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034B1 - 다른 차량의 운전자 혹은 탑승자에게 차량 운행관련 정보와 기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 및 차량 운행-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른 차량의 운전자 혹은 탑승자에게 차량 운행관련 정보와 기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 및 차량 운행-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034B1
KR101042034B1 KR1020090032931A KR20090032931A KR101042034B1 KR 101042034 B1 KR101042034 B1 KR 101042034B1 KR 1020090032931 A KR1020090032931 A KR 1020090032931A KR 20090032931 A KR20090032931 A KR 20090032931A KR 101042034 B1 KR101042034 B1 KR 101042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road
traffic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4411A (ko
Inventor
김희동
Original Assignee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32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034B1/ko
Publication of KR20100114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c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차량의 뒷면 및 측면 중의 적어도 뒷면에 차량의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현재의 차량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위치 데이터를 제공하며, 차량 운행-관련 정보를 현재의 차량 위치에 맞추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처리하는 프로세서, 현재의 차량 위치를 상기 프로세서에 공급하는 GPS수신기, 및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 제공 센터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기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제공하는 차량 위치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센터에 송신하며, 상기 정보 제공 센터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되는 차량 운행-관련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을 이용하여 그 차량을 뒤따라오는 차량들에 도로정보나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른 차량의 운전자 혹은 탑승자에게 차량 운행관련 정보와 기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 및 차량 운행-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Vehicle-mounted type information guide apparatus for providing a driver or passengers of any other vehicle with vehicle driving-related information, and system for providing vehicle driving-related informa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장치 및 차량 운행-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차량을 이용하여 제공하기 위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 및 차량 운행-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로표지판은 도로 이용자가 그 내용을 정확하고 쉽게 판독하여 안전운전을 유도하는데 최고의 효과가 있다. 이러한 도로표지판은 도로법 규정에 의해 정해지는 종류, 규격 등에 맞도록 제작되어 도로의 가장자리, 보도, 도로의 중앙 또는 중앙분리대 등에 설치된다. 또한 도로표지판은 운전자들의 운전형태, 차량특성 등을 고려하여 도로표지판이 운전자의 시선을 끌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도로표지판들 중에서, 단판식은 단일 도로표지판을 사용하고 교차로의 형태를 기호 화(diagramatic sign)하여 도로이용자에게 교차로의 정보를 전달하여 주므로 교차로에서 신속한 행동방향 설정을 결정하는 데에는 편리하나 보통 길 가장자리에 설치하므로 시인성이 떨어진다. 다판식은 하나의 지주에 2개 이상의 표지판을 설치하는 형식으로 현수식과 문형식이 그 대표적인 예이며 주행도로의 차로 상단부에 설치하므로 운전자가 길 가장자리로 시선을 옮기지 않고도 쉽게 인지할 수 있으나 교차로의 형상을 정성적으로 표현하기가 곤란하다. 뿐만 아니라, 승용차가 버스 뒤에서 주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승용차의 운전자는 도로표지판을 보기가 힘들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운전자가 몸을 한쪽으로 기울여서 도로표지판을 확인해야 하거나 도포표지판이 보이게 될 때까지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만 하는 등의 불편함이 생긴다. 게다가, 도로표지판이 많이 설치될수록 운전자는 더욱 편리하게 될 것이지만, 도로표지판의 제작 비용이나 설치장소 등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필요한 만큼 설치하기는 곤란하다는 문제도 있다. 더구나, 야간이나 안개가 낀 상황에서는 운전자의 가시거리가 현저히 줄어들어 도로표지판에 대한 운전자의 가시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차량의 네비게이션을 위하여 전역 위치확인 시스템(GPS)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GPS시스템은 인공위성들로부터 송출된 전파들을 수신하여 GPS 수신기가 차량의 현재 위치를 계산한다. 이러한 GPS 수신기를 이용하는 네비게이션 기기는 계산된 차량의 현재 위치 및 차량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자신에게 내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네비게이션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그런데, 차량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기기는 외부의 정보제공시스템과 통신 채널 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현재 차량이 위치한 지역에 관련된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교통상황 등의 도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운전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차량에 설치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장치를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주변에서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 혹은 탑승자 들이 도로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하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을 통해 운전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차량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제공하기 위한 차량-운행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차량의 뒷면 및 측면 중의 적어도 뒷면에 설치되며 차량의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현재의 차량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위치 데이터를 제공하며, 차량 운행-관련 정보를 현재의 차량 위치에 맞추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처리하는 프로세서; 현재의 차량 위치를 상기 프로세서에 공급하는 GPS수신기; 및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 제공 센터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기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제공하는 차량 위치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센터에 송신하며, 상기 정보 제공 센터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되는 차량 운행-관련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GPS수신기 및 무선 송수신기용 단자들 구비 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GPS수신기 및 무선 송수신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로서, GPS수신기에 연결가능하며 GPS수신기로부터 현재의 차량 위치를 수신하기 위한 제1단자;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 제공 센터와 통신하는 무선 송수신기와 연결 가능한 제2단자; 차량의 뒷면 및 측면 중의 적어도 뒷면에 설치되며 차량의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단자로 수신되는 현재의 차량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위치 데이터를 상기 무선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정보 제공 센터에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2단자로 전달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 운행-관련 정보를 상기 현재의 차량 위치에 맞추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GPS수신기용 단자를 구비하고 무선 송수신기를 내장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GPS수신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로서, GPS수신기에 연결가능하며 GPS수신기로부터 현재의 차량 위치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단자; 차량의 뒷면 및 측면 중의 적어도 뒷면에 설치되며 차량의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상기 입력단자에서 수신된 현재의 차량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위치 데이터를 제공하며, 차량 운행-관련 정보를 현재의 차량 위치에 맞추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 제공 센터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기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제공하는차량 위치 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센터에 송신 하며, 상기 정보 제공 센터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차량 운행-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무선 송수신기용 단자를 구비하며 GPS수신기를 내장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무선 송수신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로서, 차량의 뒷면 및 측면 중의 적어도 뒷면에 설치되며 차량의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 제공 센터와 통신하는 무선 송수신기와 연결 가능한 입출단자; 현재의 차량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위치 데이터를 상기 정보 제공 센터에 송신하기 위해 상기 입출력단자 통해 무선 송수신기에 전달하고, 상기 입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무선 송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운행-관련 정보를 현재의 차량 위치에 맞추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현재의 차량 위치를 상기 프로세서에 공급하는 GPS수신기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양태들에서, 상기 도로 정보 안내 장치는, 현재의 차량 위치 및 예측된 통과 위치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차량 운행-관련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차량 운행-관련 정보는 도로 정보, 교통 정보 및 광고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양태들에서, 상기 도로 정보는 도로표지판의 이미지이고 상기 교통 정보는 교통표지판의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양태들에서, 차량 운행-관련 정보는, 현재의 차량 위치 근처의 저명한 지명; 특정 운행 노선 상에 놓인 저명한 지명들 및 그 지명들까지의 거리; 특정 운행 노선 상에 놓인 저명한 지명들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및 특정 운행 노선 상의 휴게소, 관광지 등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현재의 차량 위치 및 예측된 통과 위치 둘 다에 의해 선택되는 차랑 운행-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센터; 및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며, 현재의 차량 위치를 상기 정보 제공 센터에 송신하고, 상기 정보 제공 센터에 의해 제공되는 차량 운행-관련 정보를 현재의 차량 위치에 맞추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이용하여 그 차량을 뒤따라오는 차량들에 도로정보나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야간이나 안개 등에 의하여 운전자의 시계가 악화되는 여건에서도 운전자는 앞서가는 차량에 의해 제공되는 도로 정보와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편안하고 안정된 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로 정보와 교통 정보를 도로표지판의 이미지와 교통표지판의 이미지로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앞서가는 차량이 제공하는 도로 정보나 교통 정보를 별도의 학습 없이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효과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GPS기기나 와이브로용 무선 송수신기가 구비되어 있는 차량의 경우에도, 기기 중복으로 인한 비용 증가 없이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는 이점도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및 다른 목적들 및 이점들은 다음의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참조번호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므로,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유사하거나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되는 구성요소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참조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설치형 정보 제공 시스템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설치형 정보 제공 시스템은 차량(10)에 설치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 무선통신망(30), 도로정보 제공센터(40), 교통정보 제공센터(50), 및 광고정보 제공센터(60)를 포함한다.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는 도로정보, 교통정보와 같이 운전자의 운전에 도움을 주기 위해 운전자에게 안내되는 정보(이하, '차량 운행-관련 정보'라 함)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는 주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차량 운행-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가 설치되는 차량(10) 역시 충분한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설치할 수 있는 시내버스, 시외버스, 승합차 등과 같은 중ㆍ대형의 차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러한 기재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따라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는 소형의 차량에도 설치 가능하다.
무선통신망(30)은 와이브로(WiBro),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와 같은 고속 패킷 통신 규격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x Access), WCDMA(Wideband CDMA) 등과 같은 기존의 통신 규격을 이용할 수 있다. 차량이 시속 100km 이상의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도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와 도로정보 제공센터(40) 사이의 통신이 보장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와이브로를 사용하여 통신망을 구축하는 바람직하다. 이 무선통신망(30)은 와이브로 등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구간과 도로 정보 정보센터(40)와 무선 송수신기를 연결하는 인터넷 망이나 xDSL망 또는 케이블 망 등을 이용하는 유선 통신망의 혼합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로정보 제공센터(40)는 도로표지판과 교통안전표지판과 같은 도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로표지판의 종류로는 교차로상 방향안내를 위한 방향표지, 중요지점의 거리 안내를 위한 이정표지, 행정구역 경계안내를 위한 경계표지, 그리고 주행하는 노선의 안내를 위한 노선표지 등이 있다. 교통안전표지판은 도로표지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원활한 도로교통과 도로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함을 목적으로 하여 사용된다. 교통안전표지판에는, 주의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 보조표지 등이 있다. 주의표지에는 도로공사중, 과속방지턱, 우측차로없어짐 등이 있다. 규제표지에는 승용자동차통행금지, U턴금지, 앞지르기금지, 우회전금지 등이 있다. 지시표지에는 좌회전, 우회전, 횡단보도, 어린이보호 등이 있다. 보조표지에는 어린이보호구역, 노면상태, 안전속도 등이 있다. 도 6a는 도로표지판을 보이고 있고, 도 6b는 좌회전금지를 나타내는 교통안전표지를 함께 보이고 있는 도로표지판을 보이고 있다. 도로정보 제공센터(40)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 치(20)로부터 무선 통신망(30)을 경유하여 차량 위치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차량 위치 데이터에 관련된 도로정보를 무선 통신망(30)을 경유하여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도로정보 제공센터(40)는 도로 정보를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가 설치된 차량(10)이 시내 버스 등과 같이 일정한 운행 노선을 가지는 차량인 경우에는 현재의 차량 위치 및 일정한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 뒤까지 제공해야 할 도로 정보를 현재의 시간에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에 전송하도록 도로정보 제공센터(4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통정보 제공센터(50)는 교통정보, 즉 도로 구간별 교통상황, 사고, 공사 등의 교통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인에 대한 정보를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교통정보 제공센터(50)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로부터의 차량 위치 데이터가 무선 통신망(30)을 경유하여 수신되면, 수신된 차량 위치 데이터에 관련된 교통정보를 무선 통신망(30)을 경유하여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에 송신할 수 있다.
광고정보 제공센터(60)는 도 1의 차량 설치형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하려는 광고 정보를 무선 통신망(30)을 통해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에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로부터 무선 통신망(30)을 통하여 차량 위치 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수신된 차량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고 정보를 차량 설치형 정 보 안내 장치(20)로 송신하도록 광고정보 제공센터(60)는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광고정보 제공센터(60)는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광고 정보를 무선 통신망(30)을 통하여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르게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가 요청할 때마다 광고정보 제공센터(60)가 광고 정보를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에 제공하도록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 및 광고정보 제공센터(60)가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에 의한 광고 정보의 요청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행하여질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광고 정보의 요청은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가 설치된 차량이 운행을 위한 준비 상태에 있을 때 예컨대, 차량 기지 등에서 행하여질 수도 있다. 광고정보 제공센터(60)가 차량 위치 데이터에 무관하게 광고 정보를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에 제공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는 제공된 광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기기를 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의 차량 설치형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를 사용하는 경우, 도로 정보와 광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우선순위를 거리에 실제로 설치된 도로표지판 및/또는 교통표지판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통상, 도로표지판이나 교통표지판이 설치된 위치는 주의 예고 거리를 대략 30~200m로 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차량 주행방향을 기준하여 도로표지판이나 교통표지판의 설치 위치보다 소정의 거리, 예컨대 30 내지 200m 뒤쪽에 차량(10)이 위치해 있을 때부터,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가 도로표지판의 이미지나 교통표지판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차량 설치형 정보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 설치형 정보 제공 시스템은 다음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재의 차량 위치에 상응하는 도로표지판의 이미지나 교통표지판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로표지판 또는 교통표지판의 이미지 제공 알고리즘>
단계 100: 차량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이 통과하게 될 위치(이하 '예측된 통과 위치'라 한다)를 예측한다.
단계 200: 현재의 차량 위치와 '예측된 통과 위치'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가 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300: 현재의 차량 위치와 '예측된 통과 위치'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가 되면,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가 예측된 통과 위치에 상응하는 도로표지판의 이미지나 교통표지판의 이미지를 현재의 차량 위치에서부터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100에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가 현재의 차량 위치 및 예측된 통과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가 네비게이션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운전자가 출발지와 목적지를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예측된 통과 위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를 시내버스나 고속버스 등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 운행 노선을 입력하게 함으로써, 출발지와 목적지뿐 아니라 운행 노선에 기초하여, 예측된 통과 위치를 얻을 수도 있다.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가 네비게이션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예측된 통과 위치는 차량 위치 데이터, 차량의 주행 속력 및 주행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르게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는 현재의 차량 위치만을 포함하는 차량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고 도로정보 제공센터(40)와 교통정보 제공센터(50)가 차량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의 예측된 통과 위치를 계산하도록 구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단계 200에서, 소정의 거리는 도로의 제한 속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르게는, 소정의 거리는 차량의 주행 속력과 운전자의 가시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르게는, 소정의 거리는 도로의 제한 속력과 운전자의 가시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로의 제한 속력과 운전자의 가시거리에 기초하여 소정의 거리를 결정하는 것이 운전자로 하여금 도로의 제한 속력을 준수하도록 하면서도 운전자의 주변 환경을 감안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소정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과 도로의 구조를 고려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바둑판 도로이고 블록간(또는 교차로간)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소정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짧게 될 수 있다. 소정의 거리는 대략 30 내지 200m만큼의 범위 내에서 도로의 제한 속력, 차량의 주행 속력, 운전자의 가시거리, 및/또는 도로의 구조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가 상기 소정의 거리를 결정하여 도로정보 제공센터(40)와 교통정보 제공센터(50)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도로정보 제공센터(40)와 교통정보 제공센터(50)가 상기 소정의 거리를 각각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로정보 제공센터(40)가 상기 소정의 거리를 결정하여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와 교통정보 제공센터(50)에 제공하 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계 300에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가 도로표지판의 이미지나 교통표지판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시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는 수신되는 도로 정보나 교통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상응하는 도로표지판의 이미지나 교통표지판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도로정보 제공센터(40)와 교통정보 제공센터(50)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시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도로표지판이나 교통표지판의 이미지 외의 차량 운행-관련 정보는 상기 소정의 거리를 고려하지 않고, 현재의 차량 위치 및 예측된 통과 위치에만 또는 현재의 차량 위치에만 기초하여 차량 운행-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지역에 대한 교통 상황 정보는 현재의 차량 위치 및 예측된 통과 위치에만 또는 현재의 차량 위치에만 기초할 수 있다. 고속도로와 같은 도로의 경우 예측된 통과 위치를 이용하여 교통 상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있다. 한편, 시내의 도로의 경우, 현재의 차량 위치에만 기초하여 그 주변 지역의 교통 상황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a는 도 1에 보인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의 일 실시예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는 GPS수신기(201), 프로세서(203), 무선 송수신기(205), 및 디스플레이(207)를 구비한다.
이러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는 차량 내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가 하나의 모듈로 제작되는 경우,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는, 도 7에 보인 것처럼, 차량(예컨대, 시내버스)의 뒤창 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설치 방법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의도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버스와 같은 차량의 번호 표지판 위쪽에 별도의 삽입홈을 마련하고 그 삽입홈 속에 디스플레이(207)가 외부에서 볼 수 있는 배치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의 개조가 곤란한 경우에는, 차량 뒤측 외장에 설치 또는 부착되는 형태의 구조물인 것 또한 가능하다. 아래에서 설명될 도 2b 내지 도 5b에 보인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들도 도 2a의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와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를 차량 뒤쪽에 설치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 관련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GPS수신기(201)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가 설치된 차량(10)의 현재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다르게는 GPS수신기(201)는 차량 외부의 장치로부터 차량의 위치를 수신할 수도 있다. GPS수신기(201)는 현재의 차량 위치를 프로세서(203)에 공급한다. 무선 송수신기(205)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RF)를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기기이다. 무선주파수(RF)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9 kHz 내지 수천 G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진다. 널리 알려진 CDMA(Code Division Multiplex Access), WCDMA(Wide CDMA),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규약들은 모두 이러한 RF 신호를 사용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CDMA, WCDMA, 와이브로, 와이맥스, HSDPA 등을 통칭하는 명칭으로서 무선주파수(RF)를 사용하고 또 그러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기를 무선(wireless) 송수신기라고 부르도록 한다. 도 2의 예에서, 무선 송수신기(205)는 와이브로를 사용하는 송수신기인 것으로 한다. 이러한 기재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시내버스와 같은 차량에서는 와이브로용 무선 송수신기를 사용하고, 시외버스나 고속버스와 같은 차량에서는 CDMA나 WCDMA용 무선 송수신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적용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프로세서(203)는 GPS수신기(201)에 의해 계산된 현재의 차량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위치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기(205)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르게는, 프로세서(203)는 현재의 차량 위치 및 예측된 통과 위치 둘 다를 포함하는 차량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여 무선 송수신기(205)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송수신기(205)는 무선 통신망(30)을 향하여 현재의 차량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위치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현재의 차량 위치 및 예측된 통과 위치 둘 다를 포함하는 차량 위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03)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 또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가 설치된 차량(10)을 다른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 또는 다른 차량으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차량식별정보를 차량 위치 데이터와 함께 무선 송수신기(205)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203)는 무선 송수신기(205)를 통하여 수신된 도로 정보, 교통 정보, 또는 광고 정보를 디스플레이(207)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를 디스플레이(207)에 제공할 수 있다. 디 스플레이(207)는 프로세서(203)에 의해 제공되는 도로 정보, 교통 정보, 및/또는 광고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무선 통신망(30)을 통하여 상기 고유식별정보 및 차량 위치 데이터가 전송될 때, 도로정보 제공센터(40)는 수신되는 고유식별정보 및 차량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에 제공할 도로 정보를 선택한다. 수신된 차량 위치 데이터가 현재의 차량 위치만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도로정보 제공센터(40)는, 차량(10)을 위해 예측된 통과 위치를 계산한다. 이러한 계산은 복수 개의 차량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고, 이러한 계산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므로 그 설명이 생략된다. 도로정보 제공센터(40)는 현재의 차량 위치 및 예측된 통과 위치에 기초하여 도로정보 데이터베이스(미도시)로부터 도로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도로 정보는 무선 통신망(30)을 통하여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에 전송된다. 수신된 차량 위치 데이터가 현재의 차량 위치 및 예측된 통과 위치 둘 다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도로정보 제공센터(40)는 예측된 통과 위치를 별도로 계산하지 않고, 수신된 차량 위치 데이터에 포함된 현재의 차량 위치 및 예측된 통과 위치에 기초하여 도로정보 데이터베이스(미도시)로부터 도로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도로 정보는 무선 통신망(30)을 통하여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에 전송된다. 선택된 도로 정보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로부터 수신된 상응하는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무선 통신망(30)을 통하여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에 전송될 수 있다.
무선 통신망(30)을 통하여 고유식별정보 및 차량 위치 데이터가 수신될 때, 교통정보 제공센터(50)는 수신된 고유식별정보 및 차량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교통 정보를 선택한다. 교통 정보의 선택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교통정보 제공센터(50)는 차량 위치 데이터를 기초하여 교통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구조로 구축된 교통 정보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그 내부에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차량 위치 데이터가 현재의 차량 위치만을 포함하는 경우를 위해, 교통정보 제공센터(50) 역시 도로정보 제공센터(40)와 마찬가지로 예측된 차량 위치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교통정보 제공센터(50)에 의해, 선택된 교통 정보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로부터 수신된 상응하는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무선 통신망(30)을 통하여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에 전송된다.
무선 통신망(30)을 통하여 고유식별정보 및 차량 위치 데이터가 수신될 때, 광고정보 제공센터(60)는 자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광고 정보 중에서 고유식별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차량을 위해 준비된 광고 정보를 선택한다. 이때 차량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광고 정보를 세부적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차량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광고 정보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면, 원하는 지역에 맞는 광고 정보를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에 의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택된 광고 정보는 상응하는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광고정보 제공센터(60)에 의해 무선 통신망(30)을 통하여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로 전송된다.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의 무선 송수신기(205)는 무선 통신망(30)으로부터 고유식별정보와 상응하는 도로 정보, 교통정보 및/또는 광고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정보(들)는 프로세서(203)에 전달된다. 특정한 차량 위치 데이터 에 대하여, 도로 정보, 교통정보 및 광고정보 중에서 하나의 정보만 존재한다면, 프로세서(203)는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207)를 통하여 그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프로세서(203)는 도로 정보와 교통 정보를 현재의 차량 위치에 맞추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만약 특정한 차량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도로 정보, 교통정보 및 광고정보 중에서 적어도 2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서(203)는, 차량의 현재 위치와 예측된 통과 위치에 기초하여, 도로 정보, 교통정보 및 광고정보 중에서 도로 정보만을 선택하거나, 도로정보 및 교통정보만을 선택하거나, 또는 광고정보만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정보는 프로세서(203)에 의해 처리되고 디스플레이(207)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다. 도로 정보, 교통정보 및 광고정보 중에서, 차량(10)의 운전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선택 스위치나 모드 선택버튼을 구비하도록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반면에,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에 차량(10)에 탑승한 사람이 관여하지 못하도록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a와 도 6b는 디스플레이(207)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이미지의 예들을 보이고 있다. 도 6a는 도로표지판의 이미지를 보이고 있다. 도 6b는 도로표지와 교통안전표지(좌회전금지)를 함께 보여주는 도로표지판의 이미지를 보이고 있다.
도 2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a)의 블록도이다. 도 2b의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a)는 프로세서(203)에 연결되는 저장매체(209)를 도 2a의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에 추가한 구성을 가진다. 이러 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a)는 현재의 차량 위치 및 예측된 통과 위치의 쌍에 대응하는 도로 정보, 교통 정보 및 광고 정보를 저장매체(209)에 미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로정보와 교통 정보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a)의 출하 시에 저장매체(209) 속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에 변경이 있을 때마다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a)는 도로정보 제공센터(40)와 교통정보 제공센터(50)로부터 해당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저장매체(209)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도록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a)는 구성될 수 있다. 저장매체(209)에 도로 정보, 교통 정보 및 광고 정보 등을 포함한 각종 차량 운행-관련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때, 프로세서(203)는 현재의 차량 위치 및 예측된 통과 위치를 이용하거나 현재의 차량 위치를 이용하여 차량 운행-관련 정보를 저장매체(209)로부터 검색하거나 선택하고, 그것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207)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PS수신기는 개별 제품의 형태로 출시되어 있거나 네비게이터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무선 송수신기 역시 와이브로 USB나 단말기 형태의 개별 제품으로 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도 3a에 보인 바와 같이 변형된 구조의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2)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2)의 블록도이다. 도 3a에 보인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2)는 프로세서(203)와 디스플레이(207)만을 구비한다. 도 3a의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2)는 장치 외부에 있는 GPS수신기(201) 및 무선 송수신기(205)를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2)는 GPS수신기(201)에 연결된 단자 'A'와 무선 송수신 기(205)에 연결된 단자 'B'를 구비한다. 도 3b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2)의 블록도이다. 도 3b에 보인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2a)는 도 3a의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2)에 저장매체(209)를 추가한 구성이다. 도 3a의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2)는 도 2a의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와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고, 도 3b의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2a)는 도 2a의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0a)와 유사한 동작을 수행한다.
도 4a 및 도 4b는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들의 블록도들을 각각 보이고 있다. 도 4a의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4)는 장치 외부에 있는 GPS수신기(201)와의 연결을 위한 단자 'A'를 구비한다. 이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4)는 프로세서(203), 무선 송수신기(205) 및 디스플레이(207)를 구비한다. 도 4b의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4a)는 도 4a의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4)에 저장매체(209)를 추가한 구성을 가진다.
도 5a 및 도 5b는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들의 블록도들을 각각 보이고 있다. 도 5a의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6)는 장치 외부에 있는 무선 송수신기(205)와의 연결을 위한 단자 'B'를 구비한다. 이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6)는 GPS수신기(201), 프로세서(203), 및 디스플레이(207)를 구비한다. 도 5b의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6a)는 도 5a의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26)에 저장매체(209)를 추가한 구성을 가진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는 최소한 디스플레이와 프로세서는 포함하는 구성으로 설명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이 본 발명을 한정 하는 것은 아니며, 그러므로, 프로세서와 디스플레이도 개별 모듈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로정보 제공센터, 교통정보 제공센터, 및 광고정보 제공센터는 각각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설명은 설명의 명료함을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었다. 그러므로, 하나의 정보 제공 센터가 도로정보, 교통정보, 및 광고정보를 모두 제공하는 구성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음은 명백하다. 하나의 정보 제공 센터가 도로정보, 교통정보, 및 광고정보를 모두 제공할 수 있는 경우, 도 2a 내지 도 5b의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는 상기 하나의 정보 제공 센터로부터 차량 운행-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차량 운행-관련 정보는 도로정보, 교통정보, 및 광고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하나의 정보 제공 센터는 도로정보, 교통정보, 및 광고정보 외에도, 뉴스와 같은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더욱이, 정보 제공 센터는 특정 운행 노선을 가지는 차량에 설치된 정보 안내 장치에 다음의 정보들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1) 현재의 차량 위치 근처의 저명한 지명,
2) 특정 운행 노선상에 놓인 저명한 지명들 및 그 지명들까지의 거리,
3) 특정 운행 노선상에 놓인 저명한 지명들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4) 특정 운행 노선상의 휴게소, 관광지 등의 정보.
이러한 정보들은 문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추가로, 문자형 교통 상황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문자형 교통 상황 정보는 원활, 서행, 지체, 정체 등의 정보 를 도로 구간별로 제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및 8b는 디스플레이(207)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문자형 정보의 예들을 보이고 있다. 도 8a는 현재의 차량 위치 주변의 지명에 관한 정보와, 목적지인 부산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 그리고 중간의 저명한 지명들까지의 거리 및 예상 소요시간을 함께 보이고 있다. 도 8b는 현재의 차량 위치 주변의 지명에 관한 정보와, 가장 가까운 휴게소까지의 거리, 및 점심 시간대에 해당하는 A.M. 12시에 통과가 예상되는 휴게소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정보는 도로표지판이나 교통표지판이 없는 구간에서만 디스플레이(207)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르게는, 운전자 등의 선택에 의해 언제라도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의 디스플레이는 현재의 차량 위치에만 기초할 수 있거나 현재의 차량 위치 및 예상된 통과 위치 둘 다에 기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가 고속버스나 시외버스와 같은 정해진 노선을 가지고서 운행하는 차량의 경우, 예상된 통과 위치로서 차량 노선 정보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설치형 정보 제공 시스템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도 1의 차량 설치형 정보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의 실시예들을 보인다.
도 3a 및 b는 각각 도 2a 및 2b에 보인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들의 변형 실시예들을 보인다.
도 4a 및 4b는 각각 도 2a 및 2b에 보인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들의 변형 실시예들을 보인다.
도 5a 및 5b는 각각 도 2a 및 2b에 보인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들의 변형 실시예들을 보인다.
도 6a는 도 6a는 도로표지판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6b는 좌회전금지를 나타내는 교통안전표지를 함께 보이고 있는 도로표지판의 예를 보이고 있다.
도 7은 차량(예컨대, 시내버스)의 뒤창 측에 설치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를 보이고 있다.
도 8a 및 8b는 디스플레이(207)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문자형 정보의 예들을 보이고 있다.

Claims (8)

  1.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뒷면 및 측면 중의 적어도 뒷면에 차량의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현재의 차량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위치 데이터를 제공하며, 차량 운행-관련 정보를 현재의 차량 위치에 맞추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처리하는 프로세서;
    현재의 차량 위치를 상기 프로세서에 공급하는 GPS수신기; 및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 제공 센터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기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제공하는 차량 위치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센터에 송신하며, 상기 정보 제공 센터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되는 차량 운행-관련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운행-관련 정보는 도로 정보 및 교통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 정보는 도로표지판의 이미지이고 상기 교통 정보는 교통표지판의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
  2. GPS수신기 및 무선 송수신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에 있어서,
    GPS수신기에 연결가능하며 GPS수신기로부터 현재의 차량 위치를 수신하기 위한 제1단자;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 제공 센터와 통신하는 무선 송수신기와 연결 가능한 제2단자;
    차량의 뒷면 및 측면 중의 적어도 뒷면에 차량의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단자로 수신되는 현재의 차량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위치 데이터를 상기 무선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정보 제공 센터에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2단자로 전달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 운행-관련 정보를 상기 현재의 차량 위치에 맞추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운행-관련 정보는 도로 정보 및 교통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 정보는 도로표지판의 이미지이고 상기 교통 정보는 교통표지판의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
  3. GPS수신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에 있어서,
    GPS수신기에 연결가능하며 GPS수신기로부터 현재의 차량 위치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단자;
    차량의 뒷면 및 측면 중의 적어도 뒷면에 차량의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상기 입력단자에서 수신된 현재의 차량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위치 데이터를 제공하며, 차량 운행-관련 정보를 현재의 차량 위치에 맞추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 제공 센터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기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제공하는 차량 위치 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센터에 송신하며, 상기 정보 제공 센터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차량 운행-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제공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운행-관련 정보는 도로 정보 및 교통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 정보는 도로표지판의 이미지이고 상기 교통 정보는 교통표지판의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
  4. 무선 송수신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뒷면 및 측면 중의 적어도 뒷면에 차량의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 제공 센터와 통신하는 무선 송수신기와 연결 가능한 입출력단자;
    현재의 차량 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위치 데이터를 상기 정보 제공 센터에 송신하기 위해 상기 입출력단자 통해 무선 송수신기에 전달하고, 상기 입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무선 송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운행-관련 정보를 현재의 차량 위치에 맞추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현재의 차량 위치를 상기 프로세서에 공급하는 GPS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운행-관련 정보는 도로 정보 및 교통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 정보는 도로표지판의 이미지이고 상기 교통 정보는 교통표지판의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정보 안내 장치는, 현재의 차량 위치 및 예측된 통과 위치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차량 운행-관련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차량 운행-관련 정보는 광고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차량 운행-관련 정보는, 현재의 차량 위치 근처의 저명한 지명; 특정 운행 노선상에 놓인 저명한 지명들 및 그 지명들까지의 거리; 특정 운행 노선상에 놓인 저명한 지명들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 및 특정 운행 노선상의 휴게소, 관광지 등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
  8. 차량 운행-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현재의 차량 위치 및 예측된 통과 위치 둘 다에 의해 선택되는 차랑 운행-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센터; 및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며, 현재의 차량 위치를 상기 정보 제공 센터에 송신하고, 상기 정보 제공 센터에 의해 제공되는 차량 운행-관련 정보를 현재의 차량 위치에 맞추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운행-관련 정보는 도로 정보 및 교통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 정보는 도로표지판의 이미지이고 상기 교통 정보는 교통표지판의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행-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090032931A 2009-04-15 2009-04-15 다른 차량의 운전자 혹은 탑승자에게 차량 운행관련 정보와 기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 및 차량 운행-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042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931A KR101042034B1 (ko) 2009-04-15 2009-04-15 다른 차량의 운전자 혹은 탑승자에게 차량 운행관련 정보와 기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 및 차량 운행-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931A KR101042034B1 (ko) 2009-04-15 2009-04-15 다른 차량의 운전자 혹은 탑승자에게 차량 운행관련 정보와 기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 및 차량 운행-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411A KR20100114411A (ko) 2010-10-25
KR101042034B1 true KR101042034B1 (ko) 2011-06-16

Family

ID=4313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931A KR101042034B1 (ko) 2009-04-15 2009-04-15 다른 차량의 운전자 혹은 탑승자에게 차량 운행관련 정보와 기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 및 차량 운행-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0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372Y1 (ko) * 2002-02-21 2002-06-21 손효철 대중교통수단의 현재위치의 주변정보 시각적 안내장치
KR20020078372A (ko) * 2001-04-09 2002-10-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아이엠티-2000 시스템에서 순방향 편파 다이버시티 장치
KR20030022985A (ko) * 2001-09-11 2003-03-19 아폴로산업 주식회사 사출성형을 이용한 시트백 프레임의 제조 공정 및 이공정으로 만들어진 시트백 프레임
KR200322985Y1 (ko) * 2003-04-25 2003-08-14 주식회사 사일릭스 버스용 fm darc 전광판 시스템
KR20090013258A (ko) * 2006-12-15 2009-02-05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 및 시간 기반의 모바일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372A (ko) * 2001-04-09 2002-10-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아이엠티-2000 시스템에서 순방향 편파 다이버시티 장치
KR20030022985A (ko) * 2001-09-11 2003-03-19 아폴로산업 주식회사 사출성형을 이용한 시트백 프레임의 제조 공정 및 이공정으로 만들어진 시트백 프레임
KR200278372Y1 (ko) * 2002-02-21 2002-06-21 손효철 대중교통수단의 현재위치의 주변정보 시각적 안내장치
KR200322985Y1 (ko) * 2003-04-25 2003-08-14 주식회사 사일릭스 버스용 fm darc 전광판 시스템
KR20090013258A (ko) * 2006-12-15 2009-02-05 주식회사 케이티 위치 및 시간 기반의 모바일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411A (ko) 201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49810B1 (en) Navigation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dynamic road conditions
ES2261240T3 (es) Sistema de informacion.
US20140207357A1 (en) Vehicle-side system
JP3279009B2 (ja) 車両用経路誘導装置
US201701387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Navigation Services and Crowd-Sourced Location-Based Data
EP1699033B1 (en) A method of driving support and a driving support apparatus
US20120259539A1 (en) Navigation Device and Guiding Method Thereof
US20100299063A1 (en) Current Position Determining Device and Current Position Determining Method
KR20020021691A (ko) 단거리 고속통신 장치를 이용한 차량항법 서비스 장치 및그 방법
US10458805B2 (en)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a motor vehicle
HU224292B1 (hu) Eljárás jármű navigációs és információs rendszerhez
CN101294817A (zh) 车辆导航系统及其方法
US6898519B1 (en) Navigation system with extended display function
JP2014203152A (ja) 情報送信装置および情報提示装置
JP2011237175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10621864B1 (en) V2X vehicle pullout advisory system
JPH08138194A (ja) 道路交通情報システム
KR101042034B1 (ko) 다른 차량의 운전자 혹은 탑승자에게 차량 운행관련 정보와 기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차량 설치형 정보 안내 장치 및 차량 운행-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JP2011107088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その案内表示方法
KR102244321B1 (ko) 차량의 전방 교통정보 제공 방법
US8427339B2 (e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in-vehicle apparatus
JPH09245292A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8136994A (ja) 情報送信装置
KR200274147Y1 (ko) 자동차용 도로정보 제공시스템
KR20090038721A (ko)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차량 경로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