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437B1 -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437B1
KR101041437B1 KR1020090080585A KR20090080585A KR101041437B1 KR 101041437 B1 KR101041437 B1 KR 101041437B1 KR 1020090080585 A KR1020090080585 A KR 1020090080585A KR 20090080585 A KR20090080585 A KR 20090080585A KR 101041437 B1 KR101041437 B1 KR 101041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extract
sample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015A (ko
Inventor
이창호
김인호
한대석
김영언
성기승
김병목
이현유
김수정
김덕일
백남인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80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437B1/ko
Publication of KR20110023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4Polygonum, e.g. knot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Abstract

본원발명은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오 추출물, 약쑥, 대추, 감초, 육계, 생강 및 결명자를 포함한다. 본원발명의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HMA-coA reductase 및 ACE의 활성을 억제하고, 혈전을 용해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혈류를 개선하여 혈관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적하수오, 백하수오, 혈류 개선, 조성물

Description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Vascular Disorder}
본원발명은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수오는 크게, 마디풀과에 속하는 적하수오와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백하수오로 나뉜다. 적하수오는 잎은 어긋나며 좁은 난형 혹은 심장형이고, 탁엽의 끝은 막질로 줄기를 둘러싼다. 꽃은 작고 많으며 밀집되어 가지가 여러 개인 원추화서에 달리고, 속에 작은 꽃이 2 ∼ 4송이 혹은 다시 여러 송이가 피고 꽃은 녹백색 혹은 백색이며, 길이는 6 ~ 15cm 가량이고 굵은 부분은 지름이 3 ~ 12cm가 되며 표면은 적갈색 또는 자갈색이고 가지런하지 않은 세로홈이 있으며 울퉁불퉁하고 양단에 뿌리의 흔적이 한 개씩 있다. 주산지는 중국의 하남, 호북, 귀주, 사천, 강소, 광서 등지에 분포하며 그 외 절강, 안징, 광동, 산동, 강서, 호남에서도 서식한다. 예로부터 간, 신을 보익하고 혈을 자양하며 풍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머리가 일찍 희어지는데, 허두, 눈앞이 아찔한데, 허리와 무릎 아픈데, 연약, 근골산통, 유정, 대량의 자궁 출혈, 붕루대하, 만성 학질, 만성 설사, 만성 간염, 옹종, 나력, 장풍, 치질에도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백하수오는 원추형이고 길이 5 ~ 10 cm, 지름 15 ~ 35 mm이다. 바깥면은 회황색 ~ 황갈색이며 세로주름이 많고 질은 단단하다. 이 생약의 횡단면은 백색이며 현미경으로 보면 코르크층아래 3 ~ 5층의 석세포환이 군데군데 끊어져 있다.
적하수오 및 백하수오는 전통적으로 강장, 강정, 보혈, 자양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예로부터 알려지고 있으며, 이들을 이용한 혈관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원발명은,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은 적하수오 또는 백하수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발명의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HMA-coA reductase 및 ACE의 활성을 억제하고, 혈전을 용해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혈류를 개선하여 혈관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오 추출물, 약쑥, 대추, 감초, 육계, 생강 및 결명자를 포함한다.
본원발명의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하수오 추출물 0.01 ~ 88 중량%, 약쑥 2 ~ 16.33 중량%, 대추 2 ~ 16.33 중량%, 감초 2 ~ 16.33 중량%, 육계 2 ~ 17 중량%, 생강 2 ~ 17 중량% 및 결명자 2 ~ 17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수오 추출물은 적하수오 추출물 및 백하수오 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혼합물이 될 수 있다.
상기 하수오 추출물은, 하수오를 물로 추출한 후 감압농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제조예, 실험예, 비교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제조예, 실험예, 비교예는 본원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제조예, 실험예, 비교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조예 1> : 적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한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본원발명의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적하수오 추출물, 약쑥, 대추, 감초, 육계, 생강, 결명자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이하에서 설명하였다.
먼저, 적하수오는 완전히 마를 때까지 음건하고 Blender KA2610(Jworldtech, Korea)로 분쇄하였다. 분쇄된 적하수오 10 g에 물 100 mL를 첨가하여 히팅 맨틀(heating mantle, Changshin scientific Co., Korea)에서 냉각관을 연결한 후 가 열하였다. 끓기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였으며 잔사에 다시 물 100 mL를 첨가하여 같은 방법으로 추출 여과를 반복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모두 3회 반복하였으며 3회의 추출 여과 결과 얻어진 여과액을 모두 합하여 본원발명의 적하수오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적하수오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후 분말로 만든 후, 80% 에탄올에 용해하였다.
또한, 약쑥, 대추, 감초, 육계, 생강, 결명자를 각각 분쇄하여 분말로 만들었다.
상기에서 만들어진 80% 에탄올에 용해된 적하수오 추출물, 약쑥 분말, 대추 분말, 감초 분말, 육계 분말, 생강 분말, 결명자 분말을 혼합하여 본원발명의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제조예 2> : 백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한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본원발명의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백하수오 추출물, 약쑥, 대추, 감초, 육계, 생강, 결명자를 이용하였다. 이때, 상기의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하수오 추출물을 이용한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실험예 1> : DPPH 라디칼의 소거 활성
본원발명의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Brand-Williams 방법을 이용하여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 칼의 소거 활성을 살펴보았다.
제조예 1의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적하수오 추출물 40 중량%, 약쑥 10 중량%, 대추 10 중량%, 감초 10 중량%, 육계 10 중량%, 생강 10 중량% 및 결명자 10 중량%을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때, 적하수오 추출물을 80% 에탄올에 용해하되, 적하수오 추출물의 농도는 0.01%, 0.05%, 0.1%, 0.3%, 0.6%, 1%의 6종류로 다양하게 하여 각각 조성물 1, 조성물 2, 조성물 3, 조성물 4, 조성물 5, 조성물 6을 제조하고 이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제조예 2의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백하수오 추출물 40 중량%, 약쑥 10 중량%, 대추 10 중량%, 감초 10 중량%, 육계 10 중량%, 생강 10 중량% 및 결명자 10 중량%을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때, 백하수오 추출물을 80% 에탄올에 용해하되, 적하수오 추출물의 농도는 0.01%, 0.05%, 0.1%, 0.3%, 0.6%, 1%의 6종류로 다양하게 하여 각각 조성물 7, 조성물 8, 조성물 9, 조성물 10, 조성물 11, 조성물 12를 제조하고 이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냈다.
<표 1>


구분

적하수오
추출물
(중량%)

약쑥
(중량%)

대추
(중량%)

감초
(중량%)

육계
(중량%)

생강
(중량%)

결명자
(중량%)
80% 에탄올에
용해된
적하수오
추출물의 농도
(%)
조성물 1

40


10


10


10


10


10


10
0.01
조성물 2 0.05
조성물 3 0.1
조성물 4 0.3
조성물 5 0.6
조성물 6 1


구분

백하수오
추출물
(중량%)

약쑥
(중량%)

대추
(중량%)

감초
(중량%)

육계
(중량%)

생강
(중량%)

결명자
(중량%)
80% 에탄올에
용해된
백하수오
추출물의 농도
(%)
조성물 7

40


10


10


10


10


10


10
0.01
조성물 8 0.05
조성물 9 0.1
조성물 10 0.3
조성물 11 0.6
조성물 12 1
다음으로, DPPH 100 μM과 80% 메탄올을 혼합하여 라디칼(radical) 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라디칼 용액 2.95 mL에 조성물 1 내지 조성물 12를 각각 50 μL씩 첨가하여 23℃의 어두운 곳에서 30분간 방치하고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타민 C의 농도(content of vitamin C)를 도출한 후 도 1에 나타냈다. 상기 비타민 C의 농도는 DHHP 라디칼의 소거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적하수오 추출물과 백하수오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타민 C의 농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본원발명의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 ABTS 라디칼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본원발명의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ABTS 라디칼의 소거 활성을 살펴보았다. 이때, 적하수오 추출물이 포함된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실험예 1의 조성물 1 내지 조성물 6을 사용하였고, 백하수오 추출물이 포함된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실험예 1의 조성물 7 내지 조성물 12를 사용하였다.
먼저, DPPH 100 μM과 80% 메탄올을 혼합하여 라디칼(radical) 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라디칼 용액 2.95 mL에 조성물 1 내지 조성물 12를 각각 50 μL씩 첨가하여 23 ℃의 어두운 곳에서 30분간 방치하고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content of vitamin C를 도출하여 도 2에 나타냈다. 상기 비타민 C의 농도는 ABTS 라디칼의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적하수오 추출물과 백하수오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타민 C의 농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본원발명의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 HMA-CoA reduct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
본원발명의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혈류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Kleinsek의 방법을 이용하여 HMA-CoA reduct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제조예 1의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적하수오 추출물 22 중량%, 약쑥 13 중량%, 대추 13 중량%, 감초 13 중량%, 육계 13 중량%, 생강 13 중량% 및 결명자 13 중량%을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때, 적하수오 추출물을 DMSO에 용해하되, 적하수오 추출물의 농도는 10 ppm, 100 ppm, 1,000 ppm, 10,000 ppm의 4종류로 다양하게 하여 각각 조성물 A, 조성물 B, 조성물 C, 조성물 D를 제조하고 이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냈다.
또한, 제조예 2의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백하수오 추출물 22 중량%, 약쑥 13 중량%, 대추 13 중량%, 감초 13 중량%, 육계 13 중량%, 생강 13 중량% 및 결명자 13 중량%을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때, 백하수오 추출물을 DMSO에 용해하되, 적하수오 추출물의 농도는 10 ppm, 100 ppm, 1,000 ppm, 10,000 ppm의 4종류로 다양하게 하여 각각 조성물 E, 조성물 F, 조성물 G, 조성물 H를 제조하고 이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냈다.
<표 2>


구분

적하수오
추출물
(중량%)

약쑥
(중량%)

대추
(중량%)

감초
(중량%)

육계
(중량%)

생강
(중량%)

결명자
(중량%)
DMSO에
용해된
적하수오
추출물의 농도
(ppm)
조성물A
22

13

13

13

13

13

13
10
조성물B 100
조성물C 1,000
조성물D 10,000


구분

백하수오
추출물
(중량%)

약쑥
(중량%)

대추
(중량%)

감초
(중량%)

육계
(중량%)

생강
(중량%)

결명자
(중량%)
DMSO에
용해된
백하수오
추출물의 농도
(ppm)
조성물E
22

13

13

13

13

13

13
10
조성물F 100
조성물G 1,000
조성물H 10,000
다음으로, 쥐(SD, Sprague-Dawley 계, male rats 200-220 g)는 일반고형사료에 1%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사료를 주어 7일간 사육하였다. 사육이 끝난 쥐는 밤낮을 바꾸었고, 해부하여 간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적출한 간 1 g당 ice cold buffer A(0.2M sucrose 및 2mM dithiothreitol를 첨가한 50mM phosphate buffer, pH 7) 2mL을 첨가한 후 균질기(PotteriElvehjem type glass homogenizer)로 15초간 full speed로 균질화(homogenizing)한 다음, 15,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에서 흰색의 지방층을 거즈나 면봉으로 완전히 제거하고 다시 100,000×g에서 7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버리고, 미세소체 펠릿(microsome pellet)을 취하였다. 상기 미세소체 펠릿(microsome pellet) 1g 당 ice cold buffer A 1 mL를 첨가하고 세척하고 100,000×g에서 60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상등액은 버리고 미세소체 펠릿(microsome pellet)을 취하여 -20 ℃에서 보관하였다.
-20 ℃에서 최소 2시간 보관되었던 미세소체 펠릿(microsome pellet)을 실온에서 해동시킨 후에 미세소체 펠릿(microsome pellet) 1 g 당 buffer B(0.1M sucrose, 2mM dithiothreitol, 50mM KCl, 30mM EDTA를 첨가한 50mM phosphate buffer, pH 7.0)2 mL를 가하여 균질화(homogenizing)하였다. 상기 buffer B가 처리된 미세소체 펠릿(microsome pellet) 1.5g 당 buffer B를 첨가한 후에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한 다음 100,000×g, 20 ℃에서 6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이하의 효소원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효소원은 -70 ℃에서 보관하였다.
본원발명의 시료는, 조성물 A 내지 조성물 H를 각각 1 mL cuvette에 넣은 후, 0.5uM phosphate buffer(pH 7.0) 100 uL, 20mM DTT 100 uL, 3mM NADPH 100 uL, 효소원 100 uL을 더 넣고 반응액의 온도를 37 ℃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약 10분간 전배양(preincubation)한 후에 3mM HMG-CoA를 100 uL 가하여 효소반응을 시작하였다.
대조군은 1 mL cuvette에 DMSO 20uL를 넣은 후, 0.5uM phosphate buffer(pH 7.0) 100 uL, 20mM DTT 100 uL, 3mM NADPH 100 uL, 효소원 100 uL을 더 넣고 반응액의 온도를 37 ℃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약 10분간 전배양(preincubation)한 후에 3mM HMG-CoA를 100 uL 가하여 효소반응을 시작하였다.
본원발명의 시료와 대조군은, 효소반응이 시작됨(0분)과 동시에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5분 후에 다시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의 식 1을 이용하여 HMA-CoA reduct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Inhibition activity(%))를 계산하여 하기의 표 3에 나타냈다.
<식 1>
Figure 112009053079669-pat00001
<표 3>
시료 DMSO에 용해된 추출물의 농도(ppm) Inhibition activity(%)

적하수오
추출물
조성물 A 10 -182.7±22.3
조성물 B 100 -72.3±12.1
조성물 C 1,000 77.92±8.2
조성물 D 10,000 92.61±4.2

백하수오
추출물
조성물 E 10 -391.2±45.9
조성물 F 100 -62.9±12.1
조성물 G 1,000 49.03±2.1
조성물 H 10,000 85.27±9.4
상기의 표 3의 결과로부터, 본원발명의 적하수오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은 1,000 ppm 이상의 농도에서 HMG-CoA reduct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 다. 상기 HMG-CoA reductase는 콜레스테롤 생합성 단계에서 작용하는 율속효소(rate-limiting enzyme)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HMG-CoA reductase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혈류를 개선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원발명의 적하수오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은 높은 수치의 혈중 콜레스테롤 또는 혈중 LDL-콜레스테롤로부터 유발되는 관상동맥성 심장질환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실험예 4> : ACE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
본원발명의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혈류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Chsuman and Cheung의 방법을 이용하여 ACE(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때, 적하수오 추출물은 상기 실험예 3의 조성물 A 내지 조성물 D를 사용하였고, 백하수오 추출물은 상기 실험예 3의 조성물 E 내지 조성물 H를 사용하였다.
먼저, 아세톤으로 정제한 토끼의 허파 1 g에 400 mM sodium borate buffer (pH 8.3) 10.0 mL를 가한 다음 5 ℃에서 24시간 교반한 후 원심분리(8,000×g, 30 min)하여 얻은 상층액을 ACE 조효소액으로 사용하였다.
본원발명의 시료는, 조성물 A 내지 조성물 H를 각각 50 μL 준비하여 ACE 조효소액 50 μL 및 0.1 M sodium borate buffer (pH 8.3) 100 μL를 가한 다음 37 ℃에서 5분간 전배양(preincubation)시켰다. 기질로써 0.5 mM His-His-Leu (2.14 mg/mL) 50 μL를 첨가하여 37℃에서 30분간 효소반응 시킨 후 1 N HCl 250 μL를 가하여 효소반응을 정지시켰다.
대조군은, ACE 조효소액 50 μL 및 0.1 M sodium borate buffer (pH 8.3) 100 μL를 가한 다음 37 ℃에서 5분간 전배양(preincubation)시킨 후 0.5 mM His-His-Leu (2.14 mg/mL) 50 μL를 첨가하여 37 ℃에서 30분간 효소반응 시킨 후 1 N HCl 250 μL를 가하여 효소반응을 정지시켰다.
본원발명의 시료와 대조군은, 효소반응이 시작됨(0분)과 동시에 228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30분 후에 다시 228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의 식 2를 이용하여 ACE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Inhibition activity(%))를 계산하여 하기의 표 4에 나타냈다.
<식 2>
Figure 112009053079669-pat00002
<표 4>
시료 DMSO에 용해된 추출물의 농도(ppm) Inhibition activity(%)

적하수오
추출물
조성물 A 10 -2.1±0.01
조성물 B 100 10.5±2.1
조성물 C 1,000 17.3±1.3
조성물 D 10,000 52.9±3.7

백하수오
추출물
조성물 E 10 -3.2±0.04
조성물 F 100 6.6±0.7
조성물 G 1,000 5.2±0.5
조성물 H 10,000 29.5±3.0
상기의 표 4의 결과로부터, 본원발명의 적하수오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은 100 ppm 이상의 농도에서 ACE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ACE는 Angiotensin-I의 C 말단에 존재하는 His-Leu를 절단하여 강한 혈압상승작용을 하는 Angiotensin-II 를 생성하며, 혈압강하작용을 하는 bradykinin을 불활성한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ACE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bradykinin을 불활성하여 신장 혈관을 확장시킴으로써 혈류를 개선시킬 수 있다.
<실험예 5> : 혈전 용해 효과
본원발명의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혈류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Asstrup과 Mullertz의 fibrin plate법을 이용하여 혈전 용해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때, 적하수오 추출물 또는 백하수오 추출물은 각각 DMSO에 용해하여 25 mg/mL, 50 mg/mL, 100 mg/mL, 200 mg/mL의 4종류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4종류의 DMSO에 용해된 적하수오 추출물이 처리된 HUVEC 세포를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각각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4로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4종류의 DMSO에 용해된 백하수오 추출물이 처리된 HUVEC 세포를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각각 시료 5, 시료 6, 시료 7, 시료 8로 사용하였다
먼저, 50 mM sodium phosphate buffer(pH 7.4)에 human fibrinogen(Sigma, St. Louis, MO, USA)을 0.3%가 되도록 용해시켰다. 상기 human fibrinogen이 용해된 sodium phosphate buffer 10 mL를 10 cm petri dish에 분주하고 human thrombin(100 U/mL, in the same buffer, Sigma, St. Louis, MO, USA) 100 μL를 점적하였다. Fibrin clot이 형성되기 전에 0.5% agar 10 mL를 첨가하여 조심스럽게 섞어준 후 실온에서 3시간 방치하여 fibrin plate를 제조하였다.
본원발명은 시료는, 상기 fibrin plate 위에 지름 0.8 cm의 paper disc를 올려놓고 시료 1 내지 시료 8을 각각 50 μL씩 조심스럽게 점적하여 37°C에서 20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생성된 투명환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상기 fibrin plate 위에 지름 0.8 cm의 paper disc를 올려놓고 5 μg, 10 μg, 15 μg, 20 μg의 plasmin 각각 조심스럽게 점적하여 37 ℃에서 20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생성된 투명환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본원발명의 혈전 용해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대조군과 시료 1 내지 시료 8의 투명환의 크기를 비교하여 하기의 표 5에 나타냈다.
<표 5>
시료 DMSO에 용해된 추출물의 농도(mg/mL) 투명환 크기(cm2)

적하수오
추출물
시료 1 25 0.785
시료 2 50 0.785
시료 3 100 0.950
시료 4 200 1.327

백하수오
추출물
시료 5 25 0.785
시료 6 50 0.950
시료 7 100 0.636
시료 8 200 0.950


대조군
plasmin(μg) 투명환 크기(cm2)
5 0.785
10 1.327
15 2.010
20 2.404
상기의 표 5의 결과로부터, 본원발명의 시료 4의 투명환은 약 1.327 cm2 크기였으며, 이는 plasmin 10 μg을 사용한 대조군과 같은 정도의 혈전 용해 효과를 보였다. 또한, 본원발명의 시료 5는 plasmin 5 μg을 사용한 대조군과 유사한 정도의 혈전용해 효과를 보였으며, 시료 6 및 시료 8는 혈전용해 효과가 가장 컸다. 즉, 본원발명의 혈전 용해효과를 통해서 혈류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이 용하여 본원발명은 혈류 개선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비교예 1> : 하수오 추출물의 HUVEC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상기 제조예 1의 80% 에탄올에 용해된 적하수오 추출물과 제조예 2의 80% 에탄올에 용해된 백하수오 추출물의 HUVEC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MTS assay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상기 MTS assay 방법은, 살아있는 미토콘드리아의 탈수소효소(dehydrogenase)에 의해 노란색의 MTS 테트라졸륨(MTS tetrazolium)이 갈색빛을 띄는 보라색의 포마잔(formazan)으로 전환될 때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먼저, 인간의 제대정맥 혈관내피세포인 HUVEC 세포를 Biobud(Korea)로부터 분양받은 후, FBS(fetal bovine serum, Gibco社)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Gibco社)이 첨가된 EBM-2(Lonza, Walkersville, MD, USA) 배지에서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HUVEC 세포를 96-well plate에 1×103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고 24시간 후에 80% 에탄올에 용해된 적하수오 추출물과 80% 에탄올에 용해된 백하수오 추출물을 각각 처리하였다.
이때, 80% 에탄올에 용해된 적하수오 추출물의 농도는 25 μg/mL, 50 μg/mL, 100 μg/mL, 150 μg/mL, 200 μg/mL의 5종류가 되도록 하고, 80% 에탄올에 용해된 백하수오 추출물의 농도는 25 μg/mL, 50 μg/mL, 100 μg/mL, 150 μg/mL, 200 μg/mL의 5종류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5종류의 80% 에탄올에 용해된 적하수오 추출물이 처리된 HUVEC 세포를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각각 시료 (가1), 시료 (나1), 시료 (다1), 시료 (라1), 시료 (마1)로 사용하고 하기의 표 6에 나타냈다.
또한, 상기 5종류의 80% 에탄올에 용해된 백하수오 추출물이 처리된 HUVEC 세포를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각각 시료 (바1), 시료 (사1), 시료 (아1), 시료 (자1), 시료 (차1)로 사용하고 하기의 표 6에 나타냈다.
<표 6>
구분 하수오 추출물 농도(μg/mL)
대조군 처리하지 않음 0
시료 (가1)
80% 에탄올에 용해된 적하수오 추출물을
처리함
25
시료 (나1) 50
시료 (다1) 100
시료 (라1) 150
시료 (마1) 200
시료 (바1)
80% 에탄올에 용해된 백하수오 추출물을
처리함
25
시료 (사1) 50
시료 (아1) 100
시료 (자1) 150
시료 (차1) 200
각각의 시료 (가1) 내지 시료 (차1)가 분주된 well당 20 μL의 MTS solution(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Promega, Madison, WI, USA)을 첨가하여 2시간 동안 37 ℃에서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배양된 HUVEC 세포를 96-well plate에 1×103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것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대조군이 분주된 well당 20 μL의 MTS solution(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Promega, Madison, WI, USA)을 첨가하여 2시간 동안 37 ℃에서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인 HUVEC 세포의 증식률을 기준(100%)으로 하여, 대조군에 대한 시료 (가1) 내지 시료 (마1)의 HUVEC 세포의 증식률을 도 3에 나타내고, 대조군에 대한 시료 (바1) 내지 시료 (차1)의 HUVEC 세포의 증식률을 도 4에 나타냈다. 도 3 및 도 4에서, 시료 (가1) 내지 시료 (차1)의 HUVEC 세포의 증식률은 대조군의 HUVEC 세포의 증식률에 근사한 값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본원발명의 하수오 추출물(적하수오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2> : 하수오 추출물의 HepG2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상기 제조예 1의 80% 에탄올에 용해된 적하수오 추출물과 제조예 2의 80% 에탄올에 용해된 백하수오 추출물의 HepG2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MTS assay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인간의 간세포인 HepG2 세포를 ATCC(Rockville, MD, USA)로부터 분양받은 후, FBS(fetal bovine serum, Gibco社)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Gibco社)이 첨가된 MEM(Gibco, Grand Island, NY, USA) 배지에서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HepG2 세포를 96-well plate에 1×103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고 24시간 후에 80% 에탄올에 용해된 적하수오 추출물과 80% 에탄올에 용해된 적하수오 추출물을 각각 처리하였다.
이때, 80% 에탄올에 용해된 적하수오 추출물의 농도는 25 μg/mL, 50 μg/mL, 100 μg/mL, 150 μg/mL, 200 μg/mL의 5종류가 되도록 하고, 80% 에탄올에 용해된 백하수오 추출물의 농도는 25 μg/mL, 50 μg/mL, 100 μg/mL, 150 μg/mL, 200 μg/mL의 5종류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5종류의 80% 에탄올에 용해된 적하수오 추출물이 처리된 HepG2 세포를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각각 시료 (가2), 시료 (나2), 시료 (다2), 시료 (라2), 시료 (마2)로 사용하였고 하기의 표 7에 나타냈다. 또한, 상기 5종류의 80% 에탄올에 용해된 백하수오 추출물이 처리된 HepG2 세포를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각각 시료 (바2), 시료 (사2), 시료 (아2), 시료 (자2), 시료 (차2)로 사용하였고, 하기의 표 7에 나타냈다.
<표 7>
구분 하수오 추출물 농도(μg/mL)
대조군 처리하지 않음 0
시료 (가2)
80% 에탄올에 용해된 적하수오 추출물을
처리함
25
시료 (나2) 50
시료 (다2) 100
시료 (라2) 150
시료 (마2) 200
시료 (바2)
80% 에탄올에 용해된 백하수오 추출물을
처리함
25
시료 (사2) 50
시료 (아2) 100
시료 (자2) 150
시료 (차2) 200
다음으로 상기 시료 (가2) 내지 시료 (차2)가 분주된 well당 20 μL의 MTS solution(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Promega, Madison, WI, USA)을 첨가하여 2시간 동안 37 ℃에서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배양된 HepG2 세포를 96-well plate에 1×103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것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대조군이 분주된 well당 20 μL의 MTS solution(Celltiter 96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Promega, Madison, WI, USA)을 첨가하여 2시간 동안 37 ℃에서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인 HepG2 세포의 증식률을 기준(100%)으로 하여, 대조군에 대한 시료 (가2) 내지 시료 (마2)의 HepG2 세포의 증식률을 도 5에 나타내고, 대조군에 대한 시료 (바2) 내지 시료 (사2)의 HepG2 세포의 증식률을 도 6에 나타냈다. 도 5 및 도 6에서, 시료 (가2) 내지 시료 (차2)의 HUVEC 세포의 증식률은 대조군의 HepG2 세포의 증식률에 근사한 값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본원발명의 하수오 추출물(적하수오 추출물, 백하수오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 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의 물질은 당업자가 공지된 다양한 물질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하여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중 일부를 성능의 열화 없이 생략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당업자는 공정 환경이나 장비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 단계의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도 1은 실험예 1의 조성물 1 내지 조성물 12의 DHHP 라디칼의 소거활성을 보여주기 위한 비타민 C의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예 2의 조성물 1 내지 조성물 12의 ABTS 라디칼의 소거활성을 보여주기 위한 비타민 C의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비교예 1의 대조군, 시료 (가1) 내지 시료 (마1)의 HUVEC 세포의 증식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비교예 1의 대조군, 시료 (바1) 내지 시료 (차1)의 HUVEC 세포의 증식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비교예 2의 대조군, 시료 (가2) 내지 시료 (마2)의 HepG2 세포의 증식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비교예 2의 대조군, 시료 (바2) 내지 시료 (차2)의 HepG2 세포의 증식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4)

  1. 하수오 추출물, 약쑥, 대추, 감초, 육계, 생강 및 결명자를 포함하는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하수오 추출물 0.01 ~ 88 중량%, 약쑥 2 ~ 16.33 중량%, 대추 2 ~ 16.33 중량%, 감초 2 ~ 16.33 중량%, 육계 2 ~ 17 중량%, 생강 2 ~ 17 중량% 및 결명자 2 ~ 17 중량%를 포함하는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오 추출물은 적하수오 추출물 및 백하수오 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오 추출물은, 하수오를 물로 추출한 후 감압농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090080585A 2009-08-28 2009-08-28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041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585A KR101041437B1 (ko) 2009-08-28 2009-08-28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585A KR101041437B1 (ko) 2009-08-28 2009-08-28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015A KR20110023015A (ko) 2011-03-08
KR101041437B1 true KR101041437B1 (ko) 2011-06-15

Family

ID=43931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585A KR101041437B1 (ko) 2009-08-28 2009-08-28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4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015A (ko) 2018-11-07 2020-05-18 이효준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129B1 (ko) * 2019-11-14 2021-09-06 한경수 한방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956A (ko) * 2000-02-08 2001-08-20 배석태 하수오에서 항산화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하수오 추출물및 하수오 추출물 또는 하수오 분말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KR20030055127A (ko) * 2001-12-24 2003-07-02 주식회사 닥터즈메디코아 항고지혈증 조성물
KR20080027050A (ko) * 2006-09-22 2008-03-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높은 항산화성 쑥엑기스의 특성 및 제조법
KR20100046639A (ko) * 2008-10-28 2010-05-0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백하수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심혈관계 질환 및 고지혈증의 예방과 개선을 위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956A (ko) * 2000-02-08 2001-08-20 배석태 하수오에서 항산화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하수오 추출물및 하수오 추출물 또는 하수오 분말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KR20030055127A (ko) * 2001-12-24 2003-07-02 주식회사 닥터즈메디코아 항고지혈증 조성물
KR20080027050A (ko) * 2006-09-22 2008-03-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높은 항산화성 쑥엑기스의 특성 및 제조법
KR20100046639A (ko) * 2008-10-28 2010-05-0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백하수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심혈관계 질환 및 고지혈증의 예방과 개선을 위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015A (ko) 2018-11-07 2020-05-18 이효준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015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achaher et al. Comparison of phyt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extracts from flaxseed (Linum usitatissimum) using different solvents.
Srivastava et al. Assessment of phenol and flavonoid content in the plant materials
Basniwal et al. In-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hot aqueous extract of Helicteres isora Linn. fruits
Güder et al.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bilberry (Vaccinium myrtillus Linn.) fruit and their chemical composition.
Krishnasamy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ies of Syzygium densiflorum fruits
Liu et al. Selenium-containing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Rosa laevigata Michx fruits exhibit excellent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activity in vitro
Ariffin et al. In vitro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cytotoxicity evaluations of Musa paradisiaca cv. Sekaki florets from Sarawak, Malaysia
KR101041437B1 (ko) 혈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690779B1 (ko) 홍삼농축분말 및 복분자완숙과추출물을 함유하는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물
Huang et al.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on antioxidation and bioactivity of hawthorn pulp
Lim et al. Anti-oxidative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s from the fruits of Actinidia arguta
KR20170003828A (ko) 홍자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조성물
KR101661491B1 (ko)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Lan et al.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ies of purified polysaccharides with low molecular weights from Magnolia officinalis
Thinkratok et al. Inhibitory potential of the rambutan rind extract and tannin against alpha-amylase and alpha-glucosidase activities in vitro
KR101428486B1 (ko)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기능성이 증진된 클로렐라 추출물의 제조방법
Raaman et al. Anticancer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urcuma zedoaria and Curcuma amada rhizome extracts
Ruen-ngam et al. Evaluation of nutrient content and antioxidant, neuritogenic, and neuroprotective activities of upland rice bran oil.
Stanković et al. Bioactive compounds from Taraxacum officinale extracts obtained by optimized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TWI520743B (zh) 構樹樹皮半固態發酵產物之水溶性萃取物及其製法
KR101844455B1 (ko) 홍마늘을 포함한 항염증 음료 및 환 제조방법
KR20170125191A (ko) 아로니아 베리를 이용한 환 및 그의 제조방법
Dabaghian et al.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effects of Biebersteinia multifida DC
KR101646516B1 (ko) 올리브잎, 연꽃씨, 연잎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Shonekan et al. ANTIOXIDANT AND 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IES OF THE MUSHROOM: †œPHAEOGYROPORUS PORTENTOSUS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