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532B1 - 부분 착탈기능을 갖는 셔터장치 - Google Patents

부분 착탈기능을 갖는 셔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532B1
KR101043532B1 KR1020100114297A KR20100114297A KR101043532B1 KR 101043532 B1 KR101043532 B1 KR 101043532B1 KR 1020100114297 A KR1020100114297 A KR 1020100114297A KR 20100114297 A KR20100114297 A KR 20100114297A KR 101043532 B1 KR101043532 B1 KR 101043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anel
panel
shutter device
connection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태현
Original Assignee
류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태현 filed Critical 류태현
Priority to KR1020100114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gar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로 자동차 차고를 개폐하는 셔터장치의 수리(절단 및 조립)시에 발생되는 소음과 분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수리시의 자재비와 인건비를 절감하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연결판넬들이 부분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인 부분 착탈기능을 갖는 셔터장치는, 상호 연결되는 연결판넬의 상, 하 작동시에 안내작용을 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연결판넬의 좌, 우 유동을 방지하는 제1, 2스토파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가이드 레일의 하단부에는 상기 연결판넬의 착탈용 반출입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판넬은 부분적인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기위하여, 상, 하 개방구를 갖는 상부 및 하부 연결편과; 중앙부에 위치하는 평면부와 상, 하 연결되는 복수개의 경사부를 두되, 상기 평면부의 하단부와 좌, 우 단부에는 제1스토파와 제2스토파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판넬의 좌, 우 유동을 방지하는 제1스토파는, 상호 연결되는 연결판넬의 좌, 우측 단부를 고정시키는 걸림턱과; 복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는 전면부와; 상기 걸림턱과 전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경사부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연결판넬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제2스토파는, 하단부에 장착되는 연결판넬의 상부 연결편을 압착시키는 압착 경사면과; 상기 압축 경사면의 상부에 복수개의 고정공으로 고정되되, 그 이면에는 상기 연결판넬의 하부 경사부와 면접촉 밀착되는 고정 접촉면과; 외부로 개방되는 노출전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종래 모텔 등에 사용되는 셔터장치에 비하여 부분 교체가 가능한 구성이므로, 일부의 파손시에 손상된 연결판넬의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관리비를 대폭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인 부분 착탈 기능을 갖는 셔터장치는, 제1. 2스토파의 탈, 부착을 간단한 수공구(드라이버)만으로 신속하게 작업을 행 할 수 있는 구성이어서, 작업시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모텔 등을 사용하는 이용자와 인근 주민들에게 소음과 교체에 따른 먼지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쾌적한 주위환경을 조성하는 이점도 아울러 기대된다.

Description

부분 착탈기능을 갖는 셔터장치{Shutter device with removable partial function}
본 발명은 셔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로 자동차 차고를 개폐하는 셔터장치의 수리(절단 및 조립)시에 발생되는 소음과 분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수리시의 자재비와 인건비를 절감하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연결판넬들이 부분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셔터는 도 1(실용신안공보 실1982-1845호)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응되는 셔터용 판넬(1) 들을 연결핀(2)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시키는 셔터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일반적인 셔터(실용신안공보 실1982-1845호)는 일측의 원통 삽입편(3) 내부에 타측 판넬의 원통 삽입편(3')이 삽입되는 구조이어서,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초기 설치비가 상승되는 문제점과 함께, 좌, 우 유동으로 인한 소음과 고장이 빈번하여 사용에 불편한 점을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이 판넬(1)들의 좌, 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안(등록실용 20-365014호)이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판넬(1)의 단부에 가이드 부재(4)를 장착하고, 그 상, 하부에는 마감부재(5)를 각각 형성시켜 고정핀(6)으로 상기 판넬(1) 들의 유동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등록실용 20-365014호)은 좌, 우 유동이 방지되는 일부 효과는 있으나, 판넬의 부분교체가 불가능한 구성이어서 일부분이 파손되어도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4)와 마감부재(5) 등의 제작에 따는 금형 비용이 별도로 소요됨과 동시에, 장시간 사용시에는 주로 비철금속(프라스틱류)을 재질로 하는 상기 가이드 부재 및 마감부재(4, 5)들의 변형(경화)으로 소음과 파손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판넬(1) 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한쌍의 중량바(7)를 구비하고, 상기 중량바(7)와 판넬(1)을 고정시키는 고정핀(6)과 걸림핀(8)으로 이루어지는 셔터장치가 종래기술(공개특허공보 10-2009-77108호)로 개시되어 있으나, 위 종래기술(공개특허공보 10-2009-77108호) 역시, 중량바(7)의 제조비용이 고가임과 동시에, 상기 판넬(1)의 일부가 파손되어도 전체를 분해하여 교체하여야 하는 유지관리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종래 셔터장치에 비하여 초기 제작비가 저렴하고, 유지관리비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부분 착탈 기능을 갖는 셔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인 부분 착탈 기능을 갖는 셔터장치는, 상호 연결되는 연결판넬의 상, 하 작동시에 안내작용을 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연결판넬의 좌, 우 유동을 방지하는 제1, 2스토파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가이드 레일의 하단부에는 상기 연결판넬의 착탈용 반출입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판넬은 부분적인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기위하여, 상, 하 개방구를 갖는 상부 및 하부 연결편과; 중앙부에 위치하는 평면부와 상, 하 연결되는 복수개의 경사부를 두되, 상기 평면부의 하단부와 좌, 우 단부에는 제1스토파와 제2스토파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판넬의 좌, 우 유동을 방지하는 제1스토파는, 상호 연결되는 연결판넬의 좌, 우측 단부를 고정시키는 걸림턱과; 복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는 전면부와; 상기 걸림턱과 전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경사부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연결판넬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제2스토파는, 하단부에 장착되는 연결판넬의 상부 연결편을 압착시키는 압착 경사면과; 상기 압축 경사면의 상부에 복수개의 고정공으로 고정되되, 그 이면에는 상기 연결판넬의 하부 경사부와 면접촉 밀착되는 고정 접촉면과; 외부로 개방되는 노출전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셔터장치에 비하여 부분 교체가 가능한 구성이므로, 일부의 파손시에 손상된 연결판넬만의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관리비를 대폭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인 부분 착탈 기능을 갖는 셔터장치는, 제1. 2스토파의 탈, 부착을 간단한 수공구(드라이버) 또는 공구 없이 신속하게 작업을 행 할 수 있는 구성이어서, 작업시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차고를 출입하는 이용자와 인근 주민들에게 수리시의 소음과 교체에 따른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쾌적한 주위환경을 조성하는 이점도 아울러 기대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셔터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셔터장치 주요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는 종래 중량바가 장착되는 셔터장치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부분 착탈 기능을 갖는 셔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와 반출입홈에 대한 부분확대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연결판넬에 대한 사시도와 단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1스토파에 대한 사시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2스토파에 대한 사시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7d는 본 제2스토파가 휨 상태에서 상, 하 연결판넬을 고정하는 단면도이며,
도 8a는 본 발명인 부분 착탈 기능을 갖는 셔터장치의 조립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8b는 제1, 2스토파가 생략된 본 발명인 연결판넬의 상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좌, 우 유동방지용 원 터치 스토파 방식에 대한 사시도와 조립상태 단면도이고,
도 9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상, 하 유동방지용 원 터치 스토파 방식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부분 착탈 기능을 갖는 셔터장치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 기술사상과 동일한 기술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을 그대로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인 부분 착탈 기능을 갖는 셔터장치는, 도 4 내지 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판넬(10)의 상, 하 작동시에 안내작용을 하는 가이드 레일(40)과; 상기 연결판넬(10)의 좌, 우 유동을 방지하는 제1스토파(20)와; 연결판넬(10)의 상, 하 이탈을 방지하는 제2스토파(30)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하단부에는 상기 연결판넬(10)의 착탈용 반출입홈(42)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판넬(10)은 부분적인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기위하여,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 하 개방구(16, 16')를 갖는 상부 및 하부 연결편(11, 12)과; 중앙부에 위치하는 평면부(14)와 상, 하 연결되는 복수개의 경사부(13, 13')를 두되, 상기 평면부(14)의 하단부와 좌, 우 단부에는 제1스토파(20)와 제2스토파(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15)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판넬(10)의 좌, 우 유동을 방지하는 제1스토파(20)는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호 연결되는 연결판넬(10)의 좌, 우측 단부를 고정시키는 걸림턱(21)과; 복수개의 고정공(15')이 형성되는 전면부(23)와; 상기 걸림턱(21)과 전면부(23)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경사부(22)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연결판넬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제2스토파(30)는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 하 연결되는 연결판넬(10) 중에서, 하단부에 장착되는 연결판넬(10)의 상부 연결편(11)을 압착시키는 압착 경사면(31)과; 상기 압착 경사면(31)의 상부에 복수개 형성되는 고정공(15")을 관통하는 고정나사(미도시)로 고정되되, 그 이면에는 상기 연결판넬(10)의 하부 경사부(13')와 평면부(14)를 동시에 면접촉 밀착시키는 고정 접촉면(33)과; 외부로 개방되는 노출전면(32)으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부분 착탈 기능을 갖는 셔터장치의 조립과 판넬의 교체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인 부분 착탈 기능을 갖는 셔터장치를 형성하는 연결판넬(10)을,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는 평면부(14)가 형성되고, 그 상, 하부에는 경사부(13, 13')가 구비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평면부(14)와 좌, 우측 단부에는 연결판넬(10)의 상, 하 이탈을 방지하는 제2스토파(30)를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정공(15)을 다수개 형성시킨다.
또한, 상부 연결편(11)과 하부 연결편(12)은 상하 대칭되는 형태로 하되, 상기 상, 하부 연결편(11, 12)에 형성되는 개방구(16, 16')의 열림각도(α)는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75° ~ 85°가 되도록 하여 상호 연결과 분해가 용이한 구조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판넬(10)의 폭(횡 방향)이 3M인 경우에는, 상기 제2스토파(30)를 일정한 간격으로 5 ~ 6개 장착되도록 고정공(15)을 천공한다.
셔터장치의 규모가 소형이고 차폐를 주 목적으로 하는 원 터치 방식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판넬(10)의 상, 하 작동시에 안내작용을 하는 가이드 레일(40)과; 상기 연결판넬(10)의 좌, 우 유동을 방지하는 원 터치 스토파(50)를 상기 연결판넬(10)의 좌, 우측 단부에 장착 되도록 하되, 상기 원 터치 스토파(50)는, 탄발력을 갖는 누름판(51)과; 상기 누름판(51)이 하측에 형성되어 연결판넬(10)의 고정공(15)에 끼워지는 걸림구(52)와; 연결판넬(1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53)과; 상부에 끼워지는 연결판넬(10)의 유동을 방지하는 정지턱(5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연결판넬(10)의 상, 하 유동을 방지하는 원 터치 방식은 도 9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판넬(10)의 상, 하 작동시에 안내작용을 하는 가이드 레일(40)과; 상기 연결판넬(10)의 상, 하 유동을 방지하는 원 터치 스토파(50')를 상기 연결판넬(10)의 중앙부에 다수개 장착 되도록 하되, 상기 원 터치 스토파(50')는, 그 하측에 형성되어 연결판넬(10)의 고정공(15)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걸림구(52')가 별도로 장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별도의 공구 없이 탄발력을 갖는 누름판(51)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간편하게 원 터치 스토파(50, 50')를 연결판넬(10)에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 터치 스토파(50, 50')는 내식성과 탄성이 우수한 프라스틱 재질로 하고, 걸림구(52, 52')가 끼워지는 고정공(15, 15')은 착탈시의 편의를 위하여 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부분 착탈 기능을 갖는 장치의 조립은, 도 4 및 도 6a 내지 도 6c와 도 7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상호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판넬(10) 들의 좌, 우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공(15)과 제1스토파의 고정공(15')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나사(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스토파(20)를 연결판넬(10)의 좌, 우측에 각각 대응되도록 장착한다.
제2스토파(30)의 고정은, 도 7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탄성과 강도가 우수한 프라스틱 재질로 하여, 고정나사(미도시)로 제2스토파(30)를 연결판넬(10)에 고정시에, 고정 접촉면(33)이 내측으로 휨 상태에서도 소성 변형되지 않고 탄발력이 유지되는 구조가 되도록 한다.
연결판넬(10)의 좌, 우 단부에 제1스토파(20)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판넬(10)의 상, 하 유동을 방지하는 제1스토파(30)를 고정하면, 본 발명인 부분 착탈 기능을 갖는 셔터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운전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셔터장치의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판넬(10)이 파손된 경우에는, 구동장치(미도시)를 구동시켜 손상된 연결판넬(10)을 제외한 상부 연결판넬(10)을 셔터박스(8)내로 권취한다.
상부 연결판넬(10)이 가이드 홈(41)을 따라 셔터박스(8)내로 권취된 상태에서, 파손된 연결판넬(10)에 장착된 제2스토파(40)를 수공구(드라이버 등)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파손된 연결판넬(10)에서 제2스토파(40)가 제거된 상태에서, 구동장치를 가동하여 손상된 상기 연결판넬(10)을 하부로 이동시킨다.
손상된 연결판넬(10)이 하부로 이동되면, 가이드 레일(4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반출입홈(42)을 통하여 손상된 연결판넬(10) 들을 외부로 인출한다.
이때, 손상된 연결판넬(10)의 원활환 인출을 위하여, 상기 반출입홈(42)의 높이(h')는, 연결판넬(10) 높이(h)의 1.2배 내지 1.3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판넬(10)의 교체작업은 도 4와 도 8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4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반출입홈(41)에 노출되는 상측 연결판넬(10)의 하부 연결편(12)에, 교체하고자 하는 연결판넬(10)의 상측 연결편(11)을 도 8b와 같이 거치시킨다.
교체하고자 하는 연결판넬(10)이 상측 연결편(11)에 거치된 상태에서, 제1스토파(20)를 상기 상호 거치된 연결판넬(10)들의 좌, 우 단부에 부착하면, 본 발명인 부분 착탈 기능을 갖는 셔터장치의 교체작업은 도 8a 도와 같이 완료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셔터장치에 비하여 부분 교체가 가능한 구성이므로, 일부의 파손시에 손상된 연결판넬만의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관리비를 대폭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인 부분 착탈 기능을 갖는 셔터장치는, 제1. 2스토파의 탈, 부착을 간단한 수공구(드라이버) 또는 공구 없이 신속하게 작업을 행 할 수 있는 구성이어서, 작업시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차고 등을 사용하는 이용자와 인근 주민들에게 수리시의 소음과 교체에 따른 분진 등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쾌적한 주위환경을 조성하는 이점도 아울러 기대된다.
본 발명인 부분 착탈 기능을 갖는 셔터장치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 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10 : 연결판넬 20: 제1스토파 30 : 제2스토파 40 : 가이드 레일
41 : 가이드 홈 42 : 반출입홈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동일한 높이와 폭을 가진 다수개의 연결판넬로 이루어진 셔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셔터장치는, 연결판넬(10)의 상, 하 작동시에 안내작용을 하는 가이드 레일(40)과; 상기 연결판넬(10)의 좌, 우 유동을 방지하는 제1스토파(20)와; 연결판넬(10)의 상, 하 이탈을 방지하는 제2스토파(30)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하단부에는 상기 연결판넬(10)의 착탈용 반출입홈(42)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 2스토파(30)는, 상, 하 연결되는 연결판넬(10) 중에서, 하단부에 장착되는 연결판넬(10)의 상부 연결편(11)을 압착시키는 압착 경사면(31)과; 상기 압착 경사면(31)의 상부에 복수개 형성되는 고정공(15'')을 관통하는 고정나사로 고정되되, 그 이면에는 상기 연결판넬(10)의 하부 경사부(13')와 평면부(14)를 동시에 면접촉 밀착시키는 고정 접촉면(33)과; 외부로 개방되는 노출전면(3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착탈 기능을 갖는 셔터장치.
  5. 동일한 높이와 폭을 가진 다수개의 연결판넬(10)과, 상기 연결판넬(10)의 상, 하 작동시에 안내작용을 하는 가이드 레일(40)이 구비되는 셔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셔터장치는, 상기 연결판넬(10)의 좌, 우 및 상, 하 유동을 방지하는 원 터치 스토파(50, 50')를 상기 연결판넬(10)의 좌, 우측 단부와 중앙부에 다수개 각각 장착 되도록 하되, 상기 원 터치 스토파(50)는 탄발력을 갖는 누름판(51)과; 상기 누름판(51)이 하측에 형성되어 연결판넬(10)의 고정공(15)에 끼워지는 걸림구(52)와; 연결판넬(1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53)과; 상부에 끼워지는 연결판넬(10)의 유동을 방지하는 정지턱(54)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 하 유동을 방지하는 상기 원 터치 스토파(50')는, 그 하측에 형성되어 연결판넬(10)의 고정공(15)에 끼워지는 걸림구(52')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셔터장치.










  6. 삭제
KR1020100114297A 2010-11-17 2010-11-17 부분 착탈기능을 갖는 셔터장치 KR101043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297A KR101043532B1 (ko) 2010-11-17 2010-11-17 부분 착탈기능을 갖는 셔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297A KR101043532B1 (ko) 2010-11-17 2010-11-17 부분 착탈기능을 갖는 셔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532B1 true KR101043532B1 (ko) 2011-06-23

Family

ID=44405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297A KR101043532B1 (ko) 2010-11-17 2010-11-17 부분 착탈기능을 갖는 셔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5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2957A (ja) * 2001-09-13 2003-03-19 Eitoku Sakihara シャッターのスラット構造
JP2004257121A (ja) * 2003-02-26 2004-09-16 Tostem Suzuki Shutter Mfg Co Ltd シャッタ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2957A (ja) * 2001-09-13 2003-03-19 Eitoku Sakihara シャッターのスラット構造
JP2004257121A (ja) * 2003-02-26 2004-09-16 Tostem Suzuki Shutter Mfg Co Ltd シャッタ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00104A (ko) 컴퓨터 주변기기의 부착장치, 부착방법 및 기록 및/또는재생장치
SK500352013A3 (sk) Nastaviteľná súprava formy na topánky
CN109435019B (zh) 预制叠合板浇筑用模具边框及预制叠合板浇筑用模具
KR101043532B1 (ko) 부분 착탈기능을 갖는 셔터장치
KR101252696B1 (ko) 미서기 또는 미닫이식 창 또는 문짝의 이탈 방지장치
CN211047583U (zh) 一种服务器机柜及其免紧固拆装分体式机柜侧门
CN206888697U (zh) 一种新型门锁装置
WO2012176501A1 (ja) パネル取付装置
JP3153747U (ja) 引戸端面のクッション材取り付け部構造
KR101053705B1 (ko) 메탈패널 연결구조
KR20090005211U (ko) 천정판 클램프
KR20160134168A (ko) 양면 분리형 투명 방음판 조립체
CN206859858U (zh) 一种新型门锁
CN203729716U (zh) 一种用于机柜侧板的锁扣
CN208438542U (zh) 一种边模固定件及模具
KR101207992B1 (ko) 천정패널 취부구조
JP5411626B2 (ja) 防音パネルのコーナー構造
KR200405350Y1 (ko) 거푸집 연결장치
CN104100151A (zh) 电气柜柜门联锁结构、具用该结构的柜门及电气柜
KR200489301Y1 (ko) 엘리베이터 도어 구조
CN215491358U (zh) 多头式拆夹工装
CN220646633U (zh) 一种防脱开的拖链
CN219140475U (zh) 一种新型玻璃钢格栅
CN220936151U (zh) 一种拼接式宠物围栏
KR20150001915A (ko) 다수개의 판넬로 조립구성된 출입구 개폐용 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