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068B1 - 천남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조성물 - Google Patents

천남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068B1
KR101044068B1 KR1020080070475A KR20080070475A KR101044068B1 KR 101044068 B1 KR101044068 B1 KR 101044068B1 KR 1020080070475 A KR1020080070475 A KR 1020080070475A KR 20080070475 A KR20080070475 A KR 20080070475A KR 101044068 B1 KR101044068 B1 KR 101044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xtract
growth
hair growth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725A (ko
Inventor
이문원
이창현
권경숙
허남욱
임인구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70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068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8Araceae (Arum family), e.g. caladium, calla lily or skunk cabbage
    • A61K36/8884Arisaema, e.g. Jack in the pulp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남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천남성 추출물 및 분획물은 모낭을 성장기 중기 또는 후기로 분화시키며, TGF-β 및 프로락틴을 억제하고, IGF 및 태반성 락토겐을 증가시키며, VEGF, c-kit, PKC-α 및 FGF의 발현을 증가시켜서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남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LOPECIA AND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RISAEMATIS RHIZOMA EXTRACT}
본 발명은 천남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시대가 변하면서 미용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가는 과정에 모발은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모발은 피부 표면에서 생산된 가늘고 각질화된 구조다. 이것은 외부충격에 대한 쿠션 역할과 더불어 직사광선, 한냉, 마찰, 위험 등 외부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신체에 유해한 비소, 수은, 아연 등의 중금속이 체외로 배출되는 기능을 하며 현대에 와서는 장식의 미용 측면도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식생활 변화나 내외적 스트레스 증가를 비롯하여 여러 원인에 의해 탈모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사람의 모발은 약 10만-15만개 정도이며,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성장주기를 가진다. 모발성장주기는 3단계로 구성되는데, 모발이 가장 활발하게 성장하는 성장기(anagen stage), 모발의 퇴화가 시작되는 퇴화기(catagen stage) 및 모발의 성장이 멈추거나 휴식에 접어드는 휴지기(telogen stage)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이러한 주기 중에서 성장기의 모발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의 모발이 많아져 비정상적으로 모발이 탈락하는 숫자가 많아지는 것을 일컫는다.
탈모의 원인으로는 남성호르몬 작용 과잉설, 피지 분비 과잉설, 혈액순환 불량설, 과산화물, 세균 등에 의한 두피 기능 저하설, 유전적 요인, 노화, 스트레스 등이 논의되어 왔으나 현재까지 탈모의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모낭의 성장에는 전환 성장 인자-β(Transform Growth Factor-β, TGF-β), 인슐린양 성장 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IGF), 프로락틴 및 태반성 락토겐(Placenta Lactogen) 등이 중요인자로 작용하는데, TGF-β는 모낭주기 중 퇴행기의 유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Tsuji Y, Denda S, Soma T, Raftery L, Momoi T, Hibino T, A potential suppressor of TGF-beta delays catagen progression in hair follicles, J Investig Dermatol Symp Proc, 2003:8(1):65-68). 모낭의 기질 내에 유도되어 기질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일으켜 성장기의 모낭을 퇴행기로 유발하므로, TGF-β양이 증가하면 모발 기질 세포(hair matrix cell)와 ORS 세포들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며 이에 따라서, 휴지기 모낭이 증가하며 성장기 모낭이 퇴행기 모낭으로 바뀌게 되고 모낭 재생이 불완전하여 재생된 모낭의 크기가 축소하여 쉽게 빠지며 가늘고 짧은 모발이 생성된다(이영주, 이주영, 남성의 안드로겐성 탈모자의 임상적 진단과 관리, 한국미용학회지, 2007:13(2):799-810). 따라서, TGF-β는 모낭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GF는 인슐린양 성장인자로 털의 성장과 피부의 탄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서 최근 연구에서 탈모가 진행 중인 모발에서는 남성호르몬이 DDK-1(Dickkopf-1)의 생성을 유도하며 모발세포의 사멸을 야기하지만, 수염에서는 남성호르몬이 DDK-1을 유도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세포성장에 관여하는 IGF의 발현을 증가시켰다고 보고하였다(Kwack MH, Sung YK, Chung EJ, Im SU, Ahn JS, Kim MK, Kim JC. Dihydrotestosterone-inducible dickkopf 1 from balding dermal papilla cells causes apoptosis in follicular keratinocytes. J Invest Dermatol. 2008;128(2):262-269; Harada N, Okajima K, Narimatsu N, Kurihara H, Nakagata N, Effect of topical application of raspberry ketone on dermal produc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1 in mice and on hair growth and skin elasticity in humans, Growth Horm IGF Res, 2008).
프로락틴 역시 털의 성장조절에 관여하는데, 프로락틴은 뇌하수체 이외의 태반, 유선, 뇌 및 림프구에서 많이 발견되는 것으로 모낭의 성장과 발생을 조절한다. 모낭주기의 휴지기에서는 약한 면역반응을 나타내나 성장기 초기와 말기에는 내,외모근초에서 강한 면역반응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Foitzik K, Krause K, Nixon AJ, Ford CA, Ohnemus U, Pearson AJ, Paus R, Prolactin and its receptor are expressed in murine hair follicle epithelium, show hair cycle-dependent expression and induce catagen, Am J Pathol, 12003:62:1611-1621).
혈관 내피 성장 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는 혈관 내피세포의 활성을 유도하거나 증식 및 이주에 관여하여 혈관을 재생시키며, 혈관재생에 필요한 기질의 단백질용해와 관련된 단백질분해효소(protease)의 생산을 자극하고 혈관 투과성을 항진 시켜 모발의 성장기를 유발시킨다 (Detmar M. Molecular regulation of angiogenesis in the skin. J Invest Dermatol. 1996;106:207-208)
줄기세포인자 수용체(Stem Cell Factor Receptor, c-kit)는 키트-티로신 키나제 수용체(Kit-tyrosine kinase receptor)를 가진 피부의 비만세포와 멜라닌 세포의 성숙과 증식을 조절하는 물질로 상피 혹은 간엽에서 유래한 간세포 요소에 반응한다. 이러한 인자들은 생장기 모낭에서 강한 면역반응을 나타내며, 주로 색소침착부위나 진피유두에 강한 양성반응을 나타낸다고 하였고 털의 성장주기에 의존적으로 강하게 반응을 한다고 하였다(Peters EM, Maurer M, Botchkarev VA, Jensen K, Welker P, Scott GA, Paus P, Kit is expressed by epithelial cells in vivo, J Invest Dermatol, 2003:121:976-984).
단백질 키나제 C-α(Protein Kinase C-α)도 털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피부를 자극하면 털의 성장을 촉진하고 털의 생장기 중기와 말기에 피부 내 농도가 증가하며 퇴행기로 이행하면 감소하게 된다. PKC-α의 증가는 주로 털의 외모근초의 각질세포에서 과발현된다고 알려져 있으며(Li LF, Guo J, Gao ZF, Overexpression of skin protein kinase c-alpha in anagen hair follicles during induced growth of mouse hair, Clin Exp Dermatol, 2003:28:429-433) 발현이 강하면 발모상태와 연관이 깊은 것으로 인식되어 있다.
섬유아세포 증식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FGF)는 혈관내피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는데, 발현이 많이 될수록 발모 혹은 양모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탈모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제제로는 혈행 촉진, 모근 기능 강화, 두피보습 및 남성호르몬 억제를 위한 여성호르몬을 주성분으로 한 제제나 미 녹시딜(minoxidil), 피나스트라이드 (Finasteride), 트리코사카라이드(trichosaccharide)를 함유한 제제 등이 있지만, 부작용 또는 사용상의 주의사항으로 인하여 사용에 많은 제약이 있다.
한편, 천남성(Arisaema amurense Maxim.)은 성은 온하고 미는 고신하며 유독한 것이 특징인데, 주치로는 화담지해, 화담정경, 소종산결 등의 효능이 있는 약물로 특히 생남성의 외용치료는 소종산결, 해독지통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천남성은 피부에 소양감을 일으키는 약물로서, 특히 외과 치료에는 발표창, 악창, 두상생유, 나력초기 등에 응용하였고, 이러한 작용은 생천남성의 분말이 피부에 대한 경도의 자극과 점막에 대한 경도의 미란을 일으키는 특징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천남성의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효과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남성 추출물 및 분획물들이 모낭을 성장기 중기 또는 후기로 분화시키며, TGF-β 및 프로락틴을 억제하고, IGF 및 태반성 락토겐을 증가시키며, VEGF, c-kit, PKC-α 및 FGF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C57BL/6N 정상 생쥐와 자발적으로 발생된 원형탈모 생쥐를 이용하여 확인함으로써,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남성 추출물 또는 천남성 분획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효성분으로서 천남성 추출물 또는 천남성 분획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재료인 천남성(Arisaematis Rhizoma)은 천남성과 다년초 식물인 천남성(Arisaema amurense Maxim.)의 구경을 채취한 것으로서, 성은 온하고 미는 고신하며 유독한 것이 특징인데, 주치로는 화담지해, 화담정경, 소종산결 등의 효능이 있는 약물로 특히 생남성의 외용치료는 소종산결, 해독지통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천남성은 피부에 소양감을 일으키는 약물로서, 특히 외과 치료에는 발표창, 악창, 두상생유, 나력초기 등에 응용하였고, 이러한 작용은 생천남성의 분말이 피부에 대한 경도의 자극과 점막에 대한 경도의 미란을 일으키는 특징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천남성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콜(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콜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리콜, 헥산, 디에틸에테르 또는 부틸에테르 등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천남성 추출물은 천남성을 분쇄하여 1~2배 분량의 에탄올 용액에서 수주간, 바람직하게는 2~4주, 보다 바람직하게는 3주간 침지시킨 후 여과하여 농축 및 건조함으로써 수득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천남성 분획물"은 상기 추출시 이용하였던 용매와 다 른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천남성 추출물"로부터 얻은 활성 분획물을 의미한다. 천남성 분획물을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임의의 추출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콜(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콜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리콜, 헥산, 디에틸에테르 또는 부틸에테르 등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천남성 분획물은 천남성을 분쇄하여 1~2배 분량의 에탄올 용액에서 수주간 침지시킨 후 여과하여 농축 및 건조함으로서 얻은 천남성 추출물에 적당량의 물과 클로로포름을 넣고 분획 깔대기에서 클로로포름층을 분획하여 얻은 클로로포름 분획물, 상기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분획하고 남은 물층에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를 넣고 분획 깔대기에서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분획하여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회수하고 남은 물층을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얻은 물 분획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로는 상술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천남성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상술한 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천남성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 다.
본 발명의 천남성 추출물 및 분획물은 TGF-β 및 프로락틴을 억제하고, IGF 및 태반성 락토겐을 증가시키며, VEGF, c-kit, PKC-α 및 FGF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소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인 천남성추출물 및 분획물의 도포량은 성인 기준으로 40mg/kg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0mg/kg 내지 40mg/kg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모발용 화장료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천남성 추출물 또는 분획물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천남성 추출물 또는 분획물 이외에, 그 작용 (천남성 추출물에 의한 육모 작용)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종래부터 사용되어오던 발모제 또는 탈모방지제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정제수, 일가 알코올류(에탄올 또는 프로필 알코올), 다가 알코올류(글리세롤, 1,3-부티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고급 지방산류(팔미틸산 또는 리놀렌산), 유지류(소맥 배아유, 동백기름, 호호바유, 올리브유, 스쿠알렌, 해바라기유, 마카데미아땅콩유, 아보가드유, 대두 수첨가 레시틴 또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소염제 및 청량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의 제형은 천남성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배합할 수 있는 임의의 제형으로서 탈모방지 또는 발모용 화장품의 형태로는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헤어에어졸, 포마드, 분말, 젤 등과 같이 용액, 솔젤, 에멀젼, 오일, 왁스, 에어졸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천남성 추출물 또는 분획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천남성 추출물 또는 분획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천남성 추출물 또는 천남성 분획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모낭을 성장기 중기 또는 후기로 분화시키며, TGF-β 및 프로락틴을 억제하고, IGF 및 태반성 락토겐을 증가시키며, VEGF, c-kit, PKC-α 및 FGF의 발현을 증가시켜서 생체에서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 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천남성 추출물 및 분획물의 제조
시중에서 구입한 천남성(Arisaematis Rhizoma , 중국) 600g을 분쇄하여 80% 에탄올(에탄올) 용액 1000㎖를 넣고 3주간 침지시킨 후 여과하여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였다. 농축된 시료를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한 후 35g(수득율: 5.83%)의 천남성 추출물을 얻었다.
천남성 분획물을 얻기 위하여, 시중에서 구입한 천남성 1kg을 분쇄하여 80% 에탄올(에탄올)용액 1400㎖를 넣고 3주간 침지시킨 후 여과하여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였다. 농축된 시료를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한 후 56g(수득율: 5.6%)의 시료를 회수하였다. 농축된 시료에 250㎖의 물을 넣은 후 동량의 클로로포름을 넣고 분획 깔대기에서 클로로포름층을 2회 분획하여 회수하였다. 회수된 클로로포름층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8g의 분획물을 회수하였다. 클로로포름으로 분획하고 남은 물층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EtOAc)를 넣 고 분획 깔대기에서 에틸아세테이트를 3회 분획하여 회수하였다. 회수된 에틸아세테이트층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뒤 동결 건조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2g을 회수하였다. 그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고 남은 물층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뒤 동결 건조하여 물 분획물 46g을 회수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제조예 2: 도포액의 제조
천남성 추출물 도포액은 추출물 각각 3g을 50% 에탄올 용액 30ml에 희석하여 피부에 도포하였으며, 천남성 분획물은 각각 2g을 50% 에탄올 용액 30ml에 희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자발적인 원형탈모 생쥐에서의 천남성추출물의 발모현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정상 생쥐에서 사용하였던 같은 농도로 희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실험동물의 준비 및 도포액의 도포
실험동물은 체중 25g 내외의 수컷 7주령 C57BL/6N 정상 생쥐와 21주령 이상의 자발적으로 형성된 원형탈모 생쥐를 이용하였다. 천남성 추출물을 도포할 정상 생쥐를 이용한 실험군은 실험의 정확성을 위하여 모두 출생날짜가 유사한 생쥐를 대조군과 실험군 각각 5마리씩 배정하였다. 천남성 분획물을 도포할 정상 생쥐를 이용한 실험군은 실험의 정확성을 위하여 모두 출생날짜가 유사한 생쥐를 대조군 5마리, 클로로포름 분획물 4마리,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4마리, 물 분획물 4마리로 배정하였다. 21주령 이상의 원형탈모 생쥐는 실험실에서 사육한 암컷 생쥐 중 원형탈모가 발생한 생쥐만을 선발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을 각각 5마리씩 배정하였다.
C57BL/6N 정상 생쥐의 경우 태어나서 털이 나기 시작하여 생후 4주 전후가 되면 털갈이를 하게 되는데, 4주 전후에 털갈이가 이루어지고 나서 이후 털을 깎게 되면 더 이상 특별한 자극이 없는 한 털이 나지 않게 된다. 이것은 털이 휴지기(telogen)를 갖게 되는 것인데, 털은 자발적 또는 인위적인 자극에 의하여 휴지기에서 성장기(anagen)로 유발되는 것으로, 특히 인위적으로 털을 성장시로 유발시킬 때에는 피부에 상처를 내게 한다(Argyris TS, The effects of wounds on adjacent growing or resting hair follicles in mice, Arch Dermatol Symp, 1956:61:31-36; Argyris TS, Kinetics of epidermal production during epidermal regeneration following abrasion in mice, Am J Pathol, 1956:83:329-340). 피부에 외상과 상처를 일으키는 방법에는 털을 뽑거나, 심하게 면도를 하거나 화학물질(부식시키는 물질이나 제모제) 등에 노출시켜 유발시키며 피부에 손상을 주지 않고 털을 깎으면 모낭의 상피에서 새로운 털의 성장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도 이러한 방법으로 털을 제거했다.
정상 생쥐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동물용 클립퍼를 이용하여 털을 깎은후 정상적인 휴지기상태에 있는 생쥐만을 선발하여 실험군을 배정하였다. 또한 원형탈모 군에서는 탈모가 일어난 부위와 그 주위에 도포액을 도포하였다. 모든 실험군에서 도포는 하루 2회씩 오전과 오후에 각각 1회씩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뿌린 후에 면봉을 사용하여 3-4회 문질러 흡수를 촉진시켰다. 정상 생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대조 군에는 50% 에탄올을 피부에 도포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각각의 실험군에는 천남성 추출물 또는 천남성 분획물을 피부에 도포하였다.
실험예 2. 정상 생쥐에서 천남성 추출물의 발모 효과 관찰
1. 피부의 육안 관찰
50% 에탄올을 도포한 대조군과 천남성 추출물을 도포한 실험군에서 9일, 11일 및 15일째 육안 관찰과 함께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발모부위를 촬영하였다.
그 결과, 도포 9일째 대조군에서는 5마리 모두 발모 현상을 전혀 관찰할 수 없었으나(도 1a), 천남성 추출물을 도포한 실험군에서는 피부가 회색으로 변하는 발모 현상이 5마리 가운데 2마리에서는 전체적으로 관찰되었고, 3마리에서는 부분적인 발모현상이 관찰되었다(도 1b). 11일째 및 15일째에도 대조군에서는 모두 육안으로 발모 현상을 관찰할 수 없었으나(도. 2a 및 도 3a), 천남성 추출물을 도포한 군에서는 모두 털을 깎은 부위 전체 또는 일부에서 발모현상이 관찰되었다(도 2b 및 도 3b).
이와 같이, 대조군의 경우 휴지기로 접어들어 인위적인 자극이 없는 한 발모되지 않았던 반면에, 천남성 추출물을 도포한 정상 생쥐에게서는 뚜렷한 발모현상이 관찰됨으로써 상기 결과로부터 천남성 추출물의 발모 촉진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2. 피부 조직의 일반 광학현미경 관찰
정상적인 생쥐의 피부조직 내 모낭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에 각각 50% 에탄올과 천남성 추출물을 도포한 후 11일째 1마리씩 희생시켜 등쪽 피부의 발모된 부위를 척추선에 평행하게 절개하여 완충 포르말린 용액으로 고정하였다. 고정 후 일반적인 방법에 의하여 수세, 탈수과정을 거쳐 파라핀으로 포매하였으며, 포매 후 7㎛의 절편을 제작하여 H&E 염색을 시행하고 모낭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50% 에탄올을 도포한 대조군에서는 휴지기 모낭으로서 어떠한 변화도 관찰할 수 없었으나(도 4a), 천남성 추출물을 도포한 군에서는 전체적으로 성장기 중기나 후기의 모낭으로서 모낭들이 피하층까지 성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b).
3. 천남성 추출물의 피부조직 내 TGF -β, IGF , 프로락틴 및 태반성 락토겐( placenta lactogen)에 대한 RT - PCR 관찰
(1) 실험 방법
정상적인 생쥐에 천남성 추출물을 도포한 후 11일째에 피부를 적출하여 딥 프리저(-70℃)에 보관해 두었다가 피부조직 100mg에 트리졸 1ml을 넣어 호모게나이저로 분쇄하였으며, 제조회사의 방법에 준하여 RNA를 추출하였다. 이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260, 280nm에서 OD값을 측정하여 RNA를 정량화했다. 전체 RNA 1ug으로 ImProm-Ⅱ 역전사효소(Promegar M314A)를 이용하여 제조회사의 방법에 준하여 cDNA를 합성하였고, GoTaq(Promegar M712B)을 이용하여 서멀 사이클러(Perkin Elmer 2400, USA)에서 30 사이클 동안 증폭하였다. 각각의 사이클은 94℃에서 30초간 변성시킨 후, 프라이머에 따라 48-56℃에서 30초간 어닐링시키고, 72℃에서 30초간 연장시켰다. PCR 생성물은 1% 아가로즈 겔에서 전기 영동하였고, 에티디움 브로마이드로 염색을 한 후 Gel Doc(Bio-Rad, USA)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Birch DE, Kolmodin L, Laird WJ, McKinney N, Wong J, Young KKY, Zangenberg GA, Zoccoli MA, Simplified Hot-Start PCR, Nature, 1996: 381:445-446).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는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다.
[표 1] PCR 프라이머
표적 유전자 서열 앰플리콘 크기(bp) 서열번호
GAPDH 순방향 5'-TGCACCACCAACTGCTTAG-3' 177 SEQ ID NO. 1
역방향 5'-GGATGCAGGGATGATGTTC-3' SEQ ID NO. 2
TGF-β 순방향 5'-CCACAACGAAATCTATGACA-3' 245 SEQ ID NO. 3
역방향 5'-ACTCCGCTGACATCAAAAGA-3' SEQ ID NO. 4
IGF-1 순방향 5'-ACATCTCCCATCTCTCTGGA-3' 283 SEQ ID NO. 5
역방향 5'-AAAGAGAGCACACCAGTCCA-3' SEQ ID NO. 6
PRL 순방향 5'-CTCTCAGGCCATCTTGGAGAA-3' 68 SEQ ID NO. 7
역방향 5'-GGCTGACCCCTGGCTGTT-3' SEQ ID NO. 8
PL 순방향 5'-CTTGAGGTGCCGAGTTGTCTT-3' 99 SEQ ID NO. 9
역방향 5'-GGAAAGCATTACAAGTCTGGTTCA-3' SEQ ID NO. 10
(2) 실험 결과
발모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천남성 추출물을 도포한 후 털의 성장과 관련된 사이토카인과 호르몬들의 발현량을 관찰한 결과, 실험군에서 TGF-β의 발현은 대조군의 90%정도였고(도 5), IGF의 발현은 대조군의 145%정도였다(도 6). 실험군에서 프로락틴(PRL)의 발현은 대조군의 약 91%정도였고(도 7) 태반성 락토겐(PL)의 발현은 대조군의 약 108% 정도로 나타났다(도 8).
천남성 추출물을 도포한 실험군에서 TGF-β는 대조군에 비하여 적게 발현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로부터 천남성 추출물이 휴지기 모발로 이행되지 않고 성장기 모발이 유지되게끔 하는 효과, 즉 탈모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털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IGF의 발현은 천남성 추출물의 도포에 의하여 대조군의 145% 정도까지 강하게 발현되어서, 천남성의 발모 유도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프로락틴의 경우, 그 양이 증가되면 털갈이 내지는 탈모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는데, 천남성 추출물은 프로락틴의 양을 감소시켜서 탈모 방지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태반성 락토겐은 털을 뽑은 후 3일째에 20배 정도 증가한 후 빠르게 감소하여 퇴행기에는 다시 급격히 감소한다고 보고되어 있는데(Foitzik K, Krause K, Nixon AJ, Ford CA, Ohnemus U, Pearson AJ, Paus R, Prolactin and its receptor are expressed in murine hair follicle epithelium, show hair cycle-dependent expression and induce catagen, Am J Pathol, 12003:62:1611-1621), 본 실험에서는 그 발현량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서 천남성 추출물의 발모 효과를 뒷받침해 주었다.
실험예 3: 정상생쥐에서 천남성 분획물의 발모 효과 관찰
1. 피부의 육안 관찰방법
정상적인 생쥐의 피부에서 일어나는 발모와 관련된 특징들을 동물용 클립퍼로 털을 깎은 후 분획물을 도포하면서 9일째 육안으로 관찰하면서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발모부위를 촬영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에서는 어떠한 발모현상도 관찰할 수 없었으나(도 9a), 클로 로포름 분획물에서는 4마리 가운데 2마리에서 전체적으로 발모현상이 관찰되었으며(도 9b).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는 4마리 가운데 2마리는 전체적인 발모현상이 관찰되었고, 1마리는 부분적인 발모현상이 관찰되었다(도 9c). 클로로포름과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고 남은 물 분획물에서는 4마리 모두 발모현상이 관찰되었는데, 2마리는 전체적으로 나머지 2마리는 부분적인 발모현상이 관찰되었다(도 9d).
2. 피부조직의 일반 광학현미경 관찰
정상적인 생쥐의 피부조직 내 모낭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천남성 분획물을 도포한 후 9일째에 2마리씩 희생시켜 등쪽 피부의 발모된 부위를 척추선에 평행하게 절개하여 완충 포르말린 용액으로 고정하였다. 고정 후 일반적인 방법에 의하여 수세, 탈수과정을 거쳐 파라핀으로 포매하였으며, 포매 후 7㎛의 절편을 제작하여 H&E 염색을 시행하고, 모낭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50% 에탄올을 도포한 대조군에서는 휴지기 모낭으로서 어떠한 변화도 관찰할 수 없었지만(도 10a), 클로로포름 분획물에서는 휴지기에서 성장기 중기로 성장하여 피부의 피하층까지 성장한 후 모간이 다시 진피층까지 성장하고 있는 단계로 나타났다(도 10b).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는 휴지기에서 성장기 중기로 분화하는 단계로서 모낭이 성장하여 진피층에서 모간이 관찰되었고(도 10c), 클로로포름과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고 남은 물층에서는 발생중인 성장기 중기의 모낭들이 성장하여 모간이 진피층에서 주로 관찰되었고, 일부 모낭의 모간이 진피 층에서도 관찰되었다(도 10d).
따라서, 일반 광학현미경 상에서 각 천남성 분획물들을 도포한 경우에도 천남성 추출물과 유사하게 발모가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클로로포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물층 전반에 걸쳐서 발모가 진행된 것을 알 수 있었다.
3. 피부조직 내 사이토카인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 관찰
(1) 실험방법
정상 생쥐에 천남성 분획물을 도포한 후 9일째에 희생시켜 피부조직 내 털의 성장과 관련된 여러가지 사이토카인을 관찰하기 위하여 토끼 다클론 항체(Santa cruz)인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c-kit, PKC-α(Protein Kinase C-α), TGF(Transform Growth Factor) 및 FGF(Fibroblast Growth Factor) 등을 각각 1;100, 1:50, 1:50으로 희석한 1차 항체를 조직 절편에 떨어뜨려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1차 항체의 희석은 0.1M 인산완충액에 1% 염소 혈청(Vector Laboratories, Inc.)과 0.3% 트리톤 X-100 (Sigma)이 섞여 있는 것을 사용하였다. 그 후 조직 절편들은 실온에서 15분간 2회 0.1M 인산완충액으로 세척하며 Hsu 등의 방법(Hsu SM, Raine L, Fanger H, Use of avidin-biotin-peroxidase complex(ABC) in immunoperoxidase techniques : A comparison between ABC and unlabeled antibody(PAP) procedures. J Histochem Cytochem, 1981: 29:577-580)에 따라 2차 항체인 1:200으로 희석된 비오티닐화 항-토끼 IgG(Vector Laboratories, Inc.)에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다시 15분간 2회 0.1 M 인산완충액 수세과정을 거친 후 퍼옥시다제가 표지된 ABC 용액에 담가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후, 다시 0.1M 인산완충액으로 15분간 2회 수세하고 나서 30mg의 3-3' 다이아미노벤지딘을 150ml의 0.1M 인산완충액에 녹인 용액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과산화수소를 0.005% 되게 첨가하여 갈색의 발색반응을 약 5분간 시행하였다. 반응이 끝난 조직들은 다시 0.1M 인산완충액으로 여러 차례 수세하고 헤마톡실린으로 20초간 대조염색한 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탈수와 투명화를 거친 후 퍼마운트로 봉입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2) VEGF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결과
대조군에서의 VEGF에 표지된 분화세포들은 표피, 돌출부(돌출부), 2차 모배 세포(2차 모배 세포)의 상피세포 및 동피근에서에서 미약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도 11a).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도포한 군에서의 VEGF에 표지된 세포들은 상피세포의 증식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표피에 강한 염색성을 나타내었으며, 진피층과 피하층에 있는 세포와 피하층 아래에 위치한 동피근에서도 강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 또한 성장중에 있는 모낭의 내외모근초에 강한 면역 반응을 나타내었다(도 11b).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도포한 군에서의 VEGF에 표지된 세포들은 표피, 돌출부 및 2차 모배 세포에서 강하게 관찰되었으며, 진피층과 피하층의 경계와 피하층 아래에 위치한 동피근에서도 강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도 11c). 클로로포름과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고 남은 물층에서의 VEGF에 표지된 분화세포들은 상피세포의 증식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표피, 돌출부 및 2차 모배 세포에 강하게 표지되었으며, 진피층과 피하층의 경계와 피하층 아래에 위치한 동피근에서 강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도 11d).
(3) c- kit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에 대한 관찰
대조군에서의 c-kit에 표지된 분화세포들은 표피, 돌출부 및 2차 모배 세포의 상피세포 및 진피층과 피하층의 경계에 있는 세포에서 미약하게 표지되었다(도 12a).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도포한 군에서의 c-kit에 표지된 세포들은 상피세포의 증식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표피, 돌출부 및 2차 모배 세포에 강한 염색성을 나타내었으며, 진피층과 피하층에 있는 세포와 피하층 아래에 위치한 동피근에서는 강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고, 또한 성장중에 있는 모구와 내,외모근초 및 모구에서도 강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도 12b).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도포한 군에서의 c-kit에 표지된 세포들은 표피, 돌출부 및 2차 모배 세포에서 중등도의 염색성을 나타내었으며, 진피층과 피하층의 경계와 피하층 아래에 위치한 동피근에서 중등도의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도 12c). 클로로포름과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고 남은 물층에서의 c-kit에 표지된 분화세포들은 상피세포의 증식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표피, 돌출부 및 2차 모배 세포에서 중등도의 염색성이 관찰되었으며, 진피층의 일부 세포, 진피층과 피하층의 경계 및 피하층 아래에 위치한 동피근에서 미약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 또한 성장중에 있는 모구와 내,외모근초에서도 중등도의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도 12d).
(4) PKC -α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결과
대조군에서의 PKC-α에 표지된 세포들은 표피, 돌출부 및 2차 모배 세포의 상피세포, 진피층, 진피층과 피하층의 경계에 있는 세포에는 미약하게 표지되었다(도 13a).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도포한 군에서의 PKC-α에 표지된 세포들은 상피세포의 증식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표피, 돌출부 및 2차 모배 세포에 강한 염색성을 나타내었으며, 진피층과 피하층에 있는 세포와 피하층 아래에 위치한 동피근에서도 강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고, 또한 성장중에 있는 모구와 내,외모근초에서도 강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도 13b).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도포한 군에서의 PKC-α에 표지된 세포들은 표피, 돌출부 및 2차 모배 세포에서 미약하게 관찰되었으며, 진피층과 피하층의 경계에 있는 세포들은 미약하게 관찰되었으나 피하층 아래에 위치한 동피근에서 중등도의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도 13c). 클로로포름과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고 남은 물층에서의 PKC-α에 표지된 분화세포들은 상피세포의 증식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표피, 돌출부 및 2차 모배 세포에서 약하게 관찰되었으며, 진피층의 일부 세포, 진피층과 피하층의 경계 및 피하층 아래에 위치한 동피근에서도 약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 또한 성장중에 있는 모구와 내,외모근초에서도 약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도 13d).
(5) TGF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결과
대조군에서의 TGF에 표지된 세포들은 표피, 돌출부 및 2차 모배 세포의 상피세포, 진피층, 진피층과 피하층의 경계에 있는 세포에는 미약하게 표지되었다(도 14a).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도포한 군에서의 TGF에 표지된 세포들은 상피세포의 증식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표피, 돌출부 및 2차 모배 세포에 미약한 염색성을 나타내었으며, 진피층과 피하층에 있는 세포에서도 미약하게 관찰되었다. 그러나 피하층 아래에 위치한 동피근과 성장중에 있는 모간의 외모근초에서는 중등도의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도 14b).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도포한 군에서의 TGF에 표지된 세포들은 표피, 돌출부 및 2차 모배 세포에서 미약하게 관찰되었다(도 14c). 클로로포름과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고 남은 물층에서의 TGF에 표지된 분화세포들은 상피세포의 증식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표피, 돌출부 및 2차 모배 세포에서 미약하게 관찰되었으며, 진피층의 일부 세포, 진피층과 피하층의 경계 및 피하층 아래에 위치한 동피근에서도 미약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성장중에 있는 모낭의 외모근초에서는 강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도 14d).
(6) FGF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결과
대조군에서의 FGF에 표지된 세포들은 표피, 돌출부 및 2차 모배 세포의 상피세포에서 강하게 염색되었으나, 진피층, 진피층과 피하층의 경계에 있는 세포에서는 중등도로 표지되었다(도 15a).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도포한 군에서의 FGF에 표지된 세포들은 상피세포의 증식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표피, 돌출부 및 2차 모배 세포에 중등도의 염색성을 나타내었으며, 진피층과 피하층에 있는 세포와 피하층 아래에 위치한 동피근에서는 미약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고, 또한 성장중에 있는 모구와 내,외모근초에서는 중등도의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도 15b).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도포한 군에서의 FGF에 표지된 세포들은 표피, 돌출부 및 2차 모배 세포에서 강하게 관찰되었으며, 진피층과 피하층의 경계와 피하층 아래에 위치한 동피근에서는 강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고, 또한 성장중에 있는 모구와 내,외모근초에서도 강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도 15c). 클로로포름과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고 남은 물층에서의 FGF에 표지된 분화세포들은 상피세포의 증식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표피, 돌출부 및 2차 모배 세포에서 미약하게 관찰되었으며, 진피층의 일부 세포, 진피층과 피하층의 경계 및 피하층 아래에 위치한 동피근에서도 미약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 또한 성장 중에 있는 모구와 내,외모근초에서도 미약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다(도 15d).
실험예 4: 자발적인 원형탈모 생쥐에서 천남성 추출물의 발모 효과 관찰
자발적인 원형탈모 생쥐의 피부에서 일어나는 발모상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천남성 추출물을 도포하면서 7일째까지 50% 에탄올을 도포한 대조군과 비교 관찰하며 육안으로 확인하고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발모부위를 촬영하였다.
실험 개시 전 대조군(도 16a)과 천남성 추출물 도포군(도 16b)을 7일 동안 피부에 도포하면서 육안으로 발모현상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5마리 모두 발모현상을 관찰할 수 없었으나(도 17a), 천남성 추출물을 7일간 도포한 실험군에서는 5마리 가운데 3마리에서(도 17b) 발모현상이 관찰되었다. 즉 자발적으로 발생된 원형탈모 생쥐에서도 천남성 추출물이 발모를 촉진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제예 1
천남성 추출물 5중량%, 디에틸 세바케이트 8중량%, 경납 5중량%,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6중량%, 적량의 벤조산 나트륨과 잔량의 바세린을 혼합하여 천남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연고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95% 에탄올 8g에 폴리피롤리돈 0.05g, 올레일알콜 0.1g,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이트 0.2g, 향료 0.2g,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에스테르 0.1g, 소량의 산화방지제, 소량의 색소를 혼합용해하였다.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천남성 추출물 0.03g, 글리세린 5g을 정제수 85.33g에 용해한 것에 상기 혼합액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용액 제제를 얻었다.
제제예 3
세틸알콜 1.2g, 스쿠알란 10g, 바세린 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2g, 글리세린모노에스테아레이드 1g, 폴리옥시에틸렌(20몰부가)모노올레이트 1g 및 향료 0.1g을 70℃에서 가열, 혼합, 용해하고, 제조예 1에서 수득한 천남성 추출물 0.3g, 디프로필렌글리콜 5g,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2g, 트리에탄올아민 0.2g, 정제수 76.2g을 75℃로 가열해서 용해시켰다. 양자를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냉각하여 수중유(O/W)형의 유액을 얻었다.
도 1 내지 3은 대조군인 담체 50% 에탄올(1a, 2a 및 3a) 및 천남성 추출물(1b, 2b 및 3b)을 C57BL/6N 마우스의 발모된 피부에 도포한 후 각각 9일, 11일 및 15일째 현미경 관찰한 결과이고,
도 4는 대조군인 담체 50% 에탄올(4a) 및 천남성 추출물(4b)을 C57BL/6N 마우스 등쪽 피부의 발모된 부위에 도포하고 11일째 척추선에 평행하게 절개하여 관찰한 사진(H&E, X100)이며,
도 5 내지 8은 50% 에탄올(대조군) 및 천남성 추출물을 C57BL/6N 마우스의 발모된 피부에 도포하고 11일째 TGF, IGF, 프로락틴, 태반성 락토겐의 발현을 비교한 결과이며,
도 9는 대조군인 담체 50% 에탄올(9a)과, 천남성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9b),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9c) 및 물 분획물(9d)을 각각 C57BL/6N 마우스의 발모된 피부에 도포한 후 9일째 현미경 관찰한 결과이고,
도 10은 대조군인 담체 50% 에탄올(10a)과, 천남성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10b),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10c) 및 물 분획물(10d)을 각각 C57BL/6N 마우스의 발모된 피부에 도포한 후 척추선에 평행하게 절개한 절편의 현미경 관찰 사진이며,
도 11 내지 15는 대조군인 담체 50% 에탄올과, 천남성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물 분획물을 각각 C57BL/6N 마우스의 발모된 피부에 도포한 후 9일째 VEGF, c-kit, PKC-α, TGF, FGF 발현을 관찰한 결과이고,
도 16 및 17은 자발적으로 발생된 원형탈모 생쥐에서 실험 개시전(0일째) 및 7일째 대조군(16a, 17a) 및 천남성 추출물 도포군(16b, 17b)을 현미경 관찰한 결과이다.
<110> WOOSUK UNIVERSITY <120>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OPECIA AND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RISAEMATIS RHIZOMA EXTRACT <130> DP080611KR <160> 10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GAPDH <400> 1 tgcaccacca actgcttag 19 <210> 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GAPDH <400> 2 ggatgcaggg atgatgttc 19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TGF-beta <400> 3 ccacaacgaa atctatgaca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TGF-beta <400> 4 actccgctga catcaaaaga 20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IGF-1 <400> 5 acatctccca tctctctgga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IGF-1 <400> 6 aaagagagca caccagtcca 20 <210> 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PRL <400> 7 ctctcaggcc atcttggaga a 21 <210> 8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PRL <400> 8 ggctgacccc tggctgtt 18 <210> 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PL <400> 9 cttgaggtgc cgagttgtct t 21 <210> 1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PL <400> 10 ggaaagcatt acaagtctgg ttca 24

Claims (7)

  1. 천남성(Arisaematis Rhizoma)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남성 추출물이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천남성 추출물이, 분쇄된 천남성을 1~2배 분량의 에탄올 용액에서 2~4주간 침지시킨 후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남성 추출물이, 분쇄된 천남성을 1~2배 분량의 에탄올 용액에서 2~4주간 침지시킨 후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얻은 천남성 추출물에 물과 클로로포름을 넣고 분획 깔대기에서 클로로포름층을 분획하여 얻은 클로로포름 분획물, 상기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분획하고 남은 물층에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를 넣고 분획 깔대기에서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분획하여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회수하고 남은 물층을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얻은 물 분획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 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환 성장 인자-β(Transform Growth Factor-β) 및 프로락틴을 억제하고, 인슐린양 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및 태반성 락토겐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 내피 성장 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줄기세포인자 수용체(Stem Cell Factor Receptor), 단백질 키나제 C-α(Protein Kinase C-α) 및 섬유아세포 증식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액, 크림, 로션, 샴푸, 스프레이, 겔 및 로션 중에서 선택된 형태를 갖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080070475A 2008-07-21 2008-07-21 천남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조성물 KR101044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475A KR101044068B1 (ko) 2008-07-21 2008-07-21 천남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475A KR101044068B1 (ko) 2008-07-21 2008-07-21 천남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725A KR20100009725A (ko) 2010-01-29
KR101044068B1 true KR101044068B1 (ko) 2011-06-23

Family

ID=41817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475A KR101044068B1 (ko) 2008-07-21 2008-07-21 천남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0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087A (ko) 2014-11-05 2016-05-16 조길래 피부자극완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카페오일펜타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346B1 (ko) * 2006-06-14 2007-11-16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한련초, 숙지황, 하수오 및 반하 혼합 생약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비듬, 항염 활성을 갖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346B1 (ko) * 2006-06-14 2007-11-16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한련초, 숙지황, 하수오 및 반하 혼합 생약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비듬, 항염 활성을 갖는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087A (ko) 2014-11-05 2016-05-16 조길래 피부자극완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카페오일펜타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725A (ko) 201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260B1 (ko) 희토원소를 함유하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US5674497A (en) Hair growth promoter comprising extract of mulberry root bark and persimmon and/or paulownia, or extract of persimmon and paulownia
KR20140115400A (ko)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두피케어조성물
US20070190075A1 (en) Hair growth stimulant composition
JP2024069595A (ja) 脱毛防止または毛髪成長促進用の組成物
JP3223404B2 (ja) 育毛・養毛剤
JP2008143784A (ja) 細胞増殖促進剤
US20230363999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growth factor
KR20200013571A (ko) 탈모방지 또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WO2005076757A2 (en) Hair and eyebrow, eyelashes growth stimulater
KR101798632B1 (ko) 피뿌리풀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044068B1 (ko) 천남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조성물
CN109952111B (zh) 包括假俭草提取物或其分离物作为活性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脱发的药物组合物
JP5259127B2 (ja) ツツジ科エリカ属植物由来成分を少なくとも含む外皮系組織用組成物
JP7135106B2 (ja) 頭皮頭髪用組成物
KR102142228B1 (ko) 초유, 비오틴 및 과라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능을 갖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47461B1 (ko)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297641B1 (ko) 복분자 추출물 함유 조성물
KR20190130543A (ko)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080097314A (ko)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수축용 화장료조성물
EP0958808A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inhibiting unwanted hair growth
KR102406692B1 (ko) 콩발아배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3542700B2 (ja) 頭部用組成物
KR101910595B1 (ko) 터티오펜 유도체를 함유하는 탈모치료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074314B1 (ko) 탈모방지 또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