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945B1 - 전철기 상판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철기 상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945B1
KR101043945B1 KR1020110008269A KR20110008269A KR101043945B1 KR 101043945 B1 KR101043945 B1 KR 101043945B1 KR 1020110008269 A KR1020110008269 A KR 1020110008269A KR 20110008269 A KR20110008269 A KR 20110008269A KR 101043945 B1 KR101043945 B1 KR 101043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liding
rail
roll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봉길
오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베스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베스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베스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08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0Safety means for switches, e.g. switch point protectors, auxiliary or guiding rai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6Rail fastenings allowing the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rails, so far as not included in the preceding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궤도 차량의 주행 방향을 바꾸어주되 롤러를 이용하여 이동레일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면서도 고정레일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전철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레일(50)이 고정되도록 침목(60)에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레일(50)의 일측 숄더(51)를 고정하는 코일 스프링(15)과; 상기 바닥판(10)의 타측부에서 일정한 높이로 직상향 돌출되고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슬라이딩부(20)와; 상기 슬라이딩부(20)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레일(50)의 타측 숄더(52)를 고정하는 레일 고정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상면에 비해 돌출된 롤러(35)를 이용하여 이동레일(55)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롤러부(30)와; 상기 이동레일(55)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전철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3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레일(55)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롤러(35)와, 상부 관통공(32a)을 통해 상기 롤러(35)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바닥판(10)에 고정되어 상기 롤러(35)를 보호하는 롤러 덮개(32)와, 상기 롤러(3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31a)와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롤러(35)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상기 지지부(31a)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돌출 형성된 편심 돌출부(31b) 및 일부가 상기 롤러 덮개(35)의 측면 관통부(32c)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고 단부면(31')에 상기 편심 돌출부(31b)의 회전 위치에 따른 상기 지지부(31a)의 높이 편차가 표시되며 상기 편심 돌출부(31b)의 회전위치를 조정함과 아울러 상기 바닥 판(10)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부(31a)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높이조정부(31c)로 이루어진 편심축(31)과, 상기 롤러 덮개(32)를 상기 바닥판(10)에 고정하는 고정볼트(33)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고정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부(20)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레일(50)의 이동레일측 숄더(52)를 고정하는 스프링 판재(25)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측면 관통공(2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상면을 가압하여 체결하는 가압부재(26)와, 상기 슬라이딩부(20)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블록(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각 형상의 높이조정부를 구비한 편심축을 이용하여 롤러의 돌출 높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동레일을 안정적으로 안내하고, 높이조정부가 바닥판에 면접촉하게 되어 편심축의 회전이 방지됨과 아울러 바닥판 및 롤러 덮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프링 판재를 이용하여 고정레일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가압부재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스프링 판재를 쉽게 분리할 수 있어 레일의 유지보수 및 교체가 용이해진다.

Description

전철기 상판 시스템{Railroad Switch Plate System}
본 발명은 궤도 차량의 주행 방향을 바꾸어주는 전철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롤러를 이용하여 이동레일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면서도 고정레일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전철기 상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과 같은 궤도 차량은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정해진 방향으로만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궤도 차량이 정해진 방향으로만 주행할 경우 원하는 위치로 궤도차량을 주행시킬 수 없기 때문에, 궤도 차량의 주행 방향을 바꾸어 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궤도 차량의 주행 방향을 바꾸어 주는 장치를 전철기라 하며 선로변환장치라고도 한다.
통상의 전철기 시스템은 주지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레일이 두 쌍의 레일로 분리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원래의 레일(제1 고정레일)로부터 점차 벌어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좌우로 움직이는 한 쌍의 이동레일과, 이 이동레일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전환장치 및 상기 전환장치에 조작에 의해 상기 이동레일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전철기 상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환장치를 조작하여 이동레일을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한 쌍의 이동레일이 제1 고정레일 또는 상기 제1 고정레일로부터 분기되는 제2 고정레일 중 어느 일측과는 접촉되고 타측과는 이격되도록 하여 주행 방향이 변화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통상의 전철기 상판 시스템에서는 침목 위에 설치된 바닥판의 일측에 고정레일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의 타측에는 슬라이딩 면이 형성되어 이동레일이 슬라이딩 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동레일과 슬라이딩 면 사이에는 마찰력이 크게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이동레일이 슬라이딩 면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면에는 주기적으로 폐유나 윤활유를 도포하여 마찰력이 감소하도록 하고 있다.
만약, 상기 슬라이딩 면에 폐유나 윤활유를 주기적으로 도포하지 않으면, 폐유나 윤활유가 비 또는 눈 등에 의해 산화되어 전환장치를 조작하더라도 이동레일이 잘 움직이지 않게 되어 궤도 차량의 원활한 주행이 어려워지게 된다. 이에 주기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면에 폐유나 윤활유를 도포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슬라이딩 면에 폐유나 윤활유를 도포하는 경우 많은 인력이 소모되고, 도포 작업 도중에 궤도 차량이 진행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도포된 폐유나 윤활유가 토양 및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고, 주변이 불결해지고 청소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면에 폐유나 윤활유를 도포하는 대신 롤러를 이용하여 이동레일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로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197806호, 미국 특허 US 6,464,177 B1 및 국내 등록특허 제10-0874181호 등이 있다.
상기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197806호는 높이조절볼트를 이용하여 롤러프레임을 승강시키고 톱니를 이용하여 롤러 프레임을 수평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동레일에 작용하는 충격 및 진동에 의해 볼트 풀림 및 밀림 현상이 발생하여 높이 조절 및 위치 고정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 구조상 롤러 프레임의 파손 위험이 크고 수평 방향의 이동량이 톱니의 피치에 의해 결정되는 단점이 있다.
또, 미국 특허 US 6,464,177 B1은, 편심축을 갖는 2개의 롤러를 이용하여 이동레일의 움직임을 안내하면서 편심된 롤러축을 이용하여 롤러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하로 분리되어 롤러를 지지하는 롤러 프레임이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미국 특허는 롤러 축의 단부 외주면이 널링 구조로 형성되어 상하로 분리된 롤러 프레임 사이에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롤러 축이 롤러와 함께 회전될 수 있고 회전되는 롤러 축의 널링 구조로 인해 롤러 프레임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롤러 덮개가 고정용 볼트에 의해서만 위치가 고정되므로 이동레일에 작용하는 충격 및 진동에 의하여 쉽게 풀릴 수 있으며, 편심된 롤러 축의 단부가 무단차 구조로 이루어져 롤러의 높이를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국내 등록특허 제10-0874181호는 높이 조절용 편심 회전축이 롤러 덮개 안쪽에 조립되어 있어, 롤러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롤러 덮개를 해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회전 편심축도 2개의 면만 구비하고 있어 다양한 높이조절이 불가능하므로 실제 부설된 이동레일에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평 방향의 이동량이 톱니의 피치에 의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은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의 바를 구부려 형성한 스프링 클립으로 고정레일의 숄더를 고정하게 되므로 제작이 어려우며, 고정레일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슬라이딩면의 돌출부에 고정레일의 숄더가 간섭되어 고정레일을 쉽게 분리할 수 없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롤러의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편심축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편심축의 회전을 통해 롤러의 높이를 단계적으로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고, 폭이 넓은 스프링 판재와 가압수단을 통해 고정레일의 이동레일측 숄더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전철기 상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롤러의 높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전철기 상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 덮개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롤러 덮개를 바닥판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이동레일 이동시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한 전철기 상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코일 스프링으로 고정레일을 고정할 때 코일 스프링과 고정레일의 숄더 사이에 착탈 가능한 블록을 개재시켜 고정레일을 설치 또는 제거하기가 용이한 전철기 상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스프링 판재를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스프링 판재의 체결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스프링 판재의 체결력 해제가 방지되는 셀프 락킹 기능을 구비한 한 전철기 상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이동레일이 이동하는 슬라이딩면이 이물질에 노출되더라도 이물질에 의해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표면 손상으로 인한 문제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전철기 상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긁힘 방지 코팅이 형성된 미끄럼판을 슬라이딩부의 본체에 결합시켰을 때 미끄럼판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미끄럼판을 쉽게 탈거할 수 있도록 한 전철기 상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미끄럼판을 슬라이딩부의 본체에 설치하기가 용이하고 설치된 슬라이딩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 전철기 상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레일이 고정되도록 침목에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레일의 일측 숄더를 고정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바닥판의 타측부에서 일정한 높이로 직상향 돌출되고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레일의 타측 숄더를 고정하는 레일 고정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면에 비해 돌출된 롤러를 이용하여 이동레일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롤러부와; 상기 이동레일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전철기 상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레일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롤러와, 관통부를 통해 상기 롤러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바닥판에 고정되어 상기 롤러를 보호하는 롤러 덮개와, 상기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회전각도에 따라 회전중심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상기 지지부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돌출 형성된 편심 돌출부 및 일부가 상기 롤러 덮개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단부면에 상기 편심 돌출부의 회전 위치에 따른 상기 지지부의 높이 편차가 표시되며 상기 편심 돌출부의 회전위치를 조정함과 아울러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부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높이조정부로 이루어진 편심축과, 상기 롤러 덮개를 상기 바닥판에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고정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레일의 이동레일측 숄더를 고정하는 스프링 판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측면 관통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 판재의 상면을 가압하여 체결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 판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전철기 상판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롤러 덮개는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에 각각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장공에 안착되는 쐐기형 눌림쇠를 관통하여 상기 바닥판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철기 상판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 판재는 상기 고정레일의 숄더에 접촉되는 선단부가 상기 숄더에 대응되는 구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끝단부에는 걸림 홈이 구성됨과 아울러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선단부의 끝단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숄더에 형성된 밀림방지돌기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이탈방지블록은 그 중앙 부분의 일부가 제거되어 두 부분으로 분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전철기 상판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재는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판재를 가압하여 체결하는 제1면치부 및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판재의 체결을 해제하며 상기 제1면치부와 직각을 이루는 제2면치부 및 상기 면치부의 단부면으로 상기 스프링 판재의 측면이 접촉되어 상기 스프링 판재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제1면치부가 상기 스프링 판재에 접촉되어 가압할 때 수평이 되고 상기 제2면치부가 상기 스프링 판재에 접촉될 때 수직이 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본체의 단부에 형성된 각형의 표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철기 상판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바닥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면에 긁힘 방지 코팅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 커버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에 비해 상측으로 돌출되는 미끄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전철기 상판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미끄럼판의 단부 외측에서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미끄럼판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판 및 스토퍼를 고정하는 리벳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는 리벳 구멍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철기 상판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미끄럼판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양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미끄럼판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미끄럼판이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부터 슬라이딩 결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철기 상판 시스템은, 다각 형상의 높이조정부를 구비한 편심축을 이용하여 롤러의 돌출 높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동레일을 안정적으로 안내하고, 높이조정부가 바닥판에 면접촉하게 되어 편심축의 회전이 방지됨과 아울러 바닥판 및 롤러 덮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프링 판재를 이용하여 고정레일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가압부재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스프링 판재를 쉽게 분리할 수 있어 레일의 유지보수 및 교체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전철기 상판 시스템에 따르면, 편심축의 높이조정부 단부면에 지지부의 높이 편차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롤러의 높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철기 상판 시스템에 따르면, 롤러 덮개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고정볼트가 체결되므로 롤러 덮개의 수평 이동을 통해 이동레일의 이동에 따른 충격을 방지할 수 있고, 쐐기형 눌림쇠에 의해 체결압력이 분산되므로 롤러 덮개를 견고하게 고정함과 아울러 롤러 덮개가 고정볼트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전철기 상판 시스템에 따르면, 고정레일의 타측 숄더를 고정하는 탄성 스프링과 고정레일의 숄더 사이에 착탈 가능한 보조 블록이 개재되므로, 보조 블록을 이탈시키는 것만으로도 고정 레일과 슬라이딩면의 돌출부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어 고정레일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철기 상판 시스템에 따르면, 스프링 판재의 선단부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레일의 숄더 상면을 따라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판재의 끝단부에 형성된 걸림 홈을 이용하여 스프링 판재를 쉽게 분리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전철기 상판 시스템에 따르면, 가압부재에 구비된 2개소의 면치부를 이용하여 가압부재를 90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스프링 판재를 체결하거나 그 체결을 해제할 수 있음은 물론 가압부재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 체결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철기 상판 시스템에 따르면, 상면에 긁힘 방지 코팅이 형성된 미끄럼판이 슬라이딩부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 커버를 형성하게 되므로, 이물질에 의한 미끄럼판의 손상이 방지되고 미끄럼판의 손상으로 인해 이동레일의 움직임에 지장이 있을 경우 미끄럼판의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전철기 상판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부는 자체에 설치된 리벳은 물론 단부 외측에서 리벳 결합된 스토퍼에 의해 단부가 지지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음은 물론 본체에 리벳 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리벳의 분리가 용이하므로 교체 등을 위하여 미끄럼판을 본체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철기 상판 시스템에 따르면, 미끄럼판의 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본체에 슬라이딩 결합되므로 미끄럼판의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고 경사면을 이용한 쐐기 결합구조로 인해 미끄럼판이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철기 상판 시스템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철기 상판 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철기 상판 시스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롤러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편심축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높이 조절부의 단부면이 도시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철기 상판의 고정레일 고정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스프링 판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가압부재의 배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슬라이딩부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X-X' 단면이 도시된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Y-Y' 단면이 도시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철기 상판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전철기 상판 시스템은 도 1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레일(50)이 고정되도록 침목(60)에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레일(50)의 일측 숄더(51)를 고정하는 코일 스프링(15)과; 상기 바닥판(10)의 타측부에서 일정한 높이로 직상향 돌출되고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슬라이딩부(20)와; 상기 슬라이딩부(20)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레일(50)의 타측 숄더(52)를 고정하는 레일 고정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상면에 비해 돌출된 롤러(35)를 이용하여 이동레일(55)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롤러부(30)와; 상기 이동레일(55)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전환장치(도시 생략);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롤러부(3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레일(55)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롤러(35)와, 상부 관통공(32a)을 통해 상기 롤러(35)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바닥판(10)에 고정되어 상기 롤러(35)를 보호하는 롤러 덮개(32)와, 상기 롤러(3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31a)와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롤러(35)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상기 지지부(31a)의 양측 단부의 편심 위치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부(31a)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다각 형상의 높이조정부(31c) 및 상기 롤러 덮개(3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이동레일(55)이 접촉할 때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높이조정부(31c)의 안쪽 부분에 형성된 원형 단면의 편심축 고정부(31b)로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조정부(31c)의 일부가 상기 롤러 덮개(32)의 측면 관통부(32c)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31a)의 회전위치를 조정하는 편심축(31)과, 상기 롤러 덮개(32)를 상기 바닥판(10)에 고정하는 고정볼트(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정부(31c)는 8각 형태의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정부(31c)의 단부면(31')에 상기 편심 돌출부(31b)의 회전 위치에 따른 상기 지지부(31a)의 높이 편차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측정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롤러(35)의 높이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롤러 덮개(32)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그 양측에 각각 장공(32b)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33)가 상기 장공(32b)에 안착되는 쐐기형 눌림쇠(34)를 관통하여 상기 바닥판(10)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35)의 양측에는 상기 편심축(31)의 지지부(31a)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일체형 부싱(36)이 각각 결합된다.
또, 상기 레일 고정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측부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레일(50)의 이동레일측 숄더(52)를 고정하는 스프링 판재(25)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측면 관통공(2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상면을 가압하여 체결하는 가압부재(26)와, 상기 슬라이딩부(20)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블록(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프링 판재(25)는 상기 고정레일(50)의 숄더(52)에 접촉되는 선단부가 상기 숄더(52)에 대응되는 구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 판재(25)를 상기 슬라이딩부(20)에 삽입하기가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 판재(25)를 완전히 밀어 넣었을 때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선단부가 자연스럽게 상기 고정레일(50)의 숄더(52)의 상측으로 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선단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끝단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대략 삼각형 모양이 되며,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선단부가 상기 숄더(52)에 형성된 밀림방지돌기(28)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스프링 판재(25)가 더 이상 앞으로 밀려나가지 않게 한다.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끝단부에는 걸림 홈(25')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블록(27)은 그 중앙 부분의 일부가 제거되어 두 부분으로 분할 형성된다. 이에 따라 두 부분으로 분할된 상기 이탈방지블록(27) 사이로 꼬챙이와 같은 도구를 삽입하여 상기 걸림 홈(25')에 걸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스프링 판재(25)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26)는,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판재(25)를 가압하여 체결하는 제1면치부(26a)와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체결을 해제하며 상기 제1면치부(26a)와 직각을 이루는 제2면치부(26b) 및 상기 면치부(26a, 26b)의 단부의 수직면으로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스프링 판재(25)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부(26c)가 구비된 본체(26')와, 상기 제1면치부(26a)가 상기 스프링 판재(25)에 접촉되어 가압할 때 수평이 되고 상기 제2면치부(26b)가 상기 스프링 판재(25)에 접촉될 때 수직이 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본체(26')의 단부에서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각형의 표시부(26")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특별한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스패너와 같은 일반적인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26")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상기 본체(26')를 회전시켜 상기 스프링 판재(25)를 체결하거나 체결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표시부(26")가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지 아니면 수평으로 누워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체결 여부를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20)는, 상기 바닥판(10)과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21)와, 상면에 긁힘 방지 코팅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 커버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21)에 비해 상측으로 돌출되는 미끄럼판(22)과, 상기 미끄럼판(22)의 단부 외측에서 상기 본체(21)에 고정되어 상기 미끄럼판(22)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토퍼(23) 및 상기 본체(21)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리벳 구멍(21")에 삽입되어 상기 미끄럼판(22) 및 스토퍼(23)를 고정하는 리벳(2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미끄럼판(22)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양측면이 경사면(22')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21)에는 상기 미끄럼판(22)의 경사면(22')에 대응하는 경사면(21')이 형성되어, 상기 미끄럼판(22)이 상기 본체(21)의 후방으로부터 슬라이딩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철기 상판 시스템은, 이동레일의 이동은 원활하게 하면서도 고정레일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침목(60)에 고정판(10)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판(10)의 상측에 고정레일(50)을 위치시킨 후 코일 스프링(15)과 슬라이딩부(20)의 레일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레일(50)을 고정한다. 즉, 상기 고정판(10)의 상측에 상기 고정레일(50)을 위치시킨 후 코일 스프링(15)과 보조 블록(16)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레일(50)의 일측 숄더(51)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레일(50)의 이동레일측 숄더(52)를 고정할 수 있도록 스프링 판재(25)를 설치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측부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가압부재(26)를 삽입하여 들어올린 상태로 상기 슬라이딩부(20)의 후방에서 상기 스프링 판재(25)를 삽입한 후, 상기 가압부재(26)를 회전시켜 상기 스프링 판재(25)를 체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선단부가 상기 고정레일(50)의 숄더(52)를 누르게 되어 상기 고정레일(50)의 이동레일측 숄더(52)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 판재(25)는 선단부가 약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부(20)의 홈에 쉽게 삽입될 수 있음은 물론 일정한 구배를 갖는 상기 고정레일(50)의 숄더(52) 상면에 쉽게 안착된다.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측부에 위치한 표시부(26")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부재(26)를 90도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프링 판재(25)를 체결한다. 즉, 상기 가압부재(26)의 표시부(26")를 수직하게 세워 본체(26')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형성된 제1면치부(26a)가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하면, 상기 스프링 판재(25)가 가압되면서 변형되고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선단부가 상기 고정레일(50)의 숄더(52)를 가압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26")는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체결이 해제될 때는 상기 이동레일(55)의 바닥에 걸리도록 되어 있어, 셀프 락킹(Self-Locking)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26)의 표시부(26")가 수평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프링 판재(25)가 체결되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26")가 각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압부재(26)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특별한 공구가 필요하지 않으며, 스패너와 같은 일반적인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가압부재(2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레일(50)이 견고하게 고정되면,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측부에 롤러부(30)를 설치하여 그 위에 이동레일(55)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동레일(55)이 상기 롤러부(30)의 롤러(35)에 의해 지지되면서 수평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롤러부(30)의 롤러 덮개(32) 측면과 상기 고정레일(50)의 안쪽 숄더(52) 측면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존재하도록 상기 롤러부(30)와 롤러 덮개(32)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이동레일(55)의 바닥면이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상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상기 롤러(35)에 접촉하여 구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35) 중 전단 롤러(35a)가 결합된 편심축(31)의 높이조정부(31c)를 회전시켜 상기 전단 롤러(35a)의 높이를 조정한다. 이때, 상기 롤러(35)에 작용하는 수평 하중을 고르게 분배하기 위하여 상기 롤러(35) 중 후단 롤러(35b)는 상기 전단 롤러(35a)보다 일정 정도 높은 위치에 있도록 그 높이를 조정한다.
상기 편심축(31)을 회전시켜 상기 전단 롤러(35a) 및 후단 롤러(35b)의 높이를 조정할 때, 상기 편심축(31)의 높이조정부(31c)의 단부면(31')에 높이 편차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단 롤러(35a) 및 후단 롤러(35b)의 높이를 정확하고 빠르게 조정할 수 있는 등 롤러(35)의 높이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롤러 덮개(32)의 수평 방향 위치와 상기 롤러(35)의 높이가 결정된 후에는 상기 롤러 덮개(32)의 장공(32b)에 안착된 쐐기형 눌림쇠(34)를 관통하여 고정볼트(33)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롤러 덮개(32)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전환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레일(55)을 이동시키면, 상기 이동레일(55)이 상기 롤러(35)를 회전시키면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롤러(35)를 지지하는 편심축(31)의 높이조정부(31c)가 상기 롤러 덮개(32) 및 바닥판(10)에 면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편심축(31)은 회전하지 않고 롤러(35)만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레일(55)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후, 상기 고정레일(50)의 개보수를 위하여 상기 고정레일(50)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조립순서의 역순으로 진행한다. 상기 이동레일(55)을 측면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표시부(26")가 수직이 되도록 상기 가압부재(26)를 90도 회전시켜 상기 본체(26')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제2면치부(26b)가 상기 스프링 판재(25)를 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 판재(25)가 초기 형태로 복원되어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선단부가 상기 고정레일(50)의 숄더를 가압하지 않게 되고,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체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26)를 상기 슬라이딩부(20)로부터 해체한 후 상기 스프링 판재(25)를 상기 슬라이딩부(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26)의 표시부(26")는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체결이 해제될 때는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이동레일(55)의 바닥에 걸리게 되어 체결력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게 되며, 그로 인해 상기 슬라이딩부(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26)의 스토퍼부(26c)가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측면에 접촉되어 빠지지 않도록 하므로, 상기 스프링 판재(25)를 해체하지 않는 한 상기 슬라이딩부(2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체결이 해제된 후 상기 스프링 판재(25)를 상기 슬라이딩부(2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끝단 양측을 손으로 잡고 뒤로 당기면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블록(27)에 의해 간혹 상기 스프링 판재(25)를 당기는 작업에 지장을 받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이탈방지블록(27)의 중앙부에 형성된 틈새로 끝단에 고리가 구비된 통상의 도구를 삽입하여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걸림 홈(25')에 고리를 걸고 들어올리면서 당기면 된다.
이후, 상기 고정레일(50)의 바깥쪽 숄더(51)에 위치한 보조 블록(16)을 이탈시키면 상기 고정레일(50)의 안쪽 숄더(52)와 상기 슬라이딩부(20)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되므로, 상기 고정레일(50)을 상기 코일 스프링(15)으로부터 분리시켜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상면에 비해 상기 롤러(35)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동레일(55)의 저면과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상면 사이에는 약간의 유격(裕隔)이 존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레일(55)은 상기 슬라이딩부(22)의 상면을 따라 자유롭게 움직이게 된다. 하지만,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상면에 자갈이나 모래 등의 이물질이 끼게 되면, 상기 이동레일(55)의 움직임에 지장이 발생하고 상기 이동레일(55)의 이동 과정에서 이물질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20)의 표면이 긁혀 손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상면이 손상되면, 손상된 부분이 습기 등에 노출되어 녹이 스는 등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수명이 단축됨은 물론 심한 경우에는 상판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상면에 긁힘 방지 코팅을 형성하여 이물질에 의한 긁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긁힘 방지 코팅을 수행하는 코팅 공정상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상면에만 긁힘 방지 코팅을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상판 전체를 코팅하는 경우에는 비용이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슬라이딩부(2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대신에, 상기 바닥판(10)과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21)에 상면에 긁힘 방지 코팅이 형성된 미끄럼판(22)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상면에 긁힘 방지 코팅을 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이물질에 의해 상기 미끄럼판(22)의 상면에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미끄럼판(22)만 교체하고 다른 부분을 재사용할 수 있어 유지 보수 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판(22)이 상기 본체(21)에 리벳(24)으로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미끄럼판(22)의 단부 외측에 스토퍼(2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미끄럼판(22)이 진동 등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리벳(24)을 이용하여 상기 미끄럼판(22)을 상기 본체(21)에 직접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21)에 고정된 스토퍼(23)가 상기 미끄럼판(22)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미끄럼판(22)이 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이중으로 차단되며 이로 인해 상기 미끄럼판(22)의 이탈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미끄럼판(22) 및 스토퍼(23)를 고정하는 리벳(24)이 상기 본체(21)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리벳 구멍(21")에 설치되므로, 상기 본체(21)의 하측에서 상기 리벳(24)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상기 리벳(24)을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상기 미끄럼판(22)의 교체와 같은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미끄럼판(22)의 양측면이 경사면(22')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21)에도 이에 대응되는 경사면(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미끄럼판(22)은 상기 본체(21)의 후방으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미끄럼판(22)의 양측면을 경사면(22')으로 형성함에 따라 상기 미끄럼판(22)이 상기 본체(21)에 쐐기 결합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미끄럼판(22)이 상기 본체(21)의 상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바닥판
15: 코일 스프링
16: 보조 블록
20: 슬라이딩부
21: 본체 21': 경사면
22": 리벳 구멍
22: 미끄럼판 22': 경사면
23: 스토퍼
24: 리벳
25: 스프링 판재 25': 걸림 홈
26: 가압부재 26': 본체
26": 표시부 26a: 제1면치부
26b: 제2면치부 26c: 스토퍼부
27: 이탈방지블록
28: 밀림방지돌기
30: 롤러부
31: 편심축 31a: 지지부
31b: 편심 돌출부 31c: 높이조정부
32: 롤러 덮개 32a: 상부 관통공
32b: 장공 32c: 측면 관통부
33: 고정볼트
34: 쐐기형 눌림쇠
35: 롤러 35a: 전단 롤러
35b: 후단 롤러
36: 부싱
50: 고정레일
51, 52: 숄더
55: 이동레일

Claims (7)

  1. 고정레일(50)이 고정되도록 침목(60)에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레일(50)의 일측 숄더(51)를 고정하는 코일 스프링(15)과; 상기 바닥판(10)의 타측부에서 일정한 높이로 직상향 돌출되고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슬라이딩부(20)와; 상기 슬라이딩부(20)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레일(50)의 타측 숄더(52)를 고정하는 레일 고정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상면에 비해 돌출된 롤러(35)를 이용하여 이동레일(55)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롤러부(30)와; 상기 이동레일(55)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전철기 상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3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레일(55)을 지지하며 전단 레일(35a)이 후단 레일(35b)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롤러(35)와, 상부 관통공(32a)을 통해 상기 롤러(35)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바닥판(10)에 고정되어 상기 롤러(35)를 보호하는 롤러 덮개(32)와, 상기 롤러(3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31a)와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롤러(35)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상기 지지부(31a)의 양측 단부의 편심 위치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부(31a)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다각 형상의 높이조정부(31c)를 포함한 편심축(31)과, 상기 롤러 덮개(32)를 상기 바닥판(10)에 고정하는 고정볼트(33)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고정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부(20)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레일(50)의 이동레일측 숄더(52)를 고정하는 스프링 판재(25)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측면 관통공(2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상면을 가압하여 체결하는 가압부재(26)와, 상기 슬라이딩부(20)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블록(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기 상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덮개(32)는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그 양측에 각각 장공(32b)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33)가 상기 장공(32b)에 안착되는 쐐기형 눌림쇠(34)를 관통하여 상기 바닥판(10)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기 상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판재(25)는 상기 고정레일(50)의 숄더(52)에 접촉되는 선단부가 상기 숄더(52)에 대응되는 구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끝단부에는 걸림 홈(25')이 형성됨과 아울러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선단부의 끝단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숄더(52)에 형성된 밀림방지돌기(28)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이탈방지블록(27)은 그 중앙 부분의 일부가 제거되어 두 부분으로 분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기 상판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26)는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판재(25)를 가압하여 체결하는 제1면치부(26a) 및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체결을 해제하며 상기 제1면치부(26a)와 직각을 이루는 제2면치부(26b)가 구비된 본체(26') 및 상기 면치부(26a, 26b)의 단부의 수직면으로 상기 스프링 판재(25)의 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스프링 판재(25)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부(26c)가 구비된 본체(26')와, 상기 제1면치부(26a)가 상기 스프링 판재(25)에 접촉되어 가압할 때 수평이 되고 상기 제2면치부(26b)가 상기 스프링 판재(25)에 접촉될 때 수직이 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본체(26')의 단부에 형성된 각형의 표시부(2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기 상판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20)는, 상기 바닥판(10)과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21)와, 상면에 긁힘 방지 코팅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 커버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21)에 비해 상측으로 돌출되는 미끄럼판(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기 상판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20)는, 상기 미끄럼판(22)의 단부 외측에서 상기 본체(21)에 고정되어 상기 미끄럼판(22)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토퍼(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판(22) 및 스토퍼(23)를 고정하는 리벳(24)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1)에는 리벳 구멍(2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기 상판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판(22)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양측면이 경사면(22')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21)에는 상기 미끄럼판(22)의 경사면(22')에 대응하는 경사면(21')이 형성되어, 상기 미끄럼판(22)이 상기 본체(21)의 후방으로부터 슬라이딩 결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기 상판 시스템.


KR1020110008269A 2011-01-27 2011-01-27 전철기 상판 시스템 KR101043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269A KR101043945B1 (ko) 2011-01-27 2011-01-27 전철기 상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269A KR101043945B1 (ko) 2011-01-27 2011-01-27 전철기 상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945B1 true KR101043945B1 (ko) 2011-06-24

Family

ID=44406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269A KR101043945B1 (ko) 2011-01-27 2011-01-27 전철기 상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9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9417A (en) 1995-06-09 1999-05-04 Vae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securing stock rails in railway switches
KR20100029937A (ko) * 2008-09-09 2010-03-18 남진우 편심축을 이용한 롤러 높이조절장치
US7766283B2 (en) 2004-01-30 2010-08-03 Cdp Bharat Forge Gmbh Device for displacing a tongue blade in addition to a height-adjustable roller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9417A (en) 1995-06-09 1999-05-04 Vae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securing stock rails in railway switches
US7766283B2 (en) 2004-01-30 2010-08-03 Cdp Bharat Forge Gmbh Device for displacing a tongue blade in addition to a height-adjustable roller device
KR20100029937A (ko) * 2008-09-09 2010-03-18 남진우 편심축을 이용한 롤러 높이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100834B4 (en) Two-piece rail seal clip and tool for installing same
CN109750601B (zh) 一种公路桥梁边侧施工作业平台
KR20110044196A (ko) 측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레일 체결 장치
JP2011512468A (ja) 基盤上にレールを固定するシステムおよび装置
US8302877B2 (en) Wheel guard device
JP2011504440A5 (ko)
KR100841264B1 (ko) 볼트 교체가 가능한 교량용 핑거 조인트 결합 구조물
EA038080B1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и подкладная пластина для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WO2006082260A2 (es) Mecanismo de rodaje automatizado con sistema de limpieza y porta ruedas intercambiable para puertas correderas y similares
KR101043945B1 (ko) 전철기 상판 시스템
KR101588228B1 (ko) 철도차량의 탈선 방지 장치
KR200456918Y1 (ko) 전철기 상판의 레일 슬라이딩 보조장치
KR101175478B1 (ko) 주행 레일의 변형 방지장치
JP2007092448A (ja) 重構造物移動装置
KR101553144B1 (ko) 주행휠 교체용 지그 장치
KR20100001231U (ko) 레일 스크레핑 장치
KR101458452B1 (ko) 철도 콘크리트도상의 침목 철거장치
CN211075903U (zh) 轨道用止溜器
KR200453894Y1 (ko) 레일 체결구조
KR100912060B1 (ko) 레일 차륜 고정 장치
US20200231231A1 (en) Mounting arrangement for tensioning units in tracked undercarriages of large machines
CN105060201A (zh) 一种高空作业平台
JP5766535B2 (ja) 墜落防止装置
CN204917879U (zh) 一种高空作业平台
KR20000014376U (ko) 레일의 이물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