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109B1 - 차량용 조향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109B1
KR101043109B1 KR1020070093596A KR20070093596A KR101043109B1 KR 101043109 B1 KR101043109 B1 KR 101043109B1 KR 1020070093596 A KR1020070093596 A KR 1020070093596A KR 20070093596 A KR20070093596 A KR 20070093596A KR 101043109 B1 KR101043109 B1 KR 101043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haft
vehicle
stee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8187A (ko
Inventor
박상윤
곽유식
Original Assignee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3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109B1/ko
Publication of KR20090028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1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power actuated adjustment, e.g. with position memo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핸들 위치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차량용 조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바; 핸들과 일단이 상기 핸들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과 함께 회전하는 핸들 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바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 바에 설치되는 핸들 유닛;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며, 바퀴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향 샤프트; 일측이 상기 핸들 샤프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 샤프트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조향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핸들 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조향 샤프트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키를 매개로 상기 조향 샤프트에 결합되는 회전력 전달유닛; 및 상기 핸들 유닛을 상기 가이드 바를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여 운적석의 위치를 최적의 상태로 배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석의 위치 변경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차량, 운전석, 핸들, 좌우 방향, 이동, 배치, 구동 유닛

Description

차량용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조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핸들 위치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차량용 조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나 승용차 또는 화물차와 같은 일반 차량뿐만 아니라 장갑차와 같은 군용 차량은 경로를 운전자의 의도대로 변경하기 위해 조향 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조향 장치의 대표적인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조향 장치는 핸들(1)과 상기 핸들(1)에 고정되어 핸들(1)과 함께 회전하는 핸들 샤프트(2)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 샤프트(2)의 끝단에는 피니언 기어(3)가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3)는 조향축(4)에 형성된 랙(5)에 치합되며, 상기 조향축(4)은 바퀴가 설치되는 너클 조립체(6)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조향축(4)의 둘레에는 실린더(7)가 형성되어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오일펌프(8)로부터 토출된 압유가 실린더(7)로 압송되고, 이와 같이 압송된 압유는 상기 조향축(4)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오일펌프(8)와 상기 실린더(7)의 사이에는 상기 핸들 샤프트(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오일펌프(8) 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의 공급방향을 전환시키는 제어밸브(9)가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조향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우선 운전자가 핸들(1)을 회전 조작하면, 상기 핸들 샤프트(2)가 회전한다. 상기 핸들 샤프트(2)가 회전함에 따라 피니언 기어(3)가 회전하여 랙(5)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구동되고, 이에 의해 조향축(4)이 좌우측으로 이동하여 너클 조립체(6)의 방향을 전환시킨다. 또한, 상기 핸들 샤프트(2)의 회전에 의해 제어밸브(9)가 구동되어 오일펌프(8)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실린더(7)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공급되고, 이에 의해 상기 조향축(4)이 좌우측으로 이동된다. 즉, 핸들 샤프트(2)를 회전시키는 운전자의 회전력과 오일펌프(8)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상기 조향축(4)이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작동되는 조향 장치는 차량의 어느 일측에 고정된다. 그러나 국가별로 차량 통행 기준이 달라 운전석의 위치가 다르다. 일 예로, 한국과 미국 등의 경우, 차량의 운전석은 좌측에 배치되는 반면, 일본, 영국, 홍콩 등의 국가는 운전석이 차량의 우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수출용으로 제작되는 차량 중 일부는 운전석을 우측에 배치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조향 장치뿐만 아니라 엔진룸의 레이아웃이 별도로 설계되어야하고 조립 공정이 별도로 운용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운전석의 배치에 따라 설계 및 조립을 이원화해야 하기 때문에 차량의 생산성이 저하된다.
또한, 차량의 종류에 따라 운적석을 차량의 중앙에 배치시켜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또 다른 조향 장치 및 엔진룸의 레이아웃에 대한 새로운 설계가 필요하여 차량의 생산성은 더욱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핸들 유닛을 자동으로 이동시켜 운전석의 위치가 서로 다른 차량의 설계 및 조립 공정을 일원화할 수 있는 차량용 조향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향 장치는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바; 핸들과 일단이 상기 핸들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과 함께 회전하는 핸들 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바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 바에 설치되는 핸들 유닛;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며, 바퀴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향 샤프트; 일측이 상기 핸들 샤프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 샤프트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조향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핸들 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조향 샤프트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키를 매개로 상기 조향 샤프트에 결합되는 회전력 전달유닛; 및 상기 핸들 유닛을 상기 가이드 바를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핸들 유닛과 상기 차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의 출력축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핸들 유닛과 상기 차체 중 다른 어느 하나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는 랙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력 전달유닛은 상기 핸들 샤프트의 타단이 삽입되는 제1중공부가 형성된 제1축을 구비하며, 상기 제1축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핸들 샤프트의 타단에 형성된 키홈에 결합되는 키를 매개로 상기 핸들 샤프트와 회전력 전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베벨 기어; 및 상기 제1베벨 기어에 회전력 전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조향 샤프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중공부가 형성된 제2축을 구비하며, 상기 제2축의 내주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키가 설치되는 제2베벨 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 유닛은 상기 핸들과 상기 핸들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이 상기 가이드 바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상기 가이드 부재는 오일리스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핸들 유닛이 차량의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운전석의 위치가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운전석의 위치가 변경 가능함에 따라 기존에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 별도로 설계 및 조립 공정이 관리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구동 모터에 의해 핸들 유닛을 자동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운전석의 위치를 보다 편리하고 정밀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조향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홈에 제2베벨 기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키가 삽입되는 결합 구조에 의해, 핸들 유닛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도 차량의 조향이 가능하다.
한편, 가이드 부재를 오일리스 베어링으로 구성함으로써, 급유 등의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장치는 가이드 바(10)와, 상기 가이드 바(10a)(10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 유닛(30)과, 상기 핸들 유닛(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바퀴에 전달하는 조향 샤프트(50)와, 상기 핸들 유닛(30)의 회전력을 상기 조향 샤프트(50)에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유닛(70) 및 상기 핸들 유닛(30)을 상기 가이드 바(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9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바(10)는 상기 핸들 유닛(30)의 좌우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양단 각각이 차체(B)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바(10)는 한 쌍, 즉 제1가이드 바(10a)와 제2가이드 바(10b)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바(10a)(10b)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핸들 유닛(30)의 좌우 방향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한 상기 가이드 바(10)는 하나만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개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핸들 유닛(30)은 프레임(31)과,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핸들(32)과, 핸들 샤프트(33)와, 가이드 부재(35)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31)은 상기 핸들(32)과 상기 핸들 샤프트(3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프레임(31)에는 가속 패달이나 브레이크 패달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 샤프트(33)는 그 일단이 상기 핸들(32)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32)과 함께 회전하고, 타단은 상기 회전력 전달유닛(70)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 샤프트(33)에는 키홈(34)이 형성되며, 상기 키홈(34)에는 후술한 제1베벨 기어(74)의 내부에 고정되는 키(77)가 삽입되어 상기 핸들 샤프트(33)의 회전력을 상기 제1베벨 기어(74)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35)는 상기 프레임(31)이 상기 가이드 바(10)를 따라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베어링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오일리스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 오일리스 베어링이란, 주지된 바와 같이, 축 지지부에 공극이 많은 금속을 써서 그 공극내에 윤활유를 넣은 베어링으로서, 제작과정에서 윤활유를 같이 넣어 제작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35)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상기 프레임(31)에 고정되게 설 치되며, 상기 각 가이드 바(10a)(10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35)는 상기 제1가이드 바(10a)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 부재(35a)와, 상기 제2가이드 바(10b)에 삽입되는 제2가이드 부재(35b)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 부재(35)가 상기 가이드 바(10a)(10b)에 삽입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가이드 부재(35)와 상기 가이드 바(10)는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홈의 형태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조향 샤프트(50)는 회전력 전달유닛(70)을 통해 전달된 상기 핸들 유닛(30)의 회전력을 바퀴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핸들 유닛(30)이 가이드 바(10)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핸들 유닛(30)과 함께 이동하는 회전력 전달유닛(70)이 상기 조향 샤프트(5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핸들 유닛(30)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력 전달유닛(70)을 통해 전달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향 샤프트(50)는 상기 가이드 바(10)와 나란하게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조향 샤프트(50)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회전력 전달유닛(70)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조향 샤프트(5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홈(51)이 형성된다. 상기 조향 샤프트(50)는 회전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그 일단이 차체(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커플링(52)과 같은 축이음 부재를 통해 베벨기어유닛(53)의 축 일단에 회전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베벨기어유닛(53)의 축 타단은 상기 차체(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상기 베벨기어유닛(53)의 출력축(54)은 도 1에 도시된 피니언(3)과 랙(5)을 통해 바퀴에 조향력을 전달하는 링크유닛(미 도시)에 연결되거나 유압 실린더로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밸브(9)에 연결된다. 상기 베벨기어유닛(53)의 출력축(54)과 바퀴를 연결하는 구성들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력 전달유닛(7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 샤프트(33)의 회전력을 상기 조향 샤프트(5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71)과, 제1베어링(72)과, 제2베어링(73)과, 제1베벨 기어(74)와, 제2베벨 기어(84)를 포함한다.
상기 제1베벨 기어(74)는 제1중공부(76)가 형성된 제1축(75)을 구비하며, 상기 제1축(75)의 내주면에는 키(77)가 결합된다. 상기 키(77)는 상기 제1축(75)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키(77)의 돌출 부분은 상기 핸들 샤프트(33)의 키홈(34)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제1베벨 기어(74)는 상기 핸들 샤프트(33)와 회전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1베벨 기어(74)는 상기 한 쌍의 제1베어링(72)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7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축(75)의 양단 각각에는 상기 제1베어링(7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1이탈방지키(78)가 결합된다.
상기 제2베벨 기어(84)는 각 축(75)(85)이 수직되게 상기 제1베벨 기어(74)에 치합되며, 상기 제1축(75)과 수직인 제2축(85)을 구비한다. 상기 제2축(85)에는 상기 조향 샤프트(50)가 삽입되는 제2중공부(86)가 형성되며, 제2축(85)의 내주면에는 슬라이딩 키(87)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키(87)의 돌 출부분은 상기 조향 샤프트(50)의 슬라이딩 홈(51)에 삽입되어 상기 조향 샤프트(50)를 따라 이동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조향 샤프트(50)에 회전력 전달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축(85)은 상기 하우징(71)에 한 쌍의 제2베어링(7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2축(85)의 양단 각각에는 한 쌍의 제2이탈방지키(88)가 결합된다.
이상과 같은 회전력 전달유닛(70)의 구성에 의해, 상기 핸들(32)과 함께 회전하는 핸들 샤프트(33)의 회전력을 제1베벨 기어(74)를 통해 제2베벨 기어(84)에 전달되고, 상기 제2베벨 기어(84)에 전달된 회전력은 상기 조향 샤프트(50)에 전달된다.
상기 구동 유닛(90)은 상기 핸들 유닛(30)의 프레임(31)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구동 모터(91)와, 상기 구동 모터(91)의 출력축(92)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93)와, 상기 피니언 기어(93)와 치합되는 랙(94, rack)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모터(91)는 미 도시된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 모터(91)와 상기 전원의 사이에는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91)의 구동 여부 및 구동 방향이 결정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93)는 출력축(92)에 압입 또는 핀에 의해 회전력 전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 모터(91)의 출력축(92)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랙(94)은 차체(B)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93)와 치합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91)의 구동에 의해 출력축(92)이 회전하면, 상기 피 니언 기어(93)가 출력축(92)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피니언 기어(93)는 차체(B)에 고정된 랙(94)과 치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구동 모터(91)가 고정된 핸들 유닛(30)의 프레임(31)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유닛(90)의 일 예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구동 모터(91)를 예시하였으나, 펌프에 의해 토출되는 유체의 압력으로 구동되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핸들 유닛(3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리니어 모터 등을 이용하여 핸들 유닛(30)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 모터(91)가 핸들 유닛(30)의 프레임(31)에 고정되고 랙(94)이 차체(B)에 고정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상기 구동 모터(91)를 차체(B)에 고정시키고, 랙(94)을 상기 핸들 유닛(30)의 프레임(31)에 고정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유닛(30)은 차량의 좌측에 배치된다. 이를 차량의 우측으로(A방향) 이동시키기 위해, 미 도시된 스위치를 조작하면, 구동 모터(91)가 구동되어 출력축(92) 및 랙(94)에 치합된 피니언 기어(93)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핸들 유닛(30)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베벨 기어(84, 도 4 참조)의 슬라이딩 키(87, 도 4 참조)는 조향 샤프트(50)의 슬라이딩 홈(51, 도 4 참조)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핸들 유닛(30)이 이동하는 중에도 핸들(32)의 회전력은 상기 조향 샤프트(50)에 전달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 유닛(30)의 A방향 이동이 완료되면, 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 모터(91)에 인가되는 전원을 OFF시키고, 이에 의해 핸들 유닛(30)은 이동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반대로 핸들 유닛(30)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 모터(91)에 전류를 역으로 공급하도록 스위치를 조작하면, 출력축(92)은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핸들 유닛(30)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조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향 장치를 배면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향 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Ⅴ-Ⅴ를 따라 절개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Ⅵ-Ⅵ을 따라 절개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2에 도시된 조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 가이드 바 30; 핸들 유닛
31; 프레임 32; 핸들
33; 핸들 샤프트 35; 가이드 부재
50; 조향 샤프트 51; 슬라이딩 홈
70; 회전력 전달유닛 74; 제1베벨 기어
75; 제1축 77; 키
84; 제2베벨 기어 85; 제2축
87; 슬라이딩 키 90; 구동 유닛
91; 구동 모터 92; 출력축
93; 피니언 기어 94; 랙

Claims (4)

  1.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차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바(10);
    핸들(32)과 일단이 상기 핸들(32)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32)과 함께 회전하는 핸들 샤프트(33)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바(1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 바(10)에 설치되는 핸들 유닛(30);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홈(51)이 형성되며, 바퀴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향 샤프트(50);
    일측이 상기 핸들 샤프트(33)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 샤프트(33)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조향 샤프트(5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핸들 샤프트(33)의 회전력을 상기 조향 샤프트(50)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홈(51)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키(87)를 매개로 상기 조향 샤프트(50)에 결합되는 회전력 전달유닛(70); 및
    상기 핸들 유닛(30)을 상기 가이드 바(10)를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90)을 포함하는 차량용 조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10)은,
    상기 핸들 유닛(30)과 상기 차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구동 모 터(91); 및
    상기 구동 모터(91)의 출력축(92)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93); 및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핸들 유닛(10)과 상기 차체 중 다른 어느 하나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93)와 치합되는 랙(9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유닛(70)은,
    상기 핸들 샤프트(33)의 타단이 삽입되는 제1중공부가 형성된 제1축(75)을 구비하며, 상기 제1축(75)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핸들 샤프트(33)의 타단에 형성된 키홈(34)에 결합되는 키(77)를 매개로 상기 핸들 샤프트(33)와 회전력 전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베벨 기어(74); 및
    상기 제1베벨 기어(74)에 회전력 전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조향 샤프트(5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중공부가 형성된 제2축(85)을 구비하며, 상기 제2축(85)의 내주면에는 상기 슬라이딩 키(87)가 설치되는 제2베벨 기어(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유닛(30)은,
    상기 핸들(32)과 상기 핸들 샤프트(33)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레 임(31); 및
    상기 프레임(31)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31)이 상기 가이드 바(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바(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35)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35)는 오일리스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 장치.
KR1020070093596A 2007-09-14 2007-09-14 차량용 조향 장치 KR101043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596A KR101043109B1 (ko) 2007-09-14 2007-09-14 차량용 조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596A KR101043109B1 (ko) 2007-09-14 2007-09-14 차량용 조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187A KR20090028187A (ko) 2009-03-18
KR101043109B1 true KR101043109B1 (ko) 2011-06-20

Family

ID=40695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596A KR101043109B1 (ko) 2007-09-14 2007-09-14 차량용 조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1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668B1 (ko) * 2012-05-23 2013-07-26 한국과학기술원 운전자 위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운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6024U (ko) 1975-11-10 1977-05-16
KR19980075629A (ko) * 1997-03-31 1998-11-16 이종규 자동차의 조향축 연결장치
US6276476B1 (en) 1998-12-23 2001-08-21 International Truck And Engine Corporation Right hand drive steering system and conversion method from left hand drive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6024U (ko) 1975-11-10 1977-05-16
KR19980075629A (ko) * 1997-03-31 1998-11-16 이종규 자동차의 조향축 연결장치
US6276476B1 (en) 1998-12-23 2001-08-21 International Truck And Engine Corporation Right hand drive steering system and conversion method from left hand drive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187A (ko)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89650B (zh) 循环球式动力转向系统
JP5683876B2 (ja) ステアバイワイヤー装置
US20130199865A1 (en) Hybrid power steering system
JP2010115969A (ja) 作業車両
CN102689649A (zh) 循环球式动力转向系统
EP1350754A1 (en) Working vehicle with transverse travel system
EP1238890A1 (en) Crawler vehicle transmission-steering assembly.
CN107813865B (zh) 转向系统和车辆
KR101043109B1 (ko) 차량용 조향 장치
JP2009500219A (ja) ステアバイワイヤ形式の自動車操舵システムに使用し、力をパッシブな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に伝える力伝達装置
JP2006219113A (ja) ホイール式作業機械の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580534B1 (ko) 기어를 이용한 틸트·텔레스코픽 모드 변경 타입 모터구동식 조향장치
KR20110054559A (ko) 차량의 독립형 sbw 조향 장치
KR101297649B1 (ko) Mdps 및 컴프레셔 통합 작동 구조
KR101043130B1 (ko) 차량용 조향 장치
KR20030014648A (ko) 전후진하면서 작업을 행하는 작업차를 위한 변속장치
JP3652223B2 (ja) 電動走行式産業用車両
JP2022041209A (ja) 減速機及び駆動装置
KR20160145224A (ko) 트랙터 차동 잠금장치
JP5435265B2 (ja) 位置調整式操舵装置
CN113811480A (zh) 车辆转向设备
JP4055001B2 (ja) 減速比可変式動力舵取り装置
JP2016055804A (ja) 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車両の走行モードの切り替え方法
JP2007076459A (ja) トラクタの変速操作装置
KR20190141723A (ko) 롤 스태빌라이저 및 자동차에 사용하기 위한 롤 스태빌라이저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