 조명, 예를 들면 샹들리에가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바다부에는 타일 및 돗자리 등이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배면부(전면부에 마주하는 면)에는 부조함 및 방명록 등이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빈소의 전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천정부, 바닥부 및 배면부의 각 6면은 펼침상태의 평면도로 표시되고, 선택된 면에 대하여 배치 가능한 장례용품이 표시되고 이를 선택하는 것으로 빈소가 설정될 수 있으며, 각 면에 대한 장례용품이 모두 선택되면, 평면상에 구현된 장례용품은 입체형상의 가상 현실로 구현(360 VR)되어 상기 장례식장정보DB(303)에 저장 관리된다.
추모록설정메뉴(312)는 조문객이 추모록을 작성하기 위한 기본 사항을 설정하는 것으로서, 추모록설정메뉴(312)에는 추모글자수 설정, 사진업로드 여부 설정 및 동영상 업로드 여부 설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조의금설정메뉴(313)는 조의금을 지불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의금의 지불은 핀테크(fintech) 및 무통장 입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핀테크는 IT기술 등을 활용하여 지급지불 등의 금융서비스를 직접제공하는 것으로서, 계좌번호없이 모바일 전화번호로 인터넷 송금이 가능한 토스(Toss)를 포함하여 페이나우(Paynow), 카카오페이(kakaopay) 및 페이코(payco) 등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의 무통장 입금은 거래 은행을 이용하여 상주의 예금 계좌로 입금하는 것으로서, 공지의 기술에 해당되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안내메시지설정메뉴(314)는 상기 조문객단말기로 발송되는 안내메시지 정보를 설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빈소구축메뉴(311)를 통해 입력된 장례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빈소구축메뉴(311)를 통해 입력된 장례정보에서 상주의 성명, 고인과의 관계, 발인날짜, 오프라인의 장례식장 정보, 상주 전화번호 및 오프라인 장례식장 전화번호 등을 검출하여 자동으로 안내메시지가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메시지에는 상기 빈소구축메뉴(311)에서 구축된 가상의 빈소로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안내메시지가 발송되는 조문객단말기(200)에 대한 정보는 상주단말기(100)의 전화번호부와 연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주단말기(100)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 상주단말기(100)로부터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안내메시지가 발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조문객단말기(200)에 대한 안내메시지의 중복 발송을 방지하기 위해 안내메시지가 발송되는 전화번호를 임시저장하고 기 발송된 조문객단말기(200)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조문객단말기(200)의 전화번호는 발송이 보류되거나 취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모록확인메뉴(315)는 상기 조문객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추모록을 확인하는 것으로서, 조문객단말기(200)를 통해 조문객이 작성한 추모글을 확인하게 된다.
조문객인터페이스(320)는 조문객단말기(200)에 표시되는 것으로서, 빈소입장메뉴(321), 추모록작성메뉴(322) 및 조의금지불메뉴(323)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빈소입장메뉴(321)는 상기 빈소구축메뉴를 통해 구축된 빈소에 입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빈소입장메뉴(321)에는 구축된 빈소의 입장에 따라 상기 빈소구축메뉴를 통해 구축된 가상의 빈소가 표시된다. 이때, 구축된 빈소는 360 VR로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모록작성메뉴(322)는 상기 추모록설정메뉴(312)를 통해 설정된 추모록에 추모글을 작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추모록설정메뉴(312)에 설정된 정보에 따라 추모글을 작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의금지불메뉴(323)는 상기 조의금설정메뉴(313)에 의해 설정된 정보로 조의금을 지불하는 것으로서, 조의금의 지불은 핀테크(fintech) 및 무통장 입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에 적용된 일 실시 예의 초기 인터페이스(a), 상주로 로그인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의 인터페이스(b) 및 장례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의 인터페이스(c)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기를 통해 상기 장례식장구축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주소로 접속하게 되면, 단말기에는 상주 또는 조문객으로 접속할지에 대한 여부가 초기 인터페이스에 표시(도 3의 (a))되고, 상주를 선택하게 되면 로그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표시(도 3의 (b))된다. 상주로 초기 입장시 고인 성함, 상주 성함, 장례식장(오프라인),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 등을 포함하는 장례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도 3의 (c))가 표시되고, 이에 상주는 상주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각각의 텍스트 창에 내용을 입력하여 장례정보를 설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주가 여러 명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주를 추가하여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주는 동일한 로그인 정보를 통해 상주로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에 적용된 일 실시 예의 작성된 알림메시지 및 조문객단말기에 표시되는 일 실시 예의 알림메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주단말기(100)를 통해 입력된 장례정보에 근거하여 부고문자에 대한 알림메시지가 작성되고, 작성된 알림메시지는 조문객단말기(200)로 전송되어 표시되게 된다.
첨부된 도 4의 (b)를 참조하면, 조문객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알림메시지에는 상주단말기(100)를 통해 입력된 장례정보에 근거하여 작성되고, 이에 더하여 구축된 빈소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가 함께 표시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에 적용된 작성된 추모록을 확인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 5의 (a)는 텍스트만 허용된 상태의 추모록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의 인터페이스이고, 도 5의 (b)는 사진 및 동영상을 모두 업로드 할 수 있도록 설정된 일 실시 예의 인터페이스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상주에게 소정의 과금이 부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에 따른 과금은 빈소에 배치되는 장례용품, 알림메시지의 개수, 추모록 설정정보, 추모록 할당 용량 및 빈소 운영 기간 등에 따라 차등하여 부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에 적용된 조문객단말기의 일 실시 예의 초기 인터페이스 및 빈소에 입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에 적용된 추모록 작성의 일 실시 예의 인터페이스 및 조의금을 지불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방법은 접속단계(S10), 상주선택단계(S20), 상주인터페이스 표시단계(S30), 조문객인터페이스 표시단계(S40) 및 장례정보파일생성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접속단계(S10)
접속단계(S10)는 상주단말기 또는 조문객단말기로 통신망을 통해 장례식장구축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이다.
접속되는 인터넷주소는 상기 장례식장구축서버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등을 통해 상주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고, 회원가입시 입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주를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주의 인증은 아이디 또는 이메일 등의 식별코드와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비밀번호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2. 상주선택단계(S20)
상주선택단계(S20)는 상기 접속에 따라 인증을 통해 상주인 것으로 판단되면, 등록된 상주 중에서 해당 상주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서 상주를 복수로 등록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상주가 1인인 경우 상주선택단계(S20)는 생략될 수 있다.
3. 상주인터페이스 표시단계(S30)
상주인터페이스 표시단계(S30)는 상기 상주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상주에 근거하여 상주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이다.
상기 상주 인터페이스에는 빈소구축메뉴, 추모록설정메뉴, 조의금설정메뉴, 안내메시지설정메뉴 및 추모록확인메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메뉴를 통해 빈소구축, 추모록설정, 조의금설정, 안내메시지설정 및 추모록확인에 따른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고, 각각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를 설정하거나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방법에서 빈소구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빈소구축 과정은 장례식 정보입력단계(S110), 장례방식선택단계(S120), 전면부선택단계(S130), 영정사진업로드단계(S140), BGM선택단계(S150), 잔여면부선택단계(S160) 및 360VR영상저장단계(S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3.1.1. 장례식 정보입력단계(S110)
장례식 정보입력단계(S110)는 장례식과 관련된 장례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입력되는 상기 장례정보에는 고인정보, 상주정보, 고인과 상주와의 관계정보,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장례식장정보, 발인정보, 장지정보 및 빈소 운영기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주정보에는 상주성명,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및 계좌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주가 여러 명인 경우에는 각각 상주별로 상주정보가 저장 관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1.2. 장례방식선택단계(S120)
장례방식선택단계(S120)는 장례 절차에 따라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로서, 장례방식에는 불교(유교)식, 기독교식 및 천주교식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3.1.3. 전면부선택단계(S130)
전면부선택단계(S130)는 구축되는 가상 빈소의 전면부에 배치되는 장례용품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선택된 장례용품은 구축되는 가상 빈소의 전면부 설정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3.1.4. 영정사진업로드단계(S140)
영정사진업로드단계(S140)는 고인의 영정사진으로 업로드하는 단계이다.
이때, 업로드된 영정사진은 전면부 설정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3.1.5. BGM선택단계(S150)
BGM선택단계(S150)는 상기 장례방식선택단계(S120)에서 선택된 장례방식에 근거하여 배경음악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상기 배경음악은 선택된 장례방식에 대한 음악으로 설정되고, 복수 개 중에서 선택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상기 배경음악은 고인이 즐겨 부르던 노래 또는 좋아하던 노래 중에서 선택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3.1.6. 잔여면부선택단계(S160)
잔여면부선택단계(S160)는 정면부를 제외한 좌측면부, 우측면부, 천정부, 바닥부 및 배면부에 배치되는 장례용품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마찬가지로, 선택된 장례용품은 해당 장례용품의 설정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3.1.7. 360VR영상저장단계(S170)
360VR영상저장단계(S170)는 상주단말기의 요청 신호에 따라 구축된 빈소를 입체화된 360VR영상으로 저장하는 단계이다.
이에, 저장된 360VR영상은 상주단말기 및 조문객단말기에 표시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방법에서 조의금설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조의금설정 과정은 등록된 상주를 선택하는 등록상주선택단계(S210) 및 계좌정보입력단계(S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등록상주선택단계(S210)는 등록된 상주를 선택하는 단계로서, 등록된 복수의 상주 중에서 선택하는 단계이고, 계좌정보입력단계(S220)는 선택된 등록상주의 계좌번호, 은행명 및 예금주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이에, 상주가 여러 명 존재하여도 각각의 상주에 대하여 조의금을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방법에서 안내메시지설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안내메시지설정 과정은 등록상주선택단계(S310), 전화번호업로드단계(S320), 장례식정보검출단계(S330), 안내메시지작성단계(S340) 및 안내메시지발송단계(S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3.2.1. 등록상주선택단계(S310)
등록상주선택단계(S310)는 안내메시지를 보내는 주체의 상주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3.2.2. 전화번호업로드단계(S320)
전화번호업로드단계(S320)는 안내메시지를 받는 조문객의 전화번호를 업로드 하는 단계이다.
전화번호의 업로드는 상주단말기(100)와 상기 장례식장구축서버(300)를 연동시켜 상주단말기(100)에 저장된 전화번호가 자동으로 상기 장례식장구축서버(300)에 업로드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업로드된 전화번호는 수정하거나 편집 또는 삭제 등을 통해 조문객을 선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설계조건에 따라서 상기 고인이 사용하던 모바일기기와 장례식장구축서버(300)를 연동하여 고인의 지인에게도 안내메시지가 발송되게 구성될 수 있다.
3.2.3. 장례식정보검출단계(S330)
장례식정보검출단계(S330)는 장례식 정보입력단계(S110)에서 입력된 정보 중에서 안내메시지와 연관되는 장례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이다.
안내메시지와 연관된 상기 장례정보로는 고인 성명, 상주 성명, 고인과 상주와의 관계, 상주 전화번호,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장례식장명 및 발인날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3.2.4. 안내메시지작성단계(S340)
안내메시지작성단계(S340)는 상기 장례식정보검출단계(S330)에서 검출된 정보에 근거하여 안내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이다.
이떼, 작성된 안내메시지에는 상기 구축된 빈소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가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3.2.5. 안내메시지발송단계(S350)
안내메시지발송단계(S350)는 상기 안내메시지작성단계(S340)에서 작성된 안내메시지를 전화번호업로드단계(S320)에서 업로드된 조문객 전화번호의 조문객단말기(200)로 발송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주에 따라 고인과의 관계가 다르고, 상주가 안내해야 하는 조문객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상주는 자신과 고인과의 관계가 입력된 안내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고 이를 각각의 지인에게 장례정보를 안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조문객인터페이스 표시단계(S40)
조문객인터페이스 표시단계(S40)는 상기 접속에 따라 인증과정을 통해 조문객인 것으로 판단되면, 빈소 입장메뉴, 추모록 작성메뉴 및 조의금 지불메뉴를 포함하는 조문객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방법에서 조문객인터페이스의 표시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조문객인터페이스에는 빈소입장메뉴, 추모록작성메뉴 및 조의금지불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메뉴에 대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의금지불 메뉴의 선택에 따라 조의금을 지불하는 과정은 등록된 상주를 선택하는 등록상주선택단계(S41) 및 계좌정보표시단계(S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등록상주선택단계(S41)는 등록된 상주 중에서 조문객에 대응하는 상주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상기 계좌정보표시단계(S42)는 상기 등록상주선택단계(S41)에서 선택된 상주에 대한 계좌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이다.
이에, 조문객은 그 자신 대상의 상주에 대하여 조의금을 지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5. 장례정보파일생성단계(S50)
장례정보파일생성단계(S50)는 빈소 운영에 따라 구축된 빈소에 대한 기간이 만료된 경우, 상기 빈소가 구축된 기간동안 설정된 빈소의 정보 및 저장된 추모록을 컴퓨터에서 읽기 가능한 파일로 생성하는 단계이다.
빈소 운영기간은 장례식 정보입력단계(S110)에서 입력되는 정보이다.
빈소 운영에 따라 구축된 빈소에 대한 기간이 만료되면, 빈소를 구축하여 생성된 빈소 구축정보, 장례식정보 및 추모록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컴퓨터에서 읽기 가능한 파일로 생성한다.
이때, 상기 컴퓨터에서 읽기 가능한 파일은 웹페이지 파일(HTML), 사진 파일(JPG, PNG 등) 또는 PDF 파일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설계조건에 따라서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파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례정보파일생성단계(S50)에서 생성된 장례정보파일은 상기 상주의 이메일로 발송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장례식장구축서버(300)에 접속한 상태에서 다운로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장례정보파일생성단계(S50)는 상기 상주선택단계(S20), 상주인터페이스 표시단계(S30) 및 조문객인터페이스 표시단계(S40) 중 어느 단계에서라도 빈소 운영기간이 종료되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간 및 거리의 제약을 받지않는 인터넷 가상 공간에 유족의 장례방식에 대응하는 빈소를 구축할 수 있으므로, 쉽고 편리하게 조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주 각각에 연계되는 조문객단말기로 가상 공간에 구축된 빈소를 안내할 수 있고, 가상 공간의 빈소를 방문한 조문객을 상주별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상주단말기 200: 조문객단말기
300: 장례식장구축서버 301: 단말기 확인부
302: 회원DB 303: 장례식장정보DB
304: 인터페이스부 310: 상주인터페이스
311: 빈소구축메뉴 312: 추모록설정메뉴
313: 조의금설정메뉴 314: 안내메시지설정메뉴
315: 추모록확인메뉴 320: 조문객인터페이스
321: 빈소입장메뉴 322: 추모록작성메뉴
323: 조의금지불메뉴

Claims (5)

  1. 상주단말기, 조문객단말기 및 장례식장구축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주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가상의 공간에 빈소를 구축할 수 있는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장례식장구축서버는,
    접속에 따라 상주 또는 조문객인지를 판단하여 상주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주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조문객인 것으로 판단되면 조문객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되,
    상기 상주 인터페이스에는,
    장례방식을 선택하고, 선택된 장례방식에 해당되는 제례용품을 설정하며, 선택된 상시 장례방식에 대응하는 배경음악을 선택하는 빈소구축메뉴;
    사진 또는 동영상의 업로드 여부를 설정하는 추모록설정메뉴;
    조의금 정보를 설정하는 조의금설정메뉴;
    상기 조문객단말기로 발송되는 안내메시지 정보를 설정하는 안내메시지 설정메뉴; 및
    상기 조문객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추모록을 확인하는 추모록확인메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문객인터페이스에는,
    상기 빈소구축메뉴를 통해 구축된 빈소에 입장하는 빈소입장메뉴;
    상기 추모록설정메뉴를 통해 설정된 추모록에 추모글을 작성하는 추모록작성메뉴; 및
    상기 조의금설정메뉴에 의해 설정된 정보로 조의금을 지불하는 조의금지불메뉴;
    를 포함하며,
    상기 빈소구축메뉴에는,
    불교식, 기독교식 및 천주교식 중에서 선택되도록 표시되는 장례방식선택 인터페이스; 및
    상기 장례방식선택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장례방식에 대응하여 빈소의 전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천정부, 바닥부 및 배면부에 배치되는 장례용품을 표시하는 빈소설정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추모록설정메뉴에는,
    추모 글자수 설정, 사진 업로드 설정 및 동영상 업로드 설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빈소설정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전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천정부, 바닥부 및 배면부에 대한 이미지는 오프라인 장례식장 빈소 사진을 배경 이미지로하여 표시되고, 상기 전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천정부, 바닥부 및 배면부의 각 6면은 펼침상태의 평면도로 표시되며, 선택된 면에 대하여 배치 가능한 장례용품이 표시되고, 표시된 상기 장례용품의 선택에 따라 빈소가 설정되되, 평면상에 구현된 장례용품은 입체형상의 가상 현실(360VR)로 구현되어 장례식장정보DB에 저장 관리되고, 상기 장례식장정보DB에 저장된 입체형상의 가상 현실은 상기 상주단말기 및 조문객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장례식장구축서버는,
    빈소 운영에 따라 구축된 빈소에 대한 기간이 만료되면, 빈소를 구축하여 생성된 빈소 구축정보, 장례식정보 및 추모록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컴퓨터에서 읽기 가능한 파일로 생성하여, 상기 상주의 이메일로 발송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장례식장구축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주단말기는,
    복수의 상주에 따라 복수 개로 구성되고,
    추모글자수 설정, 사진업로드 여부 설정 및 동영상 업로드 여부 설정을 포함하여 추모록을 작성하기 위한 기본 사항을 설정하는 추모록설정메뉴;
    계좌번호없이 모바일 전화번호로 인터넷 송금이 가능한 토스(Toss), 페이나우(Paynow), 카카오페이(kakaopay) 및 페이코(payco)를 포함하는 핀테크(fintech) 또는 무통장 입금으로 조의금을 지불하기 위한 조의금설정메뉴;
    상기 빈소구축메뉴를 통해 입력된 장례정보에서 상주의 성명, 고인과의 관계, 발인날짜, 오프라인의 장례식장 정보, 상주 전화번호 및 오프라인 장례식장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안내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조문객단말기로 발송되는 안내메시지 정보를 설정하는 안내메시지설정메뉴;
    를 포함하며,
    상기 조의금설정메뉴 및 안내메시지 설정메뉴에서 조의금을 입금받기 위한 상주의 전화번호, 상주의 계좌번호 및 고인과의 관계는 각각의 상주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15830A 2017-02-03 2017-02-03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3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830A KR101773320B1 (ko) 2017-02-03 2017-02-03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830A KR101773320B1 (ko) 2017-02-03 2017-02-03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320B1 true KR101773320B1 (ko) 2017-08-30

Family

ID=59760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830A KR101773320B1 (ko) 2017-02-03 2017-02-03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3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717B1 (ko) * 2019-04-01 2020-02-17 (주)휴피스 자서전, 방명록 및 부의금 송금을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20317A (ko) 2018-08-17 2020-02-26 윤의연 조의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033706A (ko) * 2020-09-10 2022-03-17 윤희중 온라인 장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230130330A (ko) 2022-03-03 2023-09-12 최종훈 메타버스 상의 비대면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2278A (ja) * 2001-01-29 2002-08-09 Baakomu Enterprise:Kk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仮想式典提供装置及び仮想式典提供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2278A (ja) * 2001-01-29 2002-08-09 Baakomu Enterprise:Kk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仮想式典提供装置及び仮想式典提供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317A (ko) 2018-08-17 2020-02-26 윤의연 조의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77717B1 (ko) * 2019-04-01 2020-02-17 (주)휴피스 자서전, 방명록 및 부의금 송금을 이용한 장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33706A (ko) * 2020-09-10 2022-03-17 윤희중 온라인 장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2433414B1 (ko) * 2020-09-10 2022-08-18 윤희중 온라인 장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230130330A (ko) 2022-03-03 2023-09-12 최종훈 메타버스 상의 비대면 장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320B1 (ko) 가상 장례식장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917328B (zh) 远端提供、显示和/或呈现动态信息内容的方法与装置
WO2016063554A1 (ja) 拡張現実システム
KR102182314B1 (ko) 가상현실 영상을 이용한 기록 대상 공간 정보 통합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관리 서버 및 이의 플랫폼 운영 방법
US11635929B2 (en) Memorial facility with memorabilia, meeting room, secure memorial database, and data needed for an interactive computer conversation with the deceased
KR102643718B1 (ko) 비대면 추모 및 주요 장례절차 실시간 스트리밍이 가능한 온라인 장례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서버
US7011230B2 (en) Starsticker vending machine and its information updating method
JP6156859B2 (ja) 異常事態対応システム
JP2021056793A (ja) 参拝システム
KR20180087978A (ko) 고유 id를 이용한 안심 배송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3058922A (ja) テーマパーク施設内管理システム
WO2013127449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associating pictures related to an event
KR101229861B1 (ko) 원격 문상방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문상시스템
US20150032700A1 (en) Electronic interactive personal profile
JP6981520B1 (ja) 施設利用管理システム、施設利用管理方法、及び施設利用管理プログラム
KR20000059101A (ko) 인터넷을 이용한 예식 시스템 및 그 방법
JP6749616B1 (ja) 故人データ管理システム
KR100824002B1 (ko) 경조사비 무인수납시스템
KR20210106765A (ko) 조문 및 온라인 제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JP2021103428A (ja) デジタル葬儀システム
Matsui et al. Museum exhibitions of fossil specimens into commercial products: Unexpected outflow of 3D models due to unwritten image policies
JP2008009579A (ja) インターネット仏壇システム、インターネット墓システムおよび情報配信方法
TW200538990A (en) Vacancy information search system
JP2008243159A (ja) メモリアル情報システム
JPWO2019172326A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