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279B1 -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279B1
KR101042279B1 KR1020090039708A KR20090039708A KR101042279B1 KR 101042279 B1 KR101042279 B1 KR 101042279B1 KR 1020090039708 A KR1020090039708 A KR 1020090039708A KR 20090039708 A KR20090039708 A KR 20090039708A KR 101042279 B1 KR101042279 B1 KR 101042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late
guide
bobbin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859A (ko
Inventor
신종구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090039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279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가 게시된다. 와이어가 감겨져 풀어지는 보빈과, 상기 와이어를 와이어 가공기로 공급하는 공급롤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롤러의 당김에 의하여 상기 보빈으로부터 풀어지는 와이어가 일정 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전선 공급용 선형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형 유지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보빈으로부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로 공급되는 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는 일측면으로부터 수납턱이 돌출형성되는 제 1플레이트; 상기 제 1플레이트와 대응되며, 일측면으로부터 돌출턱이 돌출되어 상기 수납턱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제 2플레이트; 그리고 축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돌출턱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몸체의 원주면에 접촉되는 세라믹 재질의 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형, 와이어, 가이드, 세라믹, 롤러, 링

Description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APPARATUS FOR MAINTAINING TENSION OF WIRE}
본 발명은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롤러에 의하여 당겨지는 와이어의 선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가이드롤러의 형상 및 재질을 개선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나 장치 등에서 전원의 공급은 피복된 와이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차량에서는 배터리 등의 응축 전류를 손실 없이 전기 전장 품에 전달하기 위하여 다수의 와이어를 셋트화한 와이어 하네스가 사용된다.
이러한 와이어 하네스는 발전기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에너지를 각 전장품에 전달하고, 각종 스위치 및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해당 부품에 전달시켜준다.
따라서, 와이어 하네스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와이어는 연결되는 각 부품 사이의 거리에 맞게 미리 절단되어 양단부가 탈피된 후, 터미널이 결합되어 와이어 하네스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가 공급되어 일정 길이로 절단되고, 와이어의 단부에 대한 피 복재의 탈피작업을 수행하며, 피복된 부위에 실링부재를 끼우고, 터미널을 압착하는 장치를 와이어 가공기라 한다.
이때, 이 와이어 가공기의 앞 부분에는 와이어를 일정 길이씩 공급하는 공급롤러와, 와이어가 선형궤적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와, 와이어를 공급롤러에 공급하는 보빈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공급롤러가 회전됨으로써 와이어는 보빈에서 풀리어 가이드롤러를 통과하고, 공급롤러의 마찰력에 의해 와이어 가공기로 이송된다.
이때, 공급롤러에 의해 보빈에서 풀려나는 와이어는 공급롤러에 의해 당겨지는 인출력을 받게 되므로, 공급롤러의 당김력에 의해 와이어가 필요 길이보다 길게 인출되어 와이어가 선형궤적에서 이탈하여 측방으로 요동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와이어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빈과 가이드롤러의 사이에 일정한 중량을 갖는 추를 연결함으로써, 와이어에 장력이 발생하는 경우, 이 추의 중량에 의하여 와이어가 요동치는 것을 방지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선형유지장치는 단순히 추의 중량만에 의하여 와이어의 장력을 흡수하게 되므로 선형유지 효과가 불확실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에 과도한 장력이 걸리는 경우, 이 추의 중량만으로는 이 장력을 흡수하기 어려워 추가 요동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그리고, 와이어가 가이드롤러를 통과하는 과정에 있어서, 와이어가 가이드롤러의 표면에 접촉하게 되고, 이때, 와이어가 순간적인 당김에 의하여 가속되므로 와이어와 가이드롤러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가이드롤러의 표면에 열과 흠집이 발생 하여 가이드 롤러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급롤러에 의하여 당겨지는 와이어가 선형궤적을 유지한 상태로 이송될 수 있고, 가이드롤러의 재질 및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와이어가 감겨져 풀어지는 보빈과, 상기 와이어를 와이어 가공기로 공급하는 공급롤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롤러의 당김에 의하여 상기 보빈으로부터 풀어지는 와이어가 일정 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전선 공급용 선형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형 유지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보빈으로부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로 공급되는 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는 일측면으로부터 수납턱이 돌출형성되는 제 1플레이트; 상기 제 1플레이트와 대응되며, 일측면으로부터 돌출턱이 돌출되어 상기 수납턱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제 2플레이트; 그리고 축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돌출턱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플레이 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몸체의 원주면에 접촉되는 세라믹 재질의 링부재를 포함하는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는 보빈과 공급롤러의 사이에 가이드 롤러를 배치하여 와이어가 가이드 롤러를 통하여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가 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롤러의 형상 및 구조를 개선하고 세라믹 재질을 적용함으로써 와이어의 접촉으로 인한 열과 흠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가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이드롤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1)는 와이어(W)가 감겨져 풀어지는 보빈(3)과, 와이어 가공기(5)로 와이어(W)를 공급하는 공급롤러(7)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보빈(3)으로부터 풀어진 와이어(W)는 선형유지장치(1)를 통하여 이송되므로 와이어(W)의 선형궤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선형유지장치(1)는 프레임(F)에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9)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 스 플레이트(9)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11,13,15)가 회전축(S1,S2,S3)들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11,13,15)는 보빈(3)으로부터 공급된 와이어(W)를 안내하는 제 1가이드롤러(11)와; 상기 제 1가이드롤러(11)로부터 인입된 와이어(W)를 공급롤러(7)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 2가이드롤러(15)와; 제 1 및 제 2가이드롤러(11,15)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와이어(W)를 안내하는 제 3가이드롤러(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가이드롤러(11)의 하부에는 가이드 부재(14)가 구비됨으로써, 보빈(3)으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W)를 제 1가이드롤러(11)로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가이드롤러(11,13,15)는 각각 동일한 구조를 갖으므로, 이하, 제 1가이드롤러(11)에 의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가이드롤러(11)는 일측에 구비된 제 1플레이트(23)와, 제 1플레이트(23)에 결합되며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제 2플레이트(25)와, 제 1 및 제 2플레이트(23,25)의 사이에 배치되어 와이어(W)가 접촉되는 링부재(17)를 포함한다.
상기 제 1플레이트(23)는 바람직하게는 원판형상이며, 일측면의 중간부에 수납턱(27)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플레이트(25)도 바람직하게는 원판형상이며, 일측면의 중간부에 일정 길이로 돌출턱(29)이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턱(29)은 상기 수납턱(27)의 내부에 삽입되며, 그 단부는 볼트(B)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제 1플레이트(23)와 제 2플레이트(25)가 일체로 결합 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플레이트(23,25)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그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으로 와이어(W)가 이송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 1 내지 제 3가이드롤러(11,13,15)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와이어(W)가 이 가이드롤러(11,13,15)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와이어(W)가 측방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와이어(W)의 선형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턱(29)의 외측에는 상기 링부재(17)가 삽입됨으로써 와이어(W)의 마찰 접촉시 발생될 수 있는 열 및 흠집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링부재(17)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관통홀(31)이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몸체(18)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돌출턱(29)이 상기 관통홀(3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링부재(17)는 상기 제 1 및 제 2플레이트(23,2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부재(17)는 마찰에 대하여 내구성이 강한 재질, 즉 세라믹, 강화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세라믹 재질을 포함한다.
세라믹이란 높은 온도에서 처리된 무기질의 비금속 재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금속원소와 비금속 원소간 또는 비금속 원소들 간에 강한 화학결합으로 이루어진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세라믹은 금속재료, 유기재료에 비하여 내식성, 내열성, 내마모성 등이 매우 크며 뉴세락믹스 혹은 파인 세라믹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물성을 갖는 세라믹 재질의 링부재(17)가 제 1 및 제 2플레이트(23,25)의 사이에 배치되며, 와이어(W)가 이 링부재(17)의 원주면(33)에 마찰접촉된 상태로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링부재(17)는 세라믹 재질이므로 와이어(W)가 이 링부재(17)의 원주면(33)에 접촉되는 경우, 열과 흠집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링부재(17)의 다른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링부재(40)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 및 재질을 갖으나, 링부재(40)의 원주면 뿐만 아니라, 양 측에도 테두리부(44)가 돌출되는 차이점이 있다.
즉, 상기 링부재(40)는 원통형상을 갖으며, 원주면(42)에 와이어(W)가 접촉되는 몸체(41)와, 상기 몸체(41)의 양측에 각각 돌출되는 테두리부(4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W)가 제 1 내지 제 3가이드롤러(11,13,15;도1)를 통과할 때, 상기 와이어(W)는 링부재(40)의 원주면(42) 및 테두리부(44)에도 접촉되므로, 가이드롤러(11,13,15;도1)는 원주면 뿐만 아니라 내측면에서도 와이어(W)의 이송으로 인한 발열 및 흠집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부재(40)는 전체가 세라믹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몸체(41)의 원주면(42)만 세라믹층으로 구성하고, 몸체(41)의 내측부는 통상의 강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세라믹 재질로된 고리 형상의 세라믹링을 별도로 제조하고, 이 세라믹링 을 원통형상의 몸체에 압입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세라믹링을 별도로 제조하여 압입하는 경우에는, 전체를 세라믹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이드 롤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이드 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Claims (3)

  1. 와이어가 감겨져 풀어지는 보빈과, 상기 와이어를 와이어 가공기로 공급하는 공급롤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롤러의 당김에 의하여 상기 보빈으로부터 풀어지는 와이어가 일정 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전선 공급용 선형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형 유지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보빈으로부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로 공급되는 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는 일측면으로부터 수납턱이 돌출형성되는 제 1플레이트;
    상기 제 1플레이트와 대응되며, 일측면으로부터 돌출턱이 돌출되어 상기 수납턱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제 2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턱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원통형상을 가지며, 원주면에 와이어가 접촉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각각 돌출되는 테두리부로 구성되는 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부재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
  2. 삭제
  3. 와이어가 감겨져 풀어지는 보빈과, 상기 와이어를 와이어 가공기로 공급하는 공급롤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롤러의 당김에 의하여 상기 보빈으로부터 풀어지는 와이어가 일정 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전선 공급용 선형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형 유지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보빈으로부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로 공급되는 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는 일측면으로부터 수납턱이 돌출형성되는 제 1플레이트;
    상기 제 1플레이트와 대응되며, 일측면으로부터 돌출턱이 돌출되어 상기 수납턱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플레이트와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제 2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턱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원통형상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부에 압입되어 상기 와이어가 마찰접촉되며 고리형상을 갖는 세라믹 재질의 세라믹링으로 구성되는 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
KR1020090039708A 2009-05-07 2009-05-07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 KR101042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708A KR101042279B1 (ko) 2009-05-07 2009-05-07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708A KR101042279B1 (ko) 2009-05-07 2009-05-07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859A KR20100120859A (ko) 2010-11-17
KR101042279B1 true KR101042279B1 (ko) 2011-06-17

Family

ID=43406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708A KR101042279B1 (ko) 2009-05-07 2009-05-07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2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347B1 (ko) * 2013-11-12 2015-04-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직선형 전선공급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4054A (ja) * 1982-02-19 1983-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ド線繰り出し方法
JP2003201063A (ja) * 2002-01-07 2003-07-15 Sanken Electric Co Ltd 長手物体の移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4054A (ja) * 1982-02-19 1983-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ド線繰り出し方法
JP2003201063A (ja) * 2002-01-07 2003-07-15 Sanken Electric Co Ltd 長手物体の移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859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9715B2 (ja) 回転電機
WO2013057968A1 (ja) 電線矯正装置
JP2012054054A5 (ko)
JP2008043194A5 (ko)
WO2008098403A3 (de) Elektrische maschine
JP2009171720A5 (ko)
KR101042279B1 (ko) 전선 공급용 선형유지장치
JP2014082905A (ja) 電線保持構造
JP2010004637A (ja) インシュレータ、電機子及びモータ
EP2824810A1 (en) Rotor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KR101511479B1 (ko) 와이어 코팅장치
EP2333369A4 (en) ELECTROMAGNETIC CLUTCH WITH ROTATING WINDING
WO2013031285A1 (ja) コンミテータ、コンミテ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電動モータ
WO2013111868A1 (ja) 電気ケーブル
KR101895747B1 (ko) 폐루프형 발전기 고정자코일용 테이핑장치
EP1221705A3 (en) Load sensor, pinch detection apparatus and load detection apparatus
CN104507625B (zh) 具有马达座架的送丝机组件
TW200746569A (en) Metal terminal, coil component and method for holding and fixing conductive wire
CN214726322U (zh) 全自动多线打包带同步传输机构
ATE342592T1 (de) Bürstenfeder für einen schleifringübertrager
KR101759376B1 (ko) 패턴 전극 형성 시스템 및 패턴 전극 형성 방법
US20210234413A1 (en) Stator and motor comprising same
KR200469272Y1 (ko) 가열기를 구비한 컨베이어 구동 롤러
JP5279580B2 (ja) コンベア用ローラ
JP2004273406A (ja) スリップの無い集電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