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166B1 - 전력 계측방법 및 전력 계측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계측방법 및 전력 계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166B1
KR101041166B1 KR1020090062046A KR20090062046A KR101041166B1 KR 101041166 B1 KR101041166 B1 KR 101041166B1 KR 1020090062046 A KR1020090062046 A KR 1020090062046A KR 20090062046 A KR20090062046 A KR 20090062046A KR 101041166 B1 KR101041166 B1 KR 101041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hase
current
wire connecti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563A (ko
Inventor
전명수
Original Assignee
전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명수 filed Critical 전명수
Priority to KR1020090062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166B1/ko
Publication of KR20110004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48Meter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real or reactive components; Meter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apparent energ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계측방법 및 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델타 방식으로 결선된 송수전 설비에서 전기 사업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수용가의 잉여전력을 전기 사업자에게 공급하는 경우 계측하는 전력량을 정확하게 계측하기 위한 계측방법 및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이-델타 방식으로 결선된 송수전 설비의 전력 계측기로서, 상기 와이결선측의 전력량을 측정하는 제1 전력측정부; 상기 와이결선측의 중성점 순환 전력량을 측정하는 제2 전력측정부; 및 제1 전력측정부의 측정값에 제2 전력측정부의 측정값을 감하여 실제 사용 전력량으로 결정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델타 방식으로 결선된 송수전 설비의 전력 계측기에서 상기 제2 전력측정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용 변류기(CT); 복수의 계측용 변압기(PT);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측용 변류기는 상기 와이 결선측의 중성점 접지선의 중성점 전류(In)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력, 순환전력

Description

전력 계측방법 및 전력 계측장치{APP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본 발명은 전력 계측방법 및 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델타 방식으로 결선된 송수전 설비에서 전기 사업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수용가의 잉여전력을 전기 사업자에게 공급하는 경우 계측하는 전력량을 정확하게 계측하기 위한 계측방법 및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154Kv 이상의 초고압을 수전하는 대용량 수용가는 전기사업자가 생산한 전력을 1차 변전소를 통해 직접 단독으로 공급받고 있으며 부하전력의 변동 및 예비전력 확보를 위하여 대부분 자체 발전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전력계통의 특성으로 인하여 전기사업자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또는 수용가와 전기사업자가 간에 서로 전력을 주고 받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용가별로 각각 상호 계약에 의해 송수전 전력의 요금체계를 운영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용가와 전기사업자간에 송수전되는 전력의 측정 역시 매우 중요하며 전력거래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요금 또한 수용가 및 전기사업자의 회사 경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수용가와 전기사업자간에 송수전되는 전력의 측정은 상호 협의에 의하여 측정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화 되어 있으며 송수선 전력을 측정하는 방법도 문헌에 의해 단상을 제외하고는 '다상교류에서 n개의 도선에 의하여 부하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을때 n개 도선중 임의의 1개를 공통의 귀선(歸線)이라 생각하고 이것과 여타의 n-1개의 도선간에 n-1개의 전력계를 설치하면 이들 전력계가 표시하는 전력의 합이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과 같다.' 라는 브론델의 정리에 의해 수전계통의 특성에 따라 알맞는 방법으로 부하전력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154Kv 초고압으로 송수전하는 수용가는 비접지, 중성점접지 등 접지계통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수전단의 부하결선(Y·△결선), 부하의 불평형 및 전압전류파형이 비정현적이라도 동일주기를 갖는 주기파이어서, 통상 2소자 전력계법(2CT, 3PT)이나, 3소자 전력계법(3CT, 3PT)으로 계측하여 전력요금을 상호 정산하고 있다.
도 4와 같이 와이-델타 결선방식의 변압기와 같은 송수전 설비에서 중성점 전류(In)는 와이결선측의 전력 계통이 비대칭되어 중성점에 영상전압이 발생하고, 영상 전류가 대지를 귀로로 하여 순환하게 되고, 대응하는 델타결선에서 내부를 순환하여 상기 중성점을 통하여 접지로 흐를 수 있는 전류이다. 상기와 같은 중성점 전류(In)은 델타결선 측 부하전류(Ial, Ibl, Icl)과 무관하게 존재하는 것으로서, 부하가 없는 상태 즉 Ial + Ibl + Icl = 0 인 경우에도 상기 중성점 전류의 크기에 따라 와이측 전력량이 계측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부하측의 실제 사용전력과 함께 상기 중성점 전류에 의한 불필요 전 력이 더해진 전력량에 의해 요금이 정산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델타결선 측에 발전기(10)가 있어 전력을 생산하여 와이결선측으로 송전할 경우에도 상기 중성점 전류에 의해 불필요한 전력량이 발생하고 이를 포함하여 전력요금을 정산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제로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만 계측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계측 장치 및 전력계측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델타 방식으로 결선된 송수전 설비의 전력계측 방법으로서, 와이-델타 방식으로 결선된 송수전 설비의 전력계측 방법으로서, 와이결선측에서 전력량을 결정하는 제1단계; 상기 와이결선측의 중성점을 통하여 순환되는 순환전력량을 결정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의 결정된 중성점의 순환전력량에 따라 상기 제1단계의 전력량을 감하여 실제 전력량을 결정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델타 방식으로 결선된 송수전 설비의 전력계측 방법에서 상기 제1단계에서 결정된 전력량은 와이결선측의 각상 전력량의 합 인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델타 방식으로 결선된 송수전 설비의 전력계측 방법에서 상기 제1단계의 전력량(P1)은
Figure 112009041554833-pat00001
(P1 : 와이 결선측 전력량, Ia, Ib, I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류, Va, Vb, V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 θa, θb, θc : 와이결선 각 상의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델타 방식으로 결선된 송수전 설비의 전력계측 방법에서 상기 제2단계의 순환 전력량(P0)는
Figure 112009041554833-pat00002
(P0 : 중성점 순환 전력량, Ia, Ib, I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류, Va, Vb, V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 θan, θbn, θcn :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과 중성점 중성점 전류와의 위상차)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델타 방식으로 결선된 송수전 설비의 전력계측 방법에서 상기 제3단계의 실제 전력량(Pw)은
Figure 112009041554833-pat00003
(Pw : 실제전력량, P1 : 와이 결선측 전력량, P0 : 중성점 순환 전력량, Ia, Ib, I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류, Va, Vb, V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 θa, θb, θc : 와이결선 각 상의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 θan, θbn, θcn : 와이결선의 각 상전압과 중성점 순환 전류와의 위상차)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와이-델타 방식으로 결선된 송수전 설비의 전력 계측기로서, 상기 와이결선측의 전력량을 측정하는 제1 전력측정부; 상기 와이결선측의 중성점 순환 전력량을 측정하는 제2 전력측정부; 및 제1 전력측정부의 측정값에 제2 전력측정부의 측정값을 감하여 실제 사용 전력량으로 결정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델타 방식으로 결선된 송수전 설비의 전력 계측기에서, 상기 제2 전력측정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용 변류기(CT); 복수의 계측용 변압기(PT);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측용 변류기는 상기 와이 결선측의 중성점 접지선의 중성점 전류(In)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델타 방식으로 결선된 송수전 설비의 전력 계측기에서 상기 복수의 계측용 변압기(PT)는 상기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을 측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델타 방식으로 결선된 송수전 설비의 전력 계측기에서 상기 제1 전력측정부는 (P1 : 와이 결선측 전력량, Ia, Ib, I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류, Va, Vb, V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 θa, θb, θc : 와이결선 각 상의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에 의해서 측정값(P1)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델타 방식으로 결선된 송수전 설비의 전력 계측기에서 상기 제2 전력측정부는
Figure 112009041554833-pat00005
(P0 : 중성점 순환 전력량, In : 와이결선의 중성점 순환 전류, Va, Vb, V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 θan, θbn, θcn : 와이결선의 각 상전압과 중성점 순환 전류와의 위상차)에 의해서 측정값(P0)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델타 방식으로 결선된 송수전 설비의 전력 계측기에서 상기 연산부는
Figure 112009041554833-pat00006
(Pw : 실제전력량, P1 : 와이 결선측 전력량, P0 : 중성점 순환 전력량, Ia, Ib, I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류, Va, Vb, V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 θa, θb, θc : 와이결선 각 상의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 θan, θbn, θcn : 와이결선의 각 상전압과 중성점 순환 전류와의 위상차)을 이용하여 실제 사용 전력량(Pw)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력계측 방법 및 전력계측기는 중성점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를 제거함으로써 수전전력 또는 송전전력의 과측정 및 부족측정을 방지할 수 있어 공정한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수용가와 전기 사업자는 수전 및 송전 전력량의 계측에 있어서 오차없는 전력요금의 빌링이 가능하므로 거래의 투명성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 1 내지 3을 참조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연산부의 전력계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3소자 전력계측기를 간략하게 보인 도면이다.
도 1의 전력계측기(100)는 와이 결선의 각 상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계측용 변압기(PTa, PTb, PTc)와, 와이 결선의 각 상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계측용 변류 기(CTa, CTb, CTc)와, 복수의 연결 단자들(1S, P1, 2S, P2, 3S, P3, P0, 3L, 2L, 1L)과, 상기 계측용 변압기(PTa, PTb, PTc)와 계측용 변류기(CTa, CTb, CTc)의 출력을 입력받아 실제 전력량을 결정하는 연산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연산부(110)의 결정이라 함은 계측 또는 산출을 의미한다.
상기 연산부(110)는 와이 결선의 각 상 전력량의 합에서 상기 중성점에 의한 순환 전력량을 감하여 실제 전력량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상기 연산부(110)에 미리 로직화 되어 저장되어 있고, 아이씨(IC)나 마이컴(미도시)에 의해 연산되어 결정된다.
상기 와이 결선의 각 상 전력량의 합(P1)은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된다.
[수학식 1]
Figure 112009041554833-pat00007
(P1 : 와이 결선측 전력량, Ia, Ib, I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류, Va, Vb, V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 θa, θb, θc : 와이결선 각 상의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
이하, 각 전류 및 각 전압은 페이져(Phasor) 벡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중성점에 의한 순환 전력량(P0)는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해 결정된다.
[수학식 2]
Figure 112009041554833-pat00008
(P0 : 중성점 순환 전력량, Ia, Ib, I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류, Va, Vb, V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 θan, θbn, θcn :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과 중성점 중성점 전류와의 위상차)
델타 결선측을 순환하는 전류는 각 상을 동일한 전류가 순환하게 되므로, 와이 결선측 각 상에는 중성점 순환전류(In)가 동일하게 분배되어
Figure 112009041554833-pat00009
이 흐르게 된다. 따라서, 중성점의 순환전력량은
Figure 112009041554833-pat00010
이 된다. 상기 도 1의 전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중성점에서의 유출되거나 유입되는 전류의 합은 키리히 호프의 법칙에 의해서 Ia + Ib + Ic + In = 0 이 되므로, 상기 중성점 중성점 전류 In = - (Ia + Ib + Ic)이 되고, 위 식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수학식 2와 같이 정리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종적인 사용 전력량은 각 상의 전력량의 합(P1)에서 상기 중성점 전류에 의한 순환 전력량(P0)를 감해야 하므로,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결정되어 진다.
[수학식 3]
Figure 112009041554833-pat00011
(Pw : 실제전력량, P1 : 와이 결선측 전력량, P0 : 중성점 순환 전력량, Ia, Ib, I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류, Va, Vb, V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 θa, θb, θc : 와이결선 각 상의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 θan, θbn, θcn : 와이결선의 각 상전압과 중성점 순환 전류와의 위상차)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연산부(110)에 수학식 1 내지 3을 로직화하여 기록하고, 상기 계기용 변류기 및 계기용 변압기의 측정값을 대입하여 연산하게 되면 중성점전류에 의한 순환 전력량을 감한 실제 사용 전력량을 간편하게 계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계기용 변류기 및 계기용 변압기가 구비된 고압 송수전 선로를 예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통상의 전력 계측기에는 상기 계기용 변류기 및 계기용 변압기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바, 용량의 한계 때문에 별도의 계기용 변류기 및 계기용 변압기를 설치하여 고압 송수전 선류의 전력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저압계통의 송수전 선로에서는 상기 수학식 1 내지 3이 로직화된 연산부(110)를 포함하는 전력 계측기만으로도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동작이 충분히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력계측기의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 블럭도의 상세도로서, 그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계측기(200)는 와이 결선측의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한 제1 전력측정부(210)와, 상기 와이 결선측의 중성점 순환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한 제2 전력측정부(220)와, 상기 제1 및 제2 전력측정부(210, 220) 측정값을 입력받아 연산하여 상기 순환 전력량을 제외한 실제 사용량을 결정하는 연산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력측정부(210)는 상기 와이 결선측의 각 상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전류감지부(212)와, 각 상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 감지부(230)와, 상기 각각의 제1 전류감지부(212)와 전압 감지부(230)의 값을 입력받아 와이 결선측의 전력량을 연산하는 제1 측정부(211)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전력측정부(220)는 와이선측의 중성점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전류감지부(221)와 각 상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 감지부(230)와, 상기 각각의 제2 전류감지부(221)와 전압 감지부(230)의 값을 입력받아 중성점 전류에 의한 순환 전력량을 연산하는 제2 측정부(222)를 포함한다. 즉, 3소자 전력 계측기(3CT, 3PT)에서 중성점 전류를 측정하는 계측용 변류기와 제2 측정부(22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전압 감지부(230)는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연산부(240)는 상기 제1 측정부(211)에서 연산된 와이 결선 각 상의 총 전력량과 제2 측정부(222)에서 연산된 중성점 전류에 의한 순환전력량을 입력받아 최종 사용 전력량을 산출하여 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상기 연산부(240)에 미리 로직화 되어 저장되어 있고, 아이씨(IC)나 마이컴(미도시)에 의해 연산되어 결정된다.
상기 제1 측정부(211)에서 연산되는 와이 결선의 각 상 전력량의 합(P1)은 다음의 수학식 4에 의해 결정된다.
[수학식 4]
Figure 112009041554833-pat00012
(P1 : 와이 결선측 전력량, Ia, Ib, I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류, Va, Vb, V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 θa, θb, θc : 와이결선 각 상의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
상기 제2 측정부(222)에서 연산되는 중성점에 의한 순환 전력량(P0)는 다음의 수학식 5에 의해 결정된다.
[수학식 5]
Figure 112009041554833-pat00013
(P0 : 중성점 순환 전력량, In : 와이결선의 중성점 순환 전류, Va, Vb, V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 θan, θbn, θcn : 와이결선의 각 상전압과 중성점 순환 전류와의 위상차)
델타 결선측을 순환하는 전류는 각 상을 동일한 전류가 순환하게 되므로, 와이 결선측 각 상에는 중성점 순환전류(In)가 동일하게 분배되어
Figure 112009041554833-pat00014
이 흐르게 된다. 이때에는 각각의 계측용 변류기(CTa, CTb, CTc, CTn)에 의해 중성점으로 향하는 전류를 측정하게 되므로, 동일한 방향의 전류값으로 처리된다. 따라서, 중성점의 순환전력량은
Figure 112009041554833-pat00015
이 된다. 상기 중성점에서의 유출되거나 유입되는 전류의 합은 키리히 호프의 법칙에 의해서 Ia + Ib + Ic + In = 0 이 되므로, 상기 중성점 전류 In = -(Ia + Ib + Ic) 이되고, 위 식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수학식 5와 같이 정리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종적인 사용 전력량은 각 상의 전력량의 합(P1)에서 상기 중성점 전류에 의한 순환 전력량(P0)를 감해야 하므로,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이 결정되어 진다.
[수학식 6]
Figure 112009041554833-pat00016
(Pw : 실제전력량, P1 : 와이 결선측 전력량, P0 : 중성점 사용 전력량, Ia, Ib, I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류, Va, Vb, V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 θa, θb, θc : 와이결선 각 상의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 θan, θbn, θcn : 와이결선의 각 상전압과 중성점 순환 전류와의 위상차)
상기에서와 같이 중성점 전류를 직접 검출하여, 검출된 값에 의한 중성점에 의한 순환 전력량을 감하여 실제 전력량을 결정함으로써, 정확한 계측이 가능한 장 점이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연산부의 전력계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력계측기의 블럭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전력 계측기의 상세도
도 4는 일반적인 와이-델타 결선방식의 변압기의 개략도

Claims (11)

  1. 와이-델타 방식으로 결선된 송수전 설비의 전력계측 방법으로서,
    와이결선측에서 전력량을 결정하는 제1단계;
    상기 와이결선측의 중성점을 통하여 순환되는 순환전력량을 결정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의 결정된 중성점의 순환전력량에 따라 상기 제1단계의 전력량을 감하여 실제 전력량을 결정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계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결정된 전력량은 와이결선측의 각상 전력량의 합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전력량(P1)은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측 방법.
    [수학식]
    Figure 112009041554833-pat00017
    (P1 : 와이 결선측 전력량, Ia, Ib, I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류, Va, Vb, V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 θa, θb, θc : 와이결선 각 상의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순환 전력량(P0)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측 방법.
    [수학식]
    Figure 112009041554833-pat00018
    (P0 : 중성점 순환 전력량, Ia, Ib, I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류, Va, Vb, V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 θan, θbn, θcn :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과 중성점 중성점 전류와의 위상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실제 전력량(Pw)은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측 방법.
    [수학식]
    Figure 112009041554833-pat00019
    (Pw : 실제전력량, Ia, Ib, I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류, Va, Vb, V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 θa, θb, θc : 와이결선 각 상의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 θan, θbn, θcn : 와이결선의 각 상전압과 중성점 순환 전류와의 위상차)
  6. 와이-델타 방식으로 결선된 송수전 설비의 전력 계측기로서,
    와이결선측의 전력량을 측정하는 제1 전력측정부;
    상기 와이결선측의 중성점 순환 전력량을 측정하는 제2 전력측정부; 및
    제1 전력측정부의 측정값에 제2 전력측정부의 측정값을 감하여 실제 사용 전력량으로 결정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계측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력측정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용 변류기(CT);
    복수의 계측용 변압기(PT);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측용 변류기는 상기 와이 결선측의 중성점 접지선의 중성점 전류(In)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계측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측용 변압기(PT)는 상기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을 측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계측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측정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서 측정값(P1)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계측기.
    [수학식]
    Figure 112009041554833-pat00020
    (P1 : 와이 결선측 전력량, Ia, Ib, I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류, Va, Vb, V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 θa, θb, θc : 와이결선 각 상의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력측정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서 측정값(P0)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계측기.
    [수학식]
    Figure 112009041554833-pat00021
    (P0 : 중성점 순환 전력량, In : 와이결선의 중성점 순환 전류, Va, Vb, V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 θan, θbn, θcn : 와이결선의 각 상전압과 중성점 순환 전류와의 위상차)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실제 사용 전력량(Pw)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계측기.
    [수학식]
    Figure 112009041554833-pat00022
    (Pw : 실제전력량, Ia, Ib, I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류, Va, Vb, Vc : 와이결선의 각 상 전압, θa, θb, θc : 와이결선 각 상의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 θan, θbn, θcn : 와이결선의 각 상전압과 중성점 순환 전류와의 위상차)
KR1020090062046A 2009-07-08 2009-07-08 전력 계측방법 및 전력 계측장치 KR101041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046A KR101041166B1 (ko) 2009-07-08 2009-07-08 전력 계측방법 및 전력 계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046A KR101041166B1 (ko) 2009-07-08 2009-07-08 전력 계측방법 및 전력 계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63A KR20110004563A (ko) 2011-01-14
KR101041166B1 true KR101041166B1 (ko) 2011-06-13

Family

ID=4361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046A KR101041166B1 (ko) 2009-07-08 2009-07-08 전력 계측방법 및 전력 계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1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51178A1 (en) * 2010-08-11 2013-06-13 Hanbit Power 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KR101986078B1 (ko) * 2018-12-21 2019-09-30 주식회사 페라리스파워 전력선에서의 전압강하를 고려한 자기장 에너지 하베스팅 결선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781A (ko) * 2003-04-08 2004-05-20 전명수 3상전력 계량오차 측정장치
KR20050095534A (ko) * 2004-12-01 2005-09-29 (주)신우디엔시 영상전류 보상용 3상 전력 계량장치
JP2007292483A (ja) 2006-04-21 2007-11-0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双方向計量用計器用変成器および双方向電力計量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781A (ko) * 2003-04-08 2004-05-20 전명수 3상전력 계량오차 측정장치
KR20050095534A (ko) * 2004-12-01 2005-09-29 (주)신우디엔시 영상전류 보상용 3상 전력 계량장치
JP2007292483A (ja) 2006-04-21 2007-11-0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双方向計量用計器用変成器および双方向電力計量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63A (ko) 201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7424B1 (en) DC load detection in an electric utility meter
US7584066B2 (en) Method for determining power flow in a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US8044666B2 (en) 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 of phase-to earth fault
KR100902471B1 (ko) 디지털 보호 계전기의 전력량 오차 보상장치
JP6209951B2 (ja) トランス接続相判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10267032A1 (en) Three-phase electric energy measurement apparatus
ES2914042T3 (es) Método y aparato para la puesta en servicio de sensores de voltaje y sensores de corriente de circuito de ramificación para sistemas de monitorización de circuitos de ramificación
KR101079848B1 (ko) 계기용변성기 오차 보정 계량장치 및 계량방법
JP2012198033A (ja) 相判別装置
BRPI0006633B1 (pt) método e relé para a derivação de dados de um sistema de potência a partir de pontos de fonte configuráveis
KR20170138167A (ko) 무효 전력 보상 시스템의 손실 측정 장치
KR101041166B1 (ko) 전력 계측방법 및 전력 계측장치
JP5999406B2 (ja) 検出装置、検査装置、検査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254846B1 (ko) 발전 시스템에서의 발전량 및 부하량 측정 장치
KR200442726Y1 (ko) 3상4선식 전력량 오차 제거 장치
JP2010226904A (ja) 電力潮流データ処理装置
KR102344194B1 (ko) 3상 4선식의 전력량계의 오차를 추정하는 진단 시스템
KR102344297B1 (ko) 중성점 접지 고객용 3상3선식 2소자 계량 시스템
KR20200002226A (ko) 전력량계의 상 오차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200410792Y1 (ko) 전자식 전력량계
JP2005233804A (ja) 電力量の課金システム及びその電力量計
WO2012020857A1 (ko) 전력 계측방법 및 전력 계측장치
JP2013140110A (ja) 検出装置、検査装置、検査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S6275278A (ja) 計器精度判定装置
KR101159753B1 (ko) 전자식 전력량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