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380B1 - ESD charging circuit, RFID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bile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SD charging circuit, RFID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bile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380B1
KR101043380B1 KR1020090070204A KR20090070204A KR101043380B1 KR 101043380 B1 KR101043380 B1 KR 101043380B1 KR 1020090070204 A KR1020090070204 A KR 1020090070204A KR 20090070204 A KR20090070204 A KR 20090070204A KR 101043380 B1 KR101043380 B1 KR 101043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d
charge
electrostatic discharge
charg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2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12474A (en
Inventor
강희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90070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380B1/en
Publication of KR20110012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4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3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collecting energy from external energy sources, e.g. thermocouples, vibration, electromagnetic radiation
    • G06K19/0708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collecting energy from external energy sources, e.g. thermocouples, vibration, electromagnetic radiation the source being electromagnetic or magne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 방전(ESD;Electro Static Discharge) 전하 충전 회로, 이를 포함하는 RFID 장치 및 모바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 공급이 없는 상태에서 기기조작 동작시 유입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를 배터리 충전 전원으로 사용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정전기 방전(ESD) 전하 입력단을 통해 유입된 정전기 방전(ESD) 전하를 전원단으로 전달하는 정전기 방전(ESD) 소자부와, 전원단에 공급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의 전압 값을 제한하는 전압 제한부와, 전원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를 충전하는 충전 용량부, 및 충전 용량부에 충전된 전압을 배터리에 공급하며, 배터리의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an RFID device and a mobile system including the same. Disclosed is a technique to be us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element unit for transferring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troduced through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put terminal to a power supply terminal, and a voltage value of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supplied to a power supply terminal. A voltage limiting unit for limiting the voltage, a charging capacity unit for charging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applied from a power supply terminal, and a charging control unit for supplying a voltage charged in the charging capacity unit to the battery and controlling a charging operation of the battery. Include.

Description

정전기 방전(ESD) 전하 충전 회로, 이를 포함하는 RFID 장치 및 모바일 시스템 {ESD charging circuit, RFID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bile system including the same}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RDF device and mobile system including the same {ESD charging circuit, RFID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bile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전기 방전(ESD;Electro Static Discharge) 전하 충전 회로, 이를 포함하는 RFID 장치 및 모바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RFID 장치와 입력 패드를 통해 기기동작에 관한 입력 신호가 인가되는 모바일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an RFID device and a mobile system including the same.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n authorized mobile system.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Chip)란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사물을 자동으로 식별하기 위해 식별 대상이 되는 사물에는 RFID 태그를 부착하고 무선 신호를 이용한 송수신을 통해 RFID 리더와 통신을 수행하는 비접촉식 자동 식별 방식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RFID가 사용되면서 종래의 자동 식별 기술인 바코드 및 광학 문자 인식 기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게 되었다.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Chip) is a contactless automatic identification method that communicates with an RFID reader by attaching an RFID tag to an object to be identified and automatical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it by using a wireless signal. To provide technology. As RFID is used,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automatic identification technology, barcode and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technology.

최근에 들어, RFID 태그는 물류 관리 시스템, 사용자 인증 시스템, 전자 화폐 시스템, 교통 시스템 등의 여러 가지 경우에 이용되고 있다.Recently, RFID tags have been used in various cases, such as logistics management systems, user authentication systems, electronic money systems, transportation systems.

예를 들어, 물류 관리 시스템에서는 배달 전표 또는 태그(Tag) 대신에 데이 터가 기록된 IC(Integrated Circuit) 태그를 이용하여 화물의 분류 또는 재고 관리 등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서는 개인 정보 등을 기록한 IC 카드를 이용하여 입실 관리 등을 행하고 있다.For example, in the logistics management system, cargo classification or inventory management is performed using an integrated circuit (IC) tag in which data is recorded instead of a delivery slip or a tag. In the user authentication system, admission management and the like are performed using an IC card that record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like.

한편, RFID 태그에 사용되는 메모리로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may be used as a memory used for an RFID tag.

일반적으로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즉, Fe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은 디램(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정도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갖고, 전원의 오프시에도 데이터가 보존되는 특성 때문에 차세대 기억 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In general,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or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FeRAM), has a data processing speed of about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and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memory device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 that data is preserved eve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have.

이러한 FeRAM은 디램과 거의 유사한 구조를 갖는 소자로서, 기억 소자로 강유전체 커패시터를 사용한다. 강유전체는 높은 잔류 분극 특성을 가지는데, 그 결과 전계를 제거하더라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다. The FeRAM is a device having a structure almost similar to that of a DRAM, and uses a ferroelectric capacitor as a memory device. Ferroelectrics have a high residual polarization characteristic, and as a result, the data is not erased even when the electric field is removed.

도 1은 일반적인 RFID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general RFID device.

종래 기술에 따른 RFID 장치는 크게 안테나부(1), 아날로그부(10), 디지털부(20) 및 메모리부(30)를 포함한다.The RFID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n antenna unit 1, an analog unit 10, a digital unit 20, and a memory unit 30.

여기서, 안테나부(1)는 외부의 RFID 리더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안테나부(1)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는 안테나 패드(11,12)를 통해 아날로그부(10)로 입력된다. Here, the antenna unit 1 serves to receive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RFID reader.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unit 1 is input to the analog unit 10 through the antenna pads 11 and 12.

아날로그부(10)는 입력된 무선 신호를 증폭하여, RFID 태그의 구동전압인 전원전압 VDD을 생성한다. 그리고, 입력된 무선 신호에서 동작 명령 신호를 검출하 여 명령 신호 CMD를 디지털부(20)에 출력한다. 그 외에, 아날로그부(10)는 출력 전압 VDD을 감지하여 리셋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파워 온 리셋신호 POR와 클록 CLK을 디지털부(20)로 출력한다.The analog unit 10 amplifies the input wireless signal to generate a power supply voltage VDD which is a driving voltage of the RFID tag. Then, the operation command signal is detected from the input wireless signal and the command signal CMD is output to the digital unit 20. In addition, the analog unit 10 senses the output voltage VDD and outputs a power-on reset signal POR and a clock CLK to the digital unit 20 for controlling the reset operation.

디지털부(20)는 아날로그부(10)로부터 전원전압 VDD, 파워 온 리셋신호 POR, 클록 CLK 및 명령 신호 CMD를 입력받아, 아날로그부(10)에 응답신호 RP를 출력한다. 또한, 디지털부(20)는 어드레스 ADD, 입/출력 데이터 I/O, 제어 신호 CTR 및 클록 CLK을 메모리부(30)에 출력한다.The digital unit 20 receives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the power-on reset signal POR, the clock CLK, and the command signal CMD from the analog unit 10, and outputs a response signal RP to the analog unit 10. The digital unit 20 also outputs the address ADD, input / output data I / O, control signal CTR, and clock CLK to the memory unit 30.

또한, 메모리부(30)는 메모리 소자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리드/라이트하고, 데이터를 저장한다.In addition, the memory unit 30 reads / writes data using a memory element and stores the data.

여기서, RFID 장치는 여러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데, 주파수 대역에 따라 그 특성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RFID 장치는 주파수 대역이 낮을수록 인식 속도가 느리고 짧은 거리에서 동작하며, 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반대로, 주파수 대역이 높을수록 인식 속도가 빠르고 긴 거리에서 동작하며,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Here, the RFID device uses a frequency of several bands, the characteristics of which vary depending on the frequency band. In general, the lower the frequency band, the slower the recognition speed, the RFID device operates in a short distance, and is less affected by the environment. On the contrary, the higher the frequency band, the faster the recognition speed and the longer the distance is affected by the environment.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RFID 장치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에 따라, 안테나 패드(11,12)를 통해 정전기 방전(ESD; Electro Static Discharge) 전하가 RFID 장치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A conventional RFID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receives a radio signal through an antenna. Accordingly,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s may flow into the RFID device through the antenna pads 11 and 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s the following object.

첫째, 배터리를 사용하는 회로에서 전원의 공급 없이 정전기 방전(ESD;Electro Static Discharge) 전하를 배터리의 충전 전원으로 사용하는 충전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Firs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ging circuit using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as a charging power source of a battery without supplying power in a circuit using a battery.

둘째, 배터리를 사용하는 RFID 장치에서 전원의 공급 없이 기기조작 동작시 유입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를 배터리 충전 전원으로 사용하는 RFID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econd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RFID device using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troduced during a device operation operation without supplying power in a battery using an RFID device as a battery charging power source.

셋째, 배터리를 사용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시스템(Mobile Application system)에서 전원의 공급 없이 기기조작 동작시 유입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를 배터리 충전 전원으로 사용하는 모바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ir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system using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which is introduced during an operation of a device without supplying power in a mobile application system using a battery, as a battery charging power sour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전기 방전 전하 충전 회로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 입력단을 통해 유입된 정전기 방전(ESD) 전하를 전원단으로 전달하는 정전기 방전(ESD) 소자부; 전원단에 공급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의 전압값을 제한하는 전압 제한부; 전원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를 충전하는 충전 용량부; 및 충전 용량부에 충전된 전압을 배터리에 공급하며, 배터리의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electrostatic discharge charge charging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element unit for transferring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troduced through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put terminal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A voltage limiting unit for limiting a voltage value of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A charge capacity unit for charging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applied from a power supply terminal; And a charging control unit which supplies a voltage charged in the charging capacity unit to the battery and controls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battery.

그리고, 정전기 방전 전하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RFID 장치는, 안테나로부터 인가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에 따라 데이터의 리드/라이트 동작이 수행되는 RFID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를 충전하여 RFID 장치에 구비된 배터리에 공급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 충전 회로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n RFID device including an electrostatic discharge charge charging circuit may be configured to charge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flowing from an antenna in an RFID device in which data read / write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a radio frequency signal applied from an antenna. It includes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for supplying a battery provided in the RFID device.

또한, 정전기 방전 전하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모바일 시스템은, 입력 패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신호가 인가되어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수행하는 모바일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패드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를 충전하여 모바일 시스템에 구비된 배터리에 공급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 충전 회로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 mobile system including an electrostatic discharge charge charging circuit may be configured to charge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flowing from an input pad in a mobile system in which an operation signal from a user is applied through an input pad to perform an application operation. And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for supplying a battery included in the mobile system.

본 발명은 전원 공급이 없는 상태에서 기기조작 동작시 유입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를 배터리 충전 전원으로 사용하여 별도의 충전 전원이 불필요하고,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장시간 동안 배터리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troduc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in the absence of a power supply as a battery charging power, so that a separate charging power is unnecessary, it is easy to charge, and the use of the battery for a long time is easy. Provide the effect of enabling it.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구성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replacements and additions through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such configuration changes, etc. It should be seen as belonging to a rang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RFID 장치는 크게 아날로그부(100)과, 디지털부(200) 및 메모리부(300)를 포함한다. The RF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n analog unit 100, a digital unit 200, and a memory unit 300.

여기서, 아날로그부(100)는 정전기 방전(ESD;Electro Static Discharge) 전하 충전 회로(110)와, 전압 증폭부(120)와, 변조부(Modulator;130)와, 복조부(Demodulator;140), 파워 온 리셋부(Power On Reset unit;150) 및 클록 발생부(160)를 포함한다. Here, the analog unit 100 includes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110, a voltage amplifier 120, a modulator 130, a demodulator 140, And a power on reset unit 150 and a clock generator 160.

그리고, 아날로그부(100)의 안테나 ANT는 외부의 리더기 또는 라이터기와 RFID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안테나 ANT는 RFID 태그와 안테나 패드 PAD(+),PAD(-)를 통해 연결된다. And, the antenna ANT of the analog unit 100 is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external reader or writer and RFID. Antenna ANT is connected through RFID tag and antenna pad PAD (+), PAD (-).

정전기 방전 전하 충전 회로(110)는 전원의 공급 없이 안테나 ANT의 패드 PAD(+),PAD(-)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 방전(ESD;Electro Static Discharge) 전하를 RFID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충전 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electrostatic discharge charge charging circuit 110 uses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s flowing from pads PAD (+) and PAD (-) of the antenna ANT as a charging power source of a battery used for RFID without supplying power. It is a structure for doing so.

전압 증폭부(120)는 안테나 ANT로부터 인가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 RF에 의해 RFID의 구동전압인 전원전압 VDD을 생성한다. The voltage amplifier 120 generates a power supply voltage VDD which is a driving voltage of the RFID by the radio frequency signal RF applied from the antenna ANT.

또한, 변조부(130)는 디지털부(200)로부터 인가되는 응답 신호 RP를 변조하여 안테나 ANT에 전송한다. 복조부(140)는 전압 증폭부(120)의 출력전압에 따라 안테나 ANT로부터 인가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 RF에서 동작 명령 신호를 검출하여 명령신호 CMD를 디지털부(200)에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modulator 130 modulates the response signal RP applied from the digital unit 200 and transmits the modulated response signal RP to the antenna ANT. The demodulator 140 detects an operation command signal from a radio frequency signal RF applied from the antenna ANT according to the output voltage of the voltage amplifier 120 and outputs the command signal CMD to the digital unit 200.

그리고, 파워 온 리셋부(150)는 전압 증폭부(120)의 출력 전압 VDD을 감지하 여 리셋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파워 온 리셋신호 POR를 디지털부(200)에 출력한다. 클록 발생부(160)는 전압 증폭부(120)의 출력 전압 VDD에 따라 디지털부(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클록 CLK를 디지털부(200)에 공급한다. The power on reset unit 150 detects the output voltage VDD of the voltage amplifying unit 120 and outputs a power on reset signal POR for controlling the reset operation to the digital unit 200. The clock generator 160 supplies the clock CLK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unit 200 to the digital unit 200 according to the output voltage VDD of the voltage amplifier 120.

또한, 상술된 디지털부(200)는 아날로그부(100)로부터 전원전압 VDD, 파워 온 리셋신호 POR, 클록 CLK 및 명령신호 CMD를 인가받아 명령신호 CMD를 해석하고 제어신호 및 처리 신호들을 생성하여 아날로그부(200)에 해당하는 응답신호 RP를 출력한다. 그리고, 디지털부(200)는 어드레스 ADD, 입/출력 데이터 I/O, 및 제어신호 CTR을 메모리부(300)에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digital unit 200 receives a power supply voltage VDD, a power-on reset signal POR, a clock CLK, and a command signal CMD from the analog unit 100 to interpret the command signal CMD, generate control signals, and process signals to generate analog signals. The response signal RP corresponding to the unit 200 is output. The digital unit 200 outputs an address ADD, input / output data I / O, and a control signal CTR to the memory unit 300.

또한, 메모리부(300)는 복수 개의 메모리 셀을 포함하고, 각각의 메모리 셀은 데이터를 저장 소자에 라이트하고, 저장 소자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memory unit 300 includes a plurality of memory cells, each of which serves to write data to the storage device and to read data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여기서, 메모리부(300)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FeRAM)가 사용될 수 있다. FeRAM은 디램 정도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갖는다. 또한, FeRAM은 디램과 거의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커패시터의 재료로 강유전체를 사용하여 강유전체의 특성인 높은 잔류 분극을 가진다. 이와 같은 잔류 분극 특성으로 인하여 전계를 제거하더라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다.Here, the memory unit 300 may be a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FeRAM). FeRAM has a data processing speed of about DRAM. In addition, FeRAM has a structure almost similar to DRAM, and has a high residual polarization characteristic of the ferroelectric by using a ferroelectric as the material of the capacitor. Due to this residual polarization characteristic, data is not erased even when the electric field is removed.

도 3은 도 2의 정전기 방전(ESD;Electro Static Discharge, 이하에서는 'ESD'라 함) 전하 충전 회로(110)에 관한 상세 회로도이다. FIG. 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110 of FIG. 2.

정전기 방전(ESD) 전하 충전 회로(110)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 입력단(111,112)과, 정전기 방전(ESD) 소자부(113)와, 전압 제한부(114)와, 충전 용량부(115)와, 충전 제어부(116)와, 배터리(117) 및 배터리 출력단(118,119)을 포함한다.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110 includes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put terminal 111 and 112,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element unit 113, a voltage limiting unit 114, and a charge capacitor unit 115. And a charging control unit 116, a battery 117, and battery output terminals 118 and 119.

여기서, 정전기 방전(ESD) 전하 입력단(111,112)은 RFID 장치의 안테나 ANT로부터 인가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를 입력받는다. Here,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put terminals 111 and 112 receive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applied from the antenna ANT of the RFID device.

그리고, 정전기 방전(ESD) 소자부(113)는 다이오드 소자 D1,D2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이오드 소자 D1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 입력단(111)과 전원단(A)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다이오드 소자 D2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 입력단(112)과 정전기 방전(ESD) 전하 입력단(111)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다.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device unit 113 includes diode devices D1 and D2. Here, the diode element D1 is connected in the forward direction between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put terminal 111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A). The diode element D2 is forwardly connected between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put terminal 112 and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put terminal 111.

또한, 전압 제한부(114)는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이오드 소자는 제너 다이오드 소자 ZD1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너 다이오드 소자 ZD1는 접지단(B)과 전원단(A)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voltage limiting unit 114 includes a diode element.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ode element is a Zener diode element ZD1. Zener diode element ZD1 is connected in a forward direction between ground terminal B and power supply terminal A. FIG.

충전 용량부(115)는 커패시터 소자 C1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충전 용량부(115)의 커패시터 소자 C1가 상유전체 커패시터 소자인 경우를 그 실시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강유전체 커패시터 소자 또는 충전 용량을 갖는 다른 커패시터 소자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charge capacitor unit 115 includes the capacitor element C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in which the capacitor element C1 of the charge capacitor unit 115 is a dielectric capacitor element has been described as an embodi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of a ferroelectric capacitor element or another capacitor element having a charge capacity. have.

또한, 충전 제어부(116)는 전원단(A)에 연결되어 배터리(117)에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제어한다. 배터리(117)는 전원전과 접지단(B) 사이에 연결되어 배터리 출력단(118,119)을 통해 RFID 장치의 내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In addition, the charging control unit 116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A to control the charging power supplied to the battery 117. The battery 117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ground terminal B to supply power to the inside of the RFID device through the battery output terminals 118 and 119.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 충전 회로(11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1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정전기 방전(ESD) 전하 입력단(111,112)을 통해 안테나 ANT로부터 인가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는 정전기 방전(ESD) 소자부(113)에 전달된다. 그러면, 정전기 방전(ESD) 소자부(113)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 입력단(111,112)을 통해 유입된 정전기 방전(ESD) 전하를 충전 용량부(115)에 공급하거나 그라운드(GND) 전압단으로 방전한다. First,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applied from the antenna ANT through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put terminals 111 and 112 is transferred to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device unit 113. Then,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element unit 113 supplies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s introduced through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put terminals 111 and 112 to the charging capacitor unit 115 or to the ground (GND) voltage terminal. Discharge.

즉, 다이오드 소자 D1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 입력단(111)으로부터 유입된 전하를 전원단(A)을 통해 충전 용량부(115)에 공급한다. 이때, 충전 용량부(115)로 공급되는 전하는 (+) 전압에 해당한다. That is, the diode element D1 supplies the charges flowing from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put terminal 111 to the charging capacitor unit 115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A. At this time, the charge supplied to the charge capacity unit 115 corresponds to a (+) voltage.

만약, 정전기 방전(ESD) 전하 입력단(111)을 통해 (-)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그라운드(GND) 전압단, 다이오드 소자 D2 및 정전기 방전(ESD) 전하 입력단(111)의 전달 경로를 통해 방전된다. 그리고, 다이오드 소자 D2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 입력단(111)을 통해 인가되는 (+) 전압이 접지단(B)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If a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hrough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put terminal 111,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transfer path of the ground (GND) voltage terminal, the diode element D2, and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put terminal 111. . The diode element D2 serves to prevent a positive voltage applied through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put terminal 111 from flowing to the ground terminal B. FIG.

또한, 전압 제한부(114)는 전원단(A)에 너무 높은 전압이 흐르게 않도록 제한하여, 충전 용량부(115)의 상한 전압을 제한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voltage limiting unit 114 restricts the high voltage to flow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A, thereby limiting the upper limit voltage of the charging capacitor unit 115.

즉, 전압 제한부(114)는 정전기 방전(ESD) 소자부(113)로부터 일정 전압 이하의 전압이 인가될 경우 충전 용량부(115) 및 충전 제어부(116)에 이를 전달한다. 반면에, 전압 제한부(114)는 정전기 방전(ESD) 소자부(113)로부터 일정 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될 경우, 제너 다이오드 ZD1를 통해 접지단(B)으로 방전되도록 한다. That is, the voltage limiter 114 transmits the voltage to the charge capacitor 115 and the charge controller 116 when a voltage below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from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device unit 113. On the other hand, the voltage limiting unit 114 is discharged to the ground terminal (B) through the zener diode ZD1 when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voltage or more is applied from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element unit 113.

충전 용량부(115)는 정전기 방전(ESD) 소자부(113)와, 전압 제한부(114)로부터 인가된 전하를 커패시터 소자 C1에 충전한다. The charging capacitor unit 115 charges the capacitor element C1 with the electric charges applied from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element unit 113 and the voltage limiting unit 114.

그리고, 충전 제어부(116)는 배터리(117)의 전체적인 충전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즉, 충전 제어부(116)는 배터리(117)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배터리 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충전 제어부(116)는 배터리(117)에 인가되는 충전 전압이 다른 곳으로 역류 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터리(117)에 전압이 충전되는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harging control unit 116 controls the overall charging operation of the battery 117. That is, the charging control unit 116 adjusts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battery 117 to prevent the battery from being heated. In addition, the charging control unit 116 prevents the charging voltage applied to the battery 117 from flowing back to another place, and adjusts the rate at which the battery 117 is charged with voltage.

이에 따라, 충전 제어부(116)의 제어에 따라 충전 용량부(115)에 저장된 전하가 배터리(117)에 저장된다. 그리고, 배터리(117)에 충전된 전압은 배터리 출력단(118,119)을 통해 RFID 장치의 내부에 공급된다. Accordingly, the charge stored in the charge capacitor 115 is stored in the battery 117 under the control of the charge controller 116. The voltage charged in the battery 117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RFID device through the battery output terminals 118 and 119.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모바일 시스템(400)은 디스플레이부(401)와, 패드 어레이부(410) 및 정전기 방전(ESD) 전하 충전 회로(420)를 포함한다. The mobile system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401, a pad array unit 410, and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420.

여기서, 디스플레이부(401)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시스템(Mobile Application system)에서 사용자의 기기조작에 따른 응답신호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해 준다. Here, the display unit 401 displays the response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device operation in the mobile application system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그리고, 패드 어레이부(410)는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신호를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의 내부 제어회로에 전달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패드들 P1~P12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복수개의 패드들 P1~P12을 조작하여 원하는 입력신호를 입력할 경우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의 내부 제어회로가 이를 제어하여 그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디스플레이부(401)에 출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pad array unit 410 includes a plurality of pads P1 to P12 to transmit an input signal desired by a user to an internal control circuit of the application system. When a user inputs a desired input signal by manipulating a plurality of pads P1 to P12, the internal control circuit of the application system controls the same and outputs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ult to the display unit 401.

또한, 정전기 방전 전하 충전 회로(420)는 전원의 공급 없이 패드 어레이부(410)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 방전(ESD;Electro Static Discharge) 전하를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충전 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In addition, the electrostatic discharge charge charging circuit 420 is configured to us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flowing from the pad array unit 410 without supplying power as a charging power source for a battery used in an application system. .

도 5는 도 4의 정전기 방전(ESD;Electro Static Discharge, 이하에서는 'ESD'라 함) 전하 충전 회로(420)에 관한 상세 회로도이다. FIG. 5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420 of FIG. 4.

정전기 방전(ESD) 전하 충전 회로(420)는 정전기 방전(ESD) 소자부(421)와, 전압 제한부(422)와, 충전 용량부(423)와, 충전 제어부(424)와, 배터리(425) 및 배터리 출력단(426,427)을 포함한다.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420 includes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element unit 421, a voltage limiting unit 422, a charging capacitor unit 423, a charging control unit 424, and a battery 425. ) And battery output stages (426, 427).

여기서, 정전기 방전(ESD) 소자부(421)는 복수개의 다이오드 소자 D3~D6를 포함한다. 다이오드 소자 D3는 패드 P1의 연결단과 전원단(A)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다이오드 소자 D4는 접지단(B)과 패드 P1의 연결단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다.Here,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element unit 421 includes a plurality of diode elements D3 to D6. The diode element D3 is connected in a forward dir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pad P1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A. FIG. The diode element D4 is connected in the forward direction between the ground terminal B and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pad P1.

그리고, 다이오드 소자 D5는 패드 P12의 연결단과 전원단(A)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다이오드 소자 D6는 접지단(B)과 패드 P12의 연결단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다.The diode element D5 is connected in a forward dir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pad P12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A. FIG. The diode element D6 is connected in the forward direction between the ground terminal B and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pad P12.

도 5의 실시예에서는 패드 P1 및 패드 P12와 연결된 정전기 방전(ESD) 소자부(421)만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패드 어레이부(410)에 포함된 복수개의 패드 수와 대응하도록 정전기 방전(ESD) 소자부(42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embodiment of FIG. 5, only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device unit 421 connected to the pads P1 and P12 is illustra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of pads included in the pad array unit 410 is not limited thereto. Preferably,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device unit 421 is provided.

또한, 전압 제한부(422)는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이오드 소자는 제너 다이오드 소자 ZD2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너 다이오드 소자 ZD2는 접지단(B)과 전원단(A)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voltage limiting unit 422 includes a diode element.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ode element is a Zener diode element ZD2. Zener diode element ZD2 is connected in a forward direction between ground terminal B and power supply terminal A. FIG.

충전 용량부(423)는 커패시터 소자 C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충전 용량부(423)의 커패시터 소자 C2가 상유전체 커패시터 소자인 경우를 그 실시예로 설 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강유전체 커패시터 소자 또는 충전 용량을 갖는 다른 커패시터 소자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charging capacitor 423 includes a capacitor element C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in which the capacitor element C2 of the charge capacitor 423 is a dielectric capacitor element has been described as an embodim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made of a ferroelectric capacitor element or another capacitor element having a charge capacity. It may be.

또한, 충전 제어부(424)는 전원단(A)에 연결되어 배터리(425)에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제어한다. 배터리(425)는 전원전과 접지단(B) 사이에 연결되어 배터리 출력단(426,427)을 통해 모바일 시스템 내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In addition, the charging control unit 424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A to control the charging power supplied to the battery 425. The battery 425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ground terminal B to supply power to the inside of the mobile system through the battery output terminals 426 and 427.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 충전 회로(42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42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패드 P1~P12를 통해 사용자의 기기조작 동작으로부터 인가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는 정전기 방전(ESD) 소자부(421)에 전달된다. 그러면, 정전기 방전(ESD) 소자부(421)는 패드 P1~P12를 통해 유입된 정전기 방전(ESD) 전하를 충전 용량부(423)에 공급하거나 그라운드(GND) 전압단으로 방전한다. First,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applied from a user's device operation through the pads P1 to P12 is transferred to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element unit 421. Then,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device unit 421 supplies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s introduced through the pads P1 to P12 to the charge capacitor unit 423 or discharges to the ground (GND) voltage terminal.

즉, 다이오드 소자 D3,D5는 패드 P1~P12로부터 유입된 전하를 전원단(A)을 통해 충전 용량부(423)에 공급한다. 이때, 충전 용량부(423)로 공급되는 전하는 (+) 전압에 해당한다. That is, the diode elements D3 and D5 supply the charges introduced from the pads P1 to P12 to the charging capacitor 423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A. FIG. At this time, the charge supplied to the charging capacitor 423 corresponds to a positive voltage.

만약, 패드 P1~P12를 통해 (-)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그라운드(GND) 전압단, 다이오드 소자 D4(또는, 다이오드 소자 D6) 및 패드 P1~P12의 전달 경로를 통해 방전된다. 그리고, 다이오드 소자 D4,D6는 패드 P1~P12를 통해 인가되는 (+) 전압이 접지단(B)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If a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hrough the pads P1 to P12, the terminal discharges through the transfer paths of the ground (GND) voltage terminal, the diode element D4 (or the diode element D6), and the pads P1 to P12. In addition, the diode elements D4 and D6 play a role of preventing the positive voltage applied through the pads P1 to P12 from flowing to the ground terminal B. FIG.

또한, 전압 제한부(422)는 전원단(A)에 너무 높은 전압이 흐르게 않도록 제한하여, 충전 용량부(423)의 상한 전압을 제한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voltage limiting unit 422 restricts the voltage of the power supply terminal A from being too high, thereby limiting the upper limit voltage of the charging capacitor 423.

즉, 전압 제한부(422)는 정전기 방전(ESD) 소자부(421)로부터 일정 전압 이하의 전압이 인가될 경우 충전 용량부(423) 및 충전 제어부(424)에 이를 전달한다. 반면에, 전압 제한부(422)는 정전기 방전(ESD) 소자부(421)로부터 일정 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될 경우, 제너 다이오드 ZD2를 통해 접지단(B)으로 방전되도록 한다. That is, the voltage limiting unit 422 transfers the voltage to the charging capacitor 423 and the charging controller 424 when a voltage below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from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device unit 421. On the other hand, the voltage limiting unit 422 discharges the ground terminal B through the zener diode ZD2 when a voltage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from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element unit 421.

충전 용량부(423)는 정전기 방전(ESD) 소자부(421)와, 전압 제한부(422)로부터 인가된 전하를 커패시터 소자 C2에 충전한다. The charge capacitor 423 charges the capacitor element C2 with the electric charges applied from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element unit 421 and the voltage limiting unit 422.

그리고, 충전 제어부(424)는 배터리(425)의 전체적인 충전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즉, 충전 제어부(424)는 배터리(425)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배터리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충전 제어부(424)는 배터리(425)에 인가되는 충전 전압이 다른 곳으로 역류 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터리(425)에 전압이 충전되는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harging control unit 424 controls the overall charging operation of the battery 425. That is, the charging control unit 424 adjusts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battery 425 to prevent the battery from being heated. In addition, the charging control unit 424 prevents the charging voltage applied to the battery 425 from flowing back to another place, and adjusts the rate at which the voltage is charged to the battery 425.

이에 따라, 충전 제어부(424)의 제어에 따라 충전 용량부(423)에 저장된 전하가 배터리(425)에 저장된다. 그리고, 배터리(425)에 충전된 전압은 배터리 출력단(426,427)을 통해 모바일 시스템의 내부 회로에 공급된다. Accordingly, the charge stored in the charge capacitor 423 is stored in the battery 425 under the control of the charge controller 424. The voltage charged in the battery 425 is supplied to the internal circuit of the mobile system through the battery output terminals 426 and 427.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사용하는 RFID 장치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기에서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별도의 회로 구성이 필요하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별도의 전원 회로를 구비하지 않고, RFID 장치의 안테나로부터 인가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를 배터리의 충전 전원으로 사용하거나, 모바일 시스템의 입력 패드로부터 인가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를 배터리의 충전 전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In general, an RFID device using a battery or a mobile application device requires a separate circuit configuration for charging a batter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a separate power supply circuit for charging a battery, and uses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applied from an antenna of an RFID device as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or an electrostatic discharge applied from an input pad of a mobile system. (ESD) charge is used as a charging source for the battery.

즉, RFID 장치의 경우 각 태그의 크기는 작은데 반하여, 상대적으로 배터리 의 크기가 크다. 그리고, RFID 장치는 외부의 리더기 또는 라이터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안테나가 필요하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RFID device, the size of each tag is small, but the size of the battery is relatively large. In addition, the RFID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a wireless signal with an external reader or lighter, and an antenna is required for this purpose.

그런데, RFID 장치는 외부의 리더기 또는 라이터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정전기 방전(ESD) 전하에 의한 정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RFID 장치에 부착된 안테나를 사용자가 만지게 될 경우 정전기 방전(ESD) 전하에 의한 정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However, when an RFID device transmits / receives a wireless signal to or from an external reader or lighter, static electricity is generated by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 addition, when the user touches the antenna attached to the RFID device, static electricity is generated by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또한, 모바일 시스템의 경우 일반적인 휴대폰 기기를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키패드 조작에 의해 명령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In the case of a mobile system, a general cellular phone device may be described as an example. Such an application system receives a command signal by a keypad operation of a user in order to perform an operation desired by a user.

그런데, 모바일 시스템의 경우, 패드 어레이(410)를 통해 사용자가 기기 조작을 수행하게 되면 패드 어레이(610)를 통해 정전기 방전(ESD) 전하가 유입된다. 또한, 실외에서 모바일 시스템을 조작하게 될 경우, 천둥이나 낙뢰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해 상대적으로 높은 정전기 방전(ESD) 전하가 모바일 시스템에 유입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mobile system, when a user performs a device operation through the pad array 410,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s introduced through the pad array 610. In addition, when operating the mobile system outdoors, relatively high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s may be introduced into the mobile system due to natural disasters such as thunder and lightning.

이러한 정전기 방전(ESD) 전하는 RFID 장치 또는 모바일 시스템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유입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를 충전하여 배터리의 충전 전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affects the RFID device or the mobile syst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s introduced to be used as a charging power source of the battery.

도 1은 종래의 RFID 장치에 관한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RFID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RFID 장치의 구성도. 2 is a block diagram of an RFID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ESD 전하 충전 회로에 관한 상세 회로도. 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of FIG.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시스템에 관한 구성도. 4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ESD 전하 충전 회로에 관한 상세 회로도. FIG. 5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of FIG. 4. FIG.

Claims (31)

정전기 방전(ESD) 전하 입력단을 통해 유입된 정전기 방전(ESD) 전하를 전원단으로 전달하는 정전기 방전(ESD) 소자부;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device unit configured to transfer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troduced through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put terminal to a power supply terminal; 상기 전원단에 공급되는 상기 정전기 방전(ESD) 전하의 전압값을 제한하는 전압 제한부; A voltage limiter configured to limit a voltage value of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supplied to the power terminal; 상기 전원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정전기 방전(ESD) 전하를 충전하는 충전 용량부; 및 A charge capacitor unit for charging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상기 충전 용량부에 충전된 전압을 배터리에 공급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 충전 회로. And a charging control unit for supplying a voltage charged in the charging capacity unit to the battery and controlling a charging operation of the battery.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방전(ESD) 소자부에 인가된 (+) 전하는 상기 전원단으로 공급되고, (-) 전하는 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 충전 회로.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ve charge applied to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element portion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negative charge is discharged.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 was abandoned when the setup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방전(ESD) 소자부는 상기 정전기 방전(ESD) 전하 입력단과 상기 전원단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 제 1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 충전 회로.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element portion includes a first diode element connected in a forward direction between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put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방전(ESD) 소자부는 접지단과 상기 정전기 방전(ESD) 전하 입력단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 제 2다이오드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 충전 회로. 4.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element portion further comprises a second diode element connected in a forward direction between a ground terminal and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put terminal.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한부는 상기 충전 용량부에 공급되는 상기 정전기 방전(ESD) 전하의 상한값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 충전 회로.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oltage limiting unit limits an upper limit value of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supplied to the charging capacitor.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한부는 접지단과 상기 전원단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 제너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 충전 회로. 6.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as claimed in claim 1 or 5, wherein the voltage limiting unit includes a Zener diode element connected in a forward direction between the ground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7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용량부는 커패시터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 충전 회로. 2.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rge capacitor comprises a capacitor element.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8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 소자는 상유전체 및 강유전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 충전 회로. 8.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capacitor element is made of any one of a dielectric and a ferroelectric.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9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 충전 회로.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of claim 7, wherein the charging control unit adjusts an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battery. 안테나로부터 인가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에 따라 데이터의 리드/라이트 동작이 수행되는 RFID 장치에 있어서, An RFID device in which a read / write operation of data is performed according to a radio frequency signal applied from an antenna, 상기 안테나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를 충전하여 상기 RFID 장치에 구비된 배터리에 공급하는 정전기 방전(ESD) 전하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RFID 장치. RFID device including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for charging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flowing from the antenna and to supply to the battery provided in the RFID device.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1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registration fe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장치는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RFID device is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에 따라 명령신호를 생성하고, 응답신호를 상기 안테나로 전송하는 아날로그부; An analog unit for generating a command signal according to the radio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to the antenna; 상기 명령신호에 따라 내부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응답신호를 상기 아날로그부에 출력하는 디지털부; 및 A digital unit outputting an internal control signal and data according to the command signal and outputting the response signal to the analog unit; And 상기 내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의 리드/라이트 동작이 수행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장치.And a memory in which the read / write operation of the data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internal control signal.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2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방전(ESD) 전하 충전 회로는 상기 아날로그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장치. The RFID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is included in the analog unit.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3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방전(ESD) 전하 충전 회로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is 상기 안테나를 통해 유입된 정전기 방전(ESD) 전하를 전원단으로 전달하는 ESD 소자부; An ESD device unit transferring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charge introduced through the antenna to a power supply terminal; 상기 전원단에 공급되는 상기 ESD 전하의 전압값을 제한하는 전압 제한부; A voltage limiting unit limiting a voltage value of the ESD charge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상기 전원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ESD 전하를 충전하는 충전 용량부; 및 A charge capacitor unit for charging the ESD charge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상기 충전 용량부에 충전된 전압을 상기 배터리에 공급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장치. And a charging control unit for supplying a voltage charged in the charging capacity unit to the battery and controlling a charging operation of the battery.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4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ESD 소자부에 인가된 (+) 전하는 상기 전원단으로 공급되고, (-) 전하는 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장치. The RFID devic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positive charge applied to the ESD element portion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negative charge is discharged.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ESD 소자부는 상기 ESD 전하의 입력단과 상기 전원단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 제 1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장치. The RFID device of claim 13, wherein the ESD device unit comprises a first diode device connected forward between the input terminal of the ESD charge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6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registration fe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ESD 소자부는 접지단과 상기 ESD 전하의 입력단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 제 2다이오드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장치.The RFID device of claim 15, wherein the ESD device un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diode device connected forwardly between a ground terminal and an input terminal of the ESD charge.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7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한부는 상기 충전 용량부에 공급되는 상기 ESD 전하의 상한값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장치.The RFID device of claim 13, wherein the voltage limiter limits an upper limit of the ESD charge supplied to the charge capacitor.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8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 13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한부는 접지단과 상기 전원단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 제너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장치. 18. The RFID device according to claim 13 or 17, wherein the voltage limiting unit comprises a Zener diode element connected in a forward direction between a ground terminal and the power terminal.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9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용량부는 커패시터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장치.The RFID devic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charging capacitor comprises a capacitor element.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0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1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장치.The RFID device of claim 13, wherein the charging controller adjusts an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battery. 입력 패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신호가 인가되어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수행하는 모바일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mobile system that the operation signal is applied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pad to perform the application operation, 상기 입력 패드로부터 유입되는 ESD 전하를 충전하여 상기 모바일 시스템에 구비된 배터리에 공급하는 ESD 전하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모바일 시스템. And an ESD charge charging circuit for charging the ESD charge flowing from the input pad and supplying the ESD charge to the battery included in the mobile system.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3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ESD 전하 충전 회로는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ESD charge charging circuit is 상기 입력 패드를 통해 유입된 ESD 전하를 전원단으로 전달하는 ESD 소자부; An ESD element unit for transferring the ESD charge introduced through the input pad to a power supply terminal; 상기 전원단에 공급되는 상기 ESD 전하의 전압값을 제한하는 전압 제한부; A voltage limiting unit limiting a voltage value of the ESD charge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상기 전원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ESD 전하를 충전하는 충전 용량부; 및 A charge capacitor unit for charging the ESD charge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상기 충전 용량부에 충전된 전압을 배터리에 공급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시스템. And a charging control unit for supplying a voltage charged in the charging capacity unit to a battery and controlling a charging operation of the battery.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4 is abandoned in setting registration fee.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ESD 소자부에 인가된 (+) 전하는 상기 전원단으로 공급되고, (-) 전하는 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시스템. 24. The mobile system of claim 23, wherein the positive charge applied to said ESD element portion is supplied to said power stage and the negative charge is discharged.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5 is abandoned in setting registration fee.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ESD 소자부는 상기 ESD 전하의 입력단과 상기 전원단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 제 1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시스템. The mobile system of claim 23, wherein the ESD device unit includes a first diode device connected forward between the input terminal of the ESD charge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6 is abandoned in setting registration fee.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ESD 소자부는 접지단과 상기 ESD 전하의 입력단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 제 2다이오드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시스템. 26. The mobile system of claim 25, wherein the ESD device portion further comprises a second diode device connected forward between the ground terminal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ESD charge.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7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한부는 상기 충전 용량부에 공급되는 상기 ESD 전하의 상한값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시스템. 24. The mobile system of claim 23, wherein the voltage limiter limits an upper limit of the ESD charge supplied to the charging capacitor.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8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 registration fee. 제 23항 또는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한부는 접지단과 상기 전원단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된 제너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시스템. 28. The mobile system of claim 23 or 27, wherein the voltage limiter comprises a Zener diode element connected forward between the ground terminal and the power terminal.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9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용량부는 커패시터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시스템. The mobile system of claim 23, wherein the charging capacitor comprises a capacitor element.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0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 registration fee.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 소자는 상유전체 및 강유전체 중 어느 하 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시스템. 30. The mobile system of claim 29, wherein the capacitor element is made of any one of a dielectric and a ferroelectric.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1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시스템. The mobile system of claim 23, wherein the charging controller adjusts an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battery.
KR1020090070204A 2009-07-30 2009-07-30 ESD charging circuit, RFID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bile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0433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204A KR101043380B1 (en) 2009-07-30 2009-07-30 ESD charging circuit, RFID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bile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204A KR101043380B1 (en) 2009-07-30 2009-07-30 ESD charging circuit, RFID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bile syste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474A KR20110012474A (en) 2011-02-09
KR101043380B1 true KR101043380B1 (en) 2011-06-21

Family

ID=43772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204A KR101043380B1 (en) 2009-07-30 2009-07-30 ESD charging circuit, RFID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bile syste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38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100A (en) * 2001-06-02 2002-12-11 이철수 Friction charging with electricity apparatus of electronic setup for mobile phone including
KR100882148B1 (en) 2007-06-22 2009-02-06 한국과학기술원 Electrostatic actuator, the method of actuating the same and applicable devices u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100A (en) * 2001-06-02 2002-12-11 이철수 Friction charging with electricity apparatus of electronic setup for mobile phone including
KR100882148B1 (en) 2007-06-22 2009-02-06 한국과학기술원 Electrostatic actuator, the method of actuating the same and applicable devices us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474A (en)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45446A1 (en) Rfid system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KR100966997B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
KR101087794B1 (en) RFID device
US8939377B2 (en) RFID device
KR101043380B1 (en) ESD charging circuit, RFID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bile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031414B1 (en) Rfid device
KR101139491B1 (en) RFID device
US20110025472A1 (en) Connection port system
KR101939239B1 (en) Envelop Detector for RF Communication
KR101067886B1 (en) RFID device
KR20110012507A (en) Rfid test system
KR101068313B1 (en) Rfid tag being tested on the wafer and method thereof
KR101218280B1 (en) RFID device
KR101139490B1 (en) RFID device
KR101037513B1 (en) Rfid tag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KR101031404B1 (en) Rfid tag with power voltate regulating function
KR101061342B1 (en) Connect port system
JP2011257798A (en) Contactless ic card
KR101077449B1 (en) Rfid system including connecting interface
KR101150523B1 (en) RFID device
KR101102000B1 (en) Rfid device
KR101051184B1 (en) RFID device
KR101031428B1 (en) Rfid tag generating multiple clocks
KR101010097B1 (en) Rfid tag with power voltage regulating function
KR101067887B1 (en) RFI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