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823B1 -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823B1
KR101040823B1 KR1020100087929A KR20100087929A KR101040823B1 KR 101040823 B1 KR101040823 B1 KR 101040823B1 KR 1020100087929 A KR1020100087929 A KR 1020100087929A KR 20100087929 A KR20100087929 A KR 20100087929A KR 101040823 B1 KR101040823 B1 KR 101040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ompression
disposed
rotating body
portab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이상학
김규만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87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1/00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 F03B11/08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e.g. mu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3/00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 F03G3/04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driven by sand or like fluent solid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 내의 양측에 배치되는 유체 압축, 상기 유체 압축관을 서로 연통시키는 유로관, 상기 유로관 상에 배치되는 회전체, 상기 유체 압축관과 상기 유로관의 접경 지점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이물질 배출관, 상기 이물질 배출관의 상부 전단에 형성되는 이물질 분리부, 및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섬이나 산 속과 같은 외진 곳의 바닷가나 개울의 물속에 설치하여 파도나 계곡물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사용함으로써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로서, 수력 발전의 원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 생산 과정에서 환경오염 물질의 배출이 없는 친환경적인 전기 생산장치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Portable type hydroelectric power generator}
본 발명은 유체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전력를 생산하는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있을 경우 파도 또는 계곡물 등과 같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 속에 배치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발생함이 없이 친환경적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석탄이나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연소시켜서 그 연소열을 사용하여 물을 가열하여 가열된 증기가 발전기의 터빈을 돌려서 발전하는 방식, 우라늄 등의 핵반응에 의한 붕괴 과정에서 생성되는 에너지를 사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원자력 발전, 및 댐이나 강의 물의 흐름을 사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수력발전 등의 방법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석탄이나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사용한 전기생산 방식은 화석연료의 매장량의 한계 뿐만 아니라 화석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와 황산화물 등의 환경오염 물질들이 대량 배출되어 환경에 유해하다. 그리고 원자력에너지를 사용한 발전의 경우에도 전기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많은 종류의 방사선 오염물질들이 환경에 유해하다. 한편, 현재 사용되고 있는 수력발전의 경우에는 댐 건설과 수류 조절을 필요로 하는 한편으로, 발전 기기 및 장치들을 갖춘 대형 구조물을 설치해야되는 필요성이 있다.
최근에는 환경오염 물질의 배출이 없는 친환경적인 방법에 의한 전기생산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태양으로부터 오는 햇빛을 받아서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 수소 또는 산소 등과 같은 물질의 화학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 및 공기의 흐름을 사용한 풍력발전 등이 개발되어 일부 사용되고 있다.
섬이나 산 속과 같은 외진 곳에서 그 지역의 기후변화나 오염물 측정 등과 같은 환경모니터링 전자기기를 사용할 경우 또는 단기간의 캠핑 또는 장기간의 주택 거주 등의 경우에 각종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전원공급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현재로서는 일회용 건전지나 충전가능한 배터리 등을 사용하고 있는데, 사용 시간의 제약과 함께 부피와 무게가 크다는 한계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일회용 건전지의 경우에는 사용 수명 시간이 길지 못하며 일정 사용 시간 후에는 새로운 건전지로 교체해 주어야 전자기기를 계속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지의 경우에도 일정 시간의 사용 후에 방전된 충전지를 외부 전원공급을 통하여 충전을 주기적이며 지속적으로 해주어야 전자기기를 계속해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의 태양전지, 풍력발전 등의 경우는 발전을 위한 설비가 대형화되고 비용적인 부담 때문에 소형으로 휴대 가능하게 제작하기는 힘들다는 어려움이 있고, 연료전지의 경우에는 소형화가 가능하나 현재까지는 기술개발이 진행되는 단계이고 일반 건전지와 같은 사용기간상 제한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력시설이 미비된 외진 지역에서 전자기기 장비를 장기간 사용할 시에 필요한 전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줄 전기생산 및 공급장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소형이어서 휴대가 가능하고 전기생산과정에서 주위 자연환경을 이용하는 과정을 통하여 환경오염을 시키지 않는 발전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자연 상태에서 유동하는 유체가 유체 압축관, 유로관, 및 회전체를 통하여 유동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유체 내의 불순물이 걸러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를 회전구동함으로써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소형인 동시에 친환경적인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 내의 양측에 배치되는 유체 압축관, 상기 유체 압축관을 서로 연통시키는 유로관, 상기 유로관 상에 배치되는 회전체, 상기 유체 압축관과 상기 유로관의 접경 지점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이물질 배출관, 상기 이물질 배출관의 상부 전단에 형성되는 이물질 분리부, 및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는 상기 회전체가 배치되는 상기 유로관으로부터 상기 몸체 외부를 연통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 수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 압축관은 상기 몸체 내측 방향으로 그 지름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 배출관 및 상기 배출 수로는 상기 회전체를 기준으로 각각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는 상기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의 상기 이물질 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포집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는 그 내부의 균형을 유지하는 무게추를 구비하며, 상기 무게추는 금속 또는 세라믹 재질로서 100g 내지 10kg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수력 발전장치는 섬이나 산 속과 같은 외진 곳의 바닷가나 개울의 물속에 설치하여 파도나 계곡물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사용함으로써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로서, 수력 발전의 원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 생산 과정에서 환경오염 물질의 배출이 없는 친환경적인 전기 생산장치이다. 더불어,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물의 움직임에 의해서 발전이 가능하도록 물의 방향변화에 관계없이 전기생산이 이루어지므로 전기생산효율이 높게 된다.
본 발명은 파도 또는 계곡물 등의 연속적이고 주기적인 움직임에 의해서 본 발전장치 내부에 설치된 회전체를 구동하여 발전을 하기 때문에 장기간 지속적인 사용을 필요로 하는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을 위해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유체 유입을 위한 유체 압축관, 유로관, 회전체, 및 상기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몸체 등으로 구성된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휴대가 가능하므로 운반, 설치가 간편하고 고장 위험이 낮아 장기간을 통해 안정적이고 연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휴대용 수력 발전장치는 섬이나 산 속 등과 같은 외진 곳에서 그 지역의 기후변화나 오염물 측정 등과 같은 환경모니터링 전자기기를 사용할 경우나 단기간의 캠핑 또는 장기간의 주택에 거주 등의 경우에 각종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전원공급 장치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사람의 출입이 어려운 도시의 지하 수로나 지하 구조물 등에 있는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을 위하여 본 발명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활용범위는 상당히 넓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수력 발전장치의 개념을 보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수력 발전장치의 개념을 보이는 개념도,
도 3a 및 도 3b는 유로관과 회전체를 경유하는 유체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상태도, 및
도 4a 내지 도 4d는 유입수 속에 존재하는 크고 작은 고형체 불순물이 휴대용 수력 발전장치(100)를 통해서 제거되는 과정을 보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환식 수력 발전 장치(100)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이물질'은 바닷물 또는 계곡물 등과 같은 유체 상에 존재하는 모래 또는 자갈 등의 고형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휴대용 수력 발전장치(100,100')의 구조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수력 발전장치(1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휴대용 수력 발전장치(100)는 몸체(1), 몸체(1) 내의 양측에 배치되는 유체 압축관(10), 유체 압축관(10)을 서로 연통시키는 유로관(20), 유로관(20) 상에 배치되는 회전체(30), 유체 압축관(10)과 유로관(20)의 접경 지점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이물질 배출관(50), 이물질 배출관(50)의 상부 전단에 형성되는 이물질 분리부(54), 회전체(30)와 연동하여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부(40), 회전체(30)가 배치되는 상기 유로관(20)으로부터 몸체(1) 외부를 연통하게 하는 배출 수로(24), 및 상기 몸체(1)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물질 배출관(50)에 대응하는 관통구(61)가 형성되는 포집통(60)을 포함한다.
몸체(1)는 그 내부에 형성되거나 배치된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고 형태를 유지한다. 상기 몸체(1)는 금속 또는 고분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cm 내지 3m 범위의 직경 및 10cm 내지 5m 범위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을 갖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체 압축관(10)은 원뿔 또는 다각뿔 등의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몸체(1) 내로 유입되는 물을 압축하여 유속을 증가시킨다. 상기 유체 압축관(10)은 금속 또는 고분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원뿔형 또는 사각뿔 형상인 깔때기 모양을 갖는다. 유체 압축관(10)의 전단에는 입구 그물망(12)이 배치되는데, 상기 입구 그물망(12)은 휴대용 수력 발전장치(100)의 내부 구조에 손상을 줄 수 있는 고형체의 유입을 막는 기능을 한다.
유체 압축관(10)은 몸체(1)의 전방에 배치되는 선단 유체 압축관(10a)과 후방에 배치되는 후단 유체 압축관(10b)을 포함하는데, 상기와 같이 양 방향성으로 제작된 휴대용 수력 발전장치(100)를 바다와 같이 불규칙적인 유동이 이루어지는 장소에 배치함으로써 방향에 구애되지 않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회전체(30)는 원통 형상의 회전축(미도시)을 기준으로 블레이드(32)가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체(30)는 유로관(20)의 일부를 구성하는 유로실(22) 내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된다. 회전체(30)의 직경은 2cm 내지 1m 범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전부(40)는 상기 회전체(30) 상부에 안착되어 회전체(30)의 구동에 따라 기전력을 발생한다. 즉, 발전부(40)는 회전체(30)에 직접 연결되는 회전자(미도시) 및 상기 회전자와 소정거리 이격되는 고정자(미도시)를 구비한 상태에서, 회전체(30)의 회전에 연동하는 회전자의 운동에 의해서 상기 고정자는 기전력이 발생된다. 상기 발전부(40)에서 생성된 전력은 전력 이송선(46)을 통해 전기접속코드(48)를 통해 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에 제공되거나 별도의 충전부(미도시)에 저장이 가능하다.
이물질 배출관(50)은 유체 압축관(1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미세 크기의 모래가 이물질 분리부(54)에 의해 걸러져 몸체(1)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물질 배출관(50)의 출구 측에는 배출관 그물망(52)이 구비되어 몸체(1) 외부로부터 물고기나 고형체의 유입을 막게 한다.
이물질 분리부(54)는 이물질 배출관(50)의 상부 전단에 배치됨으로써 구조적으로 유체 압축관(10)의 후단에 소정거리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유체 압축관(10)으로 유입된 유체 중 불순물은 상기 돌출된 이물질 분리부(54)에 의해 유동속도가 저하되는 동시에 이물질 분리부(54)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을 통해 이물질 배출관(50)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배출 수로(24)는 회전체(30)를 구동한 후 토출되는 물을 몸체(1)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배출 수로(24)는 몸체(1) 내측으로 유체 압축관(10)의 후방에 배치되고, 배출 수로(24)의 출구측에는 배출 수로 그물망(26)이 구비된다.
상기 입구 그물망(12), 배출관 그물망(52), 및 배출 수로 그물망(26)은 금속또는 고분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mm 내지 5cm 범위 내의 망 메시 크기를 갖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포집통(60)은 몸체(1)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1)의 이물질 배출관(50)으로부터 배출되는 모래 등의 이물질을 받을 수 있다. 본 포집통(60)은 이물질 배출관(50) 끝부분과 맞닿아서 연결되는 관통구(61), 발전 장치 연결끈(63), 및 발전 장치 연결끈 지지대(6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몸체(1) 내부의 유체 압축관(10)의 하단에 배치되어 본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100)를 유체가 흐르는 지역의 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무게추(3)를 채용할 수 있다. 무게추(3)는 몸체(1)의 양측에 복수개로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무게추(3)는 금속 또는 세라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0g 내지 10kg 범위 내의 질량을 갖는 직육면체 또는 구형 형태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수력 발전장치(1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의 제 2 실시예(100')는 제 1 실시예(100)와는 일부의 구성요소를 삭제하여 경량화한 것으로서 그 부피가 다소 작아질 수 있으며 또한 용도를 달리하여 사용가능하다. 이하, 제 1 실시예(100)와 동일한 특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기술한다.
상기 휴대용 수력 발전장치(100')는 일측 방향으로 흐르는 유동수 상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 수로(24)가 제거되고, 회전체(30)를 기준으로 일측에만 이물질 배출관(50)이 배치된다. 즉, 유체 압축관(10)은 몸체(1)의 전방에 배치되는 선단 유체 압축관(10a)과 후단 유체 압축관(10b)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100')에서는 선단 유체 압축관(10a)을 통해 유입된 유체는 후단 유체 압축관(10b)을 통해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휴대용 수력 발전장치(100)의 작동 설명
이상 도 3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휴대용 수력 발전장치(100)에서 유체의 유동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a는 선단 유체 압축관(10a)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회전체(30)를 경유하여 이동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고 배출 수로(24)를 통해 몸체(1) 외부로 토출되는 과정을 보인다(도면부호 72 참조). 도 3b는 후단 유체 압축관(10b)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회전체(30)를 경유하여 이동하면서 회전력을 제공하고 배출 수로(24)를 통해 몸체(1) 외부로 토출되는 과정을 보인다(도면부호 74 참조).
상기 도 3a 및 도 3b를 보면, 본 발명의 휴대용 수력 발전장치(100)의 내부구조물이 몸체(1)의 중앙부에 배치된 회전체(30)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유체의 흐름이 몸체(1)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디에서부터 유입되더라도 모두 회전체(30)를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여 전력 생산이 이루어지게 한다. 특히 바닷가의 파도와 같이 주기적이고 반복적으로 전후방 양측으로 물이 흐르는 장소에 설치하여 전기생산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체(30)를 상부에서 바라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하게 회전하는 것을 보이고 있는데 다른 실시예로서 유로관(20) 및 배출 수로(24)의 배치를 변경함에 의해서 시계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a 내지 도 4d는 유입수 속에 존재하는 크고 작은 고형체 불순물이 휴대용 수력 발전장치(100)를 통해서 제거되는 과정을 보인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유입수 속에 존재하는 자갈과 같은 대형 고형체(5)는 입구 그물망(12)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제거된다. 이때 입구 그물망(12)의 메시 크기를 너무 크게하면 작은 크기의 고형제가 유입되어 몸체(1) 내부 구조에 손상을 줄 수가 있고, 입구 그물망(12)의 메시 크기가 너무 작으면 상기 입구 그물망(12) 자체의 저항에 의해 물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불순물들이 입구 그물망(12)의 메시 사이에 끼어서 축적됨으로써 유체의 유입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입구 그물망(12)의 크기는 자갈과 같은 대형 고형체(5)의 유입은 막고 모래와 같은 소형 고형체(7)는 자유로이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유입된 유체 속에 부유하는 모래와 같은 소형 고형체(7)를 유체 압축관(10) 끝부분에 배치된 이물질 분리부(54)와 이물질 배출관(50)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유입된 유체가 유체 압축관(10)에서 압축되는 동안 소형 고형체(7)는 유체 압축관(10)의 저면으로 모여 쌓이게 되며, 상기 소형 고형체(7)는 유속에 의해 계속적으로 위로 밀려서 이물질 분리부(54)까지 상승한다.
도 4d를 참조하면, 이물질 분리부(54) 상부로 밀려 올라간 소형 고형체(7)가 이물질 분리부(54) 끝에서 중력에 의해 밑으로 떨어지면서 이물질 배출관(5)을 통해 몸체(1)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이물질 분리부(54) 후방에 배치되는 유로관(20)에는 자갈과 모래 등의 고형체(5,7)가 제거된 유체가 회전체(3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1) 내에 유입된 소형 고형체(7)가 유체 압축관(10) 및 이물질 분리부(54)를 거치면서 중력과 유속에 의해 외부로 제거되도록 착안되었으므로 연속적이며 반영구적으로 유체 속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수력 발전장치(100)는 바닷가 파도 또는 계곡물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사용하여 전력를 생산하는 장치로서, 유동하는 유체가 본 발전장치의 내부로 유입되어 회전체를 구동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은 그 구조가 단순하고 휴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장기간에 걸쳐서 전기를 생산할 수 있으며, 전기생산 과정에서 환경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전기 생산 장치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 : 몸체
3 : 무게추
10 : 유체 압축관
10a : 선단 유체 압축관
10b : 후단 유체 압축관
12 : 입구 그물망
20 : 유로관
22 : 유로실
24 : 배출 수로
26 : 배출 수로 그물망
30 : 회전체
32 : 블레이드
40 : 발전부
46 : 전력 이송선
48 : 전기접속코드
50 : 이물질 배출관
52 : 배출관 그물망
54 : 이물질 분리부
60 : 포집통
61 : 관통구
63 : 발전 장치 연결끈
65 : 발전 장치 연결끈 지지대
100 :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

Claims (6)

  1. 몸체;
    상기 몸체 내의 양측에 배치되는 유체 압축관;
    상기 유체 압축관을 서로 연통시키는 유로관;
    상기 유로관 상에 배치되는 회전체;
    상기 유체 압축관과 상기 유로관의 접경 지점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하나이상의 이물질 배출관;
    상기 이물질 배출관의 상부 전단에 형성되는 이물질 분리부; 및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부;
    를 포함하는,
    상기 이물질 배출관은 상기 회전체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는,
    상기 회전체가 배치되는 상기 유로관으로부터 상기 몸체 외부를 연통하며, 상기 회전체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 수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압축관은 상기 몸체 내측 방향으로 그 지름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의 상기 이물질 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포집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그 내부의 균형을 유지하는 무게추를 구비하며, 상기 무게추는 금속 또는 세라믹 재질로서 100g 내지 10kg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
KR1020100087929A 2010-09-08 2010-09-08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 KR101040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929A KR101040823B1 (ko) 2010-09-08 2010-09-08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929A KR101040823B1 (ko) 2010-09-08 2010-09-08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0823B1 true KR101040823B1 (ko) 2011-06-14

Family

ID=44405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929A KR101040823B1 (ko) 2010-09-08 2010-09-08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8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706B1 (ko) * 2015-02-23 2016-05-1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파워 캡슐형 수력발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9913U (ko) * 1987-04-24 1988-11-29 류병희 조력발전 장치
JP2002167740A (ja) 2000-11-29 2002-06-11 Nagai Kosho:Kk 水力発電方法
JP2005240786A (ja) 2004-02-27 2005-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潮流発電装置
KR20060021781A (ko) * 2004-09-04 2006-03-08 현익근 강이나 해류,조류등에 류수를 집결시켜 동력화하여 발전과펌푸로 사용하는 기구를 장치한 배를 띠워놓고 장미나급류에 류수주입구를 수면으로 올렸다 내렸다하여조절하여 본기구의 파손과 용량을 조절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9913U (ko) * 1987-04-24 1988-11-29 류병희 조력발전 장치
JP2002167740A (ja) 2000-11-29 2002-06-11 Nagai Kosho:Kk 水力発電方法
JP2005240786A (ja) 2004-02-27 2005-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潮流発電装置
KR20060021781A (ko) * 2004-09-04 2006-03-08 현익근 강이나 해류,조류등에 류수를 집결시켜 동력화하여 발전과펌푸로 사용하는 기구를 장치한 배를 띠워놓고 장미나급류에 류수주입구를 수면으로 올렸다 내렸다하여조절하여 본기구의 파손과 용량을 조절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706B1 (ko) * 2015-02-23 2016-05-1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파워 캡슐형 수력발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462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residential hydropower
Li et al. Towards self-powered technique in underwater robots via a high-efficiency electromagnetic transducer with circularly abrupt magnetic flux density change
KR101202678B1 (ko) 하수방류관용 수력발전장치
US20110095538A1 (en) Wind and hydropower plant
EP2987997A1 (en) Air-cushioned small hydraulic power generating device
KR20120117840A (ko) 유체의 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40175799A1 (en) Advanced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renewable electrical energy
US20180337584A1 (en) Method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through the fall of a weight upon a hydraulic fluid
CN102192077A (zh) 波浪与潮汐能储能系统、方法和发电方法、系统
KR101018688B1 (ko) 도심에 설치 가능한 풍력 발전기
KR101040823B1 (ko) 휴대용 수력 발전 장치
CN111439342A (zh) 潮流监控浮标
CN103615352B (zh) 水斗式波浪发动机
KR101042650B1 (ko) 유수에 설치되는 소수력 발전기
RU2347935C2 (ru) Русловая 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я
JP2020109292A (ja) 海水発電設備
WO2010101318A1 (ko) 기포의 부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Febiansyah et al. Portable Pico-hydro Power Plant with Archimedes Screw Turbine in Pelangi Reservoir of Universitas Islam Indonesia
KR200470784Y1 (ko) 물의 흐름을 이용한 수력발전장치
KR20200098436A (ko) 저수지 부력 발전 시스템
KR101569094B1 (ko) 건물 내 오폐수의 낙차를 이용하는 발전 설비
CN217233701U (zh) 烟囱内置风力发电装置及发电系统
CA2900365C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gravitational displacement
US20220268251A1 (en) Hydropower system for natural bodies of water
US20190368463A1 (en) System and method of harnessing energy with a non-buoyant object and a buoyant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