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586B1 - 도로포장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용 블럭 구조물 - Google Patents

도로포장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용 블럭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586B1
KR101042586B1 KR1020100087423A KR20100087423A KR101042586B1 KR 101042586 B1 KR101042586 B1 KR 101042586B1 KR 1020100087423 A KR1020100087423 A KR 1020100087423A KR 20100087423 A KR20100087423 A KR 20100087423A KR 101042586 B1 KR101042586 B1 KR 101042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lock
gravel
road paving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회
장영수
Original Assignee
(주) 테크원
장영수
주식회사 엘로힘
이영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테크원, 장영수, 주식회사 엘로힘, 이영회 filed Critical (주) 테크원
Priority to KR1020100087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포장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블럭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도로포장용 블럭은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자갈, 모래, 시멘트 및 이들을 결합시키는 바인더 수지가 혼합되어 형성된 블럭층; 상기 블럭층의 휨모멘트에 대한 내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블럭층의 내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자갈과 상기 바인더 수지가 혼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에 채워져 상기 블럭층의 상하방향으로 물을 투과시키는 자갈층; 및 상기 블럭층 및 상기 자갈층의 상면에 도포되며, 모래와 상기 바인더 수지가 혼합되어 형성된 모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포장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용 블럭 구조물{PAVEMENT BLOCK AND PAVEMENT BLOCK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로포장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용 블럭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된 물을 용이하게 배출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도로포장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용 블럭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 도로포장용 블럭은 그 표면이 거칠고 그 표면층에 색상을 부여하도록 안료를 첨가하고 있으며, 그 안료는 시각장애자들을 고려하여 채도가 높은 노란색을 주로 채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안료가 첨가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통상의 도로포장용 블럭은 내마모성 및 내구성에 대한 조건들을 기본적으로 만족함과 아울러, 지하수의 고갈을 막기 위해 지하로 물이 스며들도록 배수를 위한 투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도로포장용 블럭은 안료의 혼합과정에서 안료의 입자가 재료들간의 공극을 막아서 투수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색상이 변질되어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도로포장용 블럭은 입자가 굵은 골재를 채용할 경우 재료들 간의 공극이 커져 투수성이 향상되지만, 이와 반대로 지하에 매설된 고압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유해 전자파의 차단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양생과정에서 결합력이 떨어져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도로포장용 블럭은 골재의 입자 내부로 물이 스며들어 겨울철과 같은 추운 날씨에 물이 얼면서 골재가 파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수성과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바인더 수지를 이용하여 모래, 자갈 등의 골재를 결합시키고 블럭층의 내부에 공극이 큰 자갈층을 삽입함으로써, 투과성, 내구성 및 배수성이 우수한 도로포장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용 블럭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로포장용 블럭은,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자갈, 모래, 시멘트 및 이들을 결합시키는 바인더 수지가 혼합되어 형성된 블럭층; 상기 블럭층의 휨모멘트에 대한 내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블럭층의 내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자갈과 상기 바인더 수지가 혼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에 채워져 상기 블럭층의 상하방향으로 물을 투과시키는 자갈층; 상기 블럭층 및 상기 자갈층의 상면에 도포되며, 모래와 상기 바인더 수지가 혼합되어 형성된 모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포장용 블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인더 수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포장용 블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럭층에는 한 쌍의 관통부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포장용 블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선형의 금속재 단부를 평면상에서 각각 연결시켜 형성되며, 상기 블럭층의 내부 상측 및 상기 블럭층의 내부 하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포장용 블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갈층에는 입도 2mm 이상 15mm 이하의 자갈이 포함되며, 상기 자갈층은 시멘트와 모래가 더 혼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포장용 블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럭층은 일 측면에 돌출부와, 상기 일 측면과 마주하는 타 측면에 이웃하는 도로포장용 블럭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포장용 블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럭층은 하면으로부터 상면 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되며 상기 블럭층의 마주보는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관통유로에는 자갈과 상기 바인더 수지가 혼합되어 채워지며, 상기 관통유로의 방향을 따라 물의 배수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로포장용 블럭 구조물은, 제7항에 기재된 도로포장용 블럭; 및 상기 도로포장용 블럭의 하측에 배치되는 방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로포장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용 블럭 구조물에 따르면, 내구력이 우수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혼합한 바인더 수지를, 자갈, 모래 및 시멘트를 혼합 성형하는데 이용함으로써, 블럭층, 자갈층 또는 모래층의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포장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용 블럭 구조물에 따르면, 충분한 강도를 지니는 블럭층 내부에 공극이 큰 자갈층이 채워짐으로써, 도로포장용 블럭의 전체적인 강도가 보강됨과 동시에, 자갈 사이로 물이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물의 투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포장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용 블럭 구조물에 따르면, 방수성이 뛰어난 바인더 수지가 자갈 입자 또는 모래 입자를 결합할 뿐만 아니라 자갈 입자 자체를 코팅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물이 자갈 입자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고 추운 날씨 내부로 스며든 물이 얼어 자갈 입자가 파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포장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용 블럭 구조물에 따르면, 전기전도성이 우수하여 정전기가 축적되지 않는 바인더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먼지의 흡착이 현저히 감소하므로, 장기간 동안 우수한 투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포장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용 블럭 구조물에 따르면, 도로포장용 블럭의 하측에 관통유로를 형성하여, 도로포장용 블럭의 상하방향으로의 투수성과 함께, 도로포장용 블럭의 하측에서 좌우방향으로의 배수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포장용 블럭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도로포장용 블럭의 블럭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도로포장용 블럭에서 블럭층의 관통부에 자갈층이 채워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도로포장용 블럭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포장용 블럭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로포장용 블럭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도로포장용 블럭 다수개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5의 도로포장용 블럭을 이용한 도로포장용 블럭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로포장용 블럭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포장용 블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도로포장용 블럭의 블럭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도로포장용 블럭에서 블럭층의 관통부에 자갈층이 채워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도로포장용 블럭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도로포장용 블럭(100)은, 지표의 물을 지하로 투과시키는 것으로서, 블럭층(110)과, 프레임(120)과, 자갈층(130)과, 모래층(140)을 포함한다.
상기 블럭층(110)은, 자갈, 모래, 시멘트 및 이들을 결합시키는 바인더 수지가 혼합되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블럭층(110)은 자갈, 모래, 시멘트 및 바인더 수지가 적정 비율로 배합되어 사람 또는 차량이 통과할 때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정도의 강도를 지닌다.
블럭층(110)은 그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부(111)를 구비하는데, 이 관통부(111)에는 후술할 자갈층(130)이 채워진다. 이웃하는 자갈 간의 공극이 큰 자갈층(130)이 블럭층(110) 내부에 채워짐으로써, 도로포장용 블럭의 전체적인 강도가 보강됨과 동시에, 자갈 입자 사이로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물의 투수성이 향상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블럭층(110)에는 한 쌍의 관통부(111)가 마련되며, 각 관통부(111)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한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본 발명의 블럭층(110), 자갈층(130) 또는 모래층(140)에 내구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하나의 층에 다른 층을 부착시킬 수 있고, 또한 모래 입자들 또는 자갈 입자들을 서로 단단히 결합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인더 수지는 압축강도 면에서는 레미콘 콘크리트 대비 약 6배, 휨모멘트에 대한 내력 면에서는 레미콘 대비 약 3배 이상의 우수한 강도를 가지고 있다.
특히, 염분을 함유하고 있는 모래의 사용시 염분의 화학작용으로 인해 강도의 저하가 초래될 수 있는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가 모래 내 염분을 흡수함으로써 염분의 화학작용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각 층의 강도 저하를 방지한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우레탄의 특성과 아크릴레이트의 특성을 모두 갖고 있는 하이브리드(hybride) 수지이다. 이러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일반적으로 우레탄 프리폴리머(urethane prepolymer)와 하이드록시 알킬 아크릴레이트와의 중합반응에 의해서 제조된다.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폴리올(polyol)과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의 중합 반응에 의해서 형성되며, 그 종류는 다양하다. 또, 하이드록시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예로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2-하이드록시 에틸메타크릴레이트(2-hydroxy ethylmethacrylate), n-부틸 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등이 있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혼합 비율은 약 10~60 : 90~40 중량 비율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와 혼합 사용함으로써, 각 층의 강도를 더 높이면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배합한 본 발명의 바인더 수지는 방수성이 뛰어나다. 바인더 수지는 자갈 입자 또는 모래 입자를 결합할 뿐만 아니라 자갈 입자 자체를 코팅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코팅은 물이 자갈 입자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고 추운 날씨 내부로 스며든 물이 얼어 자갈 입자가 파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인더 수지는 전기전도성이 우수하여 정전기가 축적되지 않는다. 도로포장용 블럭을 장기간 사용하는 동안 정전기로 인해 모래 입자나 자갈 입자에 먼지가 흡착하게 되고, 흡착된 먼지는 모래 입자 또는 자갈 입자 사이의 공극을 막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인더 수지를 이용하면 먼지의 흡착이 현저히 감소하므로, 장기간 동안 우수한 투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인더 수지에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이외에, 블럭층(110), 자갈층(130) 또는 모래층(140)의 강도 보강을 위해 제3의 수지로서 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l ethyl methacrylate, HEMA) 수지 등을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20)은, 블럭층(110)의 휨모멘트에 대한 내력을 강화하기 위해 블럭층(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프레임(120)은 블럭층(110)의 성형과정 중 자갈, 모래, 시멘트 및 바인더 수지가 굳어지기 전에 블럭층(110)의 내부에 삽입된다.
프레임(120)은 선형의 금속재, 예컨대 일정 직경의 철사의 단부를 평면상에서 각각 연결시켜 제작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블럭층 관통부(111)에 대응되는 한 쌍의 관통홀을 가지도록 제작되는데, 블럭층 관통부(111)의 수량 또는 배치 위치에 따라 프레임(120) 관통홀의 수량 및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120)은 블럭층(110)의 내부 상측 및 블럭층(110)의 내부 하측에 각각 배치되나, 단일의 프레임(120)이 블럭층(110)의 내부 중앙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자갈층(130)은, 자갈, 시멘트, 모래 및 바인더 수지가 혼합되어 형성된다. 자갈층(130)은 블럭층의 관통부(111)에 채워지며, 자갈 입자들 간의 큰 공극으로 인해 블럭층(110)의 상하방향으로 투과되는 물의 유로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자갈층(130)에 사용되는 자갈의 종류나 입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자갈의 입경은 자갈층(130)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공극률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약 2mm 내지 15 m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자갈의 입경이 2 mm 미만인 경우에는 형성되는 자갈층(130)의 강도는 증가하지만 공극이 작아져서 투수성이 불량해질 수 있고, 자갈의 입경이 15 mm 초과인 경우에는 형성되는 자갈층(130)의 투수성은 증가하지만 공극이 증가하여 결합 강도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모래층(140)은, 블럭층(110) 및 자갈층(130)의 상면에 도포되며, 모래, 시멘트 및 바인더 수지가 혼합되어 형성된다.
모래층(140)에 이용되는 모래는 그 입경이나 모래 입자의 거칠기에 따라 도로포장용 블럭의 현장 작업시 작업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도로포장용 블럭이 이용되는 포장 표면의 조건에 따라 적절한 입경이나 거칠기를 갖는 모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래의 종류로는 백사, 규사 등이 있다. 이 중 본 발명에서는 모래층(140)에 규사(silica san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사는 석영의 알갱이로 이루어진 모래로, 산성암의 풍화로 인해 생기며, 그 화학조성은 주로 무수규산(無水硅酸) SiO2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래층(140)에 포함되는 규사는 입경이 약 1.2 mm 내지 1.8 mm 범위인 규사3호사가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래 건축재료에 잘 사용되지 않던 염분을 함유하는 모래도 사용할 수 있다. 왜냐하면, 모래 내 염분을 바인더 수지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가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블럭층(110), 자갈층(130) 또는 모래층(140)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포장용 블럭은, 내구력이 우수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혼합한 바인더 수지를, 자갈, 모래 또는 시멘트를 혼합 성형하는데 이용함으로써, 블럭층, 자갈층 또는 모래층의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포장용 블럭은, 충분한 강도를 지니는 블럭층 내부에 공극이 큰 자갈층이 채워짐으로써, 도로포장용 블럭의 전체적인 강도가 보강됨과 동시에, 자갈 사이로 물이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물의 투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포장용 블럭은, 방수성이 뛰어난 바인더 수지가 자갈 입자 또는 모래 입자를 결합할 뿐만 아니라 자갈 입자 자체를 코팅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물이 자갈 입자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고 추운 날씨 내부로 스며든 물이 얼어 자갈 입자가 파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포장용 블럭은, 전기전도성이 우수하여 정전기가 축적되지 않는 바인더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먼지의 흡착이 현저히 감소하므로, 장기간 동안 우수한 투수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포장용 블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포장용 블럭(200)은 하부 측에 배수를 위한 관통유로가 형성된 것으로서, 블럭층(110)과, 프레임(120)과, 자갈층(130)과, 모래층(140)과, 관통유로(210)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관통유로(210)는, 블럭층(110)의 하면으로부터 상면 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관통유로(210)는 블럭층(110)의 마주보는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나오는 방향 또는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물의 유로를 형성한다.
관통유로(210)에는 자갈(211), 시멘트, 모래 및 바인더 수지가 혼합되어 채워지면서, 도로포장용 블럭(200)의 전체적인 강도를 보강한다. 자갈(211) 입자들 간의 큰 공극으로 인해 블럭층(110)의 좌우방향으로 배수되는 물의 유로 기능을 수행하며, 이와 같이 관통유로(210)가 형성됨에 따라 도로포장용 블럭(200)의 하측에서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포장용 블럭은, 도로포장용 블럭의 상하방향으로의 투수성과 함께, 도로포장용 블럭의 하측에서 좌우방향으로의 배수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로포장용 블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도로포장용 블럭 다수개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포장용 블럭(300)은 이웃하는 도로포장용 블럭과 결합성을 향상시킨 것으로서, 블럭층(110)과, 프레임(120)과, 자갈층(130)과, 모래층(140)과, 돌출부(310)와, 수용부(320)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도로포장용 블럭(300)은 돌출부(310)와, 수용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310)는, 블럭층(110)의 일 측면(116)에서, 일 측면(116)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출부(310)는 조립의 용이성을 위하여 돌출되는 방향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320)는 일 측면(116)과 마주하는 타 측면(117)에서, 타 측면(117)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된다. 이웃하는 도로포장용 블럭(300)의 돌출부(310)가 수용부(320)에 삽입된다.
종래 도로포장용 블럭들을 조립할 때 블럭과 블럭 간의 간격을 약 5 mm 정도 띄어서 조립하였다. 비가 왔을 때 블럭 내의 자갈 등의 입자가 물을 흡수하여 블럭이 팽창하므로, 팽창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도로포장용 블럭(3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블럭과 블럭 간의 간격 없이 조립될 수 있다. 바인더 수지가 자갈과 같은 입자 하나하나를 코팅하여 방수제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입자에 물이 침투하여 블럭이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웃하는 블럭들을 간격 없이 조립하여도 팽창으로 인한 파손을 염려할 필요가 없다.
한편, 도 9는 도 5의 도로포장용 블럭을 이용한 도로포장용 블럭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포장용 블럭 구조물은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서, 도로포장용 블럭(200)과, 방수층(10)을 포함한다. 도 9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로포장용 블럭(200)은 도 5에 도시된 도로포장용 블럭과 동일하므로, 더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방수층(10)은 도로포장용 블럭(200)의 하측에 배치되어 관통유로(210)를 통과하는 물이 하측으로 투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웃하게 배치되는 도로포장용 블럭(200)의 관통유로(210)가 도로 가장자리에 설치된 배수구 등에 연통되게 배치되고, 방수층(10)에 의해 물이 하측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도로포장용 블럭(200)의 하측에서 관통유로(210)가 배치되는 방향(W)을 따라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도로포장용 블럭
110 : 블럭층
111 : 관통부
120 : 프레임
130 : 자갈층
140 : 모래층

Claims (8)

  1.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자갈, 모래, 시멘트 및 이들을 결합시키는 바인더 수지가 혼합되어 형성된 블럭층;
    상기 블럭층의 휨모멘트에 대한 내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블럭층의 내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자갈과 상기 바인더 수지가 혼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에 채워져 상기 블럭층의 상하방향으로 물을 투과시키는 자갈층;
    상기 블럭층 및 상기 자갈층의 상면에 도포되며, 모래와 상기 바인더 수지가 혼합되어 형성된 모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포장용 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포장용 블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층에는 한 쌍의 관통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포장용 블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선형의 금속재 단부를 평면상에서 각각 연결시켜 형성되며,
    상기 블럭층의 내부 상측 및 상기 블럭층의 내부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포장용 블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갈층에는 입도 2mm 이상 15mm 이하의 자갈이 포함되며,
    상기 자갈층은 시멘트와 모래가 더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포장용 블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층은 일 측면에 돌출부와, 상기 일 측면과 마주하는 타 측면에 이웃하는 도로포장용 블럭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포장용 블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층은 하면으로부터 상면 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되며 상기 블럭층의 마주보는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관통유로에는 자갈과 상기 바인더 수지가 혼합되어 채워지며,
    상기 관통유로의 방향을 따라 물의 배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포장용 블럭.
  8. 제7항에 기재된 도로포장용 블럭; 및
    상기 도로포장용 블럭의 하측에 배치되는 방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포장용 블럭 구조물.
KR1020100087423A 2010-09-07 2010-09-07 도로포장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용 블럭 구조물 KR101042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423A KR101042586B1 (ko) 2010-09-07 2010-09-07 도로포장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용 블럭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423A KR101042586B1 (ko) 2010-09-07 2010-09-07 도로포장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용 블럭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2586B1 true KR101042586B1 (ko) 2011-06-20

Family

ID=44405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423A KR101042586B1 (ko) 2010-09-07 2010-09-07 도로포장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용 블럭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5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49217A (zh) * 2016-06-16 2016-10-26 昆山通海建材科技有限公司 装配式透水路面铺装方法及块体和铺装结构
KR101835881B1 (ko) * 2016-02-29 2018-03-07 (주)이엔씨기술 투수성 보도블록
KR102307383B1 (ko) 2020-12-14 2021-09-30 강은미 해조류 및 폐기물을 이용한 보도블럭용 몰탈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CN115012268A (zh) * 2022-07-05 2022-09-06 佛山生态海绵城市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环保透水砖及其制备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366A (ko) * 1993-09-30 1995-04-28 윌리엄 이. 힐러 2 입력 기능들을 전부 제공하기 위한 베이스 셀 소자
KR200248505Y1 (ko) 2001-06-22 2001-10-31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배수 기능을 겸비한 보도블록
JP2001348802A (ja) 2000-06-08 2001-12-21 Toa Doro Kogyo Co Ltd ブロック舗装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20048505A (ko) * 2000-12-18 2002-06-24 오길록 웹 상의 채팅상에서 음악 엽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986232B1 (ko) 2008-08-14 2010-10-07 최해곤 다목적 가림블럭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366A (ko) * 1993-09-30 1995-04-28 윌리엄 이. 힐러 2 입력 기능들을 전부 제공하기 위한 베이스 셀 소자
JP2001348802A (ja) 2000-06-08 2001-12-21 Toa Doro Kogyo Co Ltd ブロック舗装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20048505A (ko) * 2000-12-18 2002-06-24 오길록 웹 상의 채팅상에서 음악 엽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48505Y1 (ko) 2001-06-22 2001-10-31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배수 기능을 겸비한 보도블록
KR100986232B1 (ko) 2008-08-14 2010-10-07 최해곤 다목적 가림블럭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881B1 (ko) * 2016-02-29 2018-03-07 (주)이엔씨기술 투수성 보도블록
CN106049217A (zh) * 2016-06-16 2016-10-26 昆山通海建材科技有限公司 装配式透水路面铺装方法及块体和铺装结构
CN106049217B (zh) * 2016-06-16 2019-05-17 昆山通海建材科技有限公司 装配式透水路面铺装方法及块体和铺装结构
KR102307383B1 (ko) 2020-12-14 2021-09-30 강은미 해조류 및 폐기물을 이용한 보도블럭용 몰탈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CN115012268A (zh) * 2022-07-05 2022-09-06 佛山生态海绵城市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环保透水砖及其制备工艺
CN115012268B (zh) * 2022-07-05 2024-04-30 佛山生态海绵城市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环保透水砖及其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8471B1 (en) Water-permeable and water-absorbing eco-pavement
KR101001978B1 (ko) 방수기능성 칼라 투수 콘크리트 혼합재 및 이를 사용한 칼라 투수 콘크리트 시공방법
CN105625137B (zh) 一种钢渣透水路面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673838B1 (ko) 복합 투수 기능을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보차도용 바닥포장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042586B1 (ko) 도로포장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용 블럭 구조물
KR102154024B1 (ko) 고성능 투수블록의 제조방법
KR101934754B1 (ko) 경량 투수 기층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
KR101211629B1 (ko)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수블록
CN205874884U (zh) 一种钢渣透水路面结构
KR100984775B1 (ko) 저수형 투수성 보도 공사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하기 위한 보도블록
CN208594460U (zh) 一种应用于海绵城市建设的透水铺装路面结构
KR20200078030A (ko) 경량 투수 기층 블록 및 폴리머 포장을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과 이의 제조 방법
CN105421189A (zh) 具有透水挡墙的道路结构
CN205206007U (zh) 整体式渗水线性排水沟
CN210395013U (zh) 一种轻质型透水道路结构
CN211872455U (zh) 一种用于主题公园的道路结构及主题公园
KR101579580B1 (ko) 투수기능이 지속가능한 투수블록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투수블록 조성물과 투수블록의 제조공법
KR100540160B1 (ko)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CN211621017U (zh) 一种高耐久性的混凝土路基结构
KR20140114711A (ko) 경량혼합토를 이용한 보도블럭의 기초지반 개량 방법 및 보도블럭의 기초지반 개량 성토층
CN207794117U (zh) 一种地基基础构造
KR100722239B1 (ko) 소형 유공관이 포함된 투수형 탄성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JP2012046971A (ja) 透水性コンクリート板
KR200324510Y1 (ko)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KR101001860B1 (ko) 연속공극의 투수성 기포기반층을 구비한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